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530Y1 -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 Google Patents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530Y1
KR200424530Y1 KR2020060014942U KR20060014942U KR200424530Y1 KR 200424530 Y1 KR200424530 Y1 KR 200424530Y1 KR 2020060014942 U KR2020060014942 U KR 2020060014942U KR 20060014942 U KR20060014942 U KR 20060014942U KR 200424530 Y1 KR200424530 Y1 KR 2004245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auxiliary
axle
auxiliary ax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9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근혁
Original Assignee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9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5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5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5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62D61/125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the retractable wheel being a part of a set of tandem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9/00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 B60G9/003Resilient suspensions of a rigid axle or axle housing for two or more wheels the axle being rigidly connected to a trailing gui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구동륜 앞쪽에 위치되고, 보조 바퀴가 설치되는 보조 액슬이 구비되는 대형 차량에서, 보조 액슬의 중앙부에 상기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리프팅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차체와 액슬을 연결하는 리프팅 암의 중간부분에 하강용 에어백을 위치시킴으로써, 차고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보조 바퀴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팅 구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소형의 에어백으로도 충분한 리프팅 량을 확보하여 보조 바퀴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대형 차량, 리어 액슬, 보조 바퀴, 리프팅, 에어 백, 프로펠러 샤프트, 구동륜

Description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Rear serve axle structure for large size vehicles and its lifting apparatus}
도 1은 대형차량이 도시된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대형차량용 리어 액슬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3은 종래 대형차량용 리어 액슬의 리프팅 구조가 도시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가 도시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리어 보조 액슬의 파이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에서 조향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8은 정면도,
도 9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프로펠러 샤프트 55 : 보조 바퀴
57 : 프레임 60 : 보조 액슬
61 : 액슬 파이프 62 : 회피부
63 : 직선부 65 : 스핀들
67 : 드럼 70 : 리프팅 장치
71 : 리프팅 브래킷 71a : 상측부
72a : 중간부 72b : 하측부
73 : 리프팅 암 74 : 인슐레이터
75 : 하강용 에어백 77 : 승강용 에어백
81 : 스티어링 너클 82 : 킹핀
83 : 타이 로드 85 : 스티어링 암
본 고안은 대형차량용 리어 액슬 및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조 액슬과 프로펠러 샤프트 사이의 간섭을 방지함과 아울러 간단한 구조로 리어 액슬의 리프팅 구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대형차량이 도시된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공지의 대형차량 중 대략 5톤 트레일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형차량은 일반적으로 앞쪽에 운전석을 포함한 틸팅 캡(1)이 위치되고, 그 뒤에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적재대(3)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대형 차량은 앞쪽에 엔진(미도시)이 위치되고, 뒤쪽 구동륜(7)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엔진으로부터 후륜 사이에 변속기(9) 및 프로펠러 샤프트(11)가 연결된다.
여기서 통상 대형 차량은 화물을 적재하지 않은 공차시와 화물을 적재한 만차시의 상당한 하중 차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화물 적재대(5)에 적재되는 화물의 하중을 분산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뒤쪽 구동륜(7)의 앞쪽 또는 뒤쪽에 보조 바퀴(13)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 바퀴(13)를 상기 구동륜의 뒤쪽에 설치할 때는 프로펠러 샤프트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구동륜(7)의 앞쪽에 보조 바퀴(15)를 설치하는 경우에 상기 보조 바퀴(15)의 양쪽을 연결하는 액슬(axle)(15)과 프로펠러 샤프트(11)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게 된다.
도 2는 보조 바퀴(13)의 액슬(15)과 프로펠러 샤프트(11) 사이에 간섭을 방지하게 위한 구조를 보여주는 차량의 횡방향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에 보조 바퀴가 장착되는 드럼(17) 및 스핀들(19)이 각각 구비되고, 양쪽 스핀들(19) 사이에는 프로펠러 샤프트(11)를 회피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보조 액슬(15)이 구비된다.
상기 보조 액슬(15)은 'I'빔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시킨 구조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를 상기 각 스핀들(19)에 각각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보조 액슬(15)은 'ㄷ'자 구조로 절곡 가공한 다음, 양쪽에 스핀들(19)을 용접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가공 및 조립 연결 작업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I'빔의 특성상 상당한 하중을 갖고 있으므로, 차량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조 액슬(15)이 프로펠러 샤프트(11)의 아래쪽으로 회피하는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보조 바퀴(13)를 승하강시키도록 구성할 경우에, 승하강 구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도 3은 종래 리어 액슬 리프팅 구조를 측면도로서, 차량의 프레임(21)과 액슬(22) 사이에 상승용 에어백(23)과 하강용 에어백(25)이 각각 구비되고, 두 에어백과 액슬(22)이 상호 연동되어 움직일 수 있도록 4절 링크(27)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리어 액슬 리프팅 구조는 화물 적재대에 소정 중량이상의 화물이 적재되어 상기 구동륜(7)만으로는 그 하중을 지탱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주행하기가 곤란한 상황을 대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차시나 화물이 설정된 중량 이하일 경우에는 보다 원활한 주행을 위하여 노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보조 바퀴를 상승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상승용 에어백(23)에 공기를 주입하여 보조 액슬(15) 및 보조 바퀴(13)를 상승시키게 되는데, 이때 도 2와 같은 보조 액슬(15)은 상승하는 과정에서 프로펠러 샤프트(11)와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간섭 방지를 위해서는 보조 액슬(15)에 더 큰 굴곡을 갖도록 형성되 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차고가 낮아져서 주행 중 장애물 등에 걸리면서 보조 액슬(15)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도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로펠러 샤프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슬을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켜 구성함으로써 차고가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보조 바퀴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팅 구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슬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지 않고 라운드 구조로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어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의 에어백으로 충분한 리프팅 구조를 확보함과 아울러 레이아웃 측면에서도 유리해지도록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 조, 차량의 구동륜 앞쪽에 위치되고, 보조 바퀴가 설치되는 보조 액슬이 구비되는 대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은 그 중앙부에 상기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 액슬은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의 중앙부를 곡면으로 굴곡시켜 상기 회피부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보조 액슬은 필요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액슬에는 상기 보조 바퀴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장치가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의 리프팅 장치는,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프팅 브래킷과; 양단부에 보조 바퀴가 장착되는 보조 액슬과; 일단이 상기 리프팅용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보조 액슬이 결합되는 리프팅 암과; 상기 리프팅 암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을 하강시키는 하강용 에어백과; 상기 리프팅 암의 하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을 상승시키는 승강용 에어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프팅 브래킷은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형 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측부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강용 에어백의 상부가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리프팅 암의 일단이 연결되며, 하 측부는 상기 상승용 에어백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 액슬은 그 중앙부에 뒤쪽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은 도 1에서와 같이 뒤쪽 구동륜의 앞쪽에 설치될 때, 보조 액슬과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더불어 보조 액슬에 장착된 보조 바퀴를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리프팅 장치가 구성된다.
참고로 본 고안은 반드시 상기 회피부를 갖는 보조 액슬과 리프팅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어느 한쪽만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두 구성을 모두 채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하 설명될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회피부를 갖는 보조 액슬과 리프팅 장치가 함께 구비된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도 8 내지 도 9에서는 회피부를 갖는 보조 액슬에 조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및 리프팅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리어 보조 액슬의 파이프 어셈블리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뒤쪽 구동륜(미도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50)가 통과하고, 이 프로펠러 샤프트(5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보조 액슬(60)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 액슬(60)은 상기 구동륜의 앞쪽에 위치되는 보조 바퀴(55)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크게 원통 파이프 구조를 갖는 액슬 파이프(61)와, 이 액슬 파이프(61)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스핀들(65)과, 상기 스핀들(65)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보조 바퀴(55) 및 휠 등이 장착되는 회전 드럼(67)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액슬 파이프(61)는 그 중앙부에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50)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50)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62)가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62)의 양쪽에는 후술할 리프팅 장치(70)가 결합되는 직선부(63)가 위치되며, 이 직선부(63)의 끝단에는 상기 스핀들(65)을 결합시키는 결합 링(66)이 구비된다.
상기 회피부(62)는 원형 단면을 갖는 액슬 파이프(61)의 중앙부를 일정한 라운드(R)를 갖도록 곡면으로 굴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50)의 센터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 구조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 회피부(62)는 곡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 그 모양은 'ㄷ'자형 구조로 구성하여도 가능하다. 또한 액슬 파이프(61)도 원형 구조의 단면을 갖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역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 조건에 따라 다른 여러 형상의 파이프 또는 직선 부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는 회피부(62)가 상기 프로펠러 샤프트의 상향으로 절곡된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프로펠러 샤프트의 아래쪽으로 곡면 구조로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 상기와 같은 회피부(62)를 갖는 보조 액슬(60)을 필요에 따라 승하강시키는 리프팅 장치(7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프팅 장치(70)는 차량의 프레임(57)에 설치되는 리프팅 브래킷(71)과, 일단(73a)이 상기 리프팅 브래킷(7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73b)에 상기 보조 액슬(60)이 결합되어 지지되는 리프팅 암(73)과, 상기 리프팅 암(73)의 일단(73a)과 타단(73b) 사이의 상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60)을 하강시키는 하강용 에어백(75)과, 상기 리프팅 암(73)의 하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7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60)을 상승시키는 승강용 에어백(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리프팅 장치(70)의 주요 구성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리프팅 브래킷(71)은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형 구조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리프팅 브래킷(71)의 상측부(71a)는 차량의 프레임(57)에 고 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강용 에어백(75)의 상부가 고정되고, 중간부(72a)는 상기 리프팅 암(73)의 일단(73a)이 연결되며, 하측부(72b)는 상기 승강용 에어백(77)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상측부(71a)는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배치되는데, 도 4에서와 같이 대략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프레임(57)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71b)와, 이 고정 플레이트(71b)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하강용 에어백(75)이 고정되는 상부 플레이트(71c)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간부(72a)는 상기 상측부(71a)에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가운데 부분에 상기 리프팅 브래킷(71)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충격 흡수를 위해 인슐레이터(74) 등을 통해서 연결된다.
상기 하측부(72b)는 상기 중간부(72a)의 하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용 에어백(77)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 상기 리프팅 암(73)은 상기 리프팅 브래킷(71)에 고정된 부분을 중심으로 대략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타단(73b)에는 상기 액슬 파이프(61)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반원형 구조를 가진 지지부(73d)가 구비된다.
다음, 상기 하강용 에어백(75)과 승강용 에어백(77)은 공지의 리어 액슬 리프트 장치에 에어백과 같이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하는 여부에 따라 팽창 수축하면서, 두 에어백의 상호 작용에 따라 상기 리프팅 암(73)을 회전시켜 보조 액슬(60)을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상기 하강용 에어백(75)은 리프팅 암(73)에 지지되는 부분 이 회전 중심 부분인 일단부(73a)와 보조 바퀴(55)의 하중을 받는 타단부(73b)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됨으로써 에어백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도 간단한 구조로 보조 바퀴(55)의 충분한 리프트 량을 확보할 수 있고, 차량의 하부에 리프트 장치를 설치하는 데 있어서도 레이아웃 측면에서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통상 공지의 리어 액슬 리프팅 장치는 리어 액슬이 설치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한쪽 끝단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쪽 끝단에 하강용 에어백이 설치되는 관계로 하강용 에어백의 크기가 커질 뿐만 아니라, 리어 액슬의 리프트량을 크게 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리프팅 암(73)의 중간 부분에 하강용 에어백(75)을 설치하게 되면, 에어백의 변형량이 작더라도 충분한 리프트량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리프팅 장치(70)의 설치 공간도 크게 축소될 수 있는 등, 리프트 장치의 기능성은 물론 공간 활용성 측면에서 상당한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한 보조 바퀴(55)의 조향 가능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8과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에서 조향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실시예의 도면으로서, 도 8은 정면도, 도 9는 평면도이다. 참고로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통상 대형 차량의 경우에 전,후 차축간의 축거가 매우 길뿐만 아니라 적재함 쪽의 중량을 효과적으로 분담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대부분 2축 형태의 후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대형 차량은 좌우 방향으로의 선회시 노면 접지 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에 타이어 마모량의 증가와 함께 회전반경이 더욱 커지게 되므로, 2축 중 어느 하나의 바퀴를 조향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액슬(60A)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데, 그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위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굴곡진 회피부(62)를 갖는 액슬 파이프(61)와, 이 액슬 파이프(61)의 양단부에 킹핀(82)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보조 바퀴(55)가 장착되는 양쪽 스티어링 너클(81)과, 상기 양쪽 스티어링 너클(81)에 연결되어 양쪽 보조 바퀴(55)가 상호 연동하면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타이 로드(83) 및 스티어링 암(8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보조 액슬(60)의 조향 장치는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타이 로드(83)에 충격 흡수를 위한 쇽업소버(88)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조향이 가능하게 이루어진 리어 보조 액슬(60A)도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프로펠러 샤프트(50)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슬 파이프(61)에 회피부(62)가 구성됨과 아울러 운전자의 조향 작동에 따라 보조 바퀴(55)의 조향이 가능해지도록 조향 장치가 구성됨에 따라 리어 보조 액슬(60A)의 작동성 및 기능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액슬 파이프에 상측으로 절곡된 회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고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함과 아울러 보조 바퀴의 승하강을 위한 리프팅 구조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액슬 파이프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지 않고 라운드 구조로 일체로 절곡시켜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생산성 및 조립성이 개선되어, 전체적으로 리어 보조 액슬 구조가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리프팅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도 하강용 에어백을 양쪽 하중 지지부의 중간에 위치시켜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소형의 에어백으로 충분한 리프팅 량을 확보하여 보조 바퀴의 승하강 작동이 원활해질 수 있고, 차량 하부의 레이아웃 측면에서도 유리해지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7)

  1. 차량의 구동륜 앞쪽에 위치되고, 보조 바퀴가 설치되는 보조 액슬이 구비되는 대형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은 그 중앙부에 상기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은 원형 단면을 갖는 파이프의 중앙부를 곡면으로 굴곡시켜 상기 회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은 필요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리프팅 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에는 상기 보조 바퀴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 장치가 연결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 구조.
  5.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는 리프팅 브래킷과;
    양단부에 보조 바퀴가 장착되는 보조 액슬과;
    일단이 상기 리프팅용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보조 액슬이 결합되는 리프팅 암과;
    상기 리프팅 암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상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을 하강시키는 하강용 에어백과;
    상기 리프팅 암의 하부와 상기 리프팅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액슬을 상승시키는 승강용 에어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의 리프팅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브래킷은 차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ㄷ'자형 구조로 연결되게 형성되되, 상측부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하강용 에어백의 상부가 고정되고, 중간부는 상기 리프팅 암의 일단이 연결되며, 하측부는 상기 상승용 에어백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의 리프팅 장치.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 액슬은 그 중앙부에 뒤쪽 구동륜에 동력을 전달하는 프로펠러 샤프트와 간섭을 피할 수 있도록 프로펠러 샤프트의 위쪽으로 곡면 형상으로 굴곡된 회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차량용 리어 보조 액슬의 리프팅 장치.
KR2020060014942U 2006-06-03 2006-06-03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KR2004245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42U KR200424530Y1 (ko) 2006-06-03 2006-06-03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942U KR200424530Y1 (ko) 2006-06-03 2006-06-03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530Y1 true KR200424530Y1 (ko) 2006-08-23

Family

ID=4177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942U KR200424530Y1 (ko) 2006-06-03 2006-06-03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5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748A (ko) 2019-05-23 2020-12-02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튜브 내면 법랑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법랑코팅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748A (ko) 2019-05-23 2020-12-02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튜브 내면 법랑코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법랑코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6235B2 (en) Suspension device for in-wheel motor driven wheel
SK18682001A3 (sk) Vozík so zdvižnou vidlicou s obmedzeným polomerom otáčania
JPS5934551B2 (ja) 車輪付き自走式トラツクのフレ−ム構造
KR20110103343A (ko) 자동차의 리어 액슬
JP2908015B2 (ja) 大型ダンプトラック
US5542492A (en) Device for driving, guiding and steering a vehicle wheel
CN210132965U (zh) 五轮车
CN201099156Y (zh) 一种适用于重型卡车浮动桥的空气悬架
KR200424530Y1 (ko) 대형차량용 보조 리어 액슬 구조 및 그것의 리프팅 장치
US8678408B2 (en) Travel device for transport vehicle
US7168716B2 (en) Swing mechanism for steering shaft in three-wheeled industrial vehicle
CN101291843B (zh) 小型车辆
CN101291842A (zh) 小型车辆
CN101291841B (zh) 小型车辆
CN201325558Y (zh) 正三轮摩托车的后轮悬挂结构
US20020047303A1 (en) Ax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strial vehicles
CN106515837A (zh) 一种工程车辆转向系统及应用该系统的起重机
CN210391155U (zh) 用于轨道车辆的转向架及具有其的轨道车辆
KR200399165Y1 (ko) 트럭의 적재하중 분배용 보조 서스펜션장치
KR20160076669A (ko) 4륜식 지게차의 스티어 액슬 구조
CN206086870U (zh) 一种叉车转向桥
CN110936781A (zh) 一种适用于拖拉机的多自由度悬架
JP2000255308A (ja) 重量物搬送車
KR200371807Y1 (ko) 대형차량용 에어서스펜션장착차축의 역캐스터구조
JP4104057B2 (ja) 運搬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