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4826B1 -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4826B1
KR101774826B1 KR1020150092115A KR20150092115A KR101774826B1 KR 101774826 B1 KR101774826 B1 KR 101774826B1 KR 1020150092115 A KR1020150092115 A KR 1020150092115A KR 20150092115 A KR20150092115 A KR 20150092115A KR 101774826 B1 KR101774826 B1 KR 10177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ranch hole
branch
cable tray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114A (ko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092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4826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사이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사이드 레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분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들,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바닥면에 포설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분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와 병설되는 전등기구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분기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에는 캡너트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을 고정하는 분기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캡너트가 결합하는 나사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서 상기 분기공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분기공의 다각형을 이루는 각 선분에 대응하는 삽입편들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내측면의 상기 분기공에 걸리도록 경사진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Cable Tray System for Branch Laying of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분기 포설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바닥, 벽체를 따라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케이블을 정리 정돈상태로 지지 고정하기 위하여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불연성 또는 금속 소재로 만들어진 관로재로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좌, 우측 측면부를 이루는 한쌍의 사이드레일부와 사이드레일부를 바닥에서 일체로 연결하는 방식과 상기한 사이드 레일부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는 가로연결부재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는 전등기구 혹은 분기박스 등으로 분기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레일부를 넘겨서 분기하는 등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미관상으로 불리하고, 새로운 케이블 트레이를 증설할 경우에는 경제적으로도 큰 손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14-0004322호 (공개일 : 2014.01.13)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9-0061733호 (공개일 " 2009.06.17)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측면의 사이드 레일에서 타 케이블 트레이 측면의 사이드 레일로 연결되도록 케이블을 분기하여 포설이 가능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사이드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사이드 레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분기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들;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바닥면에 포설되며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분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병설되는 전등기구에 연결되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관통 삽입되고 일단은 상기 분기공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에는 캡너트가 나사 결합하여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을 고정하는 분기 케이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캡너트가 결합하는 나사부와 상기 삽입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서 상기 분기공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파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분기공의 다각형을 이루는 각 선분에 대응하는 삽입편들로 구성되고, 상기 삽입편의 단부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 내측면의 상기 분기공에 걸리도록 경사진 걸림턱이 형성되는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은 외주면에 스크류 슬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캡너트는 일 단부가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의 상기 스크류 슬리브를 홀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공 삽입 전 패킹링을 개재하여 결합하고, 상기 캡너트는 상기 분기 케이블 커넥터와 사이에 패킹링을 개재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기공은 사각형, 오각형, 또는 육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기 분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편들이 모여 상기 분기공의 다각형 형상을 이루고, 상기 삽입부의 내주면의 윤곽은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케이블 트레이 설치 후 추가적인 케이블 포설 시 분기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는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공에 삽입편들을 관통하여 고정할 때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공 두께외에 패킹링의 두께만큼 간격의 걸림홈부에 개재됨으로써 단단하게 밀착됨과 아울러 커넥터 바디에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캡너트로 커넥터 바디를 조이라도 커넥터 바디가 겉돌지 않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도 2의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사이드 레일부를 나타낸 도면,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 그리고
도 7 은 도 6의 케이블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이 터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등기구(400)와 이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케이블 등이 포설되는 케이블 트레이(100)가 설치된 후 추가로 전등기구(400') 등을 병설하는 경우, 케이블 트레이(100)로부터 전등기구(400') 사이에 케이블(300)을 연결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케이블 트레이(100)의 사이드레일부를 통과하는 방식의 분기가 가능해야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은 도 2의 케이블 시스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합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면 사이드 레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기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은 케이블 트레이(100), 플렉서블 케이블(300),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 캡너트(220), 및 패킹링(230,240)을 포함한다.
케이블 트레이(100)는 바닥면(120)과, 이 바닥면(120)의 길이 방향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 사이드 레일부(110)를 포함한다. 도시되는 바와 같이 측면 사이드 레일부(110)에는 하나 이상의 다각형 형상의 분기공(111)이 관통하여 형성된다. 다각형 형상은 정사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렉서블 케이블(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0)들 중 하나의 분기공(111)을 통과하여 전등기구(400,400')에 연결되어 전등기구(400,400')에 전기를 인가한다. 플렉서블 케이블(3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주면이 스크류 슬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주면이 스크류 슬리브 형상을 가지면 별도의 구성 요소를 추가하지 않고도 캡너트(220)가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4와 도 6 및 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플렉서블 케이블(300)이 내부 공간에 관통 삽입되고 일단은 분기공(111)에 삽입 결합되고 타단에는 캡너트(220)가 나사 결합하여 플렉서블 케이블(300)을 측면 사이드 레일부(110)에 고정한다.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분기공(111)에 삽입되는 삽입부(213)와, 캡너트(220)가 결합하는 나사부(212)와, 삽입부(213)와 나사부(212) 사이에서 분기공(111)의 외경보다 외경이 큰 파지부(211)로 구성되고, 삽입부(213)는 분기공(111)의 다각형을 이루는 각 선분에 대응하는 삽입편(213a)들로 구성되고, 삽입편(213a)의 단부는 케이블 트레이(100) 내측면의 분기공(111)에 걸리도록 경사진 걸림턱(214)이 형성된다.
캡너트(220)는 일반적인 너트구조를 이루는 외주면이 각면을 이루고, 전,후방을 연통하는 개구부를 이루되 후단측 개구부 내측으로 개구직경이 소정길이로 작아져 개구부가 일정길이 좁아지는 밀착편(222)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밀착편(222)는 캡너트(220)를 나사로 맞추는 조립과정에서 그 조립말기에 패킹링(230)을 가압하여 플렉서브 케이블(300)의 외측을 가압지지할 수 있게 된다. 삽입편(213a)의 걸림턱(214)은 걸림턱(214)의 최대 돌출 둘레가 분기공(111)의 외경보다 더 크게 벌려진 간격(b)을 형성하여, 걸림턱(214)이 분기공(111)에 걸릴 때 조임탄력으로 걸리게 된다. 삽입편(213a)은 다각형 각 선분마다 각각 분리되어 형성할 수 있으므로 삽입시 각각 내측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삽입편(213a)의 걸림턱(214) 하측의 걸림홈부(213b)는 측면 사이드 레일부(110)의 두께(a)에 따라 형성되므로 케이블 트레이(110)두께외에 패킹링(230)이 밀착 지지되어 있다.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의 삽입부(213)는 삽입편(213a)들이 모여 분기공(111)의 다각형 형상을 이루고, 삽입부(213)의 내주면의 윤곽은 케이블의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는 케이블 트레이(100)의 분기공(111)에 삽입 시 패킹링(230)을 개재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너트(220)는 일 단부가 플렉서블 케이블(300)의 스크류 슬리브를 홀드하도록 단부 내경이 너트 외주면 둘레보다 작게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의 상기 나사부(212)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캡너트(220)는 분기 케이블 커넥터와 사이에 패킹링(240)을 개재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의 결합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케이블 분기를 위해 측면 사이드 레일부(110)의 분기공(111)을 통해 플렉서블 케이블(300)이 빠져 나오면, 패킹링(230)을 개재하여 분기 케이블 커넥터(200)의 삽입부(213)가 삽입된다. 삽입편(213a)이 내측으로 탄성을 받아 삽입된 후 외측으로 복원되어 걸림턱(214)이 분기공(111) 내측에 걸리게 된다. 이때 파지부(211)는 분기공(111) 보다 외경이 크게 형성되어 플레이트(110) 외측에 걸림과 동시에 작업자는 파지부(211)를 쥐고 작업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바디(210)를 겉돌지 않도록 단단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캡너트(220)를 패킹링(240)을 개재하여 결합할 수 있다. 캡너트(220)는 케이블 커넥터 바디(210)의 나사부(212)에 나사결합하게 된다. 캡너트(220)는 단부가 플렉서블 케이블(300)의 스크류 슬리브를 홀드하여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케이블 트레이 110 : 측면 사이드 레일부
111 : 분기공 200 : 분기 케이블 커넥터
210 : 커넥터 바디 211 : 파지부
212 : 나사부 213 : 삽입부
213a:삽입편 213b: 연결홈부
214 : 걸림턱 220 : 캡너트
222: 밀착편 230, 240 : 패킹링
300 : 플렉서블 케이블 400,400' : 전등기구.

Claims (8)

  1.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길이 방향 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레일부와, 상기 사이드 레일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각면을 형성하는 다각형의 분기공을 형성하는 케이블 트레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상기 분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블 트레이 내부로 삽입되며, 이 삽입되는 전,후의 플렉서블 케이블 구간의 외주면에 스크류 슬리브를 형성하는 플렉서블 케이블; 및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이 삽입,고정되도록 상기 분기공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을 캡너트로서 나사로 맞추어 고정하는 커넥터 바디로 조립되는 분기 케이블 커넥터;
    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선단측에 상기 다각형 각면에 대응하는 삽입편들을 수개 형성한 삽입부;
    후단측에 상기 캡너트가 나사로 맞추어지도록 형성되는 나사부; 및
    상기 삽입부와 상기 나사부 사이에서 상기 분기공의 외경보다 크게 외경을 이루며 상기 캡너트와의 결합시 파지되는 파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선단측에 상기 분기공에서 삽입되어 걸리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이 걸림턱은 그 후방으로 상기 분기공 삽입시 패킹링을 함께 삽입시켜 밀착되는 간격(a)을 형성한 연결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케이블 커넥터는,
    상기 캡너트와의 나사 맞춤시에 상기 플렉서블 케이블을 밀착시키도록 밀착편으로 밀착되는 패킹링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92115A 2015-06-29 2015-06-29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KR10177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15A KR101774826B1 (ko) 2015-06-29 2015-06-29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115A KR101774826B1 (ko) 2015-06-29 2015-06-29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14A KR20170002114A (ko) 2017-01-06
KR101774826B1 true KR101774826B1 (ko) 2017-09-05

Family

ID=5783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115A KR101774826B1 (ko) 2015-06-29 2015-06-29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48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8465B1 (ko) 2019-07-02 2019-10-0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터널 조명 전원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KR20190002732U (ko) 2018-04-24 2019-11-0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15Y1 (ko) * 1999-07-26 2000-02-15 조추희 월아웃렛박스용 컨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1733A (ko) 2007-12-12 2009-06-17 태화전기주식회사 케이블트레이
KR20140004322A (ko) 2012-07-02 2014-01-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분기 및 크로스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115Y1 (ko) * 1999-07-26 2000-02-15 조추희 월아웃렛박스용 컨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732U (ko) 2018-04-24 2019-11-01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케이블 포설장치
KR102028465B1 (ko) 2019-07-02 2019-10-04 주식회사 성실엔지니어링 터널 조명 전원 케이블 트레이용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114A (ko) 2017-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2499B2 (ja) 天井埋込み型ラインタイプの照明装置
US8955998B2 (en) Lighting assembly for ceiling board
EA200800349A1 (ru) Собранный узел или блок, состоящий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из двух разных по размеру типов резьб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кабеля
MX2017009513A (es) Ensamble de iluminacion led modular y sistemas y metodos relacionados.
KR101774826B1 (ko)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US9816688B1 (en) Twist and lock glass shade mounting system and method of assembly
US9958141B2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KR101339301B1 (ko) 직간접 결합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등 장치
KR101152994B1 (ko) 수도꼭지용 급수호스 연결장치
US9979171B2 (en) Tubular parts and embeddable electrical boxes
US10302120B2 (en) Fixture connection device
US9234651B2 (en) Lighting fixture mounting post
JP6992075B2 (ja) 固定アセンブリ
KR200474488Y1 (ko) 케이블 보호캡
US11300275B2 (en) Support structure for horizontally extending lamp
EP2581643A1 (en) A lighting device, in particular a LED lighting device
PL2243966T3 (pl) Łącznik prętów do łączenia gwintowanych prętów
EP4068538A1 (en) Connection system for the quick fastening of a connector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20090007129U (ko) 개선된 결합 및 분리구조를 갖는 천정매다는 등
JP5797810B1 (ja) ライティングケース用ケーブル保持具
KR101522389B1 (ko) 조명기구나 cctv 카메라 설치용 레이스웨이
US1473794A (en) Combined fixture support and loom fastener
KR200462071Y1 (ko) 천정 매입형 조명기구의 행거 구조물
JP3190379U (ja) シーリングライト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