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01Y1 -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01Y1
KR200431101Y1 KR2020060023855U KR20060023855U KR200431101Y1 KR 200431101 Y1 KR200431101 Y1 KR 200431101Y1 KR 2020060023855 U KR2020060023855 U KR 2020060023855U KR 20060023855 U KR20060023855 U KR 20060023855U KR 200431101 Y1 KR200431101 Y1 KR 2004311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ire harness
female
detachable
femal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호신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3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여 보호하도록 피메일부와 메일부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스트랩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결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플렉시블관, 보호커버. 스트랩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a wire harness cover}
도 1은 종래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펼쳐진 상태도.
도 2는 종래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사용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피메일부 20: 메일부
30: 연결부 40: 착탈부
50: 결합부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와 플렉시블관을 연결하여 보호하도록 피메일부와 메일부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 는 보호커버를 스트랩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결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용 커넥터는 결합되는 와이어가 커넥터의 뒤쪽 부위로 곧바로 연결되는 즉, 커넥터에 삽입된 와이어 하네스를 잡아 고정하는 수단이 없어 차량 엔진의 작동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으로 인해 흔들리는 와이어 하네스가 커넥터와 서로 마찰을 일으킬 뿐 만 아니라 심할 경우 와이어를 통해 터미널이 흔들리게 되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와이어 하네스를 결합한 커넥터를 고정하여 차량 엔진의 작동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으로부터 와이어의 흔들림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한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는 피메일부(1)와 메일부(2)로 이루어지되, 상기 피메일부(1)는 넓게 형성된 커넥터삽입구(1a)와, 이 커넥터삽입구(1a)에 일체로 이어지면서 그 폭이 좁게 형성되어 와이어 하네스가 인출되는 와이어삽입구(1b) 및 이 삽입구(1a,1b)의 양 측면에서 돌출 되면서 그 중앙에 개구된 슬랏인 홈을 형성한 삽입단(1c,1d)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피메일부(1)와 결합되는 메일부(2)는 피메일부(1)와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각각 커넥터삽입구(2a)와 와이어삽입구(2b)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피메일부(1)의 삽입단(1c,1d)에 삽입·결합 되도록 돌출된 돌출단(2c,2d)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종래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는 커넥터(C)를 수용하면서 와이어가 뒤쪽으로 즉, 피메일부(1)와 메일부(2)의 와이어삽입구(1b,2b)쪽으로 인출되며 이때, 이 와이어삽입구(1b,2b)쪽으로 인출된 와이어에 플레시블관(F)을 씌운 다음 보호커버의 연결부(3)를 테이프(T)를 이용하여 결합·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는 와이어 하네스와 플렉시블관을 감싼 후 테이프로 테이핑처리해서 고정하기 때문에 테이핑 작업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서로 대응되는 커넥터삽입구와 관삽입구를 형성한 피메일부와 메일부를 서로 결합시 상호 간격을 조절하며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서로 다른 직경의 와이어 하네스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넥터의 끝단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부에 커넥터삽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플렉시블관의 둘레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타단부에 관삽입구를 형성한 피메일부와, 상기 피메일부의 커넥터삽입구 및 관삽입구와 대응되도록 커넥터삽입구 및 관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 및 플렉시블관을 수용하며, 상기 피메일부 를 덮어 상기 커넥터 및 플렉시블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메일부와,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커넥터삽입구의 가장자리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한 착탈부와,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관삽입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의 직경에 따라 조임상태를 조절하며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피메일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착탈홀을 갖는 착탈편과, 상기 메일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탈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착탈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메일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결합돌기를 돌출한 스트랩과, 상기 피메일부의 가장자리에서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돌출한 결합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는 피메일부(10), 메일부(20), 연결부(30), 착탈부(40) 및 결합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피메일부(10)는 여러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하여 전자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C)의 일부를 일단부에 수용하기 위해 커넥터삽입구(12)를 형성하고,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플렉시블관(F)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타단부에 관삽입구(14)를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삽입구(12)와 관삽입구(14)는 서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일부(20)는 피메일부(10)와 결합되며, 커넥터(C)의 나머지 부분을 일단부에 수용하기 위해 커넥터삽입구(22)를 형성하고, 플렉시블관(F)의 나머지 부분을 수용하기 위해 타단부에 관삽입구(24)를 형성한다.
즉,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서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C)는 피메일부(10)의 커넥터삽입구(12) 및 메일부(20)의 커넥터삽입구(22) 내측면에 동시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관(F)은 피메일부(10)의 관삽입구(14) 및 메일부(20)의 관삽입구(14) 내측면에 동시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연결부(30)로 연결되어 서로 일체화된다.
그래서,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따로 보관함에 따른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착탈부(4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착탈부(40)는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의 서로 대응되는 커넥터삽입구(12,22)의 가장자리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착탈부(40)는 착탈편(42)과 걸림편(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착탈편(42)은 피메일부(10)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착탈홀(43)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걸림편(44)은 메일부(20)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며, 착탈홀(43)에 삽입되어 걸리는 착탈돌기(45)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다.
물론, 상기 착탈돌기(45)는 외부의 누르는 힘에 의해 착탈홀(43)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편(44)의 착탈돌기(45)가 착탈편(42)의 착탈홀(43)에 끼워지면, 각각의 커넥터삽입구(12,22)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가장자리를 서로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C)는 통상 정해진 규격이기 때문에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가 서로 접하여 안정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결합부(50)에 의해 상호 간격 조절되며 결합된다.
즉, 와이어 하네스는 서로 다른 굵기로 이루어지고, 이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는 플렉시블관(F)도 와이어 하네스의 굵기에 따라 직경이 가변된다.
그래서,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플렉시블관(F)의 굵기에 따라 서 로 접할 수도 있고 이격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결합부(50)는 스트랩(52) 및 걸림돌기(54)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트랩(52)은 메일부(20)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고, 일측면에 다수 개의 결합돌기(53)를 돌출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4)는 피메일부(10)의 형성된 결합홀(55)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결합돌기(53)를 걸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합홀(55)은 피메일부(10)의 가장자리에서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스트랩(52)은 결합홀(55)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55)의 내측면에 돌출된 걸림돌기(54)와 스트랩(52)에 형성된 결합돌기(53)는 서로 대칭되는 직각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돌기(53)는 걸림돌기(54)의 빗변을 따라 이동하면서 반대방향으로 걸림돌기(54)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상기 걸림돌기(54)를 제외한 결합홀(55)의 높이는 결합돌기(53)와 스트랩(52)의 높이를 합한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스트랩(52)을 누르거나 들어올림으로써 결합돌기(53)와 걸림돌기(54)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후 스트랩(52)을 결합홀(55)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피메일부(10)와 메일부(20)는 양측 가장자리 전체에 걸쳐 다수 개의 결합부(50)를 형성할 수도 있으나, 플렉시블관(F)의 직경에 따라 이격 거리가 달라지는 각각의 관삽입구(14,24)에 해당되는 위치의 테두리에만 결합부(50)를 형 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에 의하면, 피메일부와 메일부를 스트랩으로 서로 결합함으로써 와이어 하네스를 감싸는 플렉시블관의 직경에 따라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커넥터의 끝단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일단부에 커넥터삽입구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커넥터와 연결된 와이어 하네스를 보호하는 플렉시블관의 둘레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타단부에 관삽입구를 형성한 피메일부와;
    상기 피메일부의 커넥터삽입구 및 관삽입구와 대응되도록 커넥터삽입구 및 관삽입구를 형성하여 상기 커넥터 및 플렉시블관을 수용하며, 상기 피메일부를 덮어 상기 커넥터 및 플렉시블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메일부와;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커넥터삽입구의 가장자리를 서로 착탈 가능하게 형성한 착탈부와;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의 서로 대응되는 상기 관삽입구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플렉시블관의 직경에 따라 조임상태를 조절하며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부와 메일부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피메일부의 양측 가장자리에서 돌출 형성되며, 착탈홀을 갖는 착탈편과;
    상기 메일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착탈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착탈돌기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한 걸림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메일부의 가장자리에서 연장 형성되며, 일측면에 결합돌기를 돌출한 스트랩과;
    상기 피메일부의 가장자리에서 양측으로 개방되도록 통공되며, 상기 결합돌기를 삽입하여 이와 반대방향으로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를 돌출한 결합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KR2020060023855U 2006-09-05 2006-09-05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KR2004311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55U KR200431101Y1 (ko) 2006-09-05 2006-09-05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855U KR200431101Y1 (ko) 2006-09-05 2006-09-05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01Y1 true KR200431101Y1 (ko) 2006-11-14

Family

ID=4177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855U KR200431101Y1 (ko) 2006-09-05 2006-09-05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0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547B2 (en) Cable harness plug having a securing device for the cable harness
US20090188095A1 (en) Device for pulling out a terminal clamp
US20100009565A1 (en) Antenna Connector Assembly
JP2005228756A (ja) 電子機器の端子保護カバー構造、端子保護カバー実装方法。
US7896663B2 (en) Plug assembly, attachment plug and conversion plug
TW201448362A (zh) 基板邊緣連接器
US20130303032A1 (en) Protector-attached connector
KR200431101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커버
JP5914160B2 (ja) 電線保護カバー
KR20080000850U (ko) 커넥터의 보호커버
JP4987185B2 (ja) 電子機器
JP2007166781A (ja) ワイヤーハーネス用クランプ
KR100848693B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프로텍터
JP2002304983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の保護カバー
JP2006292117A (ja) ベルトクランプ
JP3742961B2 (ja) キャップの取り付け構造
WO2017204108A1 (ja) バンド具及び複合バンド具
KR20120004256U (ko) 와이어커버
JP5098568B2 (ja) 端末機器の端子カバーの取付構造、およびそれを備えた端末機器
KR101278314B1 (ko) 휴대단말기의 보호케이스
KR200407840Y1 (ko) 조인트 커넥터의 결합구조
JPS5943657Y2 (ja) コネクタ取り出し装置
US20160072223A1 (en) Receptacle protection cover and electronic device
JP4508819B2 (ja) 電気機器
JP4699798B2 (ja) 配線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