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02732U - 케이블 포설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02732U
KR20190002732U KR2020180001809U KR20180001809U KR20190002732U KR 20190002732 U KR20190002732 U KR 20190002732U KR 2020180001809 U KR2020180001809 U KR 2020180001809U KR 20180001809 U KR20180001809 U KR 20180001809U KR 20190002732 U KR20190002732 U KR 201900027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ble laying
laying apparatus
bu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1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점구
고영우
김은태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1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02732U/ko
Publication of KR201900027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7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 및 개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단 및 상기 제2몸체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2몸체의 타단을 고정하는 잠금 부재; 및 케이블과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간의 마찰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장치{Apparatus for Installing Cable}
본 고안은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표면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포설장치는 구조물 내에 다수의 케이블 설치하기 위한 보조 수단을 이용된다. 종래의 케이블 포설장치는 일 측이 개방된 상태로 케이블을 수용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에 의한 케이블 설치작업 중 일부 케이블이 이탈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한다. 아울러, 종래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과 마찰접촉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자에 의한 케이블 설치작업 중 케이블의 표면에 훼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 및 2가 있다.
KR 10-1774826 B1 KR 10-1707406 B1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표면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 및 개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단 및 상기 제2몸체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2몸체의 타단을 고정하는 잠금 부재; 및 케이블과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간의 마찰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상기 제1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몸체를 케이블용 지지 구조물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에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일 측에 제1걸쇠가 형성되는 제1뭉치; 및 일 측에 제2걸쇠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쇠에 대한 상기 제2걸쇠의 간격이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제1뭉치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뭉치;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에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제1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에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결합 상태에서 원 또는 타원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은 케이블의 안정적인 포설작업을 가능케 하고, 케이블 포설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케이블의 훼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설명한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를 포함한다.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는 내부공간(102)에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는 각각 곡선 형태로 형성되며, 결합 상태에서 원 또는 타원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는 내부공간(102)으로 케이블을 인입하거나 또는 내부공간(102)으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몸체(110)의 일 단과 제2몸체(120)의 일 단은 연결되나, 제1몸체(110)의 타 단과 제2몸체(120)의 타단은 분리될 수 있다.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는 연결 부재(130)에 의해 연결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1몸체(110)의 일 단과 제2몸체(120)의 일 단은 연결 부재(13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몸체(110) 또는 제2몸체(120)는 다른 몸체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통해 내부공간(102)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잠금수단(140)을 포함한다. 잠금수단(140)은 제1몸체(110)의 타단과 제2몸체(120)의 타단을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케이블의 이탈을 방지케 할 수 있다.
잠금수단(140)은 돌기(142) 및 클립(144)을 포함한다. 여기서, 돌기(142)는 제1몸체(110)에 형성되고, 클립(144)은 제2몸체(120)에 형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돌기(142)는 제1몸체(110)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클립(144)은 제2몸체(120)에서 제1몸체(11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돌기(142) 및 클립(144)은 클립(144)이 돌기(142)측으로 회전하여 결합함에 따라 제1몸체(110)의 타단과 제2몸체(120)의 타단을 안정저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의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의 내측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롤러(150)를 포함한다.
롤러(150)는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다수의 케이블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롤러(150)는 내부공간(102) 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이 제1몸체(110) 및 제2몸체(12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첨부된 도면에서는 4개의 롤러(150)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롤러(150)의 갯수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롤러(150)는 케이블과 몸체(110, 120)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경감시키므로, 케이블 포설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접촉마찰로 인한 케이블의 훼손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 지지대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부연 설명하면,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제1몸체(110)에 배치되는 고정브래킷(160)을 더 포함한다.
고정브래킷(160)은 제1뭉치(162)와 제2뭉치(166)를 포함한다. 제1뭉치(162)는 제1몸체(110)에 배치되며, 케이블 지지대의 일 측과 결합하는 제1걸쇠(164)를 포함한다. 제2뭉치(166)는 제1뭉치(162)에 배치되며, 케이블 지지대의 타 측과 결합하는 제2걸쇠(168)를 포함한다. 제2뭉치(166)는 제1뭉치(162)에 대해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뭉치(166)는 제1뭉치(162)와 볼트를 매개로 체결되어, 볼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1걸쇠(164)와 제2걸쇠(168)가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제1걸쇠(164)와 제2걸쇠(168)가 멀어지도록 이동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고정브래킷(160)은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케이블 지지대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 포설작업 시 케이블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대(2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케이블 포설장치(100)와 케이블 지지대(200) 간의 결합은 전술된 고정브래킷(160)을 매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내부공간(102)에 다수의 케이블(300)을 수용할 수 있다. 부연 설명하면,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제2몸체(120)는 내부공간(102)으로 다수의 케이블(3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열어젖혀질 수 있다. 이후, 제2몸체(120)는 내부공간(102)에 수용된 케이블(300)이 이탈되지 않도록 잠금수단(140)에 의해 제1몸체(110)와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작업자에 의한 케이블(3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포설장치(100)에는 다수의 롤러(150)가 배치되므로, 작업자는 다수의 케이블(300)을 잡아당겨서 용이하게 이동 및 배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케이블(300)은 몸체(110, 120)의 다른 부분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케이블(300)의 표면이 마찰로 인해 훼손되는 현상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블 포설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포설 작업 중 빈번히 발생하는 케이블 표면의 훼손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케이블 포설장치
102 (케이블 포설장치의) 내부공간
110 제1몸체
120 제2몸체
130 연결 부재
140 잠금수단
142 돌기
144 클립
150 롤러
160 고정브래킷
162 제1뭉치
164 제1걸쇠
166 제2뭉치
168 제2걸쇠

Claims (5)

  1.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결합 및 개방되는 제1몸체 및 제2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단 및 상기 제2몸체의 일단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상기 제1몸체의 타단 및 상기 제2몸체의 타단을 고정하는 잠금 수단; 및
    케이블과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간의 마찰저항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롤러;
    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몸체를 케이블용 지지 구조물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되는 고정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래킷은,
    상기 제1몸체에 형성되고 일 측에 제1걸쇠가 형성되는 제1뭉치; 및
    일 측에 제2걸쇠가 형성되고, 상기 제1걸쇠에 대한 상기 제2걸쇠의 간격이 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제1뭉치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2뭉치;
    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상기 제1몸체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및
    상기 제2몸체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클립;
    을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는 결합 상태에서 원 또는 타원을 이루도록 구성되는 케이블 포설장치.
KR2020180001809U 2018-04-24 2018-04-24 케이블 포설장치 KR201900027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09U KR20190002732U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포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1809U KR20190002732U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포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732U true KR20190002732U (ko) 2019-11-01

Family

ID=68531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1809U KR20190002732U (ko) 2018-04-24 2018-04-24 케이블 포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0273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23A (ko) * 2021-12-22 2023-06-29 한국전력공사 방화벽용 수평 롤러형 풀링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06B1 (ko) 2014-07-30 2017-02-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견인식 다중케이블 포설기구
KR101774826B1 (ko) 2015-06-29 2017-09-0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406B1 (ko) 2014-07-30 2017-02-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견인식 다중케이블 포설기구
KR101774826B1 (ko) 2015-06-29 2017-09-05 주식회사 태화이엔지 케이블 분기 포설용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5323A (ko) * 2021-12-22 2023-06-29 한국전력공사 방화벽용 수평 롤러형 풀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272B1 (ko) 케이블 포설용 보조장치
US9482370B2 (en)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8771027B2 (en) Elastic clamp, contact rail assembly, and PV assembly junction box having the assembly
KR20130049725A (ko) 파이프 또는 라인 부착용 클램프
KR200431085Y1 (ko) 전선관 고정용 클램프
CA2982817C (en) Bundle spacer and clamp assembly for conductors
CA2694077C (en) Cable guide
KR20190002732U (ko) 케이블 포설장치
HUE026905T2 (en) Suction bell assembly
KR101531496B1 (ko) 케이블 포설 장치
CN206416085U (zh) 扣压胶管管接头简易套接安装工装
JP664049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及び配設装置
KR101966087B1 (ko) 조립 가구용 연결장치
CN110039468A (zh) 一种轴瓦加工用夹紧装置
KR100985220B1 (ko) 케이블 트레이
US20160059396A1 (en) Device for assembling a fuel injector assembly
EP2919480B1 (en) Cable management arm assembly
KR101504075B1 (ko) 케이블 인입 클램프
JP2021098606A (ja) 支持ボルトによって荷物を吊具に結合するための連結装置
CN104647249A (zh) 灯具装配夹紧装置
KR102334208B1 (ko) 케이블 캐리어 브래킷
KR101701965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CN216696797U (zh) 一种方便施工可调节式感测光缆固定装置
US202302728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Hanger for Supporting a Threaded Object
US20130215590A1 (en) Cable position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