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17Y1 -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17Y1
KR200432017Y1 KR2020060024804U KR20060024804U KR200432017Y1 KR 200432017 Y1 KR200432017 Y1 KR 200432017Y1 KR 2020060024804 U KR2020060024804 U KR 2020060024804U KR 20060024804 U KR20060024804 U KR 20060024804U KR 200432017 Y1 KR200432017 Y1 KR 200432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rotection
lining panel
protective plate
concret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월남
Original Assignee
이월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월남 filed Critical 이월남
Priority to KR2020060024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73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or particular building parts, e.g. corners or colum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판, 일단부에는 보호판 일면에 결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며, 타단부에는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서 걸림되게 하는 걸림단을 형성한 상태로 보호판 일면에 복수개를 구비하여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터드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터드부의 걸림단이 보호판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며, 유체에 의한 보호판 성분이 탈리되지 않아 유체를 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콘크리트, 라이닝, 패널, 방식, 방수

Description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The lining panel for concrete prot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의 시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라이닝패널 200:보호판
300:스터드부 310:부착면
320:걸림단 400:콘크리트구조물
500:거푸집
본 고안은 라이닝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오폐수, 빗물 등과 접촉하는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설치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식 및 방수기능을 부여하는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폐수, 빗물과 접촉하는 하수관로, 하수 처리조나 빗물받이 시설물의 콘크리트구조물은 오폐수나 빗물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발생하는 황 화수소가 다시 오폐수나 빗물과 섞여 산성분이 되면서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부식되게 한다.
따라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고, 그 위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을 적층 접합하는 합성수지층 접착 라이닝 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층을 적층 접합하여 라이닝을 형성할 경우 콘크리트 자체가 투수성 재질인데다가 내벽표면에 요철조면이 형성되어 합성수지층을 밀착시키기 어려워 일정시간 경과되거나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구조물 내벽에서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 내벽에 접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중의 미세한 유리섬유가 탈리되면서 유체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됨과 더불어 내부유체의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은,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판과; 일단부에는 상기 보호판 일면에 결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며, 타단부에는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서 걸림되게 하는 걸림단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보호판 일면에 복수개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터드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부는 상기 보호판 일면에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배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호판 및 스터드부는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ABS수지, 열가소성우레탄(TPU),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 시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100)은, 보호판(200), 스터드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보호판(200)은 콘크리트구조물(400)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체가 콘크리트구조물(400) 표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판재이다.
이러한, 상기 보호판(200)은 일정시간 유체와 접촉되더라도 탈리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판(200)은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ABS수지, 열가소성우레탄(TPU),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터드부(300)는 상기 보호판(200) 일면에 복수개가 결합되어 상기 보호판(200)이 콘크리트구조물(4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스터드부(300)의 일단부에는 상기 보호판(200) 일면에 안정적 인 결합을 위한 부착면(310)을 형성하며, 타단부에는 콘크리트구조물(400) 내부에서 걸림되는 원뿔형상의 걸림단(32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스터드부(300)의 일단부에 형성된 부착면(310)은 상기 보호판(200)의 일면에 각각 열융착에 의해 일체상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터드부(300)는 상기 보호판(200) 일면에 복수개가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배열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터드부(300)는 상기 보호판(200)과의 열융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보호판(200)과 동일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터드부(300)는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ABS수지, 열가소성우레탄(TPU),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중 상기 보호판(200)과 동일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100)을 콘크리트 내벽에 설치시, 도 3과 같이 거푸집(500)의 일면에 상기 보호판(200)을 밀착한 상태로 상기 라이닝패널(100)을 장착한다.
이후, 상기 라이닝패널(100)이 장착된 거푸집(500)과 더불어 다른 거푸집(500)들을 가설한다.
이때, 상기 라이닝패널(100)이 장착된 거푸집(500)은 상기 스터드부(300)가 콘크리트구조물(400)의 내벽 방향을 향하도록 가설한다.
그리고,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거푸집(500) 사이에 주입하여 일정기간 양생을 거치며,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500)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라이닝패널(100)의 보호판(200)은 콘크리트구조물(400)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스터드부(300)가 인입된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스터드부(300)의 걸림단(320)이 콘크리트 모르타르 내부에 인입된 상태에서 양생됨으로써 상기 라이닝패널(100)의 보호판(200)을 콘크리트구조물(400)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거나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스터드부의 걸림단이 보호판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며, 유체에 의한 보호판 성분이 탈리되지 않아 유체를 원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 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보호판과;
    일단부에는 상기 보호판 일면에 결합되는 부착면을 형성하며, 타단부에는 콘크리트구조물 내부에서 걸림되게 하는 걸림단을 형성한 상태로 상기 보호판 일면에 복수개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터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부는 상기 보호판 일면에 행과 열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배열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판 및 스터드부는 선상저밀도폴리에틸렌(LLDPE), 저밀도폴리에틸렌(LDPE),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염화비닐(PVC), ABS수지, 열가소성우레탄(TPU),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DM)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KR2020060024804U 2006-09-14 2006-09-14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KR200432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4U KR200432017Y1 (ko) 2006-09-14 2006-09-14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804U KR200432017Y1 (ko) 2006-09-14 2006-09-14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17Y1 true KR200432017Y1 (ko) 2006-11-27

Family

ID=4178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804U KR200432017Y1 (ko) 2006-09-14 2006-09-14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32B1 (ko) * 2013-04-05 2014-09-17 (주)한성피.엔.씨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80016832A (ko) * 2016-08-08 2018-02-20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58231A (ko) * 2018-11-19 2020-05-27 이월남 화력발전소의 탈황시설 벽면 구축용 보강시트가 탑재된 거푸집
KR102459025B1 (ko) 2022-06-29 2022-10-26 주식회사 원진 사수방지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물탱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032B1 (ko) * 2013-04-05 2014-09-17 (주)한성피.엔.씨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80016832A (ko) * 2016-08-08 2018-02-20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58231A (ko) * 2018-11-19 2020-05-27 이월남 화력발전소의 탈황시설 벽면 구축용 보강시트가 탑재된 거푸집
KR102287952B1 (ko) * 2018-11-19 2021-08-06 이월남 화력발전소의 탈황시설 벽면 구축용 보강시트가 탑재된 거푸집
KR102459025B1 (ko) 2022-06-29 2022-10-26 주식회사 원진 사수방지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구조물 스테인리스강 라이닝 물탱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017Y1 (ko)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KR101005837B1 (ko) 방수 구조체
KR101480098B1 (ko) 욕실용 방수 시공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1788130B1 (ko) 부직포가 합지된 pp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일체형 pc공법
JP6044981B2 (ja) 流水管補修工法
WO2018160002A1 (ko) 부직포가 합지된 강화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일체형 pc공법
JP4299715B2 (ja) 人孔内周面の更生工法
KR101865179B1 (ko) 건축 외장 또는 물탱크의 방수 라이닝 구조
KR20190044841A (ko) 발수 및 변형 강화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방수 라이닝 방법
KR101185821B1 (ko)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및 그 시공 방법
KR100777795B1 (ko) 콘크리트벽체 보강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5260699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4759683B1 (ja) 既設コンクリート製u字溝を補強又は再活用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構造体
KR20030099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호기능을 가진 방수시트
KR101043839B1 (ko) 복합 방수 시트를 이용한 구조물의 방수, 방식 방법
US20110008108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hole wall sealing
KR20040473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용 시트
KR20110037764A (ko) 모세관 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또는 바닥재 시공방법
KR100842412B1 (ko) 물탱크 및 그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KR100654779B1 (ko) 섬유보강 복합소재 차막이 블록
KR100618620B1 (ko) Pvc 시트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방법
KR100696065B1 (ko)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JP2013167137A (ja) 貯留槽の施工方法
JPH05132963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面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構造並びにそ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工法
KR101677089B1 (ko)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