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237B1 -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237B1
KR101546237B1 KR1020140033557A KR20140033557A KR101546237B1 KR 101546237 B1 KR101546237 B1 KR 101546237B1 KR 1020140033557 A KR1020140033557 A KR 1020140033557A KR 20140033557 A KR20140033557 A KR 20140033557A KR 101546237 B1 KR101546237 B1 KR 101546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nk
overlay
glass fib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3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140033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저장탱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단위탱크유닛; 제1단위탱크유닛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단위탱크유닛; 및 제1단위탱크유닛과,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탱크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STORAGE T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이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서, 단위탱크유닛 각각이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한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탱크는, 정화조, 비점오염원저감시설뿐만 아니라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저장탱크가 포함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저장탱크라함은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빗물저장탱크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최근, 물 부족 문제와 관련하여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저장탱크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여기서, 우리나라의 강우 특성상, 우기, 장마 때 단시간의 폭우로 인해 많은 비가 내리는 데, 그 시기의 빗물은 그대로 하천으로 흘러가 버리므로, 이러한 빗물을 모아 겨울과 봄의 가뭄 시에 사용하기 위해 댐을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댐의 건설은 불가피하지만, 댐 건설에 필요한 돈과 시간, 환경문제, 지역침수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물 부족 국가에서는 빗물의 이용이 절실하므로, 물 부족이 예상되는 우리나라에서도, 빗물을 이용하기 위한 시설물의 법규 등 정부 차원에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도시나 농촌의 마을의 경우, 빗물을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미비하여 여전히 빗물이 하천으로 유입됨에 따라 이를 재활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 공공시설 및 가정 등에서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탱크를 만들어 빗물을 모아 빗물저장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화장실 용수나 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함으로써, 물 부족을 일부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 나아가서 댐의 필요용량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종래,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빗물저장탱크는 저수량에 따른 빗물저장탱크의 용량이 정해져 있으므로, 이를 작업현장까지 운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었다. 즉, 빗물저장탱크 하나의 크기가 통상 대용량으로 제작되는 경우 이를 작업현장까지 운송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등록번호:제20-0312341호(공고일자:2003년05월09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이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서, 단위탱크유닛 각각이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단위탱크유닛;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단위탱크유닛; 및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탱크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하는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연결부분 틈새를 메우도록 마련되는 오버레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글래스파이버(Glass Fiber)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상기 글래스파이버와 상기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가 제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단위오버레이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이 겹쳐져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 또는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과, 상기 경판유닛을 연결하는 경판연결소켓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 및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Morta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탱크연결소켓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는 패킹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킹유닛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및 복합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리섬유복합관유닛;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과 상기 경판유닛을 연결하는 경판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하는 저장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은, 표면을 형성하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부에 배치되며,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a) 제1단위탱크유닛과 제2단위탱크유닛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근접하게 배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탱크연결소켓유닛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탱크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c) 오버레이유닛을 통해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연결부분 틈새를 메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의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글래스파이버와 상기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단위오버레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을 겹쳐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탱크연결소켓유닛의 내측에 패킹유닛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이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서, 단위탱크유닛 각각이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장소에 설치된 개략적인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분리된 측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에 오버레이유닛이 적재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의 재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분리된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결합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탱크소켓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결합측면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됨을 밝혀 둔다.
한편, 일반적으로, 저장탱크는, 가정이나 공장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정화조뿐만 아니라 양식장, 야적장, 농경지배수, 도시노면배수 등과 같이 광범위한 배출경로를 갖는 오염원인 비점오염원에 대한 저감시설인 비점오염원저감시설 및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 저장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 상에서 저장탱크라 함은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임을 밝혀 된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저장탱크와 관련하여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는 빗물용 저장탱크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설치장소에 설치된 개략적인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분리된 측면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병렬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가 직렬로 배열되어 있는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에 오버레이유닛이 적재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의 재질에 따른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7(a)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분리된 측면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결합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탱크소켓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는,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단위탱크유닛과, 제1단위탱크유닛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단위탱크유닛과, 제1단위탱크유닛과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탱크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한다.
우리나라 수자원의 경우, 연강수의 2/3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등 수자원의 계절별, 지역별 편중이 높은 수준으로 안정적 수자원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에 발생되고 있는 이상기후로 인한 홍수와 가뭄은, 막대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전국 주요 강물의 경우 물 배분과 수질문제로 지역간, 집단간 물 분쟁이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많은 투자에도 불구하고 수질은 갈수록 악화되는 등 물 문제는 갈수록 복잡, 다양, 첨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정부의 수자원 장기종합계획에 따르면, 대체수자원개발과 수요관리에 의한 물 절감량을 고려하더라도, 전국적으로 2011년에 대략 18억㎥, 2020년 대략 26억㎥의 물 부족량이 예상된다고 나타났다.
수자원의 확보를 위한 대안으로 지하수, 해수담수화 등의 대체수자원 개발과 중수도 시설 등을 통한 물 절약방안이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대수층 발달이 미약하여 지하수 개발이 어렵고, 물 수요관리 등의 물 절약에는 한계가 있어서 적정량의 수자원개발은 불가피한 실정이다.
또한, 저수지나 댐은, 하천 상류와 하류의 숲, 야생생물 서식지 및 수서생물 다양성의 훼손, 강제 이주 및 탈 고향으로 인한 지역사회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존재한다.
우리나라에서 물부족 문제의 해결에 난항을 겪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빗물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양이 계절적, 지역적 편차를 보이며, 환경오염으로 더욱 예측하기 힘든 상황으로 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상 기후와 오염 등으로 인한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수요와 공급의 조절만으로는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이 될 수 없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양의 물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빗물을 모을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 필요시 재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조하면, 건물(991)에 설치되어 있는 빗물받이(992)가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100)에 연결되므로, 빗물이 빗물받이(992)를 통해 저장탱크(10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저장탱크(100)로 유입되어 저장되어 있는 빗물은, 필요에 따라 화장실 용수, 소방용수, 조경용수, 청소용수 또는 정화를 통한 비상식수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저장탱크(100)는,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과,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저장탱크(1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단위탱크유닛(200,300)의 크기는 운송트럭 등에 의해 운반이 용이하도록 제작되며, 작업현장으로 운반된 각각의 단위탱크유닛(200,300)이 작업현상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연결된다. 다만 도 2에서는 단위탱크유닛(200,300)이 2개로 마련되어 상호 연결되지만, 단위탱크유닛(200,300)의 개수는 이보다 많을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이에 의해, 단위탱크유닛(200,300)의 운송이 용이해져, 전체 진행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데,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단위탱크유닛(200)은 하나의 단위탱크유닛으로 마련되며, 빗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1단위탱크유닛(20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크기는 빗물의 저장용량과 운반차량의 적재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1단위탱크유닛(200)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FRP,900)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단위탱크유닛(200)이 섬유강화플라스틱(900)으로 마련된다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종래 콘크리트로 마련되던 빗물저장탱크와 비교시, 두께는 1/(30~40)로 감소되지만 내구성 및 내마모성은 증가하게 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므로, 5~6년마다 보수 내지 교체를 해야하는 콘크리트 빗물저장탱크에 비해 유지보수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섬유강화플라스틱(900)의 레진방수처리로 인해 수밀성이 우수하고, 또한, 부식에 강하므로, 빗물을 저장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시공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증대되고, 콘크리트 빗물저장탱크에 비해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섬유강화플라스틱(900)은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Mortar,930)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섬유강화플라스틱(900)의 표면은 수지층(910)으로 마련되고, 수지층(910)의 내측에 부직포(92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지층(910)과 부직포(920)의 사이에 유리섬유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부직포(920) 내부에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Mortar,930)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유리섬유의 경우 모르타르(930)에 비해 비용이 높기 때문에 섬유강화플라스틱(900) 내부의 일부에 모르타르(930)가 배치되면 상대적으로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섬유강화플라스틱(900)의 일부에 모르타르(930)가 배치되더라도, 빗물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에 있어 내구성이나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에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제1단위탱크유닛(200)은 모르타르(930)가 포함되는 섬유강화플라스틱(900)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섬유강화플라스틱(900) 내부에 모르타르(930)의 포함여부는 작업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단위탱크유닛(3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으로부터 이격배치되는 하나의 단위탱크유닛으로 마련되며, 빗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제2단위탱크유닛(300)은, 전술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단위탱크유닛(20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2단위탱크유닛(300)도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크기는, 전술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마찬가지로 빗물의 저장용량과 운반차량의 적재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제2단위탱크유닛(300)은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900)으로 마련될 수 있고, 섬유강화플라스틱(900)의 내부에 모르타르(930)가 배치되는 것은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공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을 연결하도록 마련된다.
즉, 운반이 용이하도록 단위크기를 가지는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작업현장으로 운반된 후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단위크기는 빗물의 저장용량과 운반차량의 적재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된 단위탱크유닛의 크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를 감싸는 것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을 연결할 수 있다.
즉,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일측을 통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으로 제1단위탱크유닛(200)이 삽입되고,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타측을 통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으로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삽입된 후,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가 접촉되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지만,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가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서 접촉되더라도,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 사이에는 물이 스며들 수 있을 정도의 틈 내지 간격이 존재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가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서 접촉된 후,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 사이에 발생되는 틈 내지 간격을 과장해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은 빗물을 저장하도록 마련되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는 이러한 틈 내지 간격을 메워야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오버레이유닛(5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 사이에 발생되는 틈 내지 간격의 수밀성 확보를 위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를 메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유닛(5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 내지 제2단위탱크유닛(30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는데, 제1단위탱크유닛(200) 내지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마련되면, 오버레이유닛(500) 역시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오버레이유닛(500)은 글래스파이버(Glass Fiber)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오버레이유닛(500)이 제1단위탱크유닛(200) 내지 제2단위탱크유닛(300)과 동일한 재질로 마련되면, 오버레이유닛(500)을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에 적층하는 경우,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연결부분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오버레이유닛(500)은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500a,500b,500c,500d)이 겹쳐져서 적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단위오버레이유닛(500a)에 포함되는 제1글래스파이버가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에 먼저 적층된 후 액상수지가 도포되고, 제1글래스파이버의 상측에 제2단위오버레이유닛(500b)에 포함된 제2글래스파이버가 적층된 후 액상수지가 도포되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500c,500d)이 계속 겹쳐져서 적층될 수 있다.
한편, 오버레이유닛(500)은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가 제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오버레이유닛(500)은 먼저 글래스파이버를 도포하고, 여기에, 액상수지 및 촉진제의 혼합물과 경화제를 침투시킨 후, 다시 글래스파이버를 도포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액상수지 및 촉진제의 혼합물과 경화제가 혼합되면, 경화반응이 일어나 휘발성 가스가 발생되며, 휘발성 가스가 외부로 충분히 탈포되지 못하면, 오버레이유닛(500) 내부에 기포가 남게 된다.
한편, 오버레이유닛(500)에 존재되는 기포에는, 경화과정 중에 발생되는 휘발성 가스가 제거되지 못하여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의 계면에 남겨지는 기포와, 오버레이유닛(500) 내부에 갇힌 공기나 습기로 인한 기포가 있다.
여기서,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는 액상수지의 수축률을 결정하게 되므로, 액상수지의 표면 특성과 기계적 물성을 변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즉, 상기 기포는 기계적 물성을 떨어뜨리며, 극심한 온도 변화시 수축과 팽창을 통해 액상수지 내부에 응력을 발생시켜 변형 및 파괴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는 압축강도, 횡방향 인장 강도, 층간 전단 강도, 및 내마모성 등의 저하, 열변형의 초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므로, 상기 기포가 제거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경판유닛(600)은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각각의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탱크유닛(200,300)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으로 연결된 후 단위탱크유닛(200,300)의 각각의 끝부분에 경판유닛(600)이 연결되어 단위탱크유닛 각각을 밀봉하게 된다.
여기서, 경판유닛(600)은 경판연결소켓유닛(700)을 통해 복수의 단위탱크유닛(200,3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 즉,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와 경판유닛(600)의 단부 사이에 발생되는 틈 내지 간격의 수밀성 확보를 위해, 오버레이유닛(500)이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와 경판유닛(600)의 단부 사이의 연결부분 틈새를 메우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200,300)이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서, 단위탱크유닛(200,300) 각각이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운반이 용이한 단위크기로 마련되는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을 작업현장으로 각각 운반 후,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을 통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을 연결한다.
여기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를 메우기 위해,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복수의 오버레이유닛(500)을 겹쳐서 적층하며 이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에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위탱크유닛(200,300)을 연결하여 마련되는 저장탱크(100)는 저장용량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저장탱크(100a,100b,100c,100d))가 병렬로 배열된 후 파이프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여기서, 파이프는 복수의 저장탱크(100a,100b,100c,100d))의 하측에 연결(도 3 참조)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저장탱크(100a,100b,100c,100d))의 상측에 연결(미도시)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저장탱크(100e,100f,100g,100h))가 직렬로 배열된 후 파이프를 통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여기서, 파이프는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저장탱크(100e,100f,100g,100h)의 하측에 연결(도 4 참조)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의 저장탱크(100e,100f,100g,100h)의 상측에 연결(미도시)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단위크기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200,300)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연결되므로 작업현장까지 단위탱크유닛(200,300)의 운송이 용이하고,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우선,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작업현장으로 운반되어지면, 빗물의 저장용량에 맞게 필요한 개수의 단위탱크유닛을 근접하게 배열한다. 예를 들어, 2개의 단위탱크유닛(200,300)이 필요하다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근접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근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사이에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을 배치하고, 제1단위탱크유닛(200)을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삽입결합 후, 제2단위탱크유닛(300)을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삽입결합하여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는 오버레이유닛(500)을 적층하여 메우게 된다.
즉,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는 오버레이유닛(500)이 복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500a,500b,500c,500d)이 단계적으로 겹쳐서 적층된다.
이때,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상수지 내부에 응력을 발생시켜 변형 및 파괴 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 틈새(410)에 오버레이유닛(500)이 적층되기 전에 제거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7(a)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분리된 측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단위탱크유닛과 탱크소켓연결유닛이 결합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에서 탱크소켓연결유닛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단위탱크유닛(200,300)이 작업현장에서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연결될 수 있어서, 단위탱크유닛(200,300) 각각이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의 경우,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패킹유닛(800a)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패킹유닛(800a)으로 인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에서 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패킹유닛(800a)이 결합된다. 또한, 경판연결소켓유닛(700)의 내측에도 패킹유닛(800b)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위탱크유닛(200)의 단부와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가, 패킹유닛(800a)이 결합되어 있는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결합되는데,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 사이에는 패킹유닛(800a)이 위치하게 되므로, 패킹유닛(800a)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 사이의 틈새(410)가 실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경판연결소켓유닛(700)의 내측에도 패킹유닛(800b)이 결합될 수 있으므로,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단부와 경판유닛(600) 사이의 틈새도 실링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패킹유닛(800a,800b)은 다양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무, 우레탄, 실리콘 또는 복합수지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빗물 누수의 차단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패킹유닛(800a)이 결합되어 있는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연결된 후,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오버레이유닛(500)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 사이에 적층될 수도 있다.
또한, 패킹유닛(800b)이 결합되어 있는 경판연결소켓유닛(700)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과, 경판유닛(600)이 연결된 후, 제1실시예에서 전술한 오버레이유닛(500)이 제1단위탱크유닛(200) 또는 제2단위탱크유닛(300)과, 경판유닛(600) 사이에 적층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 제조방법법에 대해 설명하되, 전술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제2실시예의 경우,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패킹유닛(800a)이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으며,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결합되는 패킹유닛(800a)으로 인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에서 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이 탱크연결소켓유닛(400)에 삽입되기 전,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패킹유닛(800a)이 결합되며,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은 탱크연결소켓유닛(400)의 내측에 결합된 패킹유닛(800a)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단위탱크유닛(200)과 제2단위탱크유닛(300)의 연결부분에서 빗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분리측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의 결합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와 관련하여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저장탱크(10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제3실시예의 경우, 저장탱크(100)는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리섬유복합관유닛(960)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유리섬유복합관유닛(960)은 표면을 형성하는 수지층(910)과, 수지층(910)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직포(920)와, 수지층(910)과 부직포(9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섬유와, 부직포(920) 내부에 배치되며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930)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모르타르(930) 없이 수지층(910)과 부직포(920) 및 유리섬유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경판유닛(600)은 유리섬유복합관유닛(960)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여기서, 경판유닛(600)은 경판연결소켓유닛(700)을 통해 유리섬유복합관유닛(9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리섬유복합관유닛(960)과 경판유닛(600)을 각각 작업현장까지 용이하게 운송가능하여 작업현장에서 연결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작업이 편리하고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저장탱크 200 : 제1단위탱크유닛
300 : 제2단위탱크유닛 400 : 탱크연결소켓유닛
500 : 오버레이유닛 600 : 경판유닛
700 : 경판연결소켓유닛 800 : 패킹유닛
900 : 섬유강화플라스틱 910 : 수지층
920 : 부직포 930 : 모르타르
960 : 유리섬유복합관유닛

Claims (20)

  1.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1단위탱크유닛;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으로부터 이격배치되며,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제2단위탱크유닛; 및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탱크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연결부분 틈새를 메우도록 마련되는 오버레이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단위오버레이유닛을 포함하며,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이 겹쳐져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글래스파이버(Glass Fiber)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상기 글래스파이버와 상기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가 제거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각각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 또는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과, 상기 경판유닛을 연결하는 경판연결소켓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 및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내구성, 내마모성 및 내부식성을 갖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강화플라스틱은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Mortar)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1. 제1항에 있어서,
    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탱크연결소켓유닛의 내측에 결합되는 패킹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유닛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및 복합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 및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 중 적어도 하나는 물이 유입된 후 저장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유리섬유복합관유닛으로 마련되며,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의 단부에 결합되는 경판유닛; 및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과 상기 경판유닛을 연결하는 경판연결소켓유닛을 포함하는 저장탱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복합관유닛은,
    표면을 형성하는 수지층;
    상기 수지층의 내부에 배치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 내부에 배치되며, 모래와 시멘트가 혼합된 모르타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15. (a) 제1단위탱크유닛과 제2단위탱크유닛이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근접하게 배열하는 단계;
    (b)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탱크연결소켓유닛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을 연결하는 단계; 및
    (c) 오버레이유닛을 통해 상기 제1단위탱크유닛과 상기 제2단위탱크유닛의 연결부분 틈새를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단위오버레이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c)단계는,
    복수의 단위오버레이유닛을 겹쳐서 적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제조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상기 오버레이유닛은, 글래스파이버와 액상수지를 포함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글래스파이버와 상기 액상수지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제조방법.
  19. 삭제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상기 탱크연결소켓유닛의 내측에 패킹유닛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탱크 제조방법.
KR1020140033557A 2014-03-21 2014-03-21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57A KR101546237B1 (ko) 2014-03-21 2014-03-21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3557A KR101546237B1 (ko) 2014-03-21 2014-03-21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237B1 true KR101546237B1 (ko) 2015-08-24

Family

ID=5406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3557A KR101546237B1 (ko) 2014-03-21 2014-03-21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2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449A3 (en) * 2020-08-16 2022-08-11 Wheel Pros, Llc Novel construction and sealing method for modular pressure reservo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332B2 (ja) 1993-08-11 2000-05-22 ミサワ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床盤体の製造方法
KR101129379B1 (ko) 2011-08-04 2012-03-26 이근혁 중공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저장탱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4332B2 (ja) 1993-08-11 2000-05-22 ミサワセラミックス株式会社 床盤体の製造方法
KR101129379B1 (ko) 2011-08-04 2012-03-26 이근혁 중공의 원통형 저장탱크의 제조방법 및 그 저장탱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8449A3 (en) * 2020-08-16 2022-08-11 Wheel Pros, Llc Novel construction and sealing method for modular pressure reservo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601B1 (ko) 친환경 지하저수식 빗물 저류조
KR20190072096A (ko) 빗물 저류 및 지중 침투 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복합 기능 탄소 복합 소재 투수 보도블록 조립체
US20080295903A1 (en) Urban and Rural Integrated Conduit System For Sewage Discharging and Reclaiming
WO2013135104A1 (zh) 雨水调蓄排放及储存利用多功能一体化系统及其施工方法
CN209468806U (zh) 蓄水池及收集再利用系统
KR101546237B1 (ko)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WO2016068709A1 (en) Floor panel with integrated liquid collection and removal system
KR101359101B1 (ko) 락심부 용접을 한 고내식성 리브 및 파형강관을 이용한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16758B1 (ko) 빗물 전처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빗물 재이용 장치
KR100779545B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200426248Y1 (ko) 분산형 빗물 저류 시스템
KR20130039634A (ko) 조립식 우수 저류조
KR101303659B1 (ko) 수로교의 개거 보수공법
KR101677089B1 (ko) 저장탱크 및 그 제조방법
US20210131078A1 (en)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CN113789831A (zh) 海绵城市中封闭区域雨水收集与利用系统施工方法
Dey et al. Victorian brick sewers for a clean flowing Indian colonial city
CN107740486A (zh) 一种城市道路收集雨水装置及其方法
CN207469030U (zh) 一种城市道路过滤净化及收集排水系统
CN214994434U (zh) 基于海绵城市的雨水综合涵养系统
NL2024794B1 (en) A ground laying structure and a processing method
CN220486694U (zh) 一种雨水排除系统
Chowdhury Development of Methodology of Structural Audit for Water Treatment Plants to Improve Resilience to Natural Disaster
Bian et al. Pipeline rehabilitation amidst environmentally sensitive location
Pennington London 2012 legacy: design and reuse of temporary equestrian platfor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