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299A -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9299A
KR20040059299A KR1020020085899A KR20020085899A KR20040059299A KR 20040059299 A KR20040059299 A KR 20040059299A KR 1020020085899 A KR1020020085899 A KR 1020020085899A KR 20020085899 A KR20020085899 A KR 20020085899A KR 20040059299 A KR20040059299 A KR 20040059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eaned
fixed
water
moving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176B1 (ko
Inventor
서정현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5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1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59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9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세차기본체로부터 분리된 차량의 물기제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이 물기제거장치를 채용하는 세차기는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후방으로 반출하는 제1컨베이어장치(40)를 가지는 세차기본체(100)와, 이 세차기본체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설치되며 세차된 피세정차량(D)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물기제거부(200)(300)를 구비한다. 물기제거부에는 피세정차량(D)을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장치(400)가 마련되어 있다. 세차기본체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 에어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물기제거부는 피세정차량(D)의 측표면에 잔류하는 물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제1,2회전체(201)(202)를 가지는 측면제거부(200)와,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수평회전체(301)를 가지는 상면제거부(300)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물기제거장치는 세차기본체를 경유하면서 물세차가 된 후, 세차기본체(100)를 통과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물기제거부로 피세정차량(D)을 이동하여 물기를 제거시킴으로써, 뒤따르는 다른 피세정차량의 물세차시에 발생되는 물의 튀김에 의해서 잔류물기를 제거시키는 다른 피세정차량에의 오염을 방지하여 물기의 제거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A damp removal apparatus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 상세하게는 물세차를 하는 세차기본체로부터 잔류물기를 제거하는 물기제거부를 분리하여 설치한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기능에 따라 연속형(連續形)(터널형) 자동 세차기와 문형(門形) 자동 세차기로 구분한다.
연속형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본체가 고정되어 있고,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기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물과 세제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차 표면의 물을 제거시킨다.
문형 자동 세차기는 연속형 자동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기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위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한다.
상기 연속형 자동세차기의 일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세차기본체(100)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00)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와 왁스부(20)와 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컨베이어장치(40)의 견인롤러(41)에 의해 피세정차량(C)의 전륜(W)이 견인되면서 세차기본체(100) 내에 반입된다.
피세정차량(C)이 컨베이어장치(40)에 의해 이송되면, 우선 세정부(10)에서,세정용 브러쉬(11)(21)가 작동되고, 스프레이장치로부터 세정수나 세제가 분무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이 세정된다. 피세정차량(C)이 계속해서 출구측을 향하여반송되면, 왁스부(20)에서 왁스용 브러쉬(21)(22)가 작동되고, 스프레이장치로부터 왁스액이 분무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이 도포된다.
또한 피세정차량(C)이 계속 반송되면, 건조부(30)에서 건조용 노즐(31)(32)이 작동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이 건조되고, 피세정차량(C)은 롤러컨베이어(40)에 의해서 세차기본체(100)의 후방으로 반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세차장치는 세정 및 왁스가 도포되어진 후 물기를 제거시키도록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는 탑노즐(31)과 사이드노즐(32)을 가지는 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압의 에어 토출방향 및 차량의 형상에 따라 잔여하는 물기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세차부로부터의 물기의 튀김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차후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간편하게 자동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물기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세차기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가 채용된 세차기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장치중 측면물기 제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 장치중 상면 물기 제거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측면제거부 300...상면제거부
201,202,301...회전체 210,302...섬유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고정된 세차기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물세차된 피세정차량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차기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세정차량의 측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측면제거부와,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상면제거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측면제거부는 상기 피세정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각각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2이동프레임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제1,2구동모터와, 상기 제1,2이동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 상기 제1,2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며 각 외주면에 피세정차량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 및 제거시키는 섬유부재가 결합된 제1,2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제1,2이동프레임의 각 일측에 고정되는 제1,3와이어와, 상기 제1,3와이어의 타단이 각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제1,2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제1,2이동프레임의 각 타측에 고정되는 제2,4와이어와, 상기 제2,4와이어의 각 타단에 고정되는 제1,2균형추를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면제거부는 외주면에 섬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수평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이 고정되는 견인체인과, 상기 각 견인체인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각 회전봉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는 피세정차량을 물세차하는 세차기본체로부터 일겅거리 떨어져서 설치되므로 물기를 제거하는 도중 세차기본체로부터의 물의 튀김을 방지하여 물기제거율을 향상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차량의 물기제거장치를 채용한 세차장치를 나타낸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제1컨베이어장치(40)를 가지는 세차기본체(100)와, 이 세차기본체(100)와 일정거리 떨어져서 설치되며 세차된 피세정차량(D)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물기제거부(200)(300)를 구비한다. 상기 물기제거부(200)(300)에는 피세정차량(D)을 견인하여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장치(4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차기본체(100)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 에어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21)(22) 등이 설치되며,에어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물기제거부(200)(300)는 피세정차량(D)의 측표면에 잔류하는 물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제1,2회전체(201)(202)를 가지는 측면제거부(200)와,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수평회전체(301)를 가지는 상면제거부(300)로 분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2회전체(201)(202) 및 수평회전체(301)에는 섬유부재(210)(302)가 결합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하여 제거토록 한다.
상기 물기제거부(200)(300)중 측면제거부(200)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세정차량(D)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프레임(260)이 고정설치되어 있고, 가이드프레임(260)에는 제1,2이동프레임(261)(262)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각각 가이드롤러(261a)(262a)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제1,2이동프레임(261)(262)에는 각각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며 각 외주면에 피세정차량(D)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 및 제거시키는 섬유부재(210)가 결합된 제1,2회전체(201)(20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2회전체(201)(202)는 각각 회전봉(271a)(272a)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2이동프레임(261)(262)의 각 일측에는 제1,3와이어(291)(29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3와이어(291)(293)의 타단은 제1,2실린더(281)(282)의 실린더로드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1,2실린더(281)(282)는 물기제거부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2이동프레임(261)(262)의 각 타측에는 제2,4와이어(292)(294)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4와이어(292)(294)의 각 타단에는 제1,2균형추(295)(296)가 매달려 있다.
이와 같은 측면제거부(200)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제1,2회전체(201)(202)가 회전구동될때 그 원심력에 의해 섬유부재(210)가 펼쳐져 피세정차량(D)의 표면과 접촉하여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하도록 하고, 제1,2실린더(281)(282)의 작동에 의해서 제1,2회전체(201)(202)가 피세정차량(D)에 대해 근접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되어진다.
또한, 상면제거부(300)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면, 이는 외주면에 섬유부재(302)가 결합되고 피세정차량(D)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301)와, 수평회전체(30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5)와,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D) 상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피세정차량(D)의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310)과, 구동회전축(310)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306)(307)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306)(307)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가이드프레임(306)(307)에 구름접촉하는 가이드롤러(331)(36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330)(360)과, 구동회전축(31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구동회전축(310)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330)(360)이 고정되는 견인체인(321)(351)과, 상기 각 견인체인(321)(351)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322)(352)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330)(3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332)(362)과, 상기 각 회전봉(332)(362)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30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305)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340)(37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참조번호 341은 수평회전체(301)를 회전구동시키도록 모터(305)와 연결되는 체인이다.
이와 같은 상면제거부(300)는 구동모터(305)의 동력으로 수평회전체(301)가 회전구동될때 그 원심력에 의해 섬유부재(302)가 펼쳐져 피세정차량(D)의 표면과 접촉하여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하도록 하고, 메인모터(미도시)의 구동으로 수평회전체(301)가 피세정차량(D)의 상면을 따라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물기제거장치는 세차기본체(100)를 경유하면서 물세차가 된 후, 세차기본체(100)를 통과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물기제거부(200)(300)로 피세정차량(D)을 이동하여 물기를 제거시킴으로써, 뒤따르는 다른 피세정차량의 물세차시에 발생되는 물의 튀김에 의해서 잔류물기를 제거시키는 다른 피세정차량에의 오염을 방지하여 물기의 제거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건조부를 세차기본체에 채용하는 대신에 상기 물기제거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세차기본체(100)를 경유하면서 물세차가 된 후, 세차기본체(100)를 통과하여 일정거리 떨어진 물기제거부(200)(300)로 피세정차량(D)을 이동하여 물기를 제거시킴으로써, 뒤따르는 다른 피세정차량의 물세차시에 발생되는 물의 튀김에 의해서 잔류물기를 제거시키는 다른 피세정차량에의 오염을 방지하여 물기의 제거율을 향상시킨다.

Claims (3)

  1. 고정된 세차기본체 내부를 통과하면서 물세차된 피세정차량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차기본체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기 피세정차량의 측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측면제거부와,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상면제거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기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제거부는 상기 피세정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각각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2이동프레임과,
    상기 제1,2이동프레임에 각각 고정설치되며 동력을 발생하는 제1,2구동모터와,
    상기 제1,2이동프레임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 상기 제1,2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구동되며 각 외주면에 피세정차량의 양측면과 각각 접촉하여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 및 제거시키는 섬유부재가 결합된 제1,2회전체와,
    일단이 상기 제1,2이동프레임의 각 일측에 고정되는 제1,3와이어와,
    상기 제1,3와이어의 타단이 각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제1,2실린더와,
    일단이 상기 제1,2이동프레임의 각 타측에 고정되는 제2,4와이어와,
    상기 제2,4와이어의 각 타단에 고정되는 제1,2균형추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기 제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제거부는 외주면에 섬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수평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이 고정되는 견인체인과,
    상기 각 견인체인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각 회전봉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물기제거장치.
KR10-2002-0085899A 2002-12-28 2002-12-28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KR100491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899A KR100491176B1 (ko) 2002-12-28 2002-12-28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5899A KR100491176B1 (ko) 2002-12-28 2002-12-28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9299A true KR20040059299A (ko) 2004-07-05
KR100491176B1 KR100491176B1 (ko) 2005-05-24

Family

ID=37351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5899A KR100491176B1 (ko) 2002-12-28 2002-12-28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1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57B1 (ko) * 2006-09-01 2008-01-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 물입자와 에어커튼을 이용한 지하철 터널용 먼지 저감장치
KR20190005005A (ko) * 2017-07-05 2019-01-15 이동효 터널형세차기용 하부물기제거장치
CN113752988A (zh) * 2021-11-08 2021-12-07 杭州非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清洗设备及清洗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057B1 (ko) * 2006-09-01 2008-01-22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미세 물입자와 에어커튼을 이용한 지하철 터널용 먼지 저감장치
KR20190005005A (ko) * 2017-07-05 2019-01-15 이동효 터널형세차기용 하부물기제거장치
CN113752988A (zh) * 2021-11-08 2021-12-07 杭州非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清洗设备及清洗方法
CN113752988B (zh) * 2021-11-08 2022-07-15 杭州非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新能源汽车清洗设备及清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176B1 (ko) 2005-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198804U (zh) 一种眼镜清洗系统
US3428983A (en) Vehicle washer
US2862222A (en) Motor vehicle laundry
KR100491176B1 (ko)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CN112477817A (zh) 一种无人值守隧道式洗车机
KR101352696B1 (ko) 산업용 세척기
KR200311425Y1 (ko) 자동세차장치
US3421169A (en) Car washer
US3909865A (en) Car wash apparatus
JPH0939746A (ja) 洗車装置
KR200307811Y1 (ko) 세차기의 물기제거 장치
KR20040041855A (ko) 세차기의 물기 제거장치
KR100886936B1 (ko) 세차장치
KR100445783B1 (ko)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KR200303944Y1 (ko) 세차용 회전체
CN112893254A (zh) 一种新能源汽车电机铁芯清洗装置
KR200307810Y1 (ko) 세차기의 물기제거 장치
KR20100056283A (ko)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KR100787511B1 (ko) 자동세차기의 건조장치
KR200307809Y1 (ko) 세차용 회전체
JPH05337300A (ja) 産業用クリーニング装置
CN220494193U (zh) 一种青花椒清洗装置
CN216269158U (zh) 一种无人值守隧道式洗车机
CN219967505U (zh) 花岗岩提锈机
KR200283208Y1 (ko) 박스세척기용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