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5858B1 - 단열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단열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5858B1
KR101195858B1 KR1020100002799A KR20100002799A KR101195858B1 KR 101195858 B1 KR101195858 B1 KR 101195858B1 KR 1020100002799 A KR1020100002799 A KR 1020100002799A KR 20100002799 A KR20100002799 A KR 20100002799A KR 101195858 B1 KR101195858 B1 KR 101195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binding
pressing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2410A (ko
Inventor
오정순
Original Assignee
오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순 filed Critical 오정순
Publication of KR2011005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5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multiple interengaging protrusions on the surfaces, e.g. hooks,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상에 위치하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단열재 고정장치로서, 상기 단열재를 누름 가압하는 가압부(10), 상기 가압부를 상기 거푸집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20)로 이루어진 단열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0)에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에 꽂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곳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는 그 직경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탄성변형구조를 갖되, 탄성변형구조는 결속부를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터널(22a)이 구성되며,
상기 결속부는 그 하부에,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협소부(21)로 구성하여, 단열재를 고정할 때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을 두고 있다.

Description

단열재 고정장치{A heat insulator fix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단열재를 고정할 때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콘크리트 건축물의 시공시에는 결로현상의 방지와 단열의 목적으로 거푸집의 내측에 단열재를 적층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있다.
이때, 단열재를 거푸집에 고정하지 않으면 콘크리트 타설시 타설압력에 의해 단열재가 설치위치로 부터 밀려나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열재가 밀려난 자리에는 단열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행되는 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열재를 거푸집에 고정시켜야 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 단열재 고정장치의 일 예시도이고, 도 2는 단열재로 부터 거푸집을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다.
위의 도 1에서와 같이, 거푸집(1)에 고정핀(피스, 못, 나사못 등)(2) 들을 박아 놓은 상태에서, 거푸집(1)의 위쪽에서 단열재(3)를 누르게 되면 연약소재인 단열재(3)가 고정핀(2) 들에 꽂히면서 거푸집(1)과 단열재(3)가 합체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핀(2) 들의 상측에는 고정캡(4)을 씌워서 단열재(3)를 눌러 줌으로써 단열재(3)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단열재(3) 위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더라도 단열재(3)가 밀려나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열재 결합장치는 거푸집(1)을 탈거할 때 고정핀(2)도 함께 탈거되는데, 이때 단열재(3)의 고정핀(2)이 뽑힌 자리에는 단열재(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핀공(3a)들이 형성되므로 이러한 핀공(3a) 들에 의해 단열성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결로수가 발생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고정핀(2)에 단열재(3)를 꼽는 과정에서 연질의 단열재가 파손되거나 부분적으로 소실되어 단열성능이 더욱 저하되는 폐단도 지적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재를 고정할 때 단열재에 구멍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단열재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주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요 관점에 따르면, 거푸집 상에 위치하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단열재 고정장치로서, 상기 단열재를 누름 가압하는 가압부(10), 상기 가압부를 상기 거푸집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20)로 이루어진 단열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0)에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에 꽂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곳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서포터(23)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서포터(23)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5)로 마련되되, 상기 서포터(23)의 외경이 상기 끼움부(25)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장치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송곳부가 없는 가압부의 경우 단열재를 상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함으로써 단열재에 전혀 손상을 입히지 않으므로 단열재의 단열성능 저하는 물론 결로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곳부가 있는 가압부의 경우에도 단열재를 상측에서 송곳부를 꽂음에 따라 단열재에 경미한 손상을 가할 뿐 송곳부가 단열재를 완전하게 관통하지 않으므로 단열재의 단열성능 저하는 물론 결로수의 누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단열재 고정장치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서 단열재로 부터 거푸집을 분리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5 실시예
도 9는 도 8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1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2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3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4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5 실시예, 도 9는 도 8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위의 첨부도면 중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장치는 거푸집 상에 위치하는 단열재(3)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열재(3)의 표면을 가압하는 가압부(10)와, 상기 가압부(10)를 상기 거푸집(1)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가압부(10)는 거푸집(1) 상에 적층되는 단열재(2)의 표면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단열재(3)의 표면을 누르기 위한 누름면(미도시)을 형성하여도 되지만,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 가압부(10)의 저면에 상기 단열재(2)의 상면에 박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곳부(11)를 두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송곳부(11)는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단열재(3)를 스파이크 방식으로 견고하게 잡아줌으로써 단열재(3)의 상측으로 부터 콘크리트(c)를 타설하더라도 타설압력에 의해 단열재(3)가 원위치로 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송곳부(11)의 높이(h)는 단열재(3)의 두께(t) 보다 낮게 하여 송곳부(11)를 단열재(3)에 꼽더라도 단열재(3)가 관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도 11참조).
또한, 상기 가압부(10)의 상부면에는 가압부(10) 내의 중공부로 콘크리트(c)가 유입되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개구부(12)의 가장자리에는 단턱(13)이 형성된다. 이 단턱(13)은 개구부(12)를 통해 유입된 콘크리트에 걸리는 앙카 역할을 하게 되어 가압부(10)가 하향으로 부하를 받더라도 쉽게 탈거되지 않게 되므로 매입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속부(20)는 아래와 같이 여러 실시예가 제공된다.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는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단일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가압부(10)의 일측에 인서트 사출(insert molding)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는 상기 거푸집(1)에 통공(1a)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1)의 통공(1a)에 끼움되는 플라스틱 소재의 핀(pin) 형태로 구성하되, 이 핀은 그 직경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소재로 되거나 또는 탄성변형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 직경은 통공(1a)의 공경보다 약간 크게 하여 억지 끼움된다. 이때, 결속부(20)의 직경이 통공(1a) 보다 크기 때문에 탄성이 없다면 결속부(20)를 통공(1a)에 끼워넣는 작업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앞서와 같이 탄성소재로 되거나 탄성변형구조를 갖도록 하여 결속부(20)를 통공(1a)에 직접 끼워넣을 때 수월하게 끼워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끼워넣었을 때 압입되면서 끼움의 견고성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은 도 4에서와 같이 속이 채워진 기둥 형태(비 통체)로 하고, 상기 탄성변형구조는 상기 결속부(20)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터널(22a)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 하부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협소부(21)를 두어서 결속부(20)를 상기 통공(1a)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는 그 외관을 볼록하게 형성함으로써 통공(1a)에 압입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 5는 제2 실시예의 결속부(2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2 실시예의 결속부(20)는 플라스틱 소재의 핀(pin)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의 결속부(20)은 도 5에서와 같이 속이 채워진 기둥 형태(비 통체)로 하고, 탄성변형구조는 상기 결속부(20)의 직경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터널(22a)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터널(22a)은 결속부(20)의 하단까지 관통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의 결속부(20) 하부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협소부(21)를 두어서 결속부(20)를 상기 통공(1a)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제3 실시예의 결속부(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3 실시예의 결속부(20)는 플라스틱 소재의 핀(pin)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의 결속부(20)는 도 6에서와 같이 속이 빈 통체형태로 하고, 탄성변형구조는 상기 결속부(20)의 측벽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공(22b)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예의 결속부(20) 하부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협소부(21)를 두어서 결속부(20)를 상기 통공(1a)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제4 실시예의 결속부(30)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4 실시예의 결속부(20)는 플라스틱 소재의 핀(pin)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4 실시예의 결속부(20)는 도 7에서와 같이 속이 빈 통체형태로 하고, 탄성변형구조는 상기 결속부(20)의 측벽을 그 외의 측면두께에 비해 얇게 구성한 연약부(22c)를 둔 것이다. 이렇게 연약부(22c)를 두면 결속부(20)가 통공(1a)에 압입되거나 이탈될 때 연약부(22c)가 탄성 변형되면서 결속부(20)의 압입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4 실시예의 결속부(20) 하부는 그 하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협소하게 형성되는 협소부(21)를 두어서 결속부(20)를 상기 통공(1a)에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속부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5 실시예의 결속부(20)는 2개의 분할 구성된다. 즉, 상기 거푸집(1)에 나사, 볼트, 못 등의 체결부재(24)로서 고정되는 서포터(23)와, 상기 가압부(10)의 일측에 일체로 마련된 채 상기 서포터(23)의 외경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서포터(23)의 외경(D)은 상기 끼움부(25)의 내경(d) 보다 작거나 같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서포터(23)가 끼움부(25)의 외부로 노출되면 콘크리트와 접촉되어 후에 서포터(23)를 탈거할 때 힘이들고, 서포터(23)가 탈거되면서 콘크리트가 붙은 채로 탈거되어 콘크리트 타설표면이 거칠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서포터(23)의 외경이 끼움부(25)의 내경에 비해 작게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접촉이 방지되게 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고정장치의 설치과정 및 분리과정을 도 10 및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
먼저, 수평 거푸집(1b) 상에 단열재(3)를 일렬로 배치하고, 단열재(3)가 배치되지 않은 수평 거푸집(1b) 상에 관통공(1a)을 일정간격으로 천공한다.
다음, 상기 단열재 고정장치의 결속부(단일체로 된 것을 예로 설명한다)(20)을 이미 형성된 각 관통공(1a)에 압입함과 동시에 가압부(10)를 단열재(3)의 상면에 안착되게 하면 가압부(10)가 단열재(3)의 일측을 눌러주게 되므로 단열재(3)가 수평 거푸집(1b) 위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가압부(10)에 송곳부(11)가 있는 경우에는 송곳부(11)가 단열재(3)의 상면에 꽂히면서 단열재(3)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송곳부(11)의 높이는 단열재(3)의 두께 보다는 낮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송곳부(11)를 단열재(3)에 꼽더라도 단열재(3)가 관통되지 않으므로 단열효과가 저하된다거나 결로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 거푸집(1c) 상에도 관통공(1a)를 일정간격으로 천공한 뒤, 단열재 고정장치의 결속부(20)를 각 관통공(1a)에 압입함과 동시에 가압부(10)의 송곳부(11)를 단열재(3)의 측면부(3b)에 꽂아 넣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의 상면에 위치되게 하면 단열재(3)의 다른 일측을 눌러주게 되므로 결국 단열재(3)의 양측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단열재(3)의 상측으로 부터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단열재(3)는 단열재 고정장치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이므로 위치 이탈 없이 원위치를 고수하게 됨으로써 양호한 단열재 설치작업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콘크리트 양생과정이 완료되면 수평 및 수직 거푸집(1b,1c)을 탈거하게 되는데, 이때 단열재 고정장치는 콘크리트 내에 매립된 상태에 있으므로 수평 및 수직 거푸집(1b,1c)의 관통공(1a)으로 부터 결속부(20)가 탈거되면서 단열재 고정장치는 매립된 상태로 그대로 남게 되고 수평 및 수직 거푸집(1b,1c) 만이 분리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원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거푸집 1a : 통공
3 : 단열재 10 : 가압부
11 : 송곳부 12 : 개구부
13 : 단턱 20 : 결속부
21 : 협소부 23 : 서포터
25 : 끼움부

Claims (12)

  1. 거푸집 상에 위치하는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단열재 고정장치로서,
    상기 단열재를 누름 가압하는 가압부(10), 상기 가압부를 상기 거푸집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부(20)로 이루어진 단열재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10)에 형성되어 단열재의 상면에 꽂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곳부(11)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구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13)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부는,
    상기 거푸집에 고정되는 서포터(23)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서포터(23)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부(25)로 마련되되,
    상기 서포터(23)의 외경이 상기 끼움부(25)의 내경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02799A 2009-11-10 2010-01-12 단열재 고정장치 KR101195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07943 2009-11-10
KR1020090107943 2009-1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410A KR20110052410A (ko) 2011-05-18
KR101195858B1 true KR101195858B1 (ko) 2012-10-30

Family

ID=44362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799A KR101195858B1 (ko) 2009-11-10 2010-01-12 단열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58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39U (ko) 2016-05-12 2017-11-22 김진호 단열재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463B1 (ko) * 2013-03-11 2014-03-17 황선출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41Y1 (ko) 2003-04-15 2003-07-31 이동희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JP2004339707A (ja) 2003-05-13 2004-12-02 Sankyu Inc 建屋の外壁材への吸音断熱材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241Y1 (ko) 2003-04-15 2003-07-31 이동희 바닥용 단열재 고정구
JP2004339707A (ja) 2003-05-13 2004-12-02 Sankyu Inc 建屋の外壁材への吸音断熱材の取付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3939U (ko) 2016-05-12 2017-11-22 김진호 단열재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2410A (ko) 201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011B1 (ko)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1195858B1 (ko) 단열재 고정장치
RU2546023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рельсовая клемма и изолятор
KR20130039030A (ko)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구조체
KR101075656B1 (ko)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KR101022795B1 (ko)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JP6173749B2 (ja) コンクリート製枕木の製造に用いられる装置
KR101041490B1 (ko)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KR100926435B1 (ko) 알루미늄 거푸집용 십자형상의 단열재 고정캡
KR20090019232A (ko)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KR200423279Y1 (ko) 단열재용 인서트
CN103216504B (zh) 用于管材连接的膨胀式连接件
JP4352817B2 (ja) タイルの剥落防止工法
KR101809308B1 (ko) 단열재 시공용 파스너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시공방법
KR101722160B1 (ko) 말뚝의 선행하중 재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행하중 재하방법
KR100743616B1 (ko) 먹줄슬리브 유닛
KR100750343B1 (ko) 판상 단열재 고정구
JP2007270599A (ja) 断熱基礎
KR101426497B1 (ko) 콘크리트 내설용 복합 인서트장치
KR20110035576A (ko) 단열재 고정구
KR200394297Y1 (ko) 단열재용 인서트
JP5062713B2 (ja) 垂直スリット材の支持構造
JP2016079556A (ja) 防水シート敷設方法、及び、防水システム
KR100765055B1 (ko) 공동주택 최상층 천정의 전기박스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KR200478749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문틀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