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6283A -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 Google Patents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6283A
KR20100056283A KR1020080115371A KR20080115371A KR20100056283A KR 20100056283 A KR20100056283 A KR 20100056283A KR 1020080115371 A KR1020080115371 A KR 1020080115371A KR 20080115371 A KR20080115371 A KR 20080115371A KR 20100056283 A KR20100056283 A KR 2010005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top brush
car wash
frame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동현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56283A/ko
Publication of KR2010005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horizon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는 물기제거용 탑브러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상기 각 회동프레임과 함께 승강가능하게 그 회동프레임에 연결되고, 세차기본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 있어서,상기 각 승강프레임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별개로 승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개별승강동력원; 및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과 상기 각 승강프레임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매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에 의해 상기 각 승강프레임이 별개로 구동되는 경우에, 동일한 시간대에서 상기 각 승강프레임의 높이가 동일함과 동시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상승시에 그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와 세차기본체 간의 간섭방지영역이 크게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별승강동력원, 동력전달매개체

Description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Car-wasing top-brush going up and coming down apparatus}
본 발명은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차기의 규격을 슬림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고 탑브러시의 동작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 본체와 차량을 상대이동시키면서 차량의 표면에 물과 세제를 분사시키고 브러쉬를 회전시키면서 세척한 후 블로워 또는 천등으로 물기를 제거시킴으로써 세차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이러한 자동세차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는 세차기본체(100)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00)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 에어건조부(30), 측면 천건조부(200) 및 상면 천건조부(3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 (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물기의 완전한 제거를 위하여 측면건조부(200)에는 측면 천 회전체(201)(202)가 마련되어 있고, 상면 천건조부(300)에는 탑브러시(30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탑브러시(301)에는 물기제거부재(302)가 결합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하여 제거토록 한다.
상기 탑브러시(301)를 회전 및 승강시키기 위한 구성은 도 2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장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340)(370)과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306)(307)과 한 쌍의 승강프레임(330)(360)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회동프레임(340)(370)에는 상기 탑브러시(30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회동프레임(340)(370)은 상기 탑브러시(301)의 길이방향(A)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306)(307)은 상기 세차기본체(100)에 수직으로 세우져서 상기 승강프레임(330)(36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승강프레임(330)(360)은 상기 각 회동프레임(340)(370)과 함께 승강가능하게 그 회동프레임(340)(370)에 연결브라켓(332)(362)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프레임(306)(307)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승강프레임(330)(360)은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동력적으로 연결되어서,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함께 승강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모터(미도시)와 같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연결바(310)와, 상기 회전연결바(31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스프라켓(371)과, 상기 제1스프라켓(371)에 권회된 상태로 일단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들(330)(360) 중 어느 하나(330)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무게추(322)가 결합되는 제1체인(321)과, 상기 회전연결바(310)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스프라켓(372)과, 상기 제2스프라켓(372)에 권회된 상태로 일단부에는 상기 승강프레임들(330)(360) 중 다른 하나(360)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무게추(352)가 결합되는 제2체인(35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모터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회전연결바(310)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연결바(310)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체인(321)과 제2체인(351)이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상기 각 승강프레임(330)(360)을 함께 승강시킨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부호 331,361은 상기 승강프레임(330)(360)과 가이드프레임(306)(307)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승강프레임(330)(36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롤러이고, 305는 상기 탑브러시(301)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며, 341은 상기 모터(305)와 탑브러시(301)를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체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각 승강프레임(330)(360)을 하나의 모터로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회전연 결바(310)가 상기 탑브러시(301)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탑브러시(301)의 승강높이에 제약이 따르게 된다. 특히, 상기 탑브러시(301)는 상기 회동프레임(340)(370)과 함께 승강되기 때문에, 상기 탑브러시(301)의 상승시에 상기 회동프레임(340)(370)의 상단이 상기 회전연결바에 간섭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탑브러시(301)의 승강높이에 제약이 따르게 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세차기본체(100)의 규격을 크게 하여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를 수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연결바(310)를 구동시키는 모터는 브레이크 타입 모터가 채용된다. 이러한 브레이크 타입 모터는 회전자(미도시)의 회전을 규제하는 디스크(미도시)의 손상 및 파손으로 인하여, 모터에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를 인가한 경우 회전자와 디스크 간의 슬립발생으로 인하여 타임-딜레이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을 가진다. 역으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상기 회전연결바(310)가 구비되도록 설계된 것이다. 즉, 상기 회전연결바(310)를 통해 상기 각 승강프레임(330)(360)을 동력적으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상기 타임-딜레이 발생시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330)(360)이 평행한 위치에 놓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타임-딜레이 현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면, 상기 탑브러시(301)의 최초 설계된 위치보다 처진 위치에서 구동 및 정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피세정차량(C)의 물기제거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탑브러시(301)에 의한 물기제거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피세정차량(C)과 탑브러시(301)가 접촉됨으로써 그 피세정차량(C)을 손상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브러시를 승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고 동일한 시간대에서 각 승강프레임의 높이가 동일하며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하더라도 각 승강프레임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규격을 슬림화시킬 수 있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는 물기제거용 탑브러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상기 각 회동프레임과 함께 승강가능하게 그 회동프레임에 연결되고, 세차기본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 있어서,상기 각 승강프레임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별개로 승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개별승강동력원; 및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과 상기 각 승강프레임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매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에 의해 상기 각 승강프레임이 별개로 구동되는 경우에, 동일한 시간대에서 상기 각 승강프레임 의 높이가 동일함과 동시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상승시에 그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와 세차기본체 간의 간섭방지영역이 크게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은 상기 세차기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웜기어 타입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력전달매개체는: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의 동력전달축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동력전달축에 결합되는 스프라켓들과, 상기 각 스프라켓에 권회된 상태로 일단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이 결합되고 타단에 무게추가 결합되는 체인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각 승강프레임을 별개로 승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웜기어 타입 모터가 구비됨으로써, 제품을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에도 각 승강프레임의 높이가 동일함과 동시에 각 승강프레임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되지 않게 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탑브러시와 세차기본체 간의 간섭방지영역을 크게 확보할 수 있어서 제품의 규격을 슬림화시키고자 하는 근자의 개발추세에 부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의 도 2에 대응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401)(402)과 한 쌍의 승강프레임(411)(412)과 한 쌍의 개별승강동력원과 동력전달매개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회동프레임(401)(402)은, 물기제거용 탑브러시(400)(이하 '탑브러시'라 한다)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탑브러시(400)의 길이방향(A)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은 상기 회동프레임(401)(402)과 함께 승강가능하게 그 회동프레임(401)(402)에 동력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세차기본체(미도시)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431)(432)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탑브러시(400)의 길이방향(A)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은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별개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차기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가 채용되었다. 이러한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는 회전자의 회전축(미도시)에 웜(미도시)이 결합되어 있고 동력전달축(451)(452)에는 상기 웜에 맞물리는 웜기어(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회전자에 구동신호 및 정지신호가 인가된 경우에 웜과 웜기어 간의 슬립이 발생하지 않아 종래기술과 같은 타임-딜레이 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매개체는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인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와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일대일 대응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스프라켓(461)(462)들과 한 쌍의 체인(471)(47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스프라켓(461)(462)은 상기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의 동력전달축(451)(452)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동력전달축(451)(452)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체인(471)(472)은 상기 각 스프라켓(461)(462)에 권회된 상태로 일단부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이 결합되고 타단부에 무게추(481)(48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장치는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과 동력전달매개체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탑브러시(400)와 세차기본체 간의 간섭방지영역(B)이 크게 확보된다. 즉, 상기 간섭방지영역(B)은 상기 탑브러시(400)의 승강을 가능하게 하는 영역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과 같은 회전연결바가 상기 탑브러시(4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지 않은 구조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세차기본체의 규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즉, 종래기술과 같이 브레이크 타입 모터와 회전연결바가 채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탑브러시(400)의 승강높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탑브러시(400)와 회전연결바 간의 간섭을 억제시키기 위하여 상기 간섭방지영역(B)이 상기 회전연결바와 탑브러시(400)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회전연결바의 설치공간이 추가로 요구됨으 로써 세차기본체의 규격을 크게 하는 단점과 브레이크 타입 모터의 내구성 저하로 상기 탑브러시(40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그 모터를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단점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별개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간섭방지영역(B)이 크게 확보됨으로써 세차기본체의 규격을 작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윔기어 타입 모터로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은 타임-딜레이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제품의 사후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탑브러시(400)와 함께 승강프레임(411)(412)들은 각각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인 개별승강동력원에 의해 별개로 상하방향으로 승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이 별개로 승강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의 채용으로 인하여 회전자의 회전시간과 승강프레임(411)(412)의 승강시간에 대한 딜레이 현상 없이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이 승강됨으로써, 동일한 시간대에서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의 높이가 동일함과 동시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개별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구조가 채용됨으로써, 상기 탑브러시(400)와 세차기본체 사이에 발생하는 간섭방지영역(B)을 종래기술에 비해 크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세차기본체의 규격을 종래기술에 비해 작게 할 수 있어서, 세차기의 규격을 슬림화시키고자 하는 근자의 개발추세에 부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이 채용된 자동세차기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의 도 2에 대응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탑브러시 401,402:회동프레임
411,412:승강프레임 431,432:가이드프레임
441,442:웜기어 타입 모터 451,452:동력전달축
461,462:스프라켓 471,472:체인
481,482:무게추 A:길이방향
B:간섭방지영역

Claims (3)

  1. 물기제거용 탑브러시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과; 상기 각 회동프레임과 함께 승강가능하게 그 회동프레임에 연결되고, 세차기본체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지 않고 별개로 승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개별승강동력원; 및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과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을 동력적으로 연결시키는 동력전달매개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에 의해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이 별개로 구동되는 경우에, 동일한 시간대에서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의 높이가 동일함과 동시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의 하강위치와 상승위치가 변화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기제거용 탑브러시(400)의 상승시에 그 물기제거용 탑브러시(400)와 세차기본체 간의 간섭방지영역(B)이 크게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은 상기 세차기본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웜기어 타입 모터(441)(4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매개체는:
    상기 각 개별승강동력원의 동력전달축(451)(452)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그 동력전달축(451)(452)에 결합되는 스프라켓(461)(462)들과, 상기 각 스프라켓(461)(462)에 권회된 상태로 일단에 상기 각 승강프레임(411)(412)이 결합되고 타단에 무게추(481)(482)가 결합되는 체인(471)(472)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KR1020080115371A 2008-11-19 2008-11-19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KR20100056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71A KR20100056283A (ko) 2008-11-19 2008-11-19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371A KR20100056283A (ko) 2008-11-19 2008-11-19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283A true KR20100056283A (ko) 2010-05-27

Family

ID=4228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371A KR20100056283A (ko) 2008-11-19 2008-11-19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562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885A (zh) * 2019-08-31 2019-11-26 江苏奇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洗车机仿型风刀升降设备
CN111806397A (zh) * 2020-07-20 2020-10-23 上海赋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洗车设备
CN112026714A (zh) * 2020-09-17 2020-12-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轨道交通车辆用智能型清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7885A (zh) * 2019-08-31 2019-11-26 江苏奇禧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洗车机仿型风刀升降设备
CN111806397A (zh) * 2020-07-20 2020-10-23 上海赋懂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洗车设备
CN112026714A (zh) * 2020-09-17 2020-12-04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轨道交通车辆用智能型清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3264A (ko) 전기 자동차 하부 세척 장치
KR101562244B1 (ko) 지하철 건식 세척장치용 브러시 동작어셈블리
KR20100056283A (ko) 세차기의 탑브러시 승강 장치
CN107838093A (zh) 灭火器清洗机
CN111744910A (zh) 一种润滑油桶清理装置
CN213701133U (zh) 一种洗瓶装置
KR100825258B1 (ko) 자동세차기용 수직구동 안전장치
CN106043244A (zh) 一种自动洗车机
CN205085116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的除尘结构
KR200444568Y1 (ko) 컨베이어벨트 세척장치
KR100793054B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자동세차기의 탑브러쉬
KR200189935Y1 (ko) 자동세차기에 있어서 수평세척장치
KR100491176B1 (ko)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KR100474871B1 (ko) 세차기의 탑회전체 구동장치
CN111038450A (zh) 一种全自动洗车机
KR200232942Y1 (ko) 대형버스 자동세척기에 있어서 수평세척장치
CN219112265U (zh) 一种种植盘清洗装置
CN205085114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
CN205085117U (zh) 一种用于汽车仪表盘上平板玻璃的擦拭装置的机架
JP3587063B2 (ja) 洗車機
CN212287161U (zh) 抛光装置
CN217222661U (zh) 一种纺织辊轴清洁装置
CN220077651U (zh) 一种化妆品生产输送机
CN102896105A (zh) 一种清洗槽内旋转机构
CN218343628U (zh) 一种自动爬楼清洗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