KR200434512Y1 -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512Y1
KR200434512Y1 KR2020060027290U KR20060027290U KR200434512Y1 KR 200434512 Y1 KR200434512 Y1 KR 200434512Y1 KR 2020060027290 U KR2020060027290 U KR 2020060027290U KR 20060027290 U KR20060027290 U KR 20060027290U KR 200434512 Y1 KR200434512 Y1 KR 200434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function
consumer
karaoke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7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열
Original Assignee
고리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리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리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7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5Providing additional services to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05Non-interactive screen display of musical or status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기기에 관한 것으로, 다수 소비자가 하나의 노래방 기기를 이용할 때, 노래를 부르는 소비자가 극히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음으로, 대기 중인 소비자가 자신의 차례를 기다리는 대기 시간을 무료하게 보내게 되어 소비자 만족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기 중인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여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다수 대기 중인 소비자가 동시에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system for singing room providing game func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노래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웹 서버 200 : USB 지원 단말
300 : 게임기 400 : 입체 게임 기기
500 : 마이크 600 : 노래방 기기
610 : 음향 출력부 620 : 영상 출력부
630 : 저장부 640 : 키패드
650 : 제어부 651 : 노래방 기능 제어부
652 : 게임 기능 제어부 660 : 인터페이스
66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662 : USB 인터페이스부
663 : 케이블 인터페이스부 664 : 포트 인터페이스부
본 고안은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 소득의 증가와 유희 문화에 대한 관심 증가로 노래방이 생겨나고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의 음악적 성취 또는 유희를 목적으로 노래방에서 다른 사람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노래방의 각 방에 설치되는 노래방 기기는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선곡하는 노래의 반주를 출력하는 동시에 반주에 상응하는 노래 가사를 영상을 출력하여, 소비자가 노래를 따라 부를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노래방 기기는 원곡의 노래 음원과, 소비자의 가창 음원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점수를 출력하는 서비스 역시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노래방 기기는 두 개의 마이크를 구비하고 있음으로, 선곡한 노래를 따라 부를 수 있는 소비자는 2명으로 제한되게 된다. 마이크 하나를 가지고 여러명이 합창을 하는 경우라도 극히 제한적이 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여러명이 같이 노래방에 가는 경우에는 제한적인 소비자들만 노래를 부르고 나머지 사람들인 소비자가 부르는 노래에 장단을 맞추거나, 박수를 치는 행동밖에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노래방 기기가 노래를 부르는 소비자 이외에 대기 중인 소비자들이 대기 시간동안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은, 인터넷 망을 통해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웹 서버와,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 가능하며, 게임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소비자가 게임을 선택하여 조작하면,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USB 지원 단말과, 소비자가 게임을 조작하는 조이스틱, 게임 기능을 구동시키는 본체 및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팩을 구비하며, 소비자가 선택하여 조작하는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게임기와, 소비자의 영상을 인식하여 입체 게임 기능을 제공하며, 입체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입체 게임 기기와, 인터넷 망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는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와, 반주 음향 및 가사를 저장하고,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노래방 기기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 기기는, 웹 서버,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와, 소비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게임 기능을 선택하여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을 조작하는 키패드와, 노래 가사 및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와, 반주 음향 또는 게임에 상응하는 게임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와, 소비자가 키패드를 통해 선곡하는 노래에 상응하는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고,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선택되는 게임 모드에 따라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제어부는, 소비자가 선곡하는 노래에 상응하는 반주 음향 및 가사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과 반주 음향을 믹싱하여 출력하는 노래방 기능 제어부와, 소비자가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모드, USB 지원 단말을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모드, 게임기를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3 게임 모드 또는 입체 영상 기기를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4 게임 모드 중 지원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따라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게임 영상 출력하는 게임 기능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게임 기능 제어부는, 노래방 기능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음향 정보 또는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에서 구동되는 게임 기능에 상응하는 게임 음향 정보를 출력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터페이스는, 웹 서버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USB 지원 단말과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부와, 게임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 인터페이스부와 입체 게임 기기의 본체와 연결되는 포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노래방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 시스템은 노래방 기기(600)가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100)(100)에 연결되고, USB 지원 단말(200), 게임기(300), 입체 게임 기기(400) 및 마이크(500)와 연결되어 있다.
마이크(500)는 일반적으로 복수개가 마련되며,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에서 출력되는 반주 음향에 맞춰 노래를 부를 수 있도록 한다.
웹 서버(100)(100)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작/제공하며, 노래방 기기(600)가 인터넷 망으로 접속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프로그램의 리스트를 전송하고, 노래방 기기(600)가 선택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즉,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 또는 소유자가 웹 서버(100)(100)에 접속하여 선택하는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를 이용하여 노래를 부르는 시간동안 대기 중인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기타 노래방 기기(600)의 게임 기능만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소비자가 대기 시간동안 게임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노래방 기기(600)를 통해 게임 영상 정보만을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게임 기능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노래방 기기(600)를 통해 게임 영상 정보 및 게임 음성 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SB 지원 단말(200)은 USB 인터페이스를 내장한 단말, 예를 들어, USB 메모리, USB 지원 핸드폰, USB 지원 PDA, 노트북, PDP, PMA 등과 같은 단말이 해당될 수 있으며, 저장된 게임용 데이터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하거나, 소비자가 게임을 선택하여, 게임을 조작하면, 게임 화면에 따른 영상 정보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한다.
즉, USB 지원 단말(200)은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하여,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를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거나,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저장된 게임 데이터에 따라 게임 화면을 출력하고, 소비자가 조작하는 키(미도시)에 따라 게임 기능을 제공하면서 소비자가 작은 USB 지원 단말(200)의 화면이 아니라 노래방 기기(600)의 화면을 통해 게임을 할 수 있도록 게임 영상 정보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한다.
게임기(300)는 플레이스테이션, X-BOX 등과 같은 전용 게임 기기 등이 해당되며, 소비자가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이스틱, 게임 기능을 구동시키는 본체,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팩 등을 구비하여,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게임기(300)는 소비자가 선택한 게임 기능의 화면에 따른 게임 영상 정보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하여,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의 영상을 보면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입체 게임 기기(400)는 소비자에게 입체 게임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기이며, 영상 인식 기기, 게임 구동 기기 등을 구비하며, 소비자가 영상을 인식하여 게임 기능을 제공하고, 게임 영상 정보를 노래방 기기(6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일명 '유리창 닦기 게임'을 소비자가 선택한 경우, 입체 게임 기기(400)는 먼지가 낀 유리창 화면을 노래방 기기(600)를 통해 출력하고, 소비자의 손 부위를 인식하여, 손 부위에 해당하는 유리창의 먼지를 제거해 줌으로써,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를 통해 게임 화면을 보면서 게임을 즐기 수 있도록 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선곡 번호가 할당되는 다수개의 반주 음원 및 노래 가사와, 웹 서버(100)(100)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게임 프로그램, USB 지원 단말(200)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데이터 및 소유자가 별도의 기기(예를 들어, 컴퓨터 등)로 입력하는 게임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그리고,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노래를 선곡하면, 해당 노래의 반주 음원 및 노래 가사를 출력하는 노래방 기능을 제공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확인한다.
일례를 들어,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게임 모드를 키패드(미도시)를 통해 선택하면, 게임 프로그램 또는 게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 여, 저장되어 있으면, 노래방 기기(600)가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또는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모드가 지원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제 1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한편 노래방 기기(600)는 USB 지원 단말(200)이 연결되어 있으면, USB 지원 단말(200)로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모드가 지원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제 2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게임기(300)가 연결되어 있으면, 게임기(300)로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3 게임 모드가 지원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제 3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입체 게임 기기(400)가 연결되어 있으면, 입체 게임 기기(400)로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4 게임 모드가 지원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제 4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는 예를 들어, '입체 게임이 가능합니다', '게임기(300) 게임이 가능합니다' 등과 같은 문자 영상 정보가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노래방 기기(600)는 다수개의 게임 모드 지원이 가능한 경우, 지원 가능한 게임 모드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출력한 다음 소비자가 게임 모드를 하나 또는 다수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제 1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소 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프로그램 또는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노래방 기기(600)는 게임 기능을 구동시키고, 소비자가 키패드를 조작하면, 그에 따라 게임 기능을 제공하면서 게임 화면에 따른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제 2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USB 지원 단말(200)로부터 소비자가 이용하는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제 3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게임기(300)로부터 소비자가 이용하는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제 4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입체 영상 기기로부터 입체 영상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노래방 기기(600)는 다수의 대기중인 소비자가 동시에 게임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게임 모드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게임 모드에 따른 게임 영상 정보의 출력은 노래방 기기(6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모니터 각각에 따로 출력하거나, 하나의 모니터인 경우, 모니터의 화면을 구획하여 각각의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방 기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노래방 기기(60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부(651), USB 인터네이스부(652), 케이블 인터페이스부(653) 및 포트 인터페이스부(654)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660)와, 음향 출력부(610), 제어부(650), 키패드(640), 저장부(630) 및 영상 출력부(620)를 포함하고, 제어부(650)는 노래방 기능 제어부(651) 및 게임 기능 제어부(652)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51)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버(100)와 접속하며, 웹 서버(100)로부터 게임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저장부(630)에 저장되도록 한다.
USB 인터페이스부(652)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USB 지원 단말(200)과 연결되며, USB 지원 단말(200)에 저장된 게임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부(630)에 저장되거나, USB 지원 단말(200)로부터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케이블 인터페이스부(653)는 게임기(300)와 케이블과 같은 연결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되며, 게임기(300)로부터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포트 인터페이스부(654)는 입체 게임 기기(400)의 본체와 연결되며, 입체 영상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영상 정보가 영상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한다.
키패드(640)부는 다수개의 숫자 키, 문자 키 및 게임 조작 키를 구비하며, 소비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게임 모드를 선택하여 게임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저장부(630)는 게임 프로그램, 게임 데이터 및 노래 반주, 가사 등을 저장한 다.
음향 출력부(610)는 노래 반주에 따른 음향, 소비자가 마이크(500)로 입력하는 음향 등을 출력하고, 게임 기능만 선택된 경우에는 게임 음향 정보를 출력한다.
영상 출력부(620)는 노래 가사 및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며, 다수개의 모니터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650)는 소비자가 키패드(640)를 통해 선곡하는 노래의 반주 음향을 음향 출력부(610)로 출력하고, 노래 가사를 영상 출력부(620)로 출력하며, 마이크(500)로 입력되는 소비자의 음향을 반주 음향과 믹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650)는 소비자가 키패드(640)를 통해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해당 게임 기능을 제공한다.
노래방 기능 제어부(651)는 소비자가 노래방 기능을 선택하면, 선곡되는 노래의 반주 음향, 노래 가사를 출력하면서 마이크(500)로 인력되는 소비자의 음향을 반주 음향과 믹힝하여 출력한다.
게임 기능 제어부(652)는 소비자가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소비자에게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확인하여, 게임 모드 지원 가능에 상응하는 영상 정보를 영상 출력부(620)로 출력한다.
그리고, 게임 기능 제어부(652)는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상응하는 게임 기능을 제공한다.
일례에 따라 게임 기능 제어부(652)는 소비자가 제 1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저장된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 임 프로그램 또는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구동시키고, 소비자가 키패드(640)를 조작하면, 그에 따라 게임 기능을 제공하면서 게임 화면에 따른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게임 기능 제어부(652)는 소비자가 제 2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USB 지원 단말(200)로부터 소비자가 이용하는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출력부(620)를 통해 출력하고, 소비자가 제 3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게임기(300)로부터 소비자가 이용하는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소비자가 제 4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입체 영상 기기로부터 입체 영상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한다.
이러한, 게임 기능 제어부(652)는 다수개의 게임 모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노래방 기능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음향 정보를 음향 출력부(610)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기기(600)를 소비자가 이용하는 흐름을 간략히 설명한다.
소비자는 노래방 기기(600)의 키패드(640)를 통해 노래를 선곡하는 노래방 기능을 선택하여, 노래방 기능을 이용하면서 대기중인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한다.
노래방 기기(600)는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확인하여, 소비자에게 출력한다.
소비자는 출력되는 게임 모드를 확인하여, 원하는 게임 모드를 선택한다. 이때, 다수의 소비자가 다수개의 게임 모드를 동시에 선택할 수 있다.
노래방 기기(600)는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따른 게임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여, 대기 중인 소비자가 무료하지 않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다수의 소비자 중 대기 중인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이용하면서 자기 차례를 기다릴 수 있다.
또한, 대기 중이 다수 소비자가 각기 원하는 게임 기능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음으로 노래방 기기를 이용하는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노래방 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망을 통해 게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웹 서버;
    USB 인터페이스를 지원 가능하며, 게임 데이터를 상기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고, 소비자가 게임을 선택하여 조작하면,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USB 지원 단말;
    소비자가 게임을 조작하는 조이스틱, 게임 기능을 구동시키는 본체 및 게임 프로그램이 저장된 게임 팩을 구비하며, 소비자가 선택하여 조작하는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게임기;
    소비자의 영상을 인식하여 입체 게임 기능을 제공하며, 입체 게임 화면에 상응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전송하는 입체 게임 기기; 및
    상기 인터넷 망 또는 USB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는 상기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와, 반주 음향 및 가사를 저장하고, 상기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노래방 기기를 포함하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방 기기는,
    상기 웹 서버,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상기 소비자가 노래를 선곡하고, 상기 게임 기능을 선택하여 게임 모드를 선택하고, 상기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을 조작하는 키패드;
    상기 노래 가사 및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영상 출력부;
    상기 반주 음향 또는 상기 게임에 상응하는 게임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및
    상기 소비자가 상기 키패드를 통해 선곡하는 노래에 상응하는 노래방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소비자가 게임 기능을 선택하면, 제공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선택되는 게임 모드에 따라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게임 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비자가 선곡하는 노래에 상응하는 반주 음향 및 가사를 출력하고,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향과 상기 반주 음향을 믹싱하여 출력하는 노래방 기능 제어부; 및
    소비자가 게임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게임 프로그램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1 게임 모드, 상기 USB 지원 단말을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2 게임 모드, 상기 게임기를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3 게임 모드 또는 상기 입체 영상 기기를 통해 게임 기능을 제공하는 제 4 게임 모드 중 지원 가능한 게임 모드를 출력하고, 상기 소비자가 선택하는 게임 모드에 따라 상기 게임 프로그램 및 게임 데이터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공하거나, 상기 게임 영상 출력하는 게임 기능 제어부를 포함하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기능 제어부는,
    상기 노래방 기능이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게임 기능에 따른 게임 음향 정보 또는 상기 USB 지원 단말, 게임기 또는 입체 게임 기기에서 구동되는 게임 기능에 상응하는 게임 음향 정보를 출력하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웹 서버와 인터넷 망을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기 USB 지원 단말과 USB 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USB 인터페이스부;
    상기 게임기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케이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입체 게임 기기의 본체와 연결되는 포트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KR2020060027290U 2006-09-30 2006-09-30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KR200434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90U KR200434512Y1 (ko) 2006-09-30 2006-09-30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7290U KR200434512Y1 (ko) 2006-09-30 2006-09-30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512Y1 true KR200434512Y1 (ko) 2006-12-21

Family

ID=4178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7290U KR200434512Y1 (ko) 2006-09-30 2006-09-30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51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22826A (ja) オンライン会話システム、オンライン会話用サーバ、オンライン会話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00351B2 (ja) マルチユーザ環境の制御
US20070022379A1 (en) Terminal for displaying distributed picture content
JP2008180942A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434512Y1 (ko) 게임 기능을 가진 노래방 시스템
JP5622679B2 (ja) カラオケ装置
JP4275567B2 (ja) 演奏中止制御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H1091177A (ja) 楽音再生システム
JP4373321B2 (ja) 音楽再生装置
JP4528291B2 (ja) カラオケ装置
JP5249546B2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カラオケシステム
JP4230379B2 (ja) 歌唱録音作品寄託システムを備えたカラオケ装置
JP2005242238A (ja) 模範ボーカルを出力可能なカラオケ装置
JP6625008B2 (ja) カラオケ装置、カラオケシステム
WO2007060770A1 (ja) ゲーム装置、ゲーム用画像処理方法及び情報記憶媒体
JP2004279718A (ja) 遊技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2010085481A (ja) カラオケ装置
KR101091939B1 (ko) 노래반주기 및 중앙서버를 이용한 실시간 노래 채점 서비스방법
JP4364145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JPH10133669A (ja) クライアントサーバ型カラオケlanシステム
JP3652290B2 (ja) ゲームコンテンツ実行モード制御に特徴を有するカラオケ装置
JP3811765B2 (ja) ゲーム装置、ゲーム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30089982A (ko) 노래방 이용자의 앰프세팅정보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3228639A (ja) 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9080372A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