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656B1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5656B1 KR101075656B1 KR1020100068260A KR20100068260A KR101075656B1 KR 101075656 B1 KR101075656 B1 KR 101075656B1 KR 1020100068260 A KR1020100068260 A KR 1020100068260A KR 20100068260 A KR20100068260 A KR 20100068260A KR 101075656 B1 KR101075656 B1 KR 1010756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ulating material
- heat insulating
- cap unit
- aluminum foam
- clean cap
- Prior art date
Links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4411 aluminium Substances 0.000 title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1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group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2—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non-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기술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하여 여유 공간이 없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단열재 고정을 가능케 한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다. 즉, “S-Type 클린 캡 유닛”을 설치ㆍ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전혀 없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가 고정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므로 단열재를 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없는 곳에서의 단열재 고정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결로 방지에 대한 단열효과 또한 향상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다. 즉, “S-Type 클린 캡 유닛”을 설치ㆍ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전혀 없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가 고정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므로 단열재를 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없는 곳에서의 단열재 고정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결로 방지에 대한 단열효과 또한 향상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열재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기술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하여 여유 공간이 없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단열재 고정을 가능케 한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단열재에 단열재고정구로 인한 구멍이 생기지 않아 관통구멍을 실리콘으로 일일이 막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그뿐 아니라 슬래브 알루미늄 폼 위의 단열재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므로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여유 공간이 없을지라도 단열재고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은 단열재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 위에 설치하는 작업이 효율적이고 유리한 설치방식이다.
본원 출원인은 도1a 및 도1b의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을 특허출원 제2010-12345호(출원일자 2010. 5. 23.)로 출원했다.
그런데 상기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은 단열재의 양단부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Slab AL-Form)에 고정할 수 있는 여유 공간이 있을 경우에만 적용된다.
단열재(40)의 양단부를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에 의하여 고정할 만큼 슬래브 알루미늄 폼(Slab AL-Form)에 여유 공간이 없다면 상기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은 사용할 수가 없다.
단열재(40)의 포설은 결로현상을 방지하기위한 것이므로 슬래브의 중앙부보다는 주로 코너 쪽에 설치된다.
단열재(40)의 양단부고정이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서 이루어지고, 여기에다 상기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에 의해 이루어진다.
단열재(40)의 양단부고정이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20)”에 의하여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이하 “S-Type 클린 캡 유닛(20)”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상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과 구별하기위하여 구분한 것에 불과하다. 별다른 의미는 없다.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특허는 도1a 및 도1b에서와 같이 단열재(40)의 양단부가 “S-Type 클린 캡 유닛(20)”에 의하여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 고정된 방식이라 할 수 있다.
“S-Type 클린 캡 유닛(20)”을 도1a 및 도1b에 의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동공구 삽입부(12), 걸림지지부(14), 나사부(16), 드릴부(18)를 갖는 단열재 고정구(10)가 알루미늄 폼(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통상의 캡에 의하여 단열재(40)가 누름ㆍ고정되는 단열재 고정 장치에 있어서
“S-Type 클린 캡 유닛(20)”의 구성은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있되 누름부(22)가 수직 돌출부(24)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직 돌출부(24)를 중심으로 앵카부(28)가 양측에 형성되어있으면서 앵카부(28)는 수직 돌출부(24)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단열재(40)를 눌러주는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는 한편, 전동공구 삽입부(12) 및 수직 돌출부(24)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단열재(40)를 알루미늄 폼(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구성이다.
이때 알루미늄 폼(30)은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을 의미한다.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 “S-Type 클린 캡 유닛(20)”의 고정은 전동공구 삽입부(12), 걸림지지부(14), 나사부(16), 드릴부(18)를 갖는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열재 고정구(10)는 도1d에서와 같이 드릴부(18)가 없는 고정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드릴부(18)가 없는 단열재 고정구(10)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을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슬래브 알루미늄 폼(30)밖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S-Type 클린 캡 유닛(20)”은 도1b에 도시된바와 같이 단열재(40)의 양단부에서 고정하고 있다.
즉,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의 양단부 밖에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이 “S-Type 클린 캡 유닛(20)”에 의한 고정방식은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단열재(40)가 관통되지 않는 비관통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단열재(40)에 구멍이 생기지 않아 알루미늄 폼(30) 제거 후 단열재(40)의 구멍을 실리콘 등으로 막는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될 뿐 아니라 결로 방지가 확실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S-Type 클린 캡 유닛(20)”은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는 반면에 알루미늄 폼(30)에는 반드시 단열재 고정구(10)가 설치될만한 여유 공간이 있어야한다. “S-Type 클린 캡 유닛(20)”은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단부 밖에서 고정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단열재 고정구(10)가 설치될만한 여유 공간이 없는 곳은 도3에서와 같이 수직벽체와 슬래브가 만나는 곳이다.
이곳에서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 포설된 단열재(40)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과 밀접되는 곳이기 때문에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는 한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 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전혀 없다.
따라서 슬래브 알루미늄 폼(30)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이 직각으로 만나는 곳은 단열재(40)를 “S-Type 클린 캡 유닛(20)”에 의하여 고정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3참조)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구(10)가 설치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슬래브 알루미늄 폼(30)에 접면된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서 찾은 것이다.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Wall AL-Form)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이하 이를 설명의 편의상 “W-Type 클린 캡 유닛”이라한다.]구조를 제안하고자한 것이다.
“W-Type 클린 캡 유닛”은 건축물이 초고층화되고, 고급화되는 추세에 힘입어 그 필요성이 더한층 요구되고 있다. 결로 발생은 건축물의 품격을 저하시키는 주범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의 양단부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설치ㆍ고정함에 있어 슬래브 알루미늄 폼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여유 공간이 충분한 단열재의 단부는 “S-Type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고정하는 한편, 슬래브와 수직벽체가 만나는 곳이면서 단열재가 수직벽체와 밀접되게 설치된 곳, 즉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S-Type 클린 캡 유닛”을 설치ㆍ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전혀 없는 곳의 단열재단부고정을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Wall AL-Form)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즉, “W-Type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고정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고,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과 단열재 단부가 서로 일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면서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에 “W-Type 클린 캡 유닛”의 설치ㆍ고정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의 탈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W-Type 클린 캡 유닛”의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효율적인 탈형 작업이 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S-Type 클린 캡 유닛(20)”에 대하여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W-Type 클린 캡 유닛”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되어있는 단열재 고정구(10)와 결합ㆍ고정된다.
“W-Type 클린 캡 유닛”은 2가지 타입으로 이루어졌다.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형태의 타입이고,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형태의 타입이다.
슬라이딩 형태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의 고정구 고정홈(122a)이 단열재 고정구(10)에 삽입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누름부(110)의 슬립돌출부(112)가 단열재(40)표면을 슬라이딩되면서 누름돌출부(114)까지 삽입되게 된다. 슬립돌출부(112)에 경사를 준 것도 단열재(40)표면을 향해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위해서다.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중간에 형성된 후쿠 단턱(116)에 의하여 단열재(40)의 고정이 확실하게 된다.
누름형태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고정구 고정홈(122b)이 위에서 아래로 단열재 고정구(10)에 놓이면서 누름부(110)와 단열재 고정침(126)이 단열재(40)를 누르고 박히게 되는 구조이므로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설치가 용이하다.
먼저 슬라이딩 형태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a)”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고정된 클린 캡 유닛에 의해 단열재(4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클린 캡 유닛에 있어서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가 연이어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삼각형상의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윗변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수직변은 벽체 접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또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중간부에는 후쿠 단턱(116)이 형성되어있으며, 벽체 접면부(120)의 하부내측에는 고정구 고정홈(122a)이, 그리고 하부외측에는 상기 고정홈 연장 돌출부(124a)가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여기에서 누름부(110)는 단열재(4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과 밀접되는 곳이므로 면적이 큰 사각형상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누름형태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b)”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고정된 클린 캡 유닛에 의해 단열재(4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클린 캡 유닛에 있어서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벽체 접면부(120)의 하부내측에는 고정구 고정홈(122b)이 형성되어있으면서 그 연장선이 외측의 고정홈 연장 돌출부(124b)에 연장되어있는 구성이다.
여기에다 누름부(110)의 단부에는 단열재 고정침(126)이 일체로 형성되어있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W-Type 클린 캡 유닛(100a)(100b)”을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Wall AL-Form)”에 사용함으로써 단열재(40)를 고정할만한 공간이 없는 곳에서도 클린 캡 유닛의 사용이 가능하다.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아 단열효과가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므로 “S-Type 클린 캡 유닛”을 설치ㆍ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전혀 없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S-Type 클린 캡 유닛”과 “W-Type 클린 캡 유닛”의 조합에 의하여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단열재의 설치ㆍ고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W-Type 클린 캡 유닛”구성이므로 슬래브 알루미늄 폼에 단열재를 고정할만한 여유 공간이 없는 곳에서의 단열재 고정이 가능하게 됨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1a] “S-Type 클린 캡 유닛(20)”의 사시도
[도1b] 도1a의 “S-Type 클린 캡 유닛(20)”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1c] 드릴부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1d] 드릴부가 없는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2a] 본 발명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의 사시도
[도2b] 도2a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되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c] 도2b의 A-A 단면도
[도3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사시도
[도3b] 도3a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되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c] 도3b의 B-B 단면도
[도1b] 도1a의 “S-Type 클린 캡 유닛(20)”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평면도
[도1c] 드릴부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1d] 드릴부가 없는 단열재 고정구의 사시도
[도2a] 본 발명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의 사시도
[도2b] 도2a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되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2c] 도2b의 A-A 단면도
[도3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사시도
[도3b] 도3a의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이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되어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3c] 도3b의 B-B 단면도
“S-Type 클린 캡 유닛”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ㆍ고정되는 본 발명의 “W-Type 클린 캡 유닛”의 설치 과정을 구조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b 및 도2c에서와 같이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이 서로 직각되게 설치되어있고,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위에 단열재(40)가 포설된 상태에서 상기 단열재(40)의 일단부는 “S-Type 클린 캡 유닛(20)”에 의하여, 그리고 단열재(40)의 타단부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a)”에 의하여 단열재(40)가 고정되어있다.
“S-Type 클린 캡 유닛(20)”과 “W-Type 클린 캡 유닛(100a)”에 의하여 단열재(40)고정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열재 고정구(10)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한다. 이때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되는 단열재 고정구(10)는 단열재(40)의 폭보다 밖에 설치된다.(도2b 및 도2c참조)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는 “S-Type 클린 캡 유닛(20)”을 삽입ㆍ고정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한다.
또한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을 삽입ㆍ고정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한다.
단열재(40)를 고정하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a)”과 단열재 고정구(10)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Type 클린 캡 유닛(100a)”구조는 단열재 고정구(10)에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의 고정구 고정홈(122a)이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누름부(110)의 슬립돌출부(112)가 단열재(40)표면을 슬라이딩되면서 누름돌출부(114)까지 삽입되게 된다.
단열재(40)는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에 의하여 눌려있는 상태이면서 그 중간에 형성된 후쿠 단턱(116)에 의하여 단열재(4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단열재(40)를 고정하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b)”과 단열재 고정구(10)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W-Type 클린 캡 유닛(100b)”구조는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고정구 고정홈(122b)이 위에서 아래로 단열재 고정구(10)에 놓이면서 누름부(110)와 단열재 고정침(126)이 단열재(40)를 누르고 박히는 구조이므로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의 설치가 용이하다.
이제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와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하는 설치방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와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하는 설치방법에 있어서
⒜ 단열재 고정구(10)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하되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되는 단열재 고정구(10)는 단열재(40)의 폭의 밖에 설치하는 단계;
⒝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위에 단열재(40)를 포설하고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된“S-Type 클린 캡 유닛(20)”을 삽입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하는 단계;
⒞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일체로 형성된 “W-Type 클린 캡 유닛(100a)(100b)”을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 결합시켜 단열재(4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이다.
이와 같이 “W-Type 클린 캡 유닛(100a)(100b)”에 의하여 단열재(40)의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위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사이에다 콘크리트 몰탈(50)을 타설한다.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50)이 경화된 다음에는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를 탈형하게 된다.
이제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의 탈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은 서로 직각되게 설치되어있기 때문에 도2b 및 도3b와 같이 설치된 경우라면 먼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를 탈형하고, 그 다음에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의 순으로 탈형 하여야한다.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이 탈형될 때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방해받지 않아야하기 때문에 드릴부(18)가 없는 도1d의 단열재 고정구(10)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의 탈형에 적합하다.
드릴부(18)가 형성된 도1c의 단열재 고정구(10)가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경우에는 드릴부(18)의 돌출로 인하여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의 탈형을 방해하기 때문에 도1c의 단열재 고정구(10)는 사용에 부적합하다.
100a;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100b;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110; 누름부
112; 슬립돌출부, 114; 누름돌출부, 116; 후쿠 단턱,
120; 벽체 접면부
122a; 고정구 고정홈, 122b; 고정구 고정홈, 124a; 고정홈 연장 돌출부, 124b; 고정홈 연장 돌출부, 126; 단열재 고정침,
10; 단열재 고정구
12; 전동공구 삽입부, 14; 걸림지지부, 16; 나사부, 18; 드릴부
20; 클린 캡 유닛
22; 누름부, 222; 하향 캠버, 224; 단열재 고정침, 226; 공간부, 24; 수직 돌출부, 242;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 244; 수직부, 28; 앵카부,
30a; 슬래브 알루미늄 폼
30b;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
40; 단열재
50; 콘크리트 몰탈
100b;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110; 누름부
112; 슬립돌출부, 114; 누름돌출부, 116; 후쿠 단턱,
120; 벽체 접면부
122a; 고정구 고정홈, 122b; 고정구 고정홈, 124a; 고정홈 연장 돌출부, 124b; 고정홈 연장 돌출부, 126; 단열재 고정침,
10; 단열재 고정구
12; 전동공구 삽입부, 14; 걸림지지부, 16; 나사부, 18; 드릴부
20; 클린 캡 유닛
22; 누름부, 222; 하향 캠버, 224; 단열재 고정침, 226; 공간부, 24; 수직 돌출부, 242;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 244; 수직부, 28; 앵카부,
30a; 슬래브 알루미늄 폼
30b;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
40; 단열재
50; 콘크리트 몰탈
Claims (4)
-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고정된 클린 캡 유닛에 의해 단열재(4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클린 캡 유닛에 있어서
“W-Type 클린 캡 유닛(100a)”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가 연이어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삼각형상의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윗변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수직변은 벽체 접면부(120)와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또 슬립돌출부(112)와 누름돌출부(114)의 중간부에는 후쿠 단턱(116)이 형성되어있으며, 벽체 접면부(120)의 하부내측에는 고정구 고정홈(122a)이, 그리고 하부외측에는 상기 고정홈 연장 돌출부(124a)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 단열재 고정구(10)에 의하여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고정된 클린 캡 유닛에 의해 단열재(4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클린 캡 유닛에 있어서
“W-Type 클린 캡 유닛(100b)”은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이루면서 일체로 형성되어있고, 벽체 접면부(120)의 하부내측에는 고정구 고정홈(122b)이 형성되어있으면서 그 연장선이 외측의 고정홈 연장 돌출부(124b)에 연장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 제2항에 있어서
누름부(110)의 외주연에 다수의 단열재 고정침(126)이 누름부(110)에 직각되게 일체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와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하는 설치방법에 있어서
⒜ 단열재 고정구(10)를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과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하되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되는 단열재 고정구(10)는 단열재(40)의 폭의 밖에 설치하는 단계;
⒝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위에 단열재(40)를 포설하고 슬래브 알루미늄 폼(30a)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된“S-Type 클린 캡 유닛(20)”을 삽입하여 단열재(40)를 고정하는 단계;
⒞ 누름부(110)와, 그리고 벽체 접면부(120)가 직각을 각을 이루고 있으면서 일체로 형성된 “W-Type 클린 캡 유닛(100a)(100b)”의 고정구 고정홈(122a)(122b)을,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30b)에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에 삽입ㆍ결합시켜 단열재(40)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260A KR101075656B1 (ko) | 2010-07-15 | 2010-07-15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8260A KR101075656B1 (ko) | 2010-07-15 | 2010-07-15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5656B1 true KR101075656B1 (ko) | 2011-10-21 |
Family
ID=4503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8260A KR101075656B1 (ko) | 2010-07-15 | 2010-07-15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565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939U (ko) * | 2016-05-12 | 2017-11-22 | 김진호 | 단열재 고정장치 |
KR20190000646U (ko) * | 2017-09-04 | 2019-03-13 | 이장평 | 단열재 밀착고정용 쫄대 |
KR102063943B1 (ko) * | 2018-07-02 | 2020-01-08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20200004901A (ko) * | 2018-07-02 | 2020-01-14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20200104053A (ko) * | 2019-02-26 | 2020-09-03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35B1 (ko) | 2009-08-07 | 2009-11-12 | 양내문 | 알루미늄 거푸집용 십자형상의 단열재 고정캡 |
-
2010
- 2010-07-15 KR KR1020100068260A patent/KR1010756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6435B1 (ko) | 2009-08-07 | 2009-11-12 | 양내문 | 알루미늄 거푸집용 십자형상의 단열재 고정캡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939U (ko) * | 2016-05-12 | 2017-11-22 | 김진호 | 단열재 고정장치 |
KR200486202Y1 (ko) * | 2016-05-12 | 2018-05-24 | 서옥상 | 단열재 고정장치 |
KR20190000646U (ko) * | 2017-09-04 | 2019-03-13 | 이장평 | 단열재 밀착고정용 쫄대 |
KR200490061Y1 (ko) * | 2017-09-04 | 2019-09-18 | 이장평 | 단열재 밀착고정용 쫄대 |
KR102063943B1 (ko) * | 2018-07-02 | 2020-01-08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20200004901A (ko) * | 2018-07-02 | 2020-01-14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102386823B1 (ko) | 2018-07-02 | 2022-04-15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20200104053A (ko) * | 2019-02-26 | 2020-09-03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KR102257613B1 (ko) * | 2019-02-26 | 2021-05-27 | 강선중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5656B1 (ko)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 |
KR100939446B1 (ko) | 건축용 슬리브 고정장치 | |
JP6301587B2 (ja) | 断熱パネルの施工構造 | |
KR20130039030A (ko) |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구조체 | |
KR200431161Y1 (ko) | 단열재 고정장치 | |
KR101899248B1 (ko) |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 |
KR101022795B1 (ko) | 콘크리트 매설용 인서트 | |
KR100745096B1 (ko) | 단열재용 고정구 | |
KR100759112B1 (ko) | 배수판 | |
JP3798761B2 (ja) | ボード用アンカー並びにこれを用いた中空スラブ用緊結具及び中空スラブ用スペーサ | |
KR100447474B1 (ko) | 단열재용 인서트 | |
KR20130104009A (ko) | 단열재 고정 클린캡 | |
KR101041490B1 (ko) | 개선된 구조의 거푸집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0921204B1 (ko) | 단열재용 인서트 | |
KR20090019232A (ko) |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열재 고정구 | |
KR101898914B1 (ko) |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 |
KR100765055B1 (ko) | 공동주택 최상층 천정의 전기박스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 |
KR200441560Y1 (ko) | 인서트 | |
KR20090006267U (ko) | 이중바닥시스템 및 이중바닥시스템용 바닥패널 | |
KR101025648B1 (ko) |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 |
KR200421941Y1 (ko) | 배수판 | |
KR102063943B1 (ko)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
KR102254177B1 (ko) | 단열재 브라켓 장치 | |
KR102386823B1 (ko) |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 |
KR101941847B1 (ko) |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