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1032B1 -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1032B1
KR101441032B1 KR1020130037182A KR20130037182A KR101441032B1 KR 101441032 B1 KR101441032 B1 KR 101441032B1 KR 1020130037182 A KR1020130037182 A KR 1020130037182A KR 20130037182 A KR20130037182 A KR 20130037182A KR 101441032 B1 KR101441032 B1 KR 101441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ud
lining panel
concrete
manufacturing
protectiv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7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월남
Original Assignee
(주)한성피.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피.엔.씨 filed Critical (주)한성피.엔.씨
Priority to KR1020130037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1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02Mould constru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02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using sheet or web-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33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41MDPE, i.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68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 B29K2995/0069Permeability to liquids; Adsorption 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량함으로써 라이닝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벌의 금형으로 구성된 사출장치의 내부에 액상형태의 수지를 삽입하여 보호판과 스터드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는 제1단계와; 사출 성형된 스터드의 외주연에 회전치구를 사용하여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concrete waterproof lining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량함으로써 라이닝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오폐수, 빗물과 접촉하는 하수관로, 하수 처리조나 빗물받이 시설물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오폐수나 빗물에 포함된 유기물에 의해 발생되는 황화수소가 다시 오폐수나 빗물과 섞여 산성분이 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에 부식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에 프라이머(Primer)를 도포하고, 그 위에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ERP)을 적층 접합하는 합성수지층 접착 라이닝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합성수지층을 적층 접합하여 라이닝층을 형성할 경우 콘크리트 자체가 투수성 재질인데다가 내벽 표면에 요철 조면이 형성되어 합성수지층을 밀착시키기 어려워 일정시간 경과되거나 충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벽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벽에 접착된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의 미세한 유리섬유가 탈리되면서 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별도의 라이닝패널을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시공 방법이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라이닝패널과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이 일체로 결합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콘크리트구조물의 최초 시공 시 함께 시공이 이루어져야 함으로써 합성수지층 접착 라이닝 공법이 적용된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재시공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라이닝패널이 부착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추가로 형성하는 구조로 작업이 진행됨으로 전체 시공비용 중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비용이 65 ~ 70%를 차지하는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닝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환언하면,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동바리, 상하 종횡의 삿보드 등에 소요되는 자재량이 지극히 많고,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자재의 수송, 상하차의 물류비용, 조립철근의 벤딩가공, 라이닝패널이 부착된 거푸집의 설치를 위한 중장비 사용 등과 같이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추가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과 라이닝 패널이 설치된 추가 콘크리트구조물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기존 콘크리트구조물과 추가 콘크리트구조물 사이에 균열이 발생되어 분리되는 등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밖에 상기 라이닝 패널을 제작함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는 일정 길이와 폭을 가진 보호판을 먼저 제작한 후 그 일측면에 상기 보호판이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스터드를 융착시킴에 따라 이에 사용되는 장치의 가격이 고가이고, 또한 스터드를 일일이 융착시킴으로써 그 내구성이 약하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제품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개량하여 보호판과 스터드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라이닝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벌의 금형으로 구성된 사출장치의 내부에 액상형태의 수지를 삽입하여 보호판과 스터드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는 제1단계와; 사출 성형된 스터드의 외주연에 회전치구를 사용하여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을 형성하는 제2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은 콘크리트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라이닝패널을 보호판과 스터드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라이닝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삭제
도 1은 라이닝패널의 예시 사시도 및 스터드의 확대도.
도 2는 라이닝패널의 종단면도.
도 3은 스터드의 평면도.
도 4는 사출장치를 통한 라이닝패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압출장치를 통한 라이닝패널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6은 스터드의 걸림홈 가공과정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스터드의 걸림홈 가공 전후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라이닝패널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호판(1)과 스터드(2)가 일체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닝패널의 제조 방법 및 거푸집 없이 라이닝패널(100)을 시공할 수 있는 라이닝패널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라이닝패널의 제조 방법 및 라이닝패널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라이닝패널(100)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구조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3)가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1)과; 상기 보호판(1)의 일면에 복수 개가 열과 행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열 형성되어 상기 보호판(1)이 콘크리트(3)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스터드(2);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판(1)의 크기는 대략 가로 600mm X 세로 600mm X 두께 2 ~ 5mm 정도로 형성되고, 스터드(2)의 높이는 10 ~ 13 mm 정도로 형성되며, 스터드(2)의 폭은 8 ~ 9mm 정도로 형성되고, 각각 스터드(2)의 간격은 대략 38 ~ 42mm 정도로 형성됨이 적합하나, 상기 수치는 사용자의 기호 및 공정 상의 여러 가지 상황에 대응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스터드(2)의 외주연에는 도 2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4)이 형성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걸림홈(4)의 상단에는 콘크리트(3)의 표면에 걸림되는 걸림단(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터드(2)의 형상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볼록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하며, 상부면이 편평한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기도 한다. 이때 스터드(2)의 형상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국한되지 않고 라이닝패널(100)이 콘크리트(3)의 표면에 걸림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도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호판(1) 및 스터드(2)는 일정시간 이상 유체와 접촉되더라도 탈리되지 않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에 따라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또는, 중밀도폴리에틸렌(MDPE)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또는, 폴리프로필렌(PP)또는, 아틸렌비닐아세테이드(EVA)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구조 및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라이닝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종래에는 보호판(1)과 스터드(2)가 일체형이 아니 분리형 즉, 콘크리트(3)의 표면에 밀착되는 보호판(1)을 먼저 제작한 후 그 일면에 상기 보호판(1)이 콘크리트(3)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스터드(2)를 융착시킴에 따라 스터드(2)를 일일이 융착시킴으로써 그 내구성이 약하고, 스터드(2)의 간격 또한 일정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사용되는 융착장치의 가격이 고가로 형성되다보니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자연스럽게 라이닝패널(100)의 단가가 상승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라이닝패널(100)은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으로 제조함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보호판(1)과 스터드(2)가 일체형의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닝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은 사출장치(I)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법과 압출장치(E)를 사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두 가지의 방법이 있는데, 우선 첫번째 방법으로 사출장치(I)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는 단계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벌의 금형(6)(6')으로 구성된 사출장치(I)의 내부에 일정 점성을 가지고 있는 액상형태의 합성수지를 삽입하여 고열과 고압을 가하여 라이닝패널(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전체적인 형상이 만들어진 라이닝패널(100)의 스터드(2) 외주연에 걸림홈(4)을 형성시켜 라이닝패널(10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드시 사출 성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어 스터드(2)가 굳게 경화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터드(2)가 굳게 경화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의 외주연 양측의 일정 높이 부분에 회전치구(7)를 위치시킨 후 회동시켜 스터드(2)의 외주연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4)을 형성시키면 된다.
그리고 두번째 방법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출장치(E)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압출장치(E)의 압출실린더(8) 상측에 형성된 호퍼(9)의 내부에 액상형태의 합성수지를 삽입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호퍼(9)의 내부에 유입된 액상형태의 합성수지를 호퍼(9)와 연결된 압출실린더(8)의 토출구(10)를 통해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의 사이 간극으로 토출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의 회전속도에 대응되도록 토출되는 합성수지의 양을 알맞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3단계는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를 회동시켜 중간롤러(11)의 외주연에 형성된 홈 즉, 스터드(2)를 형성하기 위한 홈에 액상의 합성수지를 삽입시켜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액상의 합성수지는 토출되는 과정에서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의 사이 간극으로 유입되어 굳게됨에 따라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스터드(2) 및 보호판(1)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제4단계는 상단롤러(13)를 회동시켜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인데, 이때 보호판(1)의 폭은 대략 1000mm ~ 1200mm로 제조되어 가이드롤러(14)를 타고 안내되어 연속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5단계는 제4단계를 거쳐서 배출된 보호판(1)을 600mm X 600m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이고, 마지막으로 제6단계는 전기한 사출 성형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전제적인 형상이 만들어진 라이닝패널(100)의 스터드(2) 외주연에 걸림홈(4)을 형성시켜 라이닝패널(100)의 제조를 완료하는 단계이다.
이때 반드시 압출 성형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스터드(2)가 완벽하게 경화된 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스터드(2)가 굳게 경화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터드(2)의 외주연 양측의 일정 높이 부분에 회전치구(7)를 위치시킨 후 회동시켜 스터드(2)의 외주연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4)을 형성시키면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걸림홈(4)의 상단에는 걸림단(5)이 형성된다.
이 처럼 라이닝패널(100)의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써 종래에 발생되었던 많은 문제점과 폐단을 완벽하게 해소할 수 있다.
전기한 바와 같은 두가지의 방법을 통해 제조 완료된 라이닝패널(100)을 시공함에 있어서, 우선 종래에는 별도의 라이닝패널(100)을 콘크리트구조물의 내벽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시공 방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는 기존 콘크리트(3) 표면과 라이닝패널(100)이 부착된 거푸집 사이에 콘크리트(3)를 부어 콘크리트구조물을 추가로 형성하는 구조로 작업이 진행됨으로 전체 시공비용 중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를 위한 비용이 65 ~ 70%를 차지하는 등 콘크리트 구조물의 라이닝 시공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콘크리트(3) 구조물과 라이닝패널(100)의 결합이 완전하게 이루어진 것이 아니므로 일정시간 경과 후 기존 콘크리트(3) 구조물과 라이닝패널(100)의사이에 균열이 발생되어 분리되는 등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라이닝패널(100)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푸집의 사용없이 라이닝패널(100)이 콘크리트(3)의 표면에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과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이닝패널(100)의 시공 방법을 도 8에 도시된 도면과 함께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는 콘크리트(3)의 표면에 모르타르로써 두께 12mm ~ 24mm의 미장면(15)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그리고 제2단계에는 제1단계에서 콘크리트(3)의 표면에 미장된 미장면(15)의 모르타르가 유동성을 유지하고 있는 시간(open time)에 라이닝패널(100)의 스터드(2)가 형성된 면을 미장면(15)에 밀착 압착시켜서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미장면(15)과 라이닝패널(100)의 사이는 간극 및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밀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제3단계는 각각의 라이닝패널(100) 가장자리를 압출 용접하여 틈새를 완벽하게 막음으로써 라이닝패널(100)의 시공을 완료시키는 단계이다.
전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3)의 표면에 밀착되어 유체와 콘크리트(3)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라이닝패널(100)을 보호판(1)과 스터드(2)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라이닝패널(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제품의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라이닝패널(100)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푸집의 사용을 배제함으로써 거푸집을 시공하기 위한 자재 및 자재의 운반 비용, 설치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거푸집을 시공하기 위한 전문인력이 요구되지 않으며, 전문 감독자의 지휘아래 미숙련공으로도 시공이 가능함에 따라 자재비, 운반비, 노동비가 감소되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함에 따라 수주 즉시 시공이 가능하며, 효율적인 작업과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등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변형 및 변환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명백할 것이다.
1 : 보호판 2 : 스터드
3 : 콘크리트 4 : 걸림홈
5 : 걸림단 6 , 6' : 금형
7 : 회전치구 8 : 압출실린더
9 : 호퍼 10 : 토출구
11 : 중간롤러 12 : 하단롤러
13 : 상단롤러 14 : 가이드롤러
15 : 미장면
I : 사출장치 E : 압출장치
100 : 라이닝패널

Claims (4)

  1. 한벌의 금형(6)(6')으로 구성된 사출장치(I)의 내부에 액상형태의 수지를 삽입하여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는 제1단계와; 사출 성형된 스터드(2)의 외주연에 회전치구(7)를 사용하여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4)을 형성하는 제2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2. 압출장치(E)의 압출실린더(8) 상측에 형성된 호퍼(9)의 내부에 액상의 수지를 삽입하는 제1단계와; 호퍼(9)의 내부에 유입된 액상의 수지를 호퍼(9)와 연결된 압출실린더(8)의 토출구(10)를 통해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의 사이 간극으로 토출시키는 제2단계와; 중간롤러(11)와 하단롤러(12)를 회동시켜 중간롤러(11)의 외주연에 형성된 홈에 액상의 수지를 삽입시켜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일체형의 형상으로 압출 성형하는 제3단계와; 상단롤러(13)를 회동시켜 일체형으로 형성된 보호판(1)과 스터드(2)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4단계와; 배출된 보호판(1)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제5단계와; 스터드(2)의 외주연에 회전치구(7)를 사용하여 상호 대향되는 일정 폭의 걸림홈(4)을 형성하는 제6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보호판(1) 및 스터드(2)는 저밀도폴리에틸렌(LDPE)또는, 중밀도폴리에틸렌(MDPE)또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E)또는, 폴리프로필렌(PP)또는, 아틸렌비닐아세테이드(EVA)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4. 삭제
KR1020130037182A 2013-04-05 2013-04-05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44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82A KR101441032B1 (ko) 2013-04-05 2013-04-05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7182A KR101441032B1 (ko) 2013-04-05 2013-04-05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453A Division KR20140121352A (ko) 2014-04-02 2014-04-02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1032B1 true KR101441032B1 (ko) 2014-09-17

Family

ID=5176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7182A KR101441032B1 (ko) 2013-04-05 2013-04-05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10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930A (ja) * 1993-08-31 1995-07-11 Tokyo Metropolis コンクリート被覆材および同被覆材の型枠への仮固定方法
JPH09155975A (ja) * 1995-12-07 1997-06-17 Eidai Kako Kk ライニング用シート
JP2004347065A (ja) 2003-05-23 2004-12-09 Nagaoka Tekkin Concrete Kk シートライニングの施工方法
KR200432017Y1 (ko) * 2006-09-14 2006-11-27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3930A (ja) * 1993-08-31 1995-07-11 Tokyo Metropolis コンクリート被覆材および同被覆材の型枠への仮固定方法
JPH09155975A (ja) * 1995-12-07 1997-06-17 Eidai Kako Kk ライニング用シート
JP2004347065A (ja) 2003-05-23 2004-12-09 Nagaoka Tekkin Concrete Kk シートライニングの施工方法
KR200432017Y1 (ko) * 2006-09-14 2006-11-27 이월남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3102597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армированных одноосно ориентированных профилей
US20220127869A1 (en) Modular swimming pool
KR101441032B1 (ko)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제조 방법
US10118366B2 (en) Unit comprising a formwork board including a housing and a repairing element suitable for being fixed to the housing, and repairing method of a formwork board
JP2008088715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再構築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これらの工法に用いることができる防食部材
KR20140121352A (ko) 콘크리트 방수 라이닝 패널의 시공 방법
WO2015139807A2 (de) Schutzelement, betonelemen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tonelements
KR102126823B1 (ko) 인젝션 지수판
KR102022358B1 (ko) 건축용 압출관
JPWO2012153397A1 (ja) 継手付き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および螺旋波付き合成樹脂管の接続構造
CN107923244B (zh) 用于与隧道结构的混凝土元件连接的具有排泄的保护元件
KR102244388B1 (ko) 수밀 유지와 강성 향상을 위한 선단 메움 차단형 하수관과 성형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09176A (ko) 보강층을 갖는 합성수지 나선형 중공관 및 제조방법
JPH0827822A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及びマンホール補修材
JP4759683B1 (ja) 既設コンクリート製u字溝を補強又は再活用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用いる構造体
WO2012144052A1 (ja) 合成樹脂管
KR100959986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이중몸체 지하유류저장탱크
KR100927627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이중관 제조방법
JP200802522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2006007756A (ja) ゴム製防水型物
KR200446785Y1 (ko) 맨홀의 인버트부 형성용 인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 인버트부 보수구조
KR101690529B1 (ko) 격벽이 형성된 물막이관 제조방법
CN115095721B (zh) 用于建筑地下外墙出墙单管的防渗漏施工方法
KR10116999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조립식 수문 및 제조방법
KR100487579B1 (ko) 진공 원형 압출식 삼중층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