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970Y1 - 머플러 - Google Patents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970Y1
KR200416970Y1 KR2020060006387U KR20060006387U KR200416970Y1 KR 200416970 Y1 KR200416970 Y1 KR 200416970Y1 KR 2020060006387 U KR2020060006387 U KR 2020060006387U KR 20060006387 U KR20060006387 U KR 20060006387U KR 200416970 Y1 KR200416970 Y1 KR 2004169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exhaust pipe
muffler
case
en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3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수
Original Assignee
박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천수 filed Critical 박천수
Priority to KR20200600063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9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9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9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22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by welding or braz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머플러의 배기파이프를 머플러 커버에 견고한 상태로 용접되게 하여 장기간 차량에 장착되더라도 용접부위가 탈거되지 않는 머플러가 개시된다. 개시된 머플러는 내부에 소음저감구조를 지닌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을 밀폐시키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도록 관통공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 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되는 축개편이 형성된 커버와; 직경이 커지게 돌출되는 확개편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배기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의 축개편 내면에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외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를 커버의 관통공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커버의 축개편 단부와 배기파이프 외면 접촉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머플러, 배기파이프, 케이스, 커버, 용접

Description

머플러{MUFFLER}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머플러의 단면도이며,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부분 분리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결합 평면도이며,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변형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케이스 120: 커버
121: 관통공 122: 축개편
130: 배기파이프 131: 확개편
W1, W2: 용접
본 고안은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머플러의 배기파이프를 머플러 커버에 견고한 상태로 용접되게 하여 장기간 차량에 장착되더라도 용접부위가 탈거되지 않는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머플러는 자동차의 외부에 설치되어 엔진에서 나오는 배기가스의 폭음을 저감시키는 장치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머플러는 내부에 폭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구조를 지닌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1)의 전면 및 후면을 밀폐시키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도록 관통공(21)이 형성된 머플러 커버(20)와,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머플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머플러커버의 관통공(21)상에 용접(W) 고정된 배기파이프(30)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머플러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상태인 머플러 커버(20)에 관통공(21)을 형성하고 이 관통공(21) 주위에 배기파이프(30)를 맞댄 후 용접하였기 때문에 차량의 지속적이고 심한 유동에 의해 용접(W) 부위가 쉽게 탈거되어 배기파이프가 커버에서 자주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에 따라 제품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머플러의 배기파이프를 머플러 커버에 견고한 상태로 용접되게 하여 장기간 차량에 장착되더라도 용접부위가 탈거되지 않는 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소음저감구조를 지닌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을 밀폐시키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도록 관통공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 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되는 축개편이 형성된 커버와; 직경이 커지게 돌출되는 확개편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배기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의 축개편 내면에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외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를 커버의 관통공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커버의 축개편 단부와 배기파이프 외면 접촉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단부와 커버 내면 접촉부위가 군데 군데 더 용접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결합 평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는 케이스(110), 커버(120) 및 배기파이프(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에 폭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소음저감구조를 구비한 외통으로, 소음저감구조는 본 고안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이 아니므로 구체적 설명은 피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120)는 케이스(110)의 전면 및 후면을 밀폐시키도록 케이스(110)에 결합, 바람직하게는 용접으로 결합되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도록 관통공(121)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21) 단부에는 케이스(110) 외측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되는 축개편(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파이프(130)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머플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파이프이다. 즉, 커버(120)에는 엔진에서 배출된 배기가스를 머플러로 도입시킨 후 머플러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기파이프(13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배기파이프의 일측 단부는 직경이 커지게 돌출되는 확개편(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조립방법 및 작용/효과에 대해 도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조립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커버(120)를 케이스(110)에 고정시키기 전에 커버(120)의 축개편(122) 내면에 배기파이프(130)의 확개편(131) 외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130)를 커버(120)의 관통공(121)으로 삽입시킨다. 즉, 도3의 확대단면도의 화살표 A방향으로 배기파이프(130)를 커버(120)의 관통공(121)내로 삽입시키면 배기파이프(130)의 확개편(131)의 외면이 커버(120)의 축개편(122)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그 후, 커버(120)의 축개편(122) 단부와 배기파이프(130) 외면의 접촉부위를 용접(W1)하면 일단 커버(120)와 배기파이프(130)의 결합이 완료되며, 커버(120)와 케이스(130)를 결합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의 조립이 완성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머플러는 배기파이프의 확개편(131)이 커버의 축개편(122) 내부에 밀착된 상태에서 용접되기 때문에 커버(120)에 대한 배기파이프(130)의 지지상태가 안정적이다. 따라서, 차량을 통해 진동이나 충격이 배기파이프(130)에 전달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지된 배기파이프(130)는 거의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의 축개편(122) 단부와 배기파이프(130) 외면에 용접된 용접(W1)부위가 받은 하중 역시 저감되어 상기 용접(W1)부위가 탈거되지 않아 배기파이프(130)가 커버(120)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해소되게 된다.
또한, 배기파이프(130)와 커버(120)의 결합강도를 보다 증대하기 위해 상기 배기파이프(130)의 확개편(131) 단부와 커버(120) 내면 접촉부위를 군데 군데 점용접(W2)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4는 아웃렛 배기파이프가 듀얼(DUAL)로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각각 배기파이프를 상술한 방법에 따라 커버에 결합된 후 용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머플러는 커버의 관통공 단부에는 축개편을 형성하고 배기파이프는 일측 단부에는 확개편을 형성하여, 상기 커버의 축개편 내면에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외면이 밀착되도록 배기파이프와 커버를 결합시킨 후 커버의 축개편 단부와 배기파이프 외면 접촉부위를 용접함으로써, 배기파이프가 장기간 차량에 장착되더라도 차량의 유동에 의해 커버에서 용이하게 탈거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소음저감구조를 지닌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전면 및 후면을 밀폐시키며 배기가스가 유동되도록 관통공이 천공되며, 상기 관통공 단부에는 직경이 작아지게 돌출되는 축개편이 형성된 커버와;
    직경이 커지게 돌출되는 확개편이 일측단부에 형성된 배기파이프로 구성되되,
    상기 커버의 축개편 내면에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외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배기파이프를 커버의 관통공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커버의 축개편 단부와 배기파이프 외면 접촉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파이프의 확개편 단부와 커버 내면 접촉부위가 군데 군데 더 점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플러.
KR2020060006387U 2006-03-09 2006-03-09 머플러 KR2004169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87U KR200416970Y1 (ko) 2006-03-09 2006-03-09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387U KR200416970Y1 (ko) 2006-03-09 2006-03-09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970Y1 true KR200416970Y1 (ko) 2006-05-22

Family

ID=41766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387U KR200416970Y1 (ko) 2006-03-09 2006-03-09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9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583B2 (en) Housings for flue gas units
JP6116982B2 (ja) 車両用マフラ
US20090208275A1 (en) Structure for exhaust pipe connection section of muffler
US20050115764A1 (en) Muffler
JP4576239B2 (ja) エンジン用マフラ
US9546587B2 (en) Component of an exhaust system
JP2010150947A (ja) 排気系部材の支持構造
JP2006233862A (ja) 車両用消音器
KR200416970Y1 (ko) 머플러
JP2013194736A (ja) 消音装置
US9644510B2 (en) Exhaust pipe
CN110005506B (zh) 消音系统
US7591345B1 (en) Angled muffler seam construction and method
KR100689358B1 (ko) 진동절연 파이프 연결 구조
JP2015190387A (ja) 排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230296A (ja)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の装着構造
JP2008115799A (ja) 車両用マフラ
JP2001227336A (ja) マフラーの端部構造
KR101159891B1 (ko) 차량 배관용 조인트 플랜지 및 그 제조방법
JP2009197629A (ja) 車両用消音器
JP2007046458A (ja) 合成樹脂結合体
JP4394471B2 (ja) 消音器
JP4573862B2 (ja) 消音器
JP2010138835A (ja)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ールド構造
JP2008128197A (ja) 車両用マフラの排水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