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1647Y1 -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1647Y1
KR200421647Y1 KR2020060011617U KR20060011617U KR200421647Y1 KR 200421647 Y1 KR200421647 Y1 KR 200421647Y1 KR 2020060011617 U KR2020060011617 U KR 2020060011617U KR 20060011617 U KR20060011617 U KR 20060011617U KR 200421647 Y1 KR200421647 Y1 KR 2004216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rod
side plate
cable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16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박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현 filed Critical 박정현
Priority to KR20200600116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16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16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16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공장 내의 필요한 곳으로 각각 안내하면서 외관상 정리된 상태로 유지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을 안내하는 측판과 케이블을 상측에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은 비접착형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이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공수가 줄어들고, 접착제 불량 도포에 의한 접착 불량의 문제점이나 사용기간 경과에 따른 접착부분 약화에 의한 불량의 문제점이 없어 간편하고 견고하며,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

Description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Joining structure of ladder cable tray system}
도 1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종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연결 유닛(300)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연결 유닛(300)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고정못(700)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고정못(900)을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케이블 지지봉(650)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본 고안은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개선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장 내의 각종 전기설비, 제어설비등을 구동하기 위해서 공장 내에는 여러 가닥의 케이블이 사용되게 되는데, 이러한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공장 내의 필요한 곳으로 각각 안내하면서 외관상 정리된 상태로 유지하는 시스템이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서로 내면이 마주보도록 배열되어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케이블을 원하는 위치로 안내하는 측판(10)과, 마주보는 두개의 측판(10)간을 이어주면서 케이블(미도시)의 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20)의 결합을 기본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10)과 케이블 지지봉(20)의 결합 구조는 시스템 전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측판(10)과 케이블 지지봉(20)의 결합 구조는 케이블의 하중에 의한 변형을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사용기간이 경과하여도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도 2는 측판(10)과 케이블 지지봉(20)의 종래 결합 구조를 분해사시도로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결합 구조에서는 케이블 지지봉(20)에 원형 단면의 삽입공(21)이 형성되어 있고, 측판(10)에는 상기 삽입공(21)에 대응하는 원형의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지지봉(20)과 측판(10)의 결합을 위해서는 삽입공(21)과 관통공(11)을 정렬한 상태에서 머리부(32)와 몸통부(31)로 구성된 고정못(30)의 몸통부(31)를 관통공(11)으로 통과시켜 삽입공(21)에 삽입하 였다. 이때, 결합 후 사용 과정 중에 고정못(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못(30)의 몸통부(31) 외주면과 머리부(32) 밑면에 접착제를 발라 고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접착제를 사용하는 종래의 결합 구조에서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설치 과정에서 뒤틀림이 있는 경우나, 케이블을 케이블 지지봉(20)에 얹는 과정에서 약간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품질 불량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으며, 접착제를 잘못 도포한 경우나 제대로 도포한 경우에도 설치 후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접착 부분이 약화되어 떨어지는 경우도 빈번하여 이로 인한 품질 불량 사례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상당 부분은 공장내의 고소에 설치되므로 이러한 품질 불량 사례가 발생하면 그 불량 부분을 보수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보수시 접착과정을 포함하여 많은 공수가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공수가 줄어들고, 접착제 불량 도포에 의한 접착 불량의 문제점이나 사용기간 경과에 따른 접착부분 약화에 의한 불량의 문제점이 없는 간편하고 견고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접착제 도포 과정이 없음에 따라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케이블을 안내하는 측판과 케이블을 상측에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은 비접착형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접착형 고정 수단은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유닛과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는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외부를 구성하면서 암나사부로 수나사가 삽입됨에 따라 단부가 벌어지는 다리부가 있고, 다리부 외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봉에는 연결 유닛 삽입시 상기 돌기부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접착형 고정 수단은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못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못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에는 고정못 삽입시 암나사부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나사가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비접착형 고정수단은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못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못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제 2 삽입공이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에는 고정못 삽입시 제 2 삽입공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 2 고정못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삽입공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케이블을 안내하는 측판과 케이블을 상측에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결합 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었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접착형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인 바, 케이블(미도시)을 안내하는 측판(100)과 케이블을 상측에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200)의 결합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접착형 고정 수단으로 케이블 지지봉(200)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10)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유닛(300)과 측판(100)에 형성된 관통공(110)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 유닛(300)에 결합되는 수나사(500)를 채용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연결 유닛(300)을 상세히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연결 유닛(300)을 상세히 보인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유 닛(300)에는 상기 수나사(500)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부(310)가 있고, 상기 암나사부(310)의 외부를 구성하면서 암나사부(310)로 수나사(500)가 삽입됨에 따라 단부가 벌어지는 다리부(330)가 있다. 다리부(330) 외측에는 돌기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봉(200)에는 연결 유닛(300) 삽입시 상기 돌기부(320)와 체결되는 체결공(220)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20)는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연결 유닛(3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먼저 암나사부(310)의 외부를 구성하는 다리부(330)를 상하에서 눌러주면서 밀어넣어 연결 유닛(300)을 케이블 지지봉(200)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210)에 삽입한다. 이때 돌기부(320)의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연결 유닛(30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리부(330) 외측에 형성된 돌기부(320)가 케이블 지지봉(200)의 체결공(220)에 체결되면 연결 유닛(300)의 삽입이 완료된다. 연결 유닛(3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수나사(500)를 사용하여 측판(100)과 케이블 지지봉(200) 간의 결합을 행하게 된다. 통상적인 수나사와 암나사 고정 방법과 같이 수나사(500)와 함께 피스(4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의 비접착형 고정 수단은 측판(10)에 형성된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600)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610)에 삽입되는 고정못(7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못(700)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암나사부(710)가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600)에는 고정 못(700) 삽입시 암나사부(710)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620)이 형성되어 있어 최종적으로는 수나사(500)가 상기 관통공(620)을 통과하여 상기 암나사부(71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결합 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못(700)의 머리쪽에는 삽입공(610)과의 밀착을 강화하는 돌기부(7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이 실시예어서의 비접착형 고정수단은 측판(10)에 형성된 관통공(11)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600)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610)에 삽입되는 고정못(9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못(900)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제 2 삽입공(910)이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600)에는 고정못(900) 삽입시 제 2 삽입공(910)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620)이 형성되어 제 2 고정못(800)이 상기 관통공(620)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삽입공(910)에 압입되는 것에 의해 결합 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못(900)의 머리쪽에는 삽입공(610)과의 밀착을 강화하는 돌기부(9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고정못(800)과 제 2 삽입공(910) 간의 결합은 기본적으로 압입에 의해 이루어지나 선택적으로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10은 본 고안에서의 결합 구조에서의 케이블 지지봉의 개선된 형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봉(650)에는 삽입공(660)이 형성되어 있는 외에 케이블이 얹히는 면에 나란하게 연장턱(670)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670)에는 케이블 고정을 위한 줄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680)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케이블을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하는데 매우 효과적이 다.
본 고안의 결합 구조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공수가 줄어들고, 접착제 불량 도포에 의한 접착 불량의 문제점이나 사용기간 경과에 따른 접착부분 약화에 의한 불량의 문제점이 없어 간편하고 견고하다.
또한, 본 고안의 결합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 과정이 없음에 따라 유지 보수의 필요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에도 간편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6)

  1. 케이블을 안내하는 측판과 케이블을 상측에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봉을 포함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은 비접착형 고정 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형 고정 수단은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는 연결 유닛과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 유닛에 결합되는 수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의 외부를 구성하면서 암나사부로 수나사가 삽입됨에 따라 단부가 벌어지는 다리부가 있고, 다리부 외측에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봉에는 연결 유닛 삽입시 상기 돌기부와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형 고정 수단은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못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못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에는 고정못 삽입시 암나사부가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수나사가 상기 관통공 을 통과하여 상기 암나사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착형 고정수단은 측판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케이블 지지봉 단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고정못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못 단부에는 반지름방향으로 제 2 삽입공이 형성되고, 케이블 지지봉에는 고정못 삽입시 제 2 삽입공이 위치하는 곳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 2 고정못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기 제 2 삽입공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못의 머리쪽에는 상기 삽입공과의 밀착을 강화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봉에는 케이블이 얹히는 면에 나란하게 연장턱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턱에는 케이블 고정을 위한 줄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 결합 구조.
KR2020060011617U 2006-04-29 2006-04-29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KR2004216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17U KR200421647Y1 (ko) 2006-04-29 2006-04-29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1617U KR200421647Y1 (ko) 2006-04-29 2006-04-29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1647Y1 true KR200421647Y1 (ko) 2006-07-18

Family

ID=4177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1617U KR200421647Y1 (ko) 2006-04-29 2006-04-29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16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53B1 (ko) * 2009-02-16 2011-08-11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KR101746753B1 (ko) 2016-12-12 2017-06-13 누리씨앤티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753B1 (ko) * 2009-02-16 2011-08-11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의 렁 결합용 인서트와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KR101746753B1 (ko) 2016-12-12 2017-06-13 누리씨앤티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8769C2 (ru) Компенсатор для ра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657939B1 (ko) 렁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KR20190060956A (ko) 매입형 앵커 및 그 시공방법
KR200421647Y1 (ko)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측판과 케이블 지지봉의결합 구조
KR200466046Y1 (ko) 목재데크 연결고정구
KR20130017177A (ko) 커플러
KR100763886B1 (ko) 커튼월 고정장치
KR101658738B1 (ko) 지하구조물의 라이닝 보수를 위한 보강공법
KR20160025961A (ko) 조립식 앵커
JP2005244216A (ja) 電子部品組み込み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00010561A (ko) 갱폼 고정장치
JP5008358B2 (ja) ユニットパネルセット及びユニットパネル工法
KR20190098408A (ko) 거푸집용 선시공 타입 볼트 어셈블리
KR101774826B1 (ko)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1769291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KR101195858B1 (ko) 단열재 고정장치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200288518Y1 (ko)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JP2005113543A (ja) コンクリ−トパネル壁面材の組立構造
KR101849956B1 (ko)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KR101142661B1 (ko) 벽패널 부착용 엠-바의 체결장치
KR20110129500A (ko) 접촉식 전원공급장치의 연결부 조인트
JP7325178B2 (ja) 外装板先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及び外装板先付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1987685B1 (ko) 이형 응력을 발생하는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JP2009155934A (ja) 化粧柱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