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56B1 -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56B1
KR101849956B1 KR1020150110697A KR20150110697A KR101849956B1 KR 101849956 B1 KR101849956 B1 KR 101849956B1 KR 1020150110697 A KR1020150110697 A KR 1020150110697A KR 20150110697 A KR20150110697 A KR 20150110697A KR 101849956 B1 KR101849956 B1 KR 10184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ior material
fixing
clip
fram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8148A (ko
Inventor
홍진기
Original Assignee
진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산업(주) filed Critical 진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11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56B1/ko
Publication of KR20170018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adhesive join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17U- or C-shaped brackets and cl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9Puzzle-type connections for interlocking male and female panel edge-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재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면서도, 벽면에 내장재를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내장재 간의 접합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내장재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장재는 'ㄹ'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장재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 타측에는 하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interior materia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interior material}
본 발명은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재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면서도, 벽면에 내장재를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내장재 간의 접합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내장재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내장재로는 목재 또는 인조대리석 등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나 내장재를 벽면에 시공하는 구조는 동일하다.
종래에는 내장재를 벽면에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것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내장재의 시공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일정한 사이즈를 갖고 모자이크 방식에 의해 설치되는 내장재를 정확한 위치에 시공되도록 하는데 숙련공이라고 하여도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시공 후 여러 번에 거친 보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내장재 시공구조에 있어서는 내장재를 교체시 기존에 시공되어 있는 내장재 제거작업과 내장재가 제거된 벽면의 보수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제거된 내장재는 손상되어 폐기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0210349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확개공부(11a)를 중심으로 하나 이상의 협소부(11b)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11)이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시공부재(10)와, 상기 확개공부(11a)를 통과하고 협소부(12)를 통과하지 못하는 머리부(21)가 후방에 형성된 결합수단(20)과, 상기 결합수단(20)이 배면에 시공부재의 두께에 대응하는 이격부(T)를 갖도록 설치된 내장재(30)로 이루어져, 벽면(40)에 설치된 시공부재(10)의 확개공부(11a)를 통해 끼워진 결합수단(20)의 머리부(21)가 협소부(21b)에 위치하도록 내장재(30)를 시공부재(10)에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0210349호에 기재된 기술은 건축용 내장재를 착탈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장재의 시공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장재를 교체시 해체 및 재시공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이는 장점은 있으나, 벽면 전체에 결합공(11)이 형성되는 시공부재(10)를 설치하여야 하며, 모든 내장재(30)의 후면에 상기 결합공(11)에 대응되는 결합수단(20)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내장재의 제조가 어려워 제조비용이 증가하며, 벽면 전체에 시공부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전체적인 시공 기간이 증가되어 시공비용 또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하는 내장재를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내장재를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위체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상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장재를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이 돌출되는 'ㄹ'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내장재를 벽면에 설치할 때 상부 돌출부와 인접한 내장재의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접합부분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미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여 접합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상판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내장재를 벽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벽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벽면 정리단계와 정리된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와 설치된 프레임에 내장재를 고정하는 내장재 고정단계로 이루어져, 벽면에 직접 내장재를 설치하지 않고 프레임에 내장재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내장재를 시공할 수 있는 내장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장재를 벽면에 설치하는 내장재 고정단계에서는 프레임에 내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클립을 설치하고, 고정 클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장재의 하단과 상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내장재를 해체 시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내장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장재에 있어서,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장재는 'ㄹ'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장재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 돌출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 타측에는 하부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판은 다수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판은 다수개의 목재를 접착한 상태로 절단하여 접합한 부분이 무늬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전술한 내장재를 사용하여 내장재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면을 정리하는 벽면 정리 단계와, 정리된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와, 상기 프레임 설치 단계에 설치된 프레임에 내장재를 고정하는 내장재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장재 고정 단계는 프레임에 고정 클립을 설치하는 클립 설치 단계와, 상기 고정 클립에 내장재를 거치하는 거치 단계와, 상기 내장재의 상단 위치의 프레임에 고정 클립을 고정하는 클립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치 단계에서 내장재를 고정 클립에 거치할 때, 내장재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인접한 내장재의 하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 클립은 내장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클립부재와, 상기 내장재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1,2클립부재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내장재의 상단 또는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클립부재는 설치부의 하부로 보조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건물의 내벽에 설치하는 내장재를 목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내장재를 하나의 판으로 이루어지는 하판과 상기 하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위체를 부착하여 형성되는 상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내장재를 상부 일측과 하부 타측이 돌출되는 'ㄹ'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각 내장재를 벽면에 설치할 때 상부 돌출부와 인접한 내장재의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접합부분이 드러나지 않도록 하여 미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상부 돌출부와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설치하여 접합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하판의 상면에 다수개의 단위체로 이루어지는 상판을 부착하여 형성되는 내장재를 벽면에 시공하는 방법은, 벽면의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벽면 정리단계와 정리된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와 설치된 프레임에 내장재를 고정하는 내장재 고정단계로 이루어져, 벽면에 직접 내장재를 설치하지 않고 프레임에 내장재를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내장재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재를 벽면에 설치하는 내장재 고정단계에서는 프레임에 내장재를 지지하기 위한 고정 클립을 설치하고, 고정 클립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내장재의 하단과 상단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못이나 나사 등을 사용하여 프레임에 고정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재를 보다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내장재를 해체 시에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내장재 시공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내장재 시공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상판의 제작 방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벽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벽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의 상판의 제작 방법을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벽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으로 시공한 벽면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고정 클립의 또 다른 형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는 내장재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장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판재로 형성되는 하판(110)과 상기 하판(1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판(1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판(110)은 합판, MDF, HDF 등을 사용하여 하나의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120)은 천연목재, 솔리드 단판 목재, LVL 또는 합판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판(110)은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120)은 다수 개의 단위체(122)로 이루어지는데, 각 단위체(122)의 크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어, 단위체(122)의 조합에 따라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내장재(100)의 미감을 높여주게 된다.
이때, 상기 상판(120)은 각각의 단위체(122)를 하판(120)의 상면에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목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한 후, 접착된 목재를 절단하여 상판(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다수의 접착된 목재를 절단하여 상판(120)을 형성할 경우, 한번에 동일한 상판(120)을 다수 개 형성할 수 있으며, 각 단위체(122)를 하나씩 접착하여 형성하는 것보다 보다 신속하게 상판(120)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장재는(100) 'ㄹ'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내장재(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부 돌출부(130)가 측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내장재(100)의 하부 타측에는 하부 돌출부(140)가 측부로 돌출 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장재(100)를 벽면(400)에 시공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출부(130)와 인접한 내장재(100)의 타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140)가 서로 접하게 설치 된다.
그래서, 각 내장재(100)의 접하는 면이 넓어지게 됨으로써 서로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접하는 부분이 상하 방향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어서 시공 후에 각 내장재(100)의 연결부분이 두드러지게 드러나지 않게 되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내장재(100)를 벽면(400)에 시공하는 내장재 시공방법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400)에 부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여 벽면(400)을 정리하는 벽면 정리 단계(S10)와 상기 벽면 정리 단계(S10)에서 정리된 벽면(400)에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S20)와 상기 프레임 설치 단계(S20)에서 설치된 프레임(200)에 내장재(100)를 고정하는 내장재 고정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정리된 벽면(400)에 직접 내장재(100)를 설치하지 않고 프레임(200)을 설치한 후, 프레임(200)에 내장재(100)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고 견고하게 내장재(100)를 고정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장재 고정 단계(S30)는 상기 프레임 설치 단계(S20)에서 설치한 프레임(200)에 고정 클립(300)을 설치하는 클립 설치 단계(S31)와 프레임(200)에 설치된 고정 클립(300)에 내장재(100)의 하단을 거치하는 거치 단계(S32)와 고정 클립(300)에 거치된 내장재(100)의 상단이 위치한 프레임(200)에 고정 클립(300)을 고정하는 클립 고정 단계(S33)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200)의 하단에 1차적으로 고정 클립(300)을 설치하고, 설치된 고정 클립(300)에 최하부에 설치될 내장재(100)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거치하며, 고정 클립(300)에 거치된 내장재(100)의 상부가 고정되도록 내장재(100) 상단이 위치하는 프레임(200)에 고정 클립(300)을 설치함으로써, 내장재(100)의 하단은 하부에 위치하는 고정 클립(300)에 의해 지지 되고, 내장재(100)의 상단은 상부에 위치하는 고정 클립(300)에 의해 지지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내장재(100)가 고정클립(3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클립(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클립부재(310)와 내장재(100)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클립부재(320)로 이루어져, 고정 클립(300)이 내장재(100)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 내장재(10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되고 내장재(100)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내장재(100)의 상부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클립부재(310)는 프레임(200)에 설치되는 설치부(312)와 상기 설치부(312)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14)와 상기 지지부(314)의 단부에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전면 하단을 고정하는 고정부(31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클립부재(320)는 상기 제1클립부재(310)의 설치부(312) 상단에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322)와 상기 설치부(322)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324)와 상기 지지부(324)의 단부에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100)의 전면 상단을 고정하는 고정부(32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 클립(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부재(310)의 지지부(314)와 고정부(316)에 의해 내장재(100)의 하단 및 전면 하단을 지지 고정하여 내장재(100)의 하단이 임의로 고정 클립(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2클립부재(320)의 지지부(324)와 고정부(326)에 의해 내장재(100)의 상당 및 전면 상단을 지지 고정하여 내장재(100)의 상단이 임의로 고정 클립(30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내장재(100)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클립(300)은 탄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클립부재(320)의 고정부(316,326)는 내장재(10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금속 재질의 탄성력에 의해 내장재(100)의 전면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내장재(100)를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고정부(316,326)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절곡부(318,328)이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부(318,328)에 의해 내장재(100)를 고정부(316,326)의 내측으로 삽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설치부(312,322)에는 나사 또는 못을 삽입하기 위한 설치공(311,322)이 형성되어 프레임(200)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300')의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클립부재(310)와 제2클립부재(32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클립부재(320')를 형성하는 설치부(322)의 하부로 'v'자 형상의 보조 지지부(323)가 연장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 클립(300')의 제1클립부재(310)에 내장재(100)의 하단이 거치되더라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제2클립부재(320')의 보조 지지부(323)와 고정부(326) 사이로 내장재(100)의 상단이 삽입 고정될 때, 내장재(100)의 상단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클립(300,300')가 프레임(200)의 최하단에 설치될 경우에는 고정 클립(300,300')을 제1클립부재(310)만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 고정 클립(300,300')을 프레임(200)의 최상단에 설치될 경우 제2클립부재(320,320')만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클립(300')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클립부재(310',320')의 제1,2고정부(316,326)의 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제1,2절곡부(318,328)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1,2절곡부(318,328)에 의해 제1,2고정부(316,326)의 내측으로 삽입된 내장재(10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거치 단계(S32)에서 내장재(100)를 고정 클립(300)에 거치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재(100)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130)와 측부로 인접한 내장재(100)의 하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140)가 서로 접하도록 거치하게 된다.
그래서, 내장재(100)를 적층할 때, 상부에 위치하는 내장재(100)가 바로 하부에 위치하는 내장재(100)뿐만 아니라 하부 일측에 위치하는 내장재(100)와 측부에 접하는 내장재(100)로도 하중을 분산하기 때문에 모든 내장재(100)가 서로 유기적으로 하중을 분산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상부에 위치되는 내장재(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장재(200)의 형상을 양측이 돌출되는 'ㄹ'자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장재(100)의 접합부분이 두드러지게 드러나지 않게 하여 벽면(400)의 와관을 더욱 미려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장재가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면서도, 벽면에 내장재를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내장재 간의 접합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내장재를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100 : 내장재 110 : 하판
120 : 상판 122 : 단위체
130 : 상부 돌출부 140 : 하부 돌출부
200 : 프레임 300,300' : 고정 클립
310 : 제1클립부재 311,321 : 설치공
312,322 : 설치부 314,324 : 지지부
316,326 : 고정부 318,328 : 절곡부
320,320' : 제2클립부재 400 : 벽면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장재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벽면을 정리하는 벽면 정리 단계와,
    정리된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프레임을 설치하는 프레임 설치 단계와,
    상기 프레임 설치 단계에 설치된 프레임에 내장재를 고정하는 내장재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장재 고정 단계는 프레임에 고정 클립을 설치하는 클립 설치 단계와, 상기 고정 클립에 내장재를 거치하는 거치 단계와, 상기 내장재의 상단 위치의 프레임에 고정 클립을 고정하는 클립 고정 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 단계에서 내장재를 고정 클립에 거치할 때, 내장재의 상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부 돌출부와 인접한 내장재의 하부 타측으로 돌출되는 하부 돌출부가 서로 접하도록 거치하며,
    상기 고정 클립은 내장재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1클립부재와, 상기 내장재의 상부를 지지하는 제2클립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클립부재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하단을 고정하도록 내장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클립부재는 상기 제1클립부재의 설치부 상단에 절첩되도록 형성되는 설치부와 상기 제2클립부재의 설치부의 단부에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상단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2클립부재의 지지부의 단부에 하부로 절곡 형성되어 내장재의 전면 상단을 고정하도록 내장재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부와 제2클립부재의 고정부의 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클립부재는 설치부의 하부로 보조 지지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장재 시공 방법.
KR1020150110697A 2015-08-05 2015-08-05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KR10184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697A KR101849956B1 (ko) 2015-08-05 2015-08-05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0697A KR101849956B1 (ko) 2015-08-05 2015-08-05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48A KR20170018148A (ko) 2017-02-16
KR101849956B1 true KR101849956B1 (ko) 2018-04-20

Family

ID=58264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0697A KR101849956B1 (ko) 2015-08-05 2015-08-05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997B1 (ko) * 2021-07-29 2023-08-01 주식회사 엔엔티 클립을 포함하는 데크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770A (ja) * 2001-07-09 2003-01-21 Bridgestone Corp 表面仕上材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4030928A (ja) * 2012-08-01 2014-02-20 Panasonic Corp 木質化粧板、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770A (ja) * 2001-07-09 2003-01-21 Bridgestone Corp 表面仕上材
KR100721211B1 (ko) * 2006-09-06 2007-05-23 원병욱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14030928A (ja) * 2012-08-01 2014-02-20 Panasonic Corp 木質化粧板、木質化粧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48A (ko)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258B1 (ko) 나사못이 필요 없는 목재 데크 판재용 원터치 탄성 고정 장치
CN109072618B (zh) 封板固定装置
CN110593515A (zh) 一种地板组件
KR20120105036A (ko) 간편 설치용 바닥판재
BRPI0407664B1 (pt) "sistema de piso e método de instalação".
KR101849956B1 (ko) 내장재 및 내장재 시공방법
KR20180013630A (ko) 나사못 없이 원터치 탄성 결합이 가능한 목재 데크 판재
KR101579965B1 (ko) 보수 가능한 데크 클립
KR20160004617A (ko)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CN211421716U (zh) 一种地板组件
KR20140130993A (ko) 조립식 타일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타일 시공방법
KR20090087322A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JP2007071011A (ja) 壁パネルおよび該壁パネルを取り付けるための壁下地材、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壁面構造
KR102106473B1 (ko) 마루바닥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71745A (ko) 보수 가능한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의 보수 방법
KR101850497B1 (ko) 모듈화된 마루바닥의 조립구조
KR200438710Y1 (ko) 가구용 문짝 부재
JP3842678B2 (ja) デッキ床の接合用金具及び接合構造
KR20070014860A (ko) 마루판 조립체
KR102120173B1 (ko) 원터치 클립 방식의 데크 시공방법
KR200481395Y1 (ko) 저면에 프레임 고정돌부가 부착된 법랑코팅 책상판
CN210002768U (zh) 一种稳定性好的木饰面安装结构
KR20170001800U (ko) 마루판용 마감재
JP6858512B2 (ja) デッキ構造
JP2000064565A (ja) 床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