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005Y1 - 세차기의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세차기의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005Y1
KR200422005Y1 KR2020060012470U KR20060012470U KR200422005Y1 KR 200422005 Y1 KR200422005 Y1 KR 200422005Y1 KR 2020060012470 U KR2020060012470 U KR 2020060012470U KR 20060012470 U KR20060012470 U KR 20060012470U KR 200422005 Y1 KR200422005 Y1 KR 200422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moving
car
bracke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4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균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24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0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4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r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는 세차기의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세차장치는 회전브러쉬(273)를 피세정차량(C)의 폭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며, 이동수단은 : 세차기본체(100)상부에 피세정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프레임(260),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브러쉬가 지지되는 이동프레임(261),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250), 브라켓트에 고정되며 출몰되는 로드(282)를 가지는 실린더(280),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283), 이동부재에 지지되는 제1,2풀리(284,285), 제1풀리를 경유하여 양단이 각각 브라켓트와 이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288), 제2풀리를 경유하여 양단이 각각 브라켓트와 이동프레임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289), 브라켓트에 지지되고 제1와이어가 권회되는 제3풀리(286), 브라켓트에 지지되고 제2와이어가 권회되는 제4풀리(28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세차장치에는 협소한 공간에 세차기를 설치할 수 있고, 세차기의 무게가 줄어 그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며, 고가부품의 대체가 가능하여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세차기, 실린더, 브라켓트, 와이어, 이동프레임

Description

세차기의 세차장치{Car washing apparatus}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세차장치의 요부를 정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세차기를 개략적으로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정면에서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의 세차장치가 다른 세차기에 채용된 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세척부 250...브라켓트
260...가이드프레임 261...제1이동프레임
280...제1실린더 281...탄성부재
283...제1이동부재 284...제1풀리
285...제2풀리 288...제1와이어
289...제2와이어
본 고안은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며, 상기 피세정차랑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브러쉬를 피세정차량의 폭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차기의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차기에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세정차량(C)을 세척시키는 세척부(1)가 마련되는데, 상기 세척부(1)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세척부(1)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세차기 내부로의 진입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프레임(60)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60)에는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각각 가이드롤러(61a)(6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 동력을 발생하는 제1,2구동모터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2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며 각 외주면에 피세정차량(C)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세척시키는 섬유부재(73)(74)가 결합된 제1,2회전통체(71)(7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섬유부재(73,74)는 부직포 등의 천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을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의 각 일측에는 제1,3와이어(91)(9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3와이어(91)(93)의 타단은 제1,2실린더(81)(82)의 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2실린더(81)(82)는 세차기본체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의 각 타측에는 제2,4와이어(92)(9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4와이어(92)(94)의 각 타단에는 제1,2균형추(96)(98)가 매달려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1,42,43,44은 가이드풀리로서 상기 각 와이어(94,91,93,92)들을 가이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피세정차량(C)이 세차기의 내부의 일정구간을 경유하여 상기 세척부(1)에 진입되면, 피세정차량(C)을 감지한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제1,2회전통체(71,72)를 회전구동시킨다. 이때 섬유부재(73,74)는 회전원심력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어서 제1,2실린더(81,82)가 작동하여 제1,2회전통체(71,72)를 피세정차량(C)의 양측면측에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킨다. 즉, 제1,2실린더(81,82)가 작동을 하게 되면 각 로드가 돌출되게 되고, 각 제1,2이동프레임(61,62)은 각각 제1,2균형추(96,98)에 의해서 각각 가이드프레임(60)의 중앙부분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세정차량(C)이 세척부(1)를 경유하는 동안 제1,2회전통체(71,72)의 회전에 의한 섬유부재(73,74)에 의해서 표면을 세척시킨다.
한편, 상기 제1,2실린더(81,82)는 피세정차량(C)의 굴곡 등이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제어되어, 상기 제1,2회전통체(71,72)의 위치를 제어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제1,2회전통체(71,72)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을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들(91,92,93,94)은 일정구간 연직하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와이어들(91,92,93,94)은 상기 가이드프레임(60)과 간섭되지 않도록 그 가이드프레임(60)의 양단에서 이격되게 설치되어야만 한다.
이에 따라 종래기술에서는 세차기의 폭이 커져 세차기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그 설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이동프레임(61,62)을 이동시키기 위한 제1,2균형추(96,98)는 예컨대 구동모터 등이 설치되어 있는 제1,2이동프레임(61,62)을 견인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그 무게가 상당한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제1,2균형추(96,98)의 무게로 세차기의 하중이 커져 세차기의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상기 제1,2균형추(96,98)의 무게 때문에 그 제1,2균형추(96,98)가 매달려 있는 제2,4와이어(92,94)의 인장강도가 높은 것이 요구되어 제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세차기를 설치할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세차기의 무게를 줄여 그 설치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세차기의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은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세차용 회전브러쉬와, 상기 회전브러쉬를 피세정차량의 폭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세차기본체 상부에 상기 피세정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브러쉬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고정되며 출몰되는 로드를 가지는 실린더와, 상기 로드의 선단에 결합되어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지지되는 제1,2풀리와,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와,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풀리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와, 상기 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풀리와,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의 상기 제1와이어가 권회되는 제3풀리와, 상기 브라켓트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풀리와 상기 이동프레임 사이의 제2와이어가 권회되는 제4풀리를 포함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내부 단부에는 상기 로드의 후단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피세정차량(C)과 세차기본체(100)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C)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며, 상기 피세정차량(C)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세차용 회전브러쉬(271)와, 상기 회전브러쉬(271)를 피세정차량(C)의 폭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다.
도 2 내지 7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세차장치가 채용된 세차기는 연속형 세차기를 말한다. 여기서 연속형 세차기는 세차기본체(100)가 고정되어 있고, 피세정차량(C)을 세차치본체(100)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세차를 하는 장치이다.
이 세차기는 세차기본체(100)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14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00)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10), 왁스부(120), 에어건조부(130), 세척부(200) 및 상면 천건조부(3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1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 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121,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건조부(1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고압으로 내뿜어서 물기를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건조용 노즐(131,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에는 후술할 제1,2이동프레임(261,2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브러쉬(271,272)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브러쉬(271,272)에는 피세정차량(C)에 접촉되어 물기나 먼지 등을 제거하는 섬유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섬유부재는 부직포 등의 천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브러쉬(271,272)는 각각 회전봉(271a,272a)에 의해서 구동모터(290)와 체인(291)으로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세척부(200)에는 상기 회전브러쉬(271,272)를 피세정차량(C)의 폭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도 3,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세차기본체(100) 상부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진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프레임(260)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260)에는 제1,2이동프레임(261,262)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가이드롤러(261a,26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브러쉬(271,272)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의 구조는 각각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필요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어느 한 쪽의 이동수단에 대해서만 도면부호를 병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2이동프레임(261,262)에는 각각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90)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290)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회전브러쉬(271,27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60)에는 브라켓트(250)가 고정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트(250)에는 상기 제1,2이동프레임(261,262)의 이동방향으로 출몰되는 로드(282,282')를 가지는 제1,2실린더(280,280')가 설치된다. 상기 로드(282,282')의 선단에는 각각 제1,2이동부재(283,283')가 결합되며, 상기 제1이동부재(283)에는 제1,2풀리(284,28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1실린더(280) 내부 단부에는 상기 로드(282)의 후단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281)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281)는, 회전브러쉬(271)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피세정차량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드(282)에 의해 압축된 상태에 있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피세정차량에 접근된 위치)에 있을 때 그 압축이 해제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 브라켓트(250)의 일측에는 제1와이어(288)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와이어(288)의 타단은 상기 제1풀리(284)를 경유하여 상기 제1이동프레임(261)의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트(250)의 타측에는 제2와이어(289)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2와이어(289)의 타단은 상기 제2풀리(285)를 경유하여 상기 제1이동프레임(261)의 타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와이어(288)는 상기 브라켓트(2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와 이어(288)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3풀리(286)에 권회되며, 상기 제2와이어(289)는 상기 브라켓트(2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와이어(289)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4풀리(287)에 권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컨베이어장치(140)에 의해서 피세정차량(C)이 견인되어 세정부(110), 왁스부(120) 및 에어건조부(130)를 경유하면서, 피세정차량(C)의 세정 및 왁스가 행하여지고 잔류하는 물기가 일차적으로 고압의 에어분사에 의해서 제거된다.
이와 같이 에어건조부(130)를 경유한 직후에, 세척부(200)에 피세정차량(C)이 진입되면, 피세정차량(C)을 감지한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구동모터(290)가 구동되어 상기 회전브러쉬(271,272)를 회전구동시킨다. 이때 섬유뷰재는 회전 원심력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1,2실린더(280,280')가 작동하여 상기 회전브러쉬(271,272)를 피세정차량(C)의 양측면에 가까워지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2실린더(280,280')가 작동을 하게 되면 각 로드(282,282')가 돌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드(282,282')에 결합된 제1,2이동부재(283,283')가 이동하게 되며, 상기 제1이동부재(283)에 설치되는 제1,2풀리(284,285)가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2풀리(284,285)가 이동되면, 상기 제1,2와이어(288,289)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제1이동프레임(261)이 제1,2풀리(284,285)의 이동방향과 반대방향 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이동프레임(261)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브러쉬(271)가 피세정차량(C)에 접근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피세정차량(C)의 측면을 세척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실린더(280,280')는 피세정차량(C)의 굴곡등의 형상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여 센서(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회전브러쉬(271,272)의 위치를 제어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브러쉬(271,272)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회전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측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에는 상면 천건조부(300)를 경유하면서 차량의 상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을 하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회전브러쉬(271,272)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이 세차기본체(100)의 상부에 마련되어 있어, 상기 세차기본체(100)의 폭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제1실린더(280)와 제1,2와이어(288,289)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상기 제1,2와이어(288,289)에 제1,2균형추와 같은 힘을 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되지 않아 세차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될 수 있고 인장강도가 높은 제1,2와이어(288,289)가 요구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제1실린더(280)의 내부에 마련되는 탄성부재(281)에 의해 로드(282)의 작동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즉, 상기 제1실린더(280)가 피세정차량(C)의 진입을 감지하여 로드(282)를 구동시키는 순간에는 제1실린더(280)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량이 갑작스럽게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체량의 갑작스런 변화에 따라 로드(282)의 반응이 상대적으로 늦어지게 되는데, 상기 탄성부재(281)는 상기 로드(282)에 그 로드(282)의 이동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여 로드(282)의 작동성능이 향상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형 세차기에 상기 이동수단이 채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의한 이동수단은 문형 세차기에도 채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형 세차기는 연속형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차량이 지정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기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세차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프레임(260)이 피세정차량(C)의 진입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프레임(360,360')이 세차기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프레임(361,361')이 상기 가이드프레임(360,3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브러쉬(373,373')가 상기 이동프레임(36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세차기의 세차장치에 의하면, 피세정차량(C)의 양측면뿐만 아니라 전후면도 세차를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세차과정은 다음과 같다.
피세정차량(C)이 세차기본체(100) 내에 진입하게 되면, 피세정차량(C)의 전면이 먼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회전브러쉬(360)에 의해 세차된다. 피세정차량(C) 이 상기 회전브러쉬(373)를 진입방향으로 누르면서 계속 진입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프레임(361)은 회전되어 피세정차량(C)의 진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이하 '직교위치'라 한다)하게 된다.
도시되지 않은 센서는 상기 가이드프레임(361)이 상기 직교위치에 위치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이동프레임(361)을 상기 가이드프레임(3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점선으로 도시된 상태에서, 피세정차량(C)이 계속 진입하게 되면, 회전브러쉬(37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세정차량(C)의 측면이 세차된다. 피세정차량(C)의 측면이 세차된 후에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361)이 이동되어 피세정차량(C)의 후면을 세차하게 된다.
한편,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 회전브러쉬(373')는,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피세정차량(C)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을 세차하게 된다.
즉, 좌측 회전브러쉬(373)와 우측 회전브러쉬(373')가 피세정차량(C)의 외면을 각각 절반씩 세차하는 동작에 의해, 피세정차량(C)의 외면이 전부 세차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세차기의 세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피세정차량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회전브러쉬를 이동시키 는 이동수단이 세차기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이동수단에 의해 세차기본체의 좌우폭이 커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세차기의 세차장치를 설치할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세차기의 세차장치의 설치가능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실린더와 와이어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동프레임이 이동기 때문에, 와이어에 무게추와 같은 중량이 큰 부품을 매달리게 할 필요가 없게 됨에 따라 구조가 간소화되어 본 고안에 의한 세차기의 세차장치의 설치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와이어에 매달리는 무게추가 제거됨에 따라 와이어의 인장성능이 높지 않아도 되므로, 고가의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어 그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실린더 내부에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있어, 로드의 작동성능을 향상시켜 제품의 동작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며, 상기 피세정차량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세차용 회전브러쉬와, 상기 회전브러쉬를 피세정차량의 폭에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하는 세차기의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
    상기 세차기본체(100) 상부에 상기 피세정차량(C)의 진입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프레임(260)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6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전브러쉬(273)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프레임(261)과,
    상기 가이드프레임(260)에 고정되는 브라켓트(250)와,
    상기 브라켓트(250)에 고정되며 출몰되는 로드(282)를 가지는 실린더(280)와,
    상기 로드(282)의 선단에 결합되어 그 로드(282)와 함께 이동되는 이동부재(283)와,
    상기 이동부재(28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풀리(284,285)와,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250)의 일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풀리(284)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61)의 일측에 고정되는 제1와이어(288)와,
    일단이 상기 브라켓트(250)의 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풀리(285)를 경유하여 상기 이동프레임(261)의 타측에 고정되는 제2와이어(289)와,
    상기 브라켓트(2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1풀리(284)와 상기 이동프레임(261) 사이의 상기 제1와이어(288)가 권회되는 제3풀리(286)와,
    상기 브라켓트(2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풀리(285)와 상기 이동프레임(261) 사이의 제2와이어(289)가 권회되는 제4풀리(28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차기의 세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80) 내부 단부에는 상기 로드(282)의 후단이 탄력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28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세차장치.
KR2020060012470U 2006-05-10 2006-05-10 세차기의 세차장치 KR200422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70U KR200422005Y1 (ko) 2006-05-10 2006-05-10 세차기의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70U KR200422005Y1 (ko) 2006-05-10 2006-05-10 세차기의 세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005Y1 true KR200422005Y1 (ko) 2006-07-20

Family

ID=4177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470U KR200422005Y1 (ko) 2006-05-10 2006-05-10 세차기의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0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301A (zh) * 2017-10-13 2017-12-19 湖南博伲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外部清洗装置
CN112550232A (zh) * 2019-09-10 2021-03-26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式汽车自动清洗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301A (zh) * 2017-10-13 2017-12-19 湖南博伲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外部清洗装置
CN112550232A (zh) * 2019-09-10 2021-03-26 河南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机械式汽车自动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9002A (en) Vehicle washing machine
US3428983A (en) Vehicle washer
KR200422005Y1 (ko) 세차기의 세차장치
US5669981A (en) Vehicle washing method
KR100886936B1 (ko) 세차장치
US200400354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spray bar
KR101186583B1 (ko) 극박 표면부 이물질 세정장치
JPH02303960A (ja) 車両の上面乾燥装置
JP3555310B2 (ja) 門型スプレー洗車機
KR20040041855A (ko) 세차기의 물기 제거장치
CN107839659B (zh) 一种汽车的清洁方法
JP4244951B2 (ja) 洗車機
JPH08207714A (ja) 超音波洗浄ノズルを備えた洗車機
JP2946289B2 (ja) 車両の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組立体の洗浄装置
KR200303944Y1 (ko) 세차용 회전체
JP2699699B2 (ja) 洗車機
JP7423483B2 (ja) ノズル
CN216102027U (zh) 一种改进型风干无接触洗车机
CN218577704U (zh) 一种自动洗车机
KR200307811Y1 (ko) 세차기의 물기제거 장치
KR200318513Y1 (ko) 세차된 차량의 수분제거 장치
JP4835555B2 (ja) 洗車機
JP3861289B2 (ja) 洗車機の水拭取り装置
JP3413797B2 (ja) 洗車装置
KR20040059299A (ko)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