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5648B1 -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5648B1
KR101025648B1 KR1020100071149A KR20100071149A KR101025648B1 KR 101025648 B1 KR101025648 B1 KR 101025648B1 KR 1020100071149 A KR1020100071149 A KR 1020100071149A KR 20100071149 A KR20100071149 A KR 20100071149A KR 101025648 B1 KR101025648 B1 KR 10102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fixture
insulato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내문
양근영
Original Assignee
양근영
양내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근영, 양내문 filed Critical 양근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기술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고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을 제공하고자함과 동시에 단열재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로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관통구멍을 실리콘으로 일일이 막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설치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구성은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있되 누름부(22)가 수직 돌출부(24)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직 돌출부(24)를 중심으로 앵카부(28)가 양측에 형성되어있으면서 앵카부(28)는 수직 돌출부(24)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단열재(40)를 눌러주는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는 한편, 전동공구 삽입부(12) 및 수직 돌출부(24)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캡 유닛구성이다.
높이조절 공간(S)을 갖는 높이 조절삽입부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가 수직 돌출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므로 단열재의 두께가 얇거나 두껍더라도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구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Clean cap unit fixing a insulator to an aluminium form and method constructing the insulator with it}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기술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는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기 때문에 단열재에 고정구로 인한 구멍이 생기지 않아 관통구멍을 실리콘으로 일일이 막을 필요가 없으므로 이와 같은 번거로운 작업이 생략됨으로써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다.
특히 작업자를 구하기 어려운 요즘 같은 시대에서는 작업을 그만큼 줄일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할 뿐 아니라 시공품질이 그만큼 향상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은 단열재를 슬래브에 시공하는 경우 아주 효율적이고 유리한 시공방식이다.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방식은 도8에서와 같이 통상 단열재 고정구와 고정캡에 의하여 단열재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단열재 고정구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중에서도 전동공구에 의하여 알루미늄 폼에 고정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고정 작업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전동공구에 의한 단열재 고정구는 전동공구 삽입부와 나사부 및 드릴부로 이루어져있다.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방식의 고정캡(50)은 도8에서와 같이 누름부(52)와 앵카부(53)와 그리고 돌출부(55)로 이루어졌다.
고정캡(50)의 누름부(52)는 단열재를 눌러주고, 앵카부(53)는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착된다.
단열재 고정구(60)의 전동공구 삽입부(62)는 고정캡(50)의 돌출부(55)에 형성된 삽입홀에 삽입ㆍ고정된다.
이때 고정캡(50)의 누름부(52)는 단열재의 표면부에 접면되지만 고정캡(50)의 돌출부(55)는 단열재속으로 파고들어가야 한다. 단열재를 견고하게 고정하기위해서다.
단열재를 파고들어간 고정캡(50) 돌출부(55)의 외경이 단열재 고정구의 전동공구 삽입부(62)의 직경보다 크다.(도9및 도10참조) 거푸집이 탈형된 후 단열재에는 전동공구 삽입부(62)에 의해 형성된 구멍과 고정캡(50) 돌출부(55)에 의해 형성된 구멍이 서로 외기와 연통되어있다.
단열재에 형성된 외기와 연통된 구멍은 실제 현장에서 일일이 실리콘으로 막아주고 있다. 이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위해서다. 단열재 고정구는 보통 30cm간격으로 설치된다.
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온도(노점온도)보다 낮을 때 발생되는 현상이다. 내외온도차가 큰 슬래브의 경우 외벽에 가까운 위치에 단열재를 설치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단열재 고정구 방식은 하나같이 모두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는 방식이다.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는 관통방식이기 때문에 단열재에 구멍이 생기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그렇다고 단열재를 관통해야할 만큼 단열재의 테두리에 여유 공간이 전혀 없는 것도 아니다.
종래의 단열재 고정구 관통방식은 단열재를 관통한 고정구의 구멍을 거푸집 탈형 후 반드시 실리콘으로 막아야한다. 막지 않으면 결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단열재를 관통한 고정구의 구멍을 일일이 실리콘으로 막는다는 것은 번거로운 작업일 뿐만 아니라 그만큼 품이 많이 들어가게 되므로 작업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슬래브의 경우 실리콘으로 막아야하는 구멍이 머리위에 위치해있으므로 고개를 위로 들기가 힘들어 막는 장시간 작업이 쉽지 않다는데 문제가 있다. 요즘 이러한 일을 할만한 작업자를 구하는 것도 어렵고, 구한다 해도 장시간 작업이 어려워 작업상의 품질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던 종래기술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고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새로운 개념의 단열재고정방식을 제공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고,
단열재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로현상이 방지될 뿐 아니라 관통구멍을 실리콘으로 일일이 막는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설치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이 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의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의 두께(T)가 얇거나 두껍더라도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구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고,
수직 돌출부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와 그리고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의 높이 조절삽입부에 상협하광의 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와 상기 상협하광의 경사부와의 주면마찰저항이 적어 단열재 고정구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으며,
또한 수평상의 누름부(22)에 직각방향으로 보강 누름부(22a)를 십자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클린 캡 유닛 구조를 더한층 안정적인 구조가 되게 할 뿐만 아니라 단열재(40)의 누름을 더욱 확실하게 눌러주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전동공구 삽입부(12), 걸림지지부(14), 나사부(16), 드릴부(18)를 갖는 단열재 고정구(10)가 알루미늄 폼(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통상의 고정캡에 의하여 단열재(40)가 누름ㆍ고정되는 단열재 고정 장치에 있어서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있되 누름부(22)가 수직 돌출부(24)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직 돌출부(24)를 중심으로 앵카부(28)가 양측에 형성되어있으면서 앵카부(28)는 수직 돌출부(24)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단열재(40)를 눌러주는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는 한편, 전동공구 삽입부(12) 및 수직 돌출부(24)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캡 유닛의 구성이다.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단열재(40)에 구멍이 생기지 않아 알루미늄 폼(30)을 제거한 후 단열재(40)의 구멍을 실리콘 등으로 막는 작업이 생략될 뿐 아니라 결로 방지가 확실하게 된다.
또한 알루미늄 폼(30)의 탈형시 클린 캡 유닛(20)(20a)은 경화된 콘크리트 속에 그대로 남아있으면서 알루미늄 폼(30)과 단열재 고정구(10)만 빠져나오는 구조이기 때문에 클린 캡 유닛(20)(20a)의 앵카력은 앵카부(28)와 접면된 경화된 콘크리트의 두께에 비례한다. 즉 앵카부(28)와 접면된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앵카력은 커진다. 도3에 의하면 앵카부(28)와 접면된 경화된 콘크리트의 두께는 수직 돌출부(24)의 높이와 같다.
앵카부(28)가 수직 돌출부(24)의 상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그만큼 앵카부(28)와 접면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앵카부(28)의 앵카력도 이에 비례해서 증대되게 된다.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고, 하향 캠버(222)에 의하여 단열재(40)를 확실하게 눌러주게 된다. 누름부(22)의 양단 측에는 단열재 고정침(224)이 형성되어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여기에다 단열재(40)의 두께(T)가 얇거나 두껍더라도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구(1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높이조절 공간(S)을 갖는 높이 조절삽입부(262)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가 수직 돌출부(24)위에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와 그리고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 조절삽입부(262)에 상협하광의 경사부(246)가 형성된 구성이다.
단열재 고정구(10)와 상기 상협하광의 경사부(246)와의 주면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써 단열재 고정구(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단열재(40)의 폭 방향으로 단열재 고정구(10)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수직 돌출부(24)를 복수 수직 돌출부로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2개정도가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여기에다 단열재(40)의 두께(T)가 얇거나 두껍더라도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구(10)의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기위하여 높이조절 공간(S)을 갖는 높이 조절삽입부(262)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가 수직 돌출부(24)위에 일체로 형성한 구성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클린 캡 유닛을 더한층 안정되게 하고, 단열재(40)의 누름을 더욱 확실하게 하기위하여 상기의 클린 캡 유닛구조의 수평상의 누름부(22)에 직각방향으로 보강 누름부(22a)를 수평상의 누름부(22)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한 구성이다. 수평상의 누름부(22)와 보강 누름부(22a)가 이루는 형태는 십자형태이다. 보강 누름부(22a)의 위치는 누름부(22)쪽에 위치되어있으면서 수직 돌출부(24) 및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에 근접되어있다.
보강 누름부(22a)의 양단부에는 단열재 고정침(224)이 형성되어있다.
단열재 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단열재에 구멍이 생기지 않으므로 결로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폼을 제거한 후 단열재의 구멍을 실리콘 등으로 막는 작업이 생략되어 작업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높이조절 공간(S)을 갖는 높이 조절삽입부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가 수직 돌출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있으므로 단열재의 두께(T)가 얇거나 두껍더라도 높이조절 공간(S)에 의하여 단열재 고정구의 높이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수직 돌출부를 복수 수직 돌출부로 형성한 구성이므로 단열재의 폭방향으로 단열재 고정구의 위치이동 및 그 조정이 가능하여 단열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직 돌출부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와 그리고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의 높이 조절삽입부에 상협하광의 경사부를 형성한 구성이므로 단열재 고정구와 상기 상협하광의 경사부와의 주면마찰저항이 적어 특히 단열재 고정구의 삽입이 쉽고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앵카부(28)가 수직 돌출부(24)의 상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그만큼 앵카부(28)와 접면되는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앵카부(28)의 앵카력도 이에 비례해서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앵카부가 수직 돌출부의 상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앵카부와 접면된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가 수직 돌출부의 높이와 같으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워 앵카부의 앵카력이 그만큼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으므로 단열재를 확실하게 눌러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상의 누름부(22)에 직각방향으로 보강 누름부(22a)가 십자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클린 캡 유닛이 더한층 안정적인 구조가 될 뿐만 아니라 단열재(40)의 누름을 더욱 확실하게 눌러주게 되는 효과가 있다.
단열재를 관통한 종래의 고정방식과는 달리 알루미늄 폼을 제거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에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를 이용하여 단열재나 기타 천정재 등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 본 발명 알루미늄 폼 위에 단열재를 고정한 클린 캡 유닛의 사시도
[도2] 본 발명의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가 고정되어있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3] 본 발명의 클린 캡 유닛과 단열재 고정구에 의하여 알루미늄 폼 위에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4] 본 발명의 클린 캡 유닛에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가 형성된 다른 실시 예
[도5] 도4의 클린 캡 유닛의 다른 실시 예와 단열재 고정구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6]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가 형성되어있으면서 십자형태의 보강 누름부가 형성된 또 다른 실시 예의 본 발명 클린 캡 유닛의 사시도
[도7] 도6의 클린 캡 유닛에 의하여 단열재가 고정되어있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8] 종래의 관통고정방식에 의한 고정캡 및 고정구의 분해 사시도
[도9] 단열재고정구가 단열재를 관통하여 단열재를 고정하고 있는 모습을 보인 종래기술의 현장사진
[도10] 도9의 종래기술에서 단열재에 형성된 고정캡의 구멍을 보인 현장사진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전동공구 삽입부(12), 걸림지지부(14), 나사부(16), 드릴부(18)를 갖는 단열재 고정구(10)를 알루미늄 폼(30)에 고정하되 단열재(40)의 폭에 꼭 맞게 단열재(40)의 길이방향으로 단열재 고정구(10)를 두 줄로 설치하는 단계;
⒝ 길이방향으로 두 줄로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사이에 단열재를 포설하는 단계;
⒞ 클린 캡 유닛(20)(20a)의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를 통해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조절 공간(S)에 전동공구 삽입부(12)를 삽입하되 수평상의 누름부(22)와 단열재(40)가 서로 직각되게 클린 캡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다음 경화된 후 단열재 고정구(10)와 함께 알루미늄 폼(30)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전동공구 삽입부(12) 및 수직 돌출부(24)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30)에 고정 및 분리시킴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이다.
여기에다 상기의 ⒞단계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에서 높이조절 공간(S)을 갖는 높이 조절삽입부(262)가 형성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가 수직 돌출부(24)위에 일체로 형성된 구성이다.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와 그리고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 조절삽입부(262)에 상협하광의 경사부(246)가 형성된 구성이다.
수직 돌출부(24)는 타설된 콘크리트 몰탈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위하여 알루미늄 폼(30)에 접면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돌출부(24)를 복수 수직 돌출부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단열재 고정구(10)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는 비관통 고정방식이기 때문에 단열재(40)에 구멍이 생기지 않아 알루미늄 폼(30)을 제거한 후 단열재(40)의 구멍을 실리콘 등으로 막는 작업이 생략될 뿐 아니라 결로 방지가 확실하게 된다.
앵카부(28)가 수직 돌출부(24)의 상단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앵카부(28)에 접면된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가 수직 돌출부(24)의 높이와 같으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두께가 두꺼워 앵카부(28)의 앵카력이 그만큼 증대되게 된다.
단열재(40)를 관통하는 종래의 관통고정방식과는 달리 알루미늄 폼(30)을 제거한 후 타설된 콘크리트에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견고한 콘크리트 관통공과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를 이용하여 여유 공간에 단열재나 기타 천정재 등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10; 단열재 고정구
12; 전동공구 삽입부, 14; 걸림지지부, 16; 나사부, 18; 드릴부
20, 20a, 20b; 클린 캡 유닛
22; 누름부, 22a; 보강 누름부, 222; 하향 캠버, 224; 단열재 고정침, 226; 공간부, 24; 수직 돌출부, 242;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 244; 수직부, 246; 경사부, 26;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 262; 높이 조절삽입부, 28; 앵카부,
30; 알루미늄 폼
40; 단열재

Claims (9)

  1. 삭제
  2. 누름부(22)와 앵카부(28)와 그리고 수직 돌출부(24)의 상단부가 동일 레벨상에 있으면서 수직상의 수직 돌출부(24)와 수평상의 누름부(22)가 서로 캔틸레버 구조형태로 일체로 형성되어있되 누름부(22)가 수직 돌출부(24)보다 길게 형성되고, 수직 돌출부(24)를 중심으로 앵카부(28)가 양측에 형성되어있으면서 앵카부(28)는 수직 돌출부(24)의 상부에 위치해 있으며, 단열재(40)를 눌러주는 누름부(22)에는 하향 캠버(222)가 주어져있는 한편, 전동공구 삽입부(12) 및 수직 돌출부(24)가 단열재(40)를 관통하지 않으면서 단열재를 알루미늄 폼(30)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캡에 있어서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와 높이조절 공간(S)이 서로 연통되어있는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가 수직 돌출부(24)와 상하로 일체로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캡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와 그리고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 조절삽입부(262)에 상협하광의 경사부(246)가 형성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클린 캡 유닛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 전동공구 삽입부(12), 걸림지지부(14), 나사부(16), 드릴부(18)를 갖는 단열재 고정구(10)를 알루미늄 폼(30)에 고정하되 단열재(40)의 폭에 꼭 맞게 단열재(40)의 길이방향으로 단열재 고정구(10)를 두 줄로 설치하는 단계;
    ⒝ 길이방향으로 두 줄로 설치된 단열재 고정구(10)사이에 단열재를 포설하는 단계;
    ⒞ 클린 캡 유닛(20)(20a)의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를 통해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조절 공간(S)에 전동공구 삽입부(12)를 삽입하되 수평상의 누름부(22)와 단열재(40)가 서로 직각되게 클린 캡 유닛을 고정하는 단계;
    ⒟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한 다음 경화된 후 단열재 고정구(10)와 함께 알루미늄 폼(30)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단계에서 수직 돌출부(24)의 단열재 고정구 삽입부(242)와 연통된 단열재 고정구 높이 조절부(26)의 높이 조절삽입부(262)에 상협하광의 높이조절 공간(S)이 되도록 경사부(246)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20100071149A 2010-05-27 2010-07-23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0256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9518 2010-05-27
KR20100049518 2010-05-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5648B1 true KR101025648B1 (ko) 2011-03-30

Family

ID=4393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149A KR101025648B1 (ko) 2010-05-27 2010-07-23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56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63B1 (ko) 2012-11-30 2013-09-25 양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457U (ko) * 1994-05-27 1995-12-16 이해명 단열재 고정클립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90113479A (ko) * 2008-04-28 2009-11-02 조규용 단열재 고정구
KR100926435B1 (ko) * 2009-08-07 2009-11-12 양내문 알루미늄 거푸집용 십자형상의 단열재 고정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457U (ko) * 1994-05-27 1995-12-16 이해명 단열재 고정클립
KR100859100B1 (ko) 2007-12-31 2008-09-17 양내문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20090113479A (ko) * 2008-04-28 2009-11-02 조규용 단열재 고정구
KR100926435B1 (ko) * 2009-08-07 2009-11-12 양내문 알루미늄 거푸집용 십자형상의 단열재 고정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663B1 (ko) 2012-11-30 2013-09-25 양근영 높이조절이 가능한 알루미늄폼용 단열재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35620A (ko) 조립식 철골조(steel house)와 이를 이용한 건축공법
CA2678452C (en) Device for anchoring concrete to an insulating panel and form employing the device
US20080271401A1 (en) Wall-forming system and related method
US20160289982A1 (en) Formwork element
JP5965544B2 (ja) Hバー、並びにこのhバー及び非金属製せき板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KR101899248B1 (ko) 슬라브 단열재 고정구
KR101025648B1 (ko) 단열재 고정구의 클린 캡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단열재를 시공하는 방법
KR101075656B1 (ko) 수직벽체 알루미늄 폼을 이용한 슬래브용 클린 캡 유닛 및 이에 의한 단열재 설치방법
KR100730656B1 (ko) 복합 단열재용 고정장치
KR100447474B1 (ko) 단열재용 인서트
KR100380505B1 (ko) 높이조절용 철물을 이용한 바닥단열패널 설치구조 및설치방법
KR101043751B1 (ko) 슬라브용 단열 데크플레이트
KR200457690Y1 (ko) 지반보강용 블록
KR200224313Y1 (ko) 높이조절용 철물을 이용한 바닥단열패널 설치구조
KR100863003B1 (ko) 난간 설치 구조 및 시공 방법
KR200224301Y1 (ko) 건물용 판재 앵커
KR20200053193A (ko) 복합 단열재를 사용한 영구 거푸집
KR101898914B1 (ko) 벽체용 단열재 고정구
KR102386823B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 장치
KR200441560Y1 (ko) 인서트
KR100459011B1 (ko) 다층콘크리트 건축물의 연결부재 및 그 설치방법
KR0127135Y1 (ko) 콘크리트몰탈타설기준대를 가진 철근받침대
JP2022174816A (ja) 天井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644623B2 (ja) 人通孔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その形成方法
GB2613165A (en) Support device for mason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