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8518Y1 -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 Google Patents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8518Y1
KR200288518Y1 KR2020020018187U KR20020018187U KR200288518Y1 KR 200288518 Y1 KR200288518 Y1 KR 200288518Y1 KR 2020020018187 U KR2020020018187 U KR 2020020018187U KR 20020018187 U KR20020018187 U KR 20020018187U KR 200288518 Y1 KR200288518 Y1 KR 200288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tachment
fitting
protrus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1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완식
Original Assignee
채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완식 filed Critical 채완식
Priority to KR20200200181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8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8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8518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육관, 일반 주택 등의 실내 바닥, 벽 또는 천장면에 사용되는 판재의 시공시,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시공후의 하자(瑕疵)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10)는,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2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20b)을 가지고, 상기 판재(1)의 제 1 걸림홈(4) 및 다른 판재(1)의 제 2 걸림홈(7)이 양쪽에서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21)가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 (21)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성결합홈부(2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이 형성된 제 1 부착판(20)과,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3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30b)을 가지고, 한쪽에는 상기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돌출부(3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이 형성된 제 2 부착판(30)과, 상호 결합된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와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양쪽의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 신축작용을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connection-type fixing apparatus for ins talling panel}
본 고안은 예를 들면 체육관, 일반 주택 등의 실내 바닥, 벽 또는 천장면에 시공되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판재의 시공시 판재가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되는 것을 감안한 여유간격을 형성하지 않아도 판재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하자(瑕疵)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재를 파손시키지 않고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한 건축 판재 부착방법 및 부착용 레일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 또는 일반 주택의 실내 바닥, 벽 또는 천장등의 부착면에 부착되는 건축용 판재는, 예를 들면 나무를 일정한 길이, 폭 및 두께로 절단한 기다란 판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여러개의 판재를 연이어 끼워맞춤하여 조립함으로써 부착하고 있다.
도 1은 건축용 판재를 부착면(A)에 조립하여 부착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부착면(A)에 나무재질의 기다란 받침대(100)를 일정한 간격으로 연이어 배치하고, 이 받침대(100)상에 판재(101)를 차례로 조립한다. 이때 판재 (101)에는 긴 변쪽 및 짧은 변쪽에 돌출부(104,105) 및 삽입홈(102,103)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04,105) 및 삽입홈(102,103)을 이용하여 서로 끼워맞춤하는 방식으로 차례로 조립하여 부착하며, 조립후 판재(101)들을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판재(101)와 받침대(100)를 못등의 고정수단이나 접착제로 고정하고 있다.
이때, 판재(101)는 나무로 제작되기 때문에, 보관장소 또는 설치장소의 환경, 즉 온도 및 습도의 변화에 따라 수축 및 팽창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길이가 긴쪽으로는 전체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량이 미소하여 수축 또는 팽창으로 인한 하자가 발생하지 않지만, 길이가 짧은 폭방향으로는 전체적으로 수축 또는 팽창량이 심하게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판재(101)가 수축하는 경우에는, 판재와 판재사이가 벌어져 틈새가생기게 되고, 이 틈새에 이물질이 끼여 들어가는 문제가 있으며, 또 바닥 표면이 미관상 좋지 않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판재가 팽창되는 경우에는, 그 만큼 폭방향으로 길어지므로 판재(101)가 서로 폭방향으로 밀착되고, 이로 인해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01)중 어느 한 조립부분에서 팽창력을 이기지 못하여 솟아오르는 돌출하자를 발생하게 된다.
이로인해, 끼워맞춤식 판재의 시공시에는, 판재 1개의 팽창에 의한 변위길이를 x 라 할 때, 판재(101)와 판재(101)사이에 여유간격을 x 만큼 두도록 하고 있다. 즉, 도 2는 종래의 판재에 의한 부착방법을 일례로 나타낸 것으로, 판재(101)의 일정 설치수, 예를 들면 판재 5개마다 여유간격 5x 를 형성하는 경우, 이를 위해 판재(101) 5개마다 5x 크기의 간격유지구(106)를 삽입해야 하며, 이 간격유지구 (106)는 시공완료후에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착방법은, 판재(101)의 수축 또는 팽창정도를 감안하여, 일정개수의 판재(101)마다 여유간격을 두어 간격유지구(106)를 삽입해야 하며, 시공종료후 다시 간격유지구(106)를 제거해야 하는 것이므로, 작업이 번거로워 판재조립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없고, 또 숙련자의 풍부한 경험이 필요하다.
특히 판재(101)는 운반과정이나 보관상태에 따라 설치직전의 판재의 수축 또는 팽창정도가 다르고, 또 판재를 설치하기 위한 장소의 온도 및 습도에 따라 판재의 수축 또는 팽창율이 다르기 때문에 비숙련공의 경우, 여유간격을 설정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숙련공인 경우에도 여유간격을 정확하게 설정하지 못함으로써 시공후 판재의 수축 또는 팽창 하자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리고, 시공시 일정거리마다 여유간격을 다수 형성하게 되면, 체육관등에서 판재상에 라인(L)을 그려 넣을 때,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간격에 의해 라인(L)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끊어져 시각적으로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또한, 하자 보수 또는 판재의 철거등으로 부착된 판재를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못이나 강력 접착제로 고정한 받침대 또는 판재를 분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아니라, 제거하는 과정에서 파손되어 폐기 되므로 자원 낭비는 물론,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시공이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시공후 온도변화에 따른 판재의 수축 및 팽창에 의한 하자(瑕疵) 발생이 거의 없고, 분리가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 판재 부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건축 판재 부착방법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의 (가),(나)는 종래의 건축 판재 부착방법에 의한 불량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를 결합한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확대단면도.
도 8은 도 5의 C-C선 확대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를 서로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의 도 9의 D-D선 확대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고정구에 의한 판재의 부착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고정구에 의한 판재의 부착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고정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재 2,3 : 돌출부
4,7 : 제 1 및 제 2 걸림홈 5,6 : 삽입홈
8 : 지지홈 9 : 받침재
10 : 고정구 20,30 : 제 1 및 제 2 부착판
21 : 후크돌기 22 : 탄성결합홈부
23 : 수의 끼워맞춤수단 23a : 가이드돌기
23b : 탄성끼워맞춤돌기 24,31 : 지지돌기
32 : 탄성결합돌출부 33 : 암의 끼워맞춤수단
33a : 삽입구멍 33b : 가이드레일
33c : 끼워맞춤구멍 40 : 탄성부재
51 : 내측끼워맞춤면 52 : 암의 끼워맞춤부
53 : 외측끼워맞춤면 54 : 수의 끼워맞춤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긴 변과 짧은변을 가지는 기다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긴변의 일측 가장자리변에 돌출부 및 제 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제 1 걸림홈의 반대측 가장자리변에 다른 판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판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상에 놓여지는 저면과 상기 판재가 놓여지는 상면을 가지고, 상기 판재의 제 1 걸림홈 및 다른 판재의 제 2 걸림홈이 양쪽에서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가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성결합홈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이 형성된 제 1 부착판과,
상기 판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상에 놓여지는 저면과 상기 판재가 놓여지는 상면을 가지고, 한쪽에는 상기 제 1 부착판의 탄성결합홈부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암의 끼워맞춤수단이 형성된 제 2 부착판과,
상호 결합된 제 1 부착판의 탄성결합홈부와 제 2 부착판의 탄성결합돌출부 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양쪽의 제 1 부착판과 제 2 부착판 사이에 신축작용을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판재의 바닥에 복수개의 지지홈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부착판에는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수의 끼워맞춤수단은 제 1 부착판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중앙의 가이드돌기와, 양쪽의 탄성끼워맞춤돌기로 구성하며,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은 제 2 부착판의 일측에 상기 수의 끼워맞춤수단이 삽입되는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이 삽입구멍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을 형성하며, 삽입구멍의 양측벽 안쪽면에는 탄성끼워맞춤돌기가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끼워맞춤구멍을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은, 제 2 부착판의 일측에 위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끼워맞춤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암의 끼워맞춤부로 구성하고, 수의 끼워맞춤수단은 제 1 부착판의 일측에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끼워맞춤면에 삽입되는 외측끼워맞춤면을 가지는 복수개의 수의 끼워맞춤부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건축용 판재를 바닥, 벽 및 천장에 부착하기 위한 고정구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고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판재(1)는 일반적으로 나무로 제작되며, 긴 변과 짧은 변을 가지는 기다란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1)는 한쪽의 긴 변과 짧은 변에 돌출부(2,3)가 형성되고, 긴 변쪽 돌출부(2)의 아래에는 제 1 걸림홈(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다른 반대쪽 긴 변과 짧은 변에는 삽입홈 (5,6)이 형성되고, 긴 변쪽 삽입홈(5)의 아래에는 제 2 걸림홈(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판재(1)와 판재(1)의 조립은, 한쪽 판재(1)의 돌출부(2,3)에 조립하고자하는 판재(1)의 삽입홈(5,6)을 끼워넣음으로써 이루어진다.
고정구(10)는 상기와 같은 판재(1)를 바닥, 벽 또는 천장등의 부착면(A)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상호 결합된 제 1 부착판(20) 및 제 2 부착판(30)과, 이 제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 탄력적으로 설치되는 탄성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부착판(20)은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2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20b)을 가지고 있으며, 판재(1)를 부착면(A)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소정높이의 양측 벽면(20c)을 가지고 있다.
제 1 부착판(20)의 상면(20b)에는 상기 판재(1)의 제 1 걸림홈(4) 및 다른 판재(1)의 제 2 걸림홈(7)이 양쪽에서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21)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21)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성결합홈부(2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결합홈부(22)측의 상면에는 지지돌기(24)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24)는 판재(1)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홈(8)에 삽입되어 판재(1)를 지지하게 된다.
제 2 부착판(30)은 제 1 부착판(20)과 마찬가지로,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3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30b)을 가지고 있으며, 판재(1)를 부착면(A)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한 소정높이의 양측 벽면(30c)을 가지고 있다.
제 2 부착판(30)의 상면(30b)에는 지지돌기(31)가 형성되고, 이 지지돌기 (31)는 판재(1)의 바닥면에 형성된 지지홈(8)에 삽입되어 제 1 부착판(20)의 지지돌기(24)와 함께 판재(1)를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돌기(31)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상기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돌출부 (3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가능한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이 형성되어 있다.
탄성결합홈부(22) 내에는 양쪽에 원형구멍(25)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탄성결합돌출부(32)에는 상기 원형구멍(25)으로 삽입 가능한 원형돌기(34)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40)는 상호 결합된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와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서 신축작용을 하도록 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축코일스프링 (40)으로 구성되어 있다.
탄성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에 형성된 원형구멍(25)에 각각 넣어져 설치되고, 제 1 부착판 (20)의 탄성결합홈부(22)와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를 결합한 상태에서는,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에 형성된 양쪽의 원형돌기(34)가 원형구멍(25)에 넣어진 압축코일스프링(40)의 일끝단에 맞닿아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개의 고정구(10)를 연결한 상태에서 하나의 후크돌기(21)와 인접한 후크돌기(21)사이를 서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부착판(30)의 원형돌기(34)가 제 1 부착판(20)의 원형구멍(25)안으로 삽입되면서, 압축코일스프링(40)을 압축시키게 되고, 이로써 압축된 압축코일스프링 (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쪽의 후크돌기(21)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탄성력을 받도록 된 구조이다.
이때, 상기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와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가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결합돌출부(32)에 걸림편(35)을 형성하고, 탄성결합홈부 (22)에는 절결부(26)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편(35)이 절결부(26)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절결부(26)는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의 신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 신축작용이 발생할 때, 걸림편(35)을 안내하여 신축방향으로의 가이드기능도 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결합홈부(22)의 바닥에는 걸림구멍 (27)을 형성하고, 탄성결합돌출부(32)에는 걸림턱(36)을 형성하여 탄성결합홈부 (22)와 탄성결합돌출부(32)가 걸림유지되도록 하고, 걸림턱(36)에는 고리(37)를 일체로 형성하여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을 분리하는 경우, 고리(37)를 당겨 걸림구멍(27)으로부터 걸림턱(36)을 이탈시키는 것을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구성의 고정구(10)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과 암의 끼워맞춤수단 (33)을 이용하여 여러개를 연이어서 분리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은, 제 1 부착판(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중앙의 가이드돌기(23a)와, 양쪽의 탄성끼워맞춤돌기(23b)로 구성한다.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은 제 2 부착판(30)의 일측에 상기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이 삽입되는 삽입구멍(33a)을 형성하고, 이 삽입구멍(33a)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3a)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33b)을 형성하며,삽입구멍(33a)의 양측벽 안쪽면에는 탄성끼워맞춤돌기(23b)가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끼워맞춤구멍(33c)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의 끼워맞춤수단(33)에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을 끼워맞춤하는 것에 의해 여러개의 고정구(10)를 연이어서 연결할 수 있고, 또 탄성끼워맞춤돌기(23b)가 끼워맞춤구멍(33c)에 걸림유지되는 것에 의해 고정구(10)는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탄성끼워맞춤돌기(23b)를 안쪽으로 누르는 아주 간편한 조작에 의해 탄성끼워맞춤돌기(23b)의 걸림유지상태가 해제되므로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암,수의 끼워맞춤수단(33,23)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은, 제 2 부착판(30)의 일측에 위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내측끼워맞춤면(51)을 가지는 복수개의 암의 끼워맞춤부(52)로 구성하고,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은 제 1 부착판(20)의 일측에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끼워맞춤면(51)에 삽입되는 외측끼워맞춤면(53)을 가지는 복수개의 수의 끼워맞춤부(54)로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2 부착판(30)의 내측끼워맞춤면(51)에 제 1 부착판(20)의 외측끼워맞춤면(53)을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개의 고정구(10)를 연이어서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끼워맞춤방향이 위아래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좌우 수평방향으로 분리될 염려는 없다. 또한 고정구(10)가 끼워맞춤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분리도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정구(10)로 판재(1)를 부착면(A)에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에 고정구(10)를 폭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시켜 복수열로 배치하고, 여러개의 고정구(10)를 암,수의 끼워맞춤수단 (33,23)인 끼워맞춤구멍(33c)과 탄성끼워맞춤돌기(23b)를 이용하여 연이어서 길게 연결한다. 이때 열과 열사이의 이격거리는 판재(1)의 길이보다 짧아야 한다. 처음 부착되는 판재(1)는 벽면과 여유간격을 두어 받침재(9)로 지지하여 설치하고, 제 1 걸림홈(4)을 고정구(10)의 후크돌기(21)에 끼워맞춤한다.
이어서 판재(1)를 연이어 조립할 때에는 약간 비스듬이 경사지게 하여 삽입홈(5)을 조립되어 있는 판재(1)의 돌출부(2)에 끼움과 동시에, 제 2 걸림홈(7)을 고정구(10)의 후크돌기(21)에 끼워맞춤한 후, 제 1 걸림홈(4)을 인접한 그 다음 고정구(10)의 후크돌기(21)에 끼워 넣는다. 이때 후크돌기(21)의 상면은 곡면으로 형성된 것이므로 제 1 걸림홈(4)의 끼워맞춤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판재(1)들을 연속하여 조립하면, 판재(1)를 고정구(10)상에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조립하여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앞의 후크돌기(21)와 인접한 뒤의 후크돌기(21)사이거리(L1)는 판재 (1)의 제 1 걸림홈(4)과 제 2 걸림홈(7)사이거리(L2)보다 짧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걸림홈(7)이 후크돌기(21)에 끼워맞춤되면,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가 이격되어 앞의 후크돌기(21)와 뒤의 후크돌기(21)사이거리가 L2 - L1 만큼 길어지게 되고, 판재(1)의 제 1 걸림홈(4)과 제 2 걸림홈(7)사이거리(L2)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40)은 그 만큼 압축되고, 제 1 부착판(20) 및 제 2 부착판(30)은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서로 당기는 형태가 되어 양쪽의 후크돌기(21) 사이에 판재(1)가 꼭 끼여 고정구(10)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구(10)를 길이방향으로 연이어 배치하면서 연속하여 조립하면, 판재(1)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고, 부착된 판재(1)들은 압축된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전체적으로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여 부착면(A)으로부터 들뜨거나 분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부착된 판재(1)는, 계절 또는 환경에 따른 온도변화에 의하여 판재(1)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 탄성부재(40)에 의해 흡수되어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설치장소의 온도 및 습도 변화에 의해 판재(1)가 폭방향으로 수축될 때, 그 만큼 압축코일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양쪽의 후크돌기(21)가 당겨지고, 판재(1)가 팽창될 때에는 그 만큼 압축코일스프링(40)이 신장하게 된다. 따라서 압축코일스프링(40)의 신축작용에 의해 판재(1)의 수축 또는 팽창시 이를 흡수할 뿐만아니라 탄성복원력으로 항상 판재(1)의 연결부위를 밀착시키게 되므로 종전의 판재 부착방법과 같이 일정거리마다 여유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일정거리마다 여유간격을 설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해소되므로, 비숙련자일지라도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여유간격에 간격유지구를 끼우고 시공을 마친후 간격유지구를 다시 빼내야 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필요없게 됨으로써 판재(1)의 시공을 더욱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 할 수 있다.
더욱이, 여유간격을 잘못 설정함으로써 발생하는 시공후의 하자, 즉 판재의 수축시 판재와 판재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거나, 판재의 팽창시 팽창력에 의한 돌출하자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판재(1)의 표면에 라인을 그리는 경우에도 틈새가 제거됨으로써 끊어짐 없는 라인을 그릴 수 있고, 미관상 보기에도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의하면, 판재를 조립하여 부착하는 작업이 고정구에 의하여 매우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판재의 조립시 여유공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비숙련자에 의해서도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공시의 인건비 및 작업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판재의 부착후, 온도변화에 따라 판재가 수축 또는 팽창하는 경우에도 탄성부재에 의해 신축가능하게 된 고정구에 의하여 흡수되므로, 시공후 온도변화에 따른 하자(瑕疵)발생이 없고, 파손시키지 않고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자원절약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긴 변과 짧은변을 가지는 기다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긴변의 일측 가장자리변에 돌출부 및 제 1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와 제 1 걸림홈의 반대측 가장자리변에 다른 판재의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홈 및 제 2 걸림홈이 형성된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2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20b)을 가지고, 상기 판재(1)의 제 1 걸림홈(4) 및 다른 판재(1)의 제 2 걸림홈(7)이 양쪽에서 걸림유지되는 후크돌기(21)가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상기 후크돌기(21)를 중심으로 한쪽에는 탄성결합홈부(2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이 형성된 제 1 부착판(20)과,
    상기 판재(1)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면(A)상에 놓여지는 저면(30a)과 상기 판재(1)가 놓여지는 상면(30b)을 가지고, 한쪽에는 상기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에 결합되는 탄성결합돌출부(32)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수의 끼워맞춤수단(23)에 대응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이 형성된 제 2 부착판(30)과,
    상호 결합된 제 1 부착판(20)의 탄성결합홈부(22)와 제 2 부착판(30)의 탄성결합돌출부(32)사이에 탄력설치되어 양쪽의 제 1 부착판(20)과 제 2 부착판(30)사이에 신축작용을 하는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하는 탄성부재(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1)의 바닥에 복수개의 지지홈(8)을 길이방향으로 형성하고, 제 1 및 제 2 부착판(20,30)에는 상기 지지홈(8)에 삽입되어 판재(1)를 지지하는 지지돌기(24,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은 제 1 부착판 (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중앙의 가이드돌기(23a)와, 양쪽의 탄성끼워맞춤돌기(23b)로 구성하며,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은 제 2 부착판(30)의 일측에 상기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이 삽입되는 삽입구멍(33a)을 형성하고, 이 삽입구멍 (33a)의 상하측 안쪽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23a)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33b)을 형성하며, 삽입구멍(33a)의 양측벽면에는 탄성끼워맞춤돌기(23b)가 탄력적으로 걸림유지되는 끼워맞춤구멍(33c)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의 끼워맞춤수단(33)은, 제 2 부착판(30)의 일측에 위방향으로 형성되어 내측끼워맞춤면(51)을 가지는 복수개의 암의 끼워맞춤부(52)로 구성하고, 수의 끼워맞춤수단(23)은 제 1 부착판(20)의 일측에 아래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끼워맞춤면(51)에 삽입되는 외측끼워맞춤면(53)을 가지는 복수개의 수의 끼워맞춤부(54)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판재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KR2020020018187U 2002-06-15 2002-06-15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KR200288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87U KR200288518Y1 (ko) 2002-06-15 2002-06-15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187U KR200288518Y1 (ko) 2002-06-15 2002-06-15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8518Y1 true KR200288518Y1 (ko) 2002-09-11

Family

ID=73124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187U KR200288518Y1 (ko) 2002-06-15 2002-06-15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85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43B1 (ko) 2008-04-04 2008-09-17 간석목재산업 주식회사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
CN114607055A (zh) * 2022-01-17 2022-06-10 安徽省建筑工程质量第二监督检测站 一种装配式建筑用的多层连接装置
CN114704044A (zh) * 2022-04-12 2022-07-05 宁波禾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快装龙骨结构及板材安装组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843B1 (ko) 2008-04-04 2008-09-17 간석목재산업 주식회사 마루바닥재의 하부지지대 조립구조
CN114607055A (zh) * 2022-01-17 2022-06-10 安徽省建筑工程质量第二监督检测站 一种装配式建筑用的多层连接装置
CN114607055B (zh) * 2022-01-17 2024-02-27 安徽天筑建筑机械检测服务有限公司 一种装配式建筑用的多层连接装置
CN114704044A (zh) * 2022-04-12 2022-07-05 宁波禾隆新材料股份有限公司 快装龙骨结构及板材安装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549B1 (ko) 건축 판재 부착방법 및 부착용 레일식 고정구
US8056294B2 (en) Concealed suspension ceiling with downward removable panels
CN109680895B (zh) 一种插卡方式固定上钩头的插入式挂件
KR102189496B1 (ko) 벽체 배수판 설치용 조립식 프레임 시스템
KR20090117289A (ko) 채널형 클립이 적용되는 테크 자재의 결합 시스템
KR200288518Y1 (ko) 건축 판재 부착용 연결식 고정구
EP3587693B1 (en) Connection clip for securing a panel to a support grid
CN109629736A (zh) 一种便捷式轻钢龙骨连接结构
KR200287078Y1 (ko) 건축 판재 부착용 레일식 고정구
JP2006214129A (ja) タイル取付け構造およびタイル配設基板
KR20200048077A (ko) 설치 및 교체가 용이한 벽 패널 조립체
KR20090005211U (ko) 천정판 클램프
CN114197726A (zh) 一种勾搭式装配式吊顶及安装方法
KR100806188B1 (ko) 석재패널 고정장치 및 시공방법
CN219753806U (zh) 一种便于安装的室外多孔铝单板
CN219863569U (zh) 一种模块化安装的高稳定性幕墙
CN212295503U (zh) 卡扣固定件、装潢材料结构及装潢材料固定组件
CN217353163U (zh) 一种吊顶工字件接长结构
CN216766624U (zh) 一种可降低安装厚度的龙骨架结构
CN220184387U (zh) 一种干挂式瓷砖幕墙结构
CN216766625U (zh) 一种用于与龙骨安装的固定结构
CN218508902U (zh) 一种基于组合式插挂件的装配式可拆卸墙面设计结构
CN216766626U (zh) 一种装饰面安装结构
CN215407111U (zh) 墙面板材拼接扣件
CN113863561A (zh) 一种平接凸面土字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