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5783B1 -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5783B1
KR100445783B1 KR10-2002-0069942A KR20020069942A KR100445783B1 KR 100445783 B1 KR100445783 B1 KR 100445783B1 KR 20020069942 A KR20020069942 A KR 20020069942A KR 100445783 B1 KR100445783 B1 KR 100445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leaned
rotating body
horizontal rotat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856A (ko
Inventor
김준섭
Original Assignee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5783B1/ko
Publication of KR20040041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5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5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2Vehicle dry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세차후 차량상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섬유부재의 접촉에 의해 제거토록 한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제거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상면 천건조부(300)는 외주면에 섬유부재(302)가 결합되고 피세정차량(C)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301)와, 수평회전체(30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5)와, 이동되는 피세정차량(C) 상면의 굴곡을 따라 수평회전체(30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면 천건조부(300)는 이동되는 피세정차량(C)의 상면에 상기 회전되는 섬유부재(302)가 접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물기제거장치는 피세정차량을 세차한 후 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섬유부재에 의한 접촉으로 제거함으로써 잔류물기의 제거율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가 설치된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단부에 평형봉을 설치함으로써, 수평회전체의 자중에 대한 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평회전체의 회동시 안정한 동작을 가능한다.

Description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A apparatus for eliminating a water from surface of a car}
본 발명은 세차후 피세정차량으로부터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고압의 에어분사에 의해 물기를 1차적으로 제거한 후 잔류하는 물기를 부직포와 같은 천으로 차량의 상면을 접촉하여 제거토록 한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세차기는 기능에 따라 연속형(連續形)(터널형) 자동 세차기와 문형(門形) 자동 세차기로 구분한다.
연속형 자동 세차기는 세차기본체가 고정되어 있고,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 수단을 이용하여 차량을 세차기본체 내에서 이동시키면서 물과 세제를 피세정차량의 표면에 분사시키고, 브러시를 이용하여 세척하고, 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자동차 표면의 물을 건조시킨다.
문형 자동 세차기는 연속형 자동 세차기와는 달리 피세정차량이 지정 위치에 정지해 있고, 세차기본체가 레일을 따라 전후로 이동하면서 위와 같은 동작을 하면서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한다.
상기 연속형 자동세차기의 일예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는 세차기본체(100)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00)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와 왁스부(20)와 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내뿜어서 건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참조, 컨베이어장치(40)의 견인롤러(41)에 의해 피세정차량(C)의 전륜(W)이 견인되면서 세차기본체(100) 내에 반입된다.
피세정차량(C)이 컨베이어장치(40)에 의해 이송되면, 우선 세정부(10)에서, 세정용 브러쉬(11)(21)가 작동되고, 스프레이장치로부터 세정수나 세제가 분무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이 세정된다. 피세정차량(C)이 계속해서 출구측을 향하여반송되면, 왁스부(20)에서 왁스용 브러쉬(21)(22)가 작동되고, 스프레이장치로부터 왁스액이 분무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이 도포된다.
또한 피세정차량(C)이 계속 반송되면, 다음에 건조부(30)에서, 건조용노즐(31)(32)이 작동되어서 피세정차량(C)의 표면이 건조되고, 피세정차량(C)은 롤러컨베이어(40)에 의해서 세차기본체(100)의 후방으로 반출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세차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정 및 왁스가 도포되어진 후 물기를 제거시키도록 고압의 에어를 분사시키는 탑노즐(31)과 사이드노즐(32)을 가지는 건조부(30)가 마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고압의 에어 토출방향 및 차량의 형상에 따라 잔여하는 물기가 존재하게 된다.
특히, 탑노즐(31) 및 사이드노즐(32)은 차량 표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된 채로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시키게 되어 물기들이 일방향으로 몰리게 되는데, 이때 물기들이 차량표면으로부터 완전히 제거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세차후 피세정차량의 상부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통상의 세차창치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에어 건조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 천건조부가 채용된 세차장치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를 나타낸 작동도,
도 5는 도 4의 요부 측면도,
도 6은 이동프레임 부분에 설치된 센서부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도 7a 내지 도 7d는 수평회전체의 회전각도에 따른 근접센서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a 내지 도 8c는 피세정차량에 접촉하는 수평회전체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세정부 20...왁스부
30...에어건조부 200...측면 천건조부
300...상면 천건조부 301...수평회전체
302...섬유부재 303...평형봉
305...구동모터 310...구동회전축
321,351...견인체인 330,360...이동프레임
332,362...회전봉 340,370...회동프레임
322,352...균형추 380...메인모터
C...피세정차량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고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건조부를 구비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외주면에 섬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수평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 상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수평회전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에 상기 회전되는 섬유부재가 접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세차기본체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이 고정되는 견인체인과, 상기 각 견인체인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각 회전봉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체의 안정된 회동을 위하여 우력(偶力)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회동프레임의 타단부에 상호 연결되는 평형봉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체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름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는 피세정차량을 세차한 후 상부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섬유부재에 의한 접촉으로 제거함으로써 잔류물기의 제거율이 대폭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설명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세차장치는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고 피세정차량의 상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건조부를 구비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 실시예의 물기제거장치가 채용된 세차기는 연속형 자동세차기를 나타낸다.
이 세차기는 세차기본체(100)와, 피세정차량(C)을 전방에서부터 세차기본체(100) 내를 경유하여 후방으로 반출하는 컨베이어장치(40)를 구비한다.
상기 세차기본체(100) 내에는 전방에서부터 순서대로 세정부(10), 왁스부(20),에어건조부(30), 측면 천건조부(200) 및 상면 천건조부(300)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정부(1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을 세정하는 세정용 브러쉬(11)(12)나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 세정수나 세제를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상기 왁스부(20)에는 상기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왁스액을 분무하는 스프레이장치(미도시)나 왁스용 브러쉬(21)(22) 등이 설치되며, 상기 에어건조부(30)에는 피세정차량(C)의 표면에 공기를 고압으로 내뿜어서 물기를 피세정차량(C)의 표면으로부터 제거시키는 건조용 노즐(31)(32) 등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으로서, 상기 피세정차량(C)의 상면을 건조시키는 상면 천건조부(3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상면 천건조부(300)는 외주면에 섬유부재(302)가 결합되고 상기 피세정차량(C)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301)와,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305)와,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C) 상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상면 천건조부(300)는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C)의 상면에 상기 회전되는 섬유부재(302)가 접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도 4 및 도 5참조, 상기 세차기본체(100)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38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310)과, 상기 구동회전축(310)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306)(307)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306)(307)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306)(307)에 구름접촉하는 가이드롤러(331)(361)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프레임(330)(360)과, 상기 구동회전축(310)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310)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330)(360)이 고정되는 견인체인(321)(351)과, 상기 각 견인체인(321)(351)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322)(352)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330)(36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332)(362)과, 상기 각 회전봉(332)(362)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301)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305)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340)(370)을 구비하여 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구동회전축(310)에는 메인모터(380)와 체인 연결되는구동스프로켓(311)과, 상기 각 견인체인(321)(351)이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312)(313)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평회전체(301)는 상기 구동모터(305)와 상호 체인(341)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회전체(301)의 안정된 회동을 위하여 우력(偶力)이 발생하도록 상기 각 회동프레임(340)(370)의 타단부에는 평형봉(303)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동프레임(330)의 일측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근접센서(335)(336)(337)들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회전봉(332)에는 상기 근접센서(335)(336)(337)들에 선택적으로 근접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센서아암(333)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근접센서(335)(336)(337)는 광센서로서 상기 센서아암(333)의 근접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하여 상기 메인모터(38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먼저, 컨베이어장치(40)에 의해서 피세정차량(C)이 견인되면서 세정부(10),왁스부(20), 에어건조부(30) 및 측면 천건조부(200)를 경유하면서, 피세정차량(C)이 세정 및 왁스가 행하여지고 잔류하는 물기가 일차적으로 고압의 에어분사에 의해서 제거되고 측면부가 천의 접촉으로 물기가 제거된다.
한편, 상면 천건조부(300)에서는 도 7a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프레임(330)(360)과 회동프레임(340)(370)이 상기 수평회전체(301)의 자중에 의해서 상호 나란하게 놓이게 되어 상기 센서아암(333)이 상기 근접센서(335)(336)(337)들을 차단시킨 상태에 있게 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상기메인모터(380)가 일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하강시킨다.
또한, 상면 천건조부(300)에 진입하는 피세정차량(C)을 감지한 센서(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구동모터(305)가 작동하여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회전구동시키며, 이때 섬유부재(302)는 회전 원심력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펼쳐지게 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세정차량(C)의 선단이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접촉하여 밀게 되면, 회전봉(332)(362)을 중심으로 수평회전체(301)가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따라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근접센서(335)가 센서아암(333)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메인모터(380)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수평회전체(301)는 피세정차량(C)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구동되어 섬유부재(302)에 의해서 상부표면에 잔류하는 물기를 흡수하여 제거시킨다.
컨베이어(40)에 의해 견인되는 피세정차량(C)이 상기 수평회전체(301)를 밀면서 계속하여 전진하게 되면, 예컨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세정차량(C)의 앞유리창부분에 수평회전체(301)를 접촉하게 되면 수평회전체(301)는 보다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어 큰 압력으로 피세정차량(C)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체(301)가 회전봉(332)(362)을 중심으로 큰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므로 두개의 근접센서(335)(336)가 센서아암(333)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하나의 근접센서(337)만이 작동하게 된다. 이에따라서 메인모터(380)는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30)(370) 및수평회전체(301)를 견인하여 일정거리 상승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회전체(301)는 피세정차량(C)에 일정압력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구동되어 섬유부재(302)로 하여금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하게 한다.
한편,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회전체(301)가 과도하게 회전되게 되면 근접센서(335)(336)(337)들이 모두 센서아암(333)으로부터 벗어나게 됨으로써, 승강모터(380)는 비상정지하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근접센서(335)(336)(337)들은 상기 승강모터(380)를 정역으로 회전구동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전체(301)는 피세정차량(C)의 접촉에 의해서 회동되게 되며, 또한 피세정차량(C)의 상면 굴곡을 따라 회동되게 되므로 굴곡이 심한 부분에 까지도 섬유부재(302)에 의해서 잔류하는 물기의 완전한 제거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원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이탈함이 없이 많은 변형을 가하여 실시될 수 있음은 두말 할 것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물기제거장치는 피세정차량을 세차한 후 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섬유부재에 의한 접촉으로 제거함으로써 잔류물기의 제거율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가 설치된 상기 회동프레임의 타단부에 평형봉을 설치함으로써, 수평회전체의 자중에 대한 우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평회전체의 회동시 안정한 동작을 가능한다.

Claims (5)

  1. 피세정차량과 세차기본체를 상대이동시키면서 상기 피세정차량에 대해서 세차를 행하고 피세정차량의 상면부에 잔류하는 물기를 제거시키는 건조부를 구비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외주면에 섬유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피세정차량의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회전체와,
    상기 수평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 상면의 굴곡을 따라 상기 수평회전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이동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에 상기 회전되는 섬유부재가 접촉하여 물기를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세차기본체 상부에 마련되며 메인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각 가이드프레임에 상하방향으로 안내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구동회전축의 동력으로 상하방향으로 왕복 견인되며 일단에 상기 각 이동프레임이 고정되는 견인체인과,
    상기 각 견인체인의 타단에 매달려지는 균형추와,
    상기 각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봉과,
    상기 각 회전봉의 자유단부에 고정결합되며 각 일단부에 상기 수평회전체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구동모터가 지지되는 회동프레임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회동프레임의 타단부에 상호 연결되는 평형봉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회전체는 상기 구동모터와 상호 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구름접촉하는 가이드롤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KR10-2002-0069942A 2002-11-12 2002-11-12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KR100445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42A KR100445783B1 (ko) 2002-11-12 2002-11-12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942A KR100445783B1 (ko) 2002-11-12 2002-11-12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56A KR20040041856A (ko) 2004-05-20
KR100445783B1 true KR100445783B1 (ko) 2004-08-25

Family

ID=3733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942A KR100445783B1 (ko) 2002-11-12 2002-11-12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5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034A (ja) * 1982-11-24 1984-06-02 Takeuchi Tekko Kk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H0443147Y2 (ko) * 1987-03-09 1992-10-13
JP2000302016A (ja) * 1990-03-30 2000-10-31 Takeuchi Techno Kk 洗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6034A (ja) * 1982-11-24 1984-06-02 Takeuchi Tekko Kk 車両の上面洗浄装置
JPH0443147Y2 (ko) * 1987-03-09 1992-10-13
JP2000302016A (ja) * 1990-03-30 2000-10-31 Takeuchi Techno Kk 洗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856A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7858A1 (en) Device for washing vehicles
CA1334504C (en) Vehicle wash apparatus
US3428983A (en) Vehicle washer
US4685169A (en) Vehicle wash and dryer
KR102171139B1 (ko) 자동세차기의 휠 세척장치
CN112477817A (zh) 一种无人值守隧道式洗车机
KR100445783B1 (ko) 피세정차량의 상면부 물기 제거장치
US6055994A (en) Underbody wash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US3909865A (en) Car wash apparatus
KR100491176B1 (ko) 차량의 물기제거 장치
KR20040041855A (ko) 세차기의 물기 제거장치
KR100474871B1 (ko) 세차기의 탑회전체 구동장치
KR200307811Y1 (ko) 세차기의 물기제거 장치
KR200311425Y1 (ko) 자동세차장치
JPH08207714A (ja) 超音波洗浄ノズルを備えた洗車機
JPS59102647A (ja) 洗車方法
KR200303944Y1 (ko) 세차용 회전체
CN216631880U (zh) 一种新型玻璃清洗机
JP5257279B2 (ja) 洗車機の制御方法
CN219967505U (zh) 花岗岩提锈机
KR970002257Y1 (ko) 자동차의 하부 세척장치
KR200307810Y1 (ko) 세차기의 물기제거 장치
CN115716464A (zh) 洗车机器人
JPS59195458A (ja) 車体下回り自動洗浄機
JP2946289B2 (ja) 車両の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処理組立体の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306

Effective date: 20070829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70412

Effective date: 20070829

EXTG Ip right invalidated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