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7089B1 -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7089B1
KR101677089B1 KR1020150014983A KR20150014983A KR101677089B1 KR 101677089 B1 KR101677089 B1 KR 101677089B1 KR 1020150014983 A KR1020150014983 A KR 1020150014983A KR 20150014983 A KR20150014983 A KR 20150014983A KR 101677089 B1 KR101677089 B1 KR 10167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nk
tank main
hard disk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4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991A (ko
Inventor
이선영
이동기
Original Assignee
이선영
(주)점보탱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영, (주)점보탱크코리아 filed Critical 이선영
Priority to KR1020150014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7089B1/ko
Publication of KR20160093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7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6Large containers for use undergrou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2Laminated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27Corrugated or zig-zag structures; Folded pla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7/00Construction or assembling of bulk storage containers employing civil engineering techniques in situ or off the site
    • E04H7/02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 E04H7/04Containers for fluids or gases; Supports therefor mainly of met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저장탱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본체유닛;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경판유닛을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경판체결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STORAGE T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탱크본체유닛과 경판유닛이 설치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결합가능하여 현장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에는, 자연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 처리를 위한 가축 사체 저장용 탱크, 오폐수처리시설, 비점오염원저감시설뿐만 아니라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저장탱크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저장탱크라함은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나,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빗물저장탱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 물 부족 문제와 관련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장탱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상, 우기, 장마 때 단시간의 폭우로 인해 많은 비가 내리는 데, 그 시기의 빗물은 그대로 하천으로 흘러가 버리므로, 이러한 빗물을 모아 겨울과 봄의 가뭄 시에 사용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댐의 건설은 불가피하지만, 댐 건설에 필요한 돈과 시간, 환경문제, 지역침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물 부족 국가에서는 빗물의 이용이 절실하므로, 물 부족이 예상되는 우리나라에서도, 빗물을 이용하기 위한 시설물의 법규 등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시나 농촌의 마을의 경우,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하여 여전히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이를 재활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공공시설 및 가정 등에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만들어 빗물을 모아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화장실 용수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물 부족을 일부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댐의 필요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빗물저장탱크는 탱크 상호간 연결 및, 탱크의 단부에 부착되는 경판(鏡板)과 탱크의 결합을 위해 용접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 경우, 용접장비가 구비되어 있는 용접공장 등의 소정의 장소에서만 작업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빗물저장탱크를 실제 설치하는 설치현장에서는 용접이 용이하지 않아 현장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때문에 용접이 가능한 용접공장 등에서 빗물저장탱크를 모두 용접 후 설치현장으로 이동해야 하므로 대용량의 빗물저장탱크의 경우 설치현장까지 운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등록번호:제20-0312341호(공고일자:2003년05월0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탱크본체유닛과 경판유닛이 설치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현장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이 설치현장에서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대용량의 빗물저장탱크의 경우에도 설치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는 저장탱크 및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본체유닛;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경판체결유닛을 포함하는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마련되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는 상기 단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에는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둘레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경판유닛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브라켓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유닛에는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브라켓유닛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판유닛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브라켓부재;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경판유닛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브라켓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유닛중공이 형성되는 제3브라켓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판체결유닛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과 상기 브라켓유닛중공을 상호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너트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수밀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유닛과 상기 경판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경판수밀패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을 상호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탱크본체체결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이 제1탱크본체유닛과, 제2탱크본체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탱크본체유닛에는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탱크본체유닛에는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탱크본체체결유닛은,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와,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를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밀을 위해 상기 제1탱크본체유닛과 상기 제2탱크본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탱크본체수밀패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외측벽은 강도 향상을 위해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상기 경판유닛은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어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상기 경판유닛은 용융가열판에 의해 열융착되거나, 열풍제공유닛에 의해 열융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경판유닛이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며,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 사이에 용융가열판이 배치되는 단계; 상기 용융가열판이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가열판이 제거되는 단계;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이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단계; 및 경판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은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경판유닛이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며, 보완재료가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의 접합부분에 배치되는 단계; 열풍제공유닛이 상기 보완재료를 향해 열풍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이 상기 보완재료와의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단계; 및 경판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 및 상기 보완재료는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탱크본체유닛과 경판유닛이 경판체결유닛에 의해 설치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현장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이 설치현장에서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대용량의 빗물저장탱크의 경우에도 설치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장소에 설치된 개략적인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된 상태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된 상태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저장탱크에 용융가열판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저장탱크로부터 용융가열판이 제거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보완재료와 열풍제공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보완재료와 열풍제공유닛에 의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100)는, 자연폐사하거나 살처분된 가축의 사체 처리를 위한 가축 사체 저장용 탱크와,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다양한 종류의 오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폐수처리시설뿐만 아니라 양식장, 야적장, 농경지배수, 도시노면배수 등과 같이 광범위한 배출경로를 갖는 오염원인 비점오염원에 대한 저감시설인 비점오염원저감시설 및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 저장탱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저장탱크(100)라 함은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을 밝혀 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용 저장탱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장소에 설치된 개략적인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된 상태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본체유닛(200)과, 탱크본체유닛(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300)과,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경판체결유닛(400)을 포함한다.
우리나라 수자원의 경우, 연강수의 2/3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등 수자원의 계절별, 지역별 편중이 높은 수준으로 안정적 수자원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발생되고 있는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와 가뭄은,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전국 주요 강물의 경우 물 배분과 수질문제로 지역간, 집단간 물 분쟁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수질은 갈수록 악화되는 등 물 문제는 갈수록 복잡, 다양, 첨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정부의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대체수자원개발과 수요관리에 의한 물 절감량을 고려하더라도, 전국적으로 2011년에 대략 18억㎥, 2020년 대략 26억㎥의 물 부족량이 예상된다고 나타났다.
수자원의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지하수, 해수담수화 등의 대체수자원 개발과 중수도 시설 등을 통한 물 절약방안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수층 발달이 미약하여 지하수 개발이 어렵고, 물 수요관리 등의 물 절약에는 한계가 있어서 적정량의 수자원개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한, 저수지나 댐은, 하천 상류와 하류의 숲, 야생생물 서식지 및 수서생물 다양성의 훼손, 강제 이주 및 탈 고향으로 인한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 물부족 문제의 해결에 난항을 겪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빗물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계절적, 지역적 편차를 보이며, 환경오염으로 더욱 예측하기 힘든 상황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 기후와 오염 등으로 인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수요와 공급의 조절만으로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양의 물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빗물을 모을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 필요시 재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건물(10)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20)가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므로, 건물(10)로 낙하하는 빗물이 빗물받이(20)를 통해 저장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탱크(100)로 유입 후 저장되는 빗물은, 필요에 따라 화장실 용수, 소방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또는 정화를 통한 비상식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은 대상물, 즉 빗물이 유입된 후 저장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탱크본체유닛(2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본체유닛(200)의 크기는 빗물의 저장용량과 운반차량의 적재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탱크본체유닛(200)은 내부에 금속부재(230)가 배치되며, 합성수지(240)가 이러한 금속부재(230)의 외측에서 금속부재(23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만약 탱크본체유닛(200)이 금속부재(230)로만 구성된다면 지하에 매설되는 경우 부식이 발생될 수 있으며, 탱크본체유닛(200)이 합성수지(240)로만 구성된다면 지하에 매설된 후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에 변형 내지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탱크본체유닛(200)은, 내부에 금속부재(230)가 배치되어 하중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며, 또한 금속부재(230)의 외측면을 합성수지(240)로 감싸도록 코팅하여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합성수지(240)는 폴리에틸렌 등의 공지된 다양한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FRP)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합성수지(240)가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경우 내구성 및 내마모성이 증가하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섬유강화플라스틱의 레진방수처리로 인해 수밀성이 우수하고, 또한, 부식에 강하므로, 빗물을 저장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다만 탱크본체유닛(200)이 반드시 금속부재(230)와 합성수지(240)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부식에 강한 금속을 사용하거나 사용 기간이 짧아 부식정도가 높지 않은 환경에서는 탱크본체유닛(200)이 금속만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하중에 의해 변형 내지 파손의 우려가 낮거나 합성수지(240)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고강도를 가지는 경우 탱크본체유닛(200)이 합성수지(240)만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의 외측벽(250)은 강도 향상을 위해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탱크본체유닛(200)의 외측벽(250)이 파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평판형태의 형상을 가질 때보다 강도가 향상되므로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다만 탱크본체유닛(200)의 외측벽(250)이 반드시 파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강도에 따라 탱크본체유닛(200)의 외측벽(250)이 평판형태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경판유닛(300)은 탱크본체유닛(200)의 단부에 결합되는데, 여기서 경판유닛(300)은 탱크본체유닛(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탱크본체유닛(200)을 밀봉하도록 마련된다.
종래에는 용접을 통해 경판을 탱크본체에 결합하였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의 경우 후술하는 바와 같은 경판체결유닛(400)에 의해 경판유닛(300)이 탱크본체유닛(200)에 결합되므로 체결이 편리하고 용이여 설치현장에서도 체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경판체결유닛(400)은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경판체결유닛(400)은 볼트(410)와 너트(42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즉 경판유닛(300)이 탱크본체유닛(200)에 맞닿게 되면 볼트(410)와 너트(420)의 체결에 의해 경판유닛(300)이 탱크본체유닛(2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에는 경판체결유닛(4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탱크본체유닛(200)의 단부에는 단차(220)가 형성될 수 있는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는 탱크본체유닛(200)에 형성되어 있는 단차(2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a)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410)가 후술하는 브라켓유닛(500)에 결합되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에 연결되는 경우 볼트(410)의 단부에 너트(420)가 체결되며, 볼트(410) 내지 너트(420)가 회전하게 되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 또는 브라켓유닛(500)을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는 탱크본체유닛(200)의 단차(220) 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가 가압되면 탱크본체유닛(200)이 경판유닛(300)측으로 가압되므로,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의 결합력이 증가하게 되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2(b) 및 도 3을 참조하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에는 경판체결유닛(400)이 관통할 수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21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410)가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211)을 관통할 수 있도록,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211)은 볼트(410)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의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는 복수로 마련되어 탱크본체유닛(200)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는 등간격을 가지면서 탱크본체유닛(200)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필요한 경우 서로 다른 간격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유닛(500)은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의 대향되는 측면에 배치되며, 경판유닛(30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410)와 너트(420)가 상호 체결되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를 가압하면,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이 탱크본체유닛(200)의 단차(220) 부분에 접촉하게 되어 탱크본체유닛(200)을 경판유닛(300)측으로 가압하게 되는데, 여기서 브라켓유닛(500) 역시 볼트(410)와 너트(420)의 체결에 의해 가압되며, 이에 의해 브라켓유닛(500)에 연결되는 경판유닛(300)이 탱크본체유닛(200)측으로 가압되게 된다. 다만 볼트(410)와 너트(42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유닛(500)에는 경판체결유닛(400)이 관통할 수 있는 브라켓유닛중공(531)이 형성될 수 있다.
경판체결유닛(400), 즉 볼트(410)가 브라켓유닛중공(531)과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211)을 상호 관통하게 되어 너트(420)에 체결되는데, 여기서 볼트(410) 또는 너트(420)가 회전하게 되면 볼트(410)와 너트(420)가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와 브라켓유닛(500)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브라켓유닛(500)은 제1브라켓부재(510)와, 제2브라켓부재(520)와, 제3브라켓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부재(510)는 도 2(a)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경판유닛(300)의 일측, 즉 경판유닛(30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브라켓유닛(500)이 볼트(410) 또는 너트(42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제1브라켓부재(510)가 경판유닛(300)에 접촉되어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제2브라켓부재(520)는 제1브라켓부재(510)에 연결되고, 도 2(a) 및 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며, 경판유닛(300)의 타측, 즉 경판유닛(300)의 상측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3브라켓부재(530)은 제2브라켓부재(520)에 연결되고, 제1브라켓부재(510)로부터 이격되어 도 2(a)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측에 브라켓유닛중공(531)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3브라켓부재(530)에는 브라켓유닛중공(531)이 형성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볼트(410)가 관통되어 너트(420)와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및 도 3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이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 사이의 틈을 통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경판수밀패킹유닛(600)이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경판수밀패킹유닛(60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내지 복합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 도 6 참조)와 경판유닛(300)은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어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용융가열판(910, 도 6 참조)에 의해 열융착되거나, 열풍제공유닛(920, 도 8 참조)에 의해 열융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서 후술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이 경판체결유닛(400)에 의해 설치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현장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에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현장으로 운반되어 진 후 설치현장에서 경판체결유닛(400)에 의해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에 용이하게 체결되어질 수 있다.
여기서 탱크본체유닛(200)의 단차(220) 부분에 결합되어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와, 브라켓유닛(500)이 상호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의 단부에 근접하게 배치 후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을 맞닿게 한다.
그리고 볼트(410)가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211)과 브라켓유닛중공(531)을 서로 관통 후 단부에 너트(420)가 체결되며 볼트(410) 또는 너트(420)를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너트(420)는 탱크본체유닛(200)에 결합되어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210)를 경판유닛(300)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볼트(410)는 경판유닛(300)에 연결되어 있는 브라켓유닛(500)을 탱크본체유닛(200)측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이에 의해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은 서로 단단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공장 등이 아닌 저장탱크(100)의 설치현장에서 직접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현장시공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된 상태의 정면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이 경판체결유닛(400)에 의해 설치현장에서도 용이하게 결합되므로 현장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탱크본체유닛(200)이 설치현장에서 상호 체결가능하도록 마련되어 대용량의 빗물저장탱크(100)의 경우에도 설치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탱크본체유닛(200)이 복수로 마련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탱크본체유닛(200)이 복수로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탱크본체유닛(200)의 크기는 운송트럭 등에 의해 운반이 용이하도록 제작되며, 설치현장으로 운반된 각각의 탱크본체유닛(200)이 설치현장에서 탱크본체체결유닛(700)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된다.
다만 도 4(a) 내지 도 5에서는 탱크본체유닛(200)이 2개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되지만, 탱크본체유닛(20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보다 많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이에 의해, 대용량의 빗물저장탱크(100)의 경우에도 설치현장까지의 탱크본체유닛(200)의 운송이 용이해지고, 체결이 간단하여 전체 진행 작업이 편리해지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은 복수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복수의 탱크본체유닛(200a, 200b)이 운송차량 등에 의해 설치현장으로 운반되어지며, 설치현장에서 복수의 탱크본체유닛(200a, 200b)이 상호 체결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탱크본체체결유닛(700)은 복수의 탱크본체유닛(200a, 200b)을 상호 체결하도록 마련된다.
도 4(a)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탱크본체유닛(200)이 제1탱크본체유닛(200a)과, 제2탱크본체유닛(200b)의 2개로 마련되는 경우, 제1탱크본체유닛(200a)에는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26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탱크본체유닛(200b)에는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27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본체체결유닛(700)은 볼트(710)와 너트(7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볼트(710)는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260)와,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270)를 관통하여 상호 체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710)와 너트(720)의 체결 후 볼트(710) 또는 너트(720)를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탱크본체유닛(200a, 200b)이 각각 가압되어 상호 결합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제1실시예의 탱크본체유닛(200)과 경판유닛(300)의 결합에서 설명한 바와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도 4(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200)에 저장되어 있는 빗물이 제1탱크본체유닛(200a)과 제2탱크본체유닛(200b) 사이의 틈을 통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탱크본체수밀패킹유닛(800)이 제1탱크본체유닛(200a)과 제2탱크본체유닛(200b) 사이에 배치되어 수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탱크본체수밀패킹유닛(800)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내지 복합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저장탱크에 용융가열판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저장탱크로부터 용융가열판이 제거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판체결유닛(400)뿐만 아니라 열융착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맞대기 용접 방식(Butt Welding)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배열되는데, 여기서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 사이에는 용융가열판(91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용융가열판(910)은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의 사이에서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 각각으로 열을 제공하게 되는데, 용융가열판(910)으로부터 제공되는 열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서로 용융된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서로 용융되는 경우 용융가열판(910)을 제거하고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을 서로 가압하게 되는데, 이에 의해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용융된 상태로 열융착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열융착으로 결합된 후 경판체결유닛(400)이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의 경우 열융착과 경판체결유닛(400)에 의해 경판유닛(300)과 탱크본체유닛(200)이 결합되므로 보다 단단하게 상호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은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가 폴리에틸렌(PE)으로 마련된다면 경판유닛(300) 역시 폴리에틸렌(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면 동일한 용융온도를 가지므로 동일한 온도에서 서로 녹게 되며, 이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열융착에 의해 구조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결합의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열융착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결합되는 경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 사이에 경판수밀패킹유닛(600)이 배치되지 않더라도 수밀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보완재료와 열풍제공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서 보완재료와 열풍제공유닛에 의해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4실시예의 경우 저장탱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경판체결유닛(400)뿐만 아니라 열융착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결합된다는 점에서는 제3실시예와 공통되지만, 열융착 방식에 있어서 제3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4실시예의 경우 필렛 용접 방식(Fillet Welding)에서와 같이 보완재료(922)를 사용하게 된다. 즉 보완재료(922)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의 접합부분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등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것은 제3실시예와 공통된다.
여기서 열풍제공유닛(920)은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의 접합부분에 열풍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에서 대략 수직으로 맞닿는 접합부분에 보완재료(922)가 배치되는데, 열풍제공유닛(920)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의 접합부분의 보완재료(922)를 향해 열풍을 제공하여 보완재료(922)뿐만 아니라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 및 경판유닛(300)을 모두 녹이게 되면, 이를 상호 가압하여 열융착에 의해 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열융착으로 결합된 후 경판체결유닛(400)이 경판유닛(300)을 탱크본체유닛(200)에 체결하여 결합시키게 되는 것은 제3실시예에서와 공통된다.
한편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 및 보완재료(922)는 모두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가 폴리에틸렌(PE)으로 마련된다면 경판유닛(300)과, 보완재료(922) 역시 폴리에틸렌(PE)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과 보완재료(922)가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면 동일한 용융온도를 가지므로 동일한 온도에서 서로 녹게 되며, 이에 의해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과 보완재료(922)가 열융착에 의해 구조적으로 상호 결합되어 결합의 정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융가열판(910)을 사용하여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280)와 경판유닛(300)이 맞대기 용접 방식(Butt Welding)에서와 같이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 후, 보완재료(922)와 열풍제공유닛(920)을 사용하여 필렛 용접 방식(Fillet Welding)에서와 같이 열융착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용융가열판(910)을 사용하는 열융착 방식과, 보완재료(922)와 열풍제공유닛(920)을 사용하는 열융착 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이중 열융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건물 20 : 빗물받이
100 : 저장탱크 200 : 탱크본체유닛
210 :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 211 :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
220 : 단차 230 : 금속부재
240 : 합성수지 250 : 외측벽
260 :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 270 :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
280 :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300 : 경판유닛
400 : 경판체결유닛 410 : 볼트
420 : 너트 500 : 브라켓유닛
510 : 제1브라켓부재 520 : 제2브라켓부재
530 : 제3브라켓부재 531 : 브라켓유닛중공
600 : 경판수밀패킹유닛 700 : 탱크본체체결유닛
710 : 볼트 720 : 너트
800 : 탱크본체수밀패킹유닛 910 : 용융가열판
920 : 열풍제공유닛 922 : 보완재료

Claims (21)

  1. 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본체유닛;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경판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마련되되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이 형성되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경판유닛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브라켓유닛중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유닛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경판유닛의 일측에 접촉되는 제1브라켓부재;
    상기 제1브라켓부재에 연결되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경판유닛의 타측에 접촉되는 제2브라켓부재; 및
    상기 제2브라켓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브라켓부재로부터 이격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브라켓유닛중공이 형성되는 제3브라켓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2. 대상물이 저장되는 탱크본체유닛;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경판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마련되되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이 형성되는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의 대향되는 측면에서 상기 경판유닛에 접촉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경판체결유닛이 관통할 수 있는 브라켓유닛중공이 형성되는 브라켓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경판체결유닛은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중공과 상기 브라켓유닛중공을 상호 관통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에는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는 상기 단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판체결유닛결합부재는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수밀을 위해 상기 탱크본체유닛과 상기 경판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경판수밀패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을 상호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탱크본체체결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탱크본체유닛이 제1탱크본체유닛과, 제2탱크본체유닛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탱크본체유닛에는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탱크본체유닛에는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탱크본체체결유닛은, 제1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와, 제2탱크본체체결유닛결합부재를 체결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수밀을 위해 상기 제1탱크본체유닛과 상기 제2탱크본체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탱크본체수밀패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은,
    내부에 배치되는 금속부재; 및
    상기 금속부재를 감싸도록 마련되는 합성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외측벽은 강도 향상을 위해 단면이 파형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상기 경판유닛은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어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상기 경판유닛은 용융가열판에 의해 열융착되거나, 열풍제공유닛에 의해 열융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8.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경판유닛이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며,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 사이에 용융가열판이 배치되는 단계;
    상기 용융가열판이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에 열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용융가열판이 제거되는 단계;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이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단계; 및
    경판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은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20.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 및 경판유닛이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며, 보완재료가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의 접합부분에 배치되는 단계;
    열풍제공유닛이 상기 보완재료를 향해 열풍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이 상기 보완재료와의 열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단계; 및
    경판체결유닛에 의해 상기 경판유닛을 상기 탱크본체유닛에 체결하여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유닛의 일측 단부와, 상기 경판유닛 및 상기 보완재료는 동일한 소재의 열가소성수지로 마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KR1020150014983A 2015-01-30 2015-01-30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677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83A KR101677089B1 (ko) 2015-01-30 2015-01-30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983A KR101677089B1 (ko) 2015-01-30 2015-01-30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91A KR20160093991A (ko) 2016-08-09
KR101677089B1 true KR101677089B1 (ko) 2016-11-17

Family

ID=5671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4983A KR101677089B1 (ko) 2015-01-30 2015-01-30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70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162B1 (ko) * 2020-12-03 2023-02-06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섬유강화 아크릴 수지로 제조된 폐사가축 저장용 탱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373A (ja) * 2001-04-17 2002-10-23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水 槽
KR200340828Y1 (ko) * 2003-11-15 2004-02-05 주식회사 코스템 오폐수 저장용 탱크
KR101129379B1 (ko) 2011-08-04 2012-03-26 이근혁 중공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저장탱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2341A (ko) 2001-07-31 2003-02-12 김승국 다색상 염색장치
KR101408807B1 (ko) * 2012-11-22 2014-06-19 에스엘티 주식회사 진공배관용 주름관 및 이와 파이프의 결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373A (ja) * 2001-04-17 2002-10-23 Ishikawajima Constr Materials Co Ltd 水 槽
KR200340828Y1 (ko) * 2003-11-15 2004-02-05 주식회사 코스템 오폐수 저장용 탱크
KR101129379B1 (ko) 2011-08-04 2012-03-26 이근혁 중공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991A (ko) 2016-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46628A (zh) 一种基于hdpe成品排水沟的排水系统
FR2912161A1 (fr) Station hydraulique de recuperation, de gestion et de distribution des eaux pluviales
KR101677089B1 (ko)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US20120009018A1 (en) Culvert liner
KR101067024B1 (ko) 빗물침투장치
CN102079549A (zh) 一种垃圾填埋场污水调节池的覆盖系统的湿法施工方法
CN204551686U (zh) 一种基于hdpe成品排水沟的排水系统
EP3212849A1 (en) Floor panel with integrated liquid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US11926471B2 (en) Sectional panel tank
KR102116758B1 (ko)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KR101067046B1 (ko) 빗물 저류침투시설을 위한 모듈
JP2011241675A (ja) 路面用排水路
KR101546237B1 (ko)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46365A (ko) 비점오염 처리 및 물순환 활용을 위한 조립형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침투포장시설
KR101303659B1 (ko) 수로교의 개거 보수공법
KR200432017Y1 (ko) 콘크리트보호용 라이닝패널
KR101542568B1 (ko) 블록에 의한 시공이 가능한 부등침하 방지 투수성 도로 포장 침투 시설
KR20130070524A (ko) 수도관의 압력을 이용한 물 분사에 의한 하수도의 악취제어장치 및 악취제어방법
JP200802522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コンクリート構造物用防食部材の製造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201095806Y (zh) 雨污管网检查井
JP4681515B2 (ja) 上載型廃棄物埋立処分場
FR2882076A1 (fr) Revetement pour toiture plate ou inclinee de batiment
JP4061282B2 (ja) マンホール内装部材、及び、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
CN217815429U (zh) 一种高强度的给排水工程用防腐型双层管材
CN107740486A (zh) 一种城市道路收集雨水装置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