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767Y1 -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767Y1
KR200416767Y1 KR2020060004637U KR20060004637U KR200416767Y1 KR 200416767 Y1 KR200416767 Y1 KR 200416767Y1 KR 2020060004637 U KR2020060004637 U KR 2020060004637U KR 20060004637 U KR20060004637 U KR 20060004637U KR 200416767 Y1 KR200416767 Y1 KR 200416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hot water
cooling water
high pressure
pressur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이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기 filed Critical 이원기
Priority to KR2020060004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7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47J27/17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with steam jack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가마솥과는 달리 조리하는 동안 주걱 등으로 저어주지 않아도 식재료나 진국이 눌러 붙거나 타지 않고, 솥 외부로 수증기가 증발되지 않아 수분이 줄어들지 않으므로 수분을 추가적으로 보충할 필요가 없으며, 조리시간이 단축되어 영양소의 파괴가 적고 음식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 및 급탕에 공급되는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는, 일정한 온도를 갖는 고압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있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고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공급부와, 상기 증기 공급부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증기 공급관 및 증기 배출관과,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유입구와, 유입된 고압증기가 순환하여 열을 전달하는 내부공간과, 상기 증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와,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납 솥이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본체부와, 일정온도 이하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일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관과,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냉각수가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온수 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공간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뚜껑부 및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 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증기 공급부, 본체부, 뚜껑부, 증기 공급관, 증기 배출관, 냉각수 공급관, 온수 배출관, 제어부, 저장공간, 내부공간.

Description

증기가열식 조리장치{COOKING DEVICE BY STEAM}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의 작동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10:증기공급부
20:본체부 22:내부공간
30:뚜껑부 32:저장공간
40:증기 공급관 50:증기 배출관
60:냉각수 공급관 70:온수 배출관
80:제어부 90:온수 저장탱크
본 고안은 채소, 육류, 어패류 등의 식재료나 탕약 등을 끓이기 위한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증기를 열 공급원으로 하여 일정 온도로 돼지고기나 쇠고기 등의 사골, 잡뼈 및 정육 등의 식재료를 끓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뚜껑부에 냉각수가 일시 저장되게 하여 증발된 수증기가 다시 응축됨으로써 조리하는 동안에 수분이 줄어들지 않게 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사골국 등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큰 솥과 같은 대형의 조리용기에 채소, 육류, 뼈 등과 같은 식재료를 물과 함께 넣고 연탄이나 가스 등과 같은 열 공급원으로 장시간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연탄이나 가스 등과 같은 열 공급원에 의한 가열 방식은 조리용기 내부에 열이 불균형하게 전달되므로 사골 등의 원료나 진국이 조리용기에 쉽게 눌러 붙거나 타게 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조리하는 자가 주걱 등으로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장시간 열을 공급하는 경우 많은 수분이 증발하므로 조리하는 자가 수시로 물을 보충하기 위해 조리하는 동안 조리상태를 계속 지켜보아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었고, 물을 보충한 후 다시 일정 온도로 가열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고 조리시간이 지연되었으며, 장시간 가열로 인하여 재료의 영양분이 파괴되고 솥 외부로 수증기가 증발됨으로써 음식의 고유한 맛과 향이 사라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온도를 갖는 고압증기에 의해 열 공급이 이루어지고, 뚜껑부에 냉각수를 일시 저장하여 증발된 수분이 다시 응축되게 함으로써, 조리자의 불편함을 제거함과 동시에 재료의 영양분과 고유의 맛과 향을 살리게 한, 증기가열식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또한 증발된 수증기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난방 및 급탕 등을 위한 온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증기가열식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온도를 갖는 고압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있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고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증기 공급관 및 증기 배출관;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유입구와,
유입된 고압증기가 순환하면서 수납 솥 전체를 가열시키는 내부공간과,
상기 증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와,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납 솥이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본체부;
일정온도 이하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일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관;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냉각수가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온수 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공간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뚜껑부; 및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수납 솥의 온도 및 상기 온수 배출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창과,
검출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결정하는 논리회로와,
상기 논리회로에 의해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밸브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난방 및 급탕 등을 위한 온수를 제공한다.
*이하에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를 실시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를 정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의 작동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는 일정 온도를 가지는 고압증기에 의해 열을 공급받아 본체부(20) 내에 수용되는 식재료를 조리하는 것으로, 증기 공급부(10)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증기 공급관(40) 및 증기 배출관(50)과, 증기 공급관(40)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유입구(21)와, 유입된 고압증기가 순환하면서 수납 솥(24) 전체를 가열시키는 내부공간(22)과, 증기 배출관(50)에 연결되어 순환된 고압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23)와,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납 솥(24)이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본체부(20)와, 일정온도 이하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관(60) 및 일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관(70)과, 본체부(20) 상부에 위치하며, 냉각수 공급관(6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31)와, 유입된 냉각수가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32)과, 온수 배출관(70)에 연결되어 저장공간(32)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33)가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뚜껑부(30)와, 본체부(20)의 수납 솥(24) 및 온수 배출구(33)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증기, 냉각수 및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결정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한다.
증기 공급관(40)은 증기 공급부(10)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를 본체부(20)로 전달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고압증기의 온도는 120℃ 내지 130℃로 됨이 바람직하다. 증기 공급관(40)에는 자동밸브(41), 압력계(43) 및 작동타이머(42)가 구비되어 있어 후술하는 제어부(80)에 의한 자동작동, 작동버튼(82)의 조작에 의한 작동 및 조리자의 시간설정에 의해 작동되는 방식으로 고압증기의 유입이 제어되며, 유입된 고압증기의 양에 따라 수납 솥(24)의 온도가 결정된다.
본체부(20)는 일정한 온도의 고압증기를 열 공급원으로 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곳으로,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증기 공급관(40)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유입구(21)와, 유입된 고압증기가 순환하여 수납 솥(24)에 열을 전달하는 내부공간(22)과, 증기 배출관(50)에 연결되어 순환된 고압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23)와 식재료가 수용된 수납 솥(24)이 형성된 2중 구조로 되어 있 다.
증기 유입구(21)를 통하여 유입된 고압증기는 내부공간(22)에 고루 확산되어 수납 솥(24)에 열전달을 하여 수납 솥(24)을 가열하므로 수납 솥(24)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고 높은 열분포율을 가지게 되어 장시간 조리하여도 사골 등의 원료나 진국이 눌러붙거나 타지 않으므로 종래에 조리하는 자가 주걱 등으로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했던 불편함을 크게 덜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솥(24)의 온도는 120℃ 내지 130℃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증기에 의한 열전달이 쉽게 이루어지고 고압증기에 대해 내구성을 지니기 위해서 상기 본체부(2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5mm 이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밸브(26)를 설치하여 가열통로가 일정 압력 이상을 받게 되는 경우 고압증기를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게 함이 바람직하다.
본체부(20)에서 배출된 증기는 증기 배출관(50)을 통하여 증기 공급부(10)로 복귀하여 열 공급원인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로 재사용될 수 있으며, 증기 배출관(50)에 구비된 자동밸브(51)의 작동에 의해 증기의 배출이 제어된다.
냉각수는 냉각수 공급관(60)을 통하여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으로 유입되는데, 냉각수 공급관(60)에 구비된 자동밸브(61)의 작동에 의해 냉각수의 유입이 제어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냉각수는 15℃ 이하의 지하수나 수돗물이 됨이 바 람직하다.
뚜껑부(30)는 본체부(20)를 밀폐하여 조리하는 동안 수납 솥(24)에 수용된 식재료에서 증발된 수증기 등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수증기를 응축시킴으로써 식재료의 수분이 줄어들지 않게 하기 위해 냉각수를 일시 저장하는 곳으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관(6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31)와, 유입된 냉각수가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32)과, 온수 배출관(70)에 연결되어 저장공간(32)에 저장된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33)가 형성된 2중 구조로 되어있다. 뚜껑부(30)의 상측 중앙에는 연결고리(36)가 형성되어 있고 연결고리(36)는 후크(38)와 결합되어 도르래(37)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들려져서 본체부(20)와 분리될 수 있다.
수증기의 응축열이 냉각수로 쉽게 전달되고, 일정한 압력에 대해서도 내구성을 지니기 위해서 뚜껑부(30)는 스테인리스스틸 등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두께는 0.5mm 이상이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밸브(35)를 설치하여 냉각수에 의해 뚜껑부(30)가 일정 압력 이상을 받게 되는 경우 냉각수가 배출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게 함이 바람직하다.
수납 솥(24)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에 일시 저장된 냉각수에 의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저장공간(32)의 외측면에 물방울로 응축되어 다시 수납 솥(24) 안으로 떨어지므로 장시간 조리하더라도 국물이 줄어들지 않아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되는바 물을 수시로 보충해야 하는 수고로움과 에너지의 낭비 및 조리시간의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시간의 단축으로 재료의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솥 외부로 수증기가 증발되지 않아 음식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릴 수 있다.
저장공간(32)에 일시 저장된 냉각수가 수납 솥(24)에서 발생된 수증기에 의해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온도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제어부(80)에 전달되고 제어부(80)는 온수 배출관(70)에 구비된 자동밸브(71)를 작동시켜 온수를 배출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 배출구(33) 내부의 온도는 60℃ 내지 70℃로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온수 배출관(70)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를 온수저장탱크(90)에 저장하며, 호텔 등과 같은 숙박업소, 기숙사 및 주택 등에 급탕이나 난방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80)는 고압증기, 냉각수 및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여 내부 솥의 온도 및 온수 배출관에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곳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솥(24) 및 온수 배출구(33)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5,34)와, 상기 온도센서(25,34)로부터 검출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창(81)과, 검출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결정하는 논리회로(미도시)와, 상기 논리회로(미도시)에 의해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밸브(41,51,61,71)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1)의 전체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등과 같은 증기 공급부(10)는 고온의 고압증기를 발생시키고, 고온의 고압증기는 증기 공급관(40)과 본체부(20)의 증기 유입구(21)를 통해 내부공간(22)에 유입된다.
유입된 고온의 고압증기는 내부공간(22)에 고루 확산되며 수납 솥(24)에 열을 공급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열원이 된다. 고온의 고압증기는 열원으로 사용된 후 저온의 증기가 되어 증기 배출구(23)와 증기 배출관(50)을 통해서 배출된다. 배출된 저온의 증기는 다시 증기 공급부(10)로 복귀되어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로 재사용된다.
저온의 냉각수는 지하수나 수도관 등에 연결된 냉각수 공급관(60)과 뚜껑부(30)의 냉각수 유입구(31)를 통해서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저온의 냉각수는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에 일시 저장되며, 수납 솥(24)에서 발생한 수증기로부터 응축열을 공급받아 일정 온도의 온수가 된다. 수증기는 응축열을 냉각수에 빼앗겨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 외부면에 물방울로 응결된다. 일정 온도의 온수는 온수 배출관(70)을 통해 난방이나 급탕 등을 위하여 온수저장탱크(90)에 저장되며 호텔 등과 같은 숙박업소, 기숙사 및 주택 등에 제공된다.
제어부(80)는 수납 솥(24)의 온도와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수납 솥(24)과 온수 배출구(33)에 부착된 온도센서(25,34)와 논리회로(미도시) 및 자동밸브(41,51,61,71)에 의해 이루어진다. 수납 솥(24)과 온수 배출구(33)에 부착된 온도센서(25,34)는 수납 솥(24)과 온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논리회로(미도시)에 신호를 전달한다. 논리회로(미도시)는 수납 솥(24)과 온수의 온도를 표시창(81)에 표시하고, 수납 솥(24)의 온도가 설정 온도보다 높거나 낮게 되면 증기 공급관(40)과 증기 배출관(50)의 자동밸브(41,51)를 열거나 닫아 증기의 유입 및 출입을 제어하여 수납 솥(24)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제어부(80)는 온수가 설정 온도 이하일 때에는 온수 배출관(70)의 자동밸브(71)를 폐쇄시키고, 설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자동밸브(71)를 개방하여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또한 본체부(20)의 내부공간(22) 및 뚜껑부(30)의 저장공간(32)에 증기 및 냉각수의 많은 유입으로 지나치게 높은 압력이 미치는 경우에는 안전밸브(26,35)를 작동시켜 증기나 냉각수를 배출시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수납 솥(24)과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방법은 표시창(81)에 나타난 온도의 표시를 보면서 조리자가 작동버튼(82)으로 자동밸브(41,51,61,71)를 조작하거나, 작동타이머(42)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따르면,
수납 솥의 온도분포가 균일하게 형성되어 높은 열분포율을 가지게 되어 진국이 눌러붙거나 타지 않으므로 종래에 조리자가 주걱 등으로 지속적으로 저어주어야 했던 불편함을 크게 덜 수 있다.
또한, 수납 솥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냉각수가 일시 저장된 뚜껑부에 의해 밖으로 유출되지 않고 물방울로 응축된 후 다시 수납 솥 안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장시간 조리하더라도 국물이 줄어들지 않아 물을 보충할 필요가 없게 되는바, 물의 보충으로 인해 야기된 수고로움과 에너지의 낭비 및 조리시간의 지연을 줄일 수 있으며, 조리시간의 단축으로 재료의 영양분의 파괴를 방지하고 솥 외부로 수증기가 증발되지 않아 음식의 고유한 맛과 향을 살릴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납 솥에서 발생된 수증기의 응축열을 이용하여 냉각수로부터 일정온도 이상의 온수를 얻을 수 있고, 이를 난방이나 급탕 등을 위하여 온수저장탱크에 저장하여 호텔 등과 같은 숙박업소, 기숙사 및 주택 등에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절감 등의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일정한 온도를 갖는 고압증기를 열원으로 하여 식재료를 조리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에 있어서,
    일정 온도 이상의 고압증기를 발생시키는 증기 공급부;
    상기 증기 공급부에서 발생된 일정 온도의 고압증기가 유입 및 배출되는 증기 공급관 및 증기 배출관;
    상기 증기 공급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유입구와,
    유입된 고압증기가 순환하면서 수납 솥 전체를 가열시키는 내부공간과,
    상기 증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고압증기가 배출되는 증기 배출구와,
    식재료가 수용되는 수납 솥이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본체부;
    일정온도 이하의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공급관 및 일정온도 이상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관;
    상기 본체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냉각수 공급관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 유입구와,
    상기 유입된 냉각수가 수증기를 응축시키기 위하여 일시 저장되는 저장공간과,
    상기 온수 배출관에 연결되어 저장공간의 온수가 배출되는 온수 배출구가 형성된 2중 구조로 된 뚜껑부; 및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및 배출을 제어하는 제어 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의 온도 및 상기 온수 배출구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창과,
    검출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고압증기, 상기 냉각수 및 상기 온수의 유입 또는 배출을 결정하는 논리회로와,
    상기 논리회로에 의해 전달된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자동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 배출관은 온수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난방 및 급탕 등을 위한 온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KR2020060004637U 2006-02-20 2006-02-20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KR200416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37U KR200416767Y1 (ko) 2006-02-20 2006-02-20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637U KR200416767Y1 (ko) 2006-02-20 2006-02-20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197A Division KR100727017B1 (ko) 2006-02-20 2006-02-20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767Y1 true KR200416767Y1 (ko) 2006-05-22

Family

ID=41766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637U KR200416767Y1 (ko) 2006-02-20 2006-02-20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7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29B1 (ko) * 2015-10-05 2017-03-31 (주)성원산업 복합조리대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329B1 (ko) * 2015-10-05 2017-03-31 (주)성원산업 복합조리대
KR102345724B1 (ko) * 2021-10-26 2021-12-30 김순자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017B1 (ko)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EP2606776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US5235903A (en) Subatmospheric pressure cook-and-hold steaming oven
RU246873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такой как рис
US20160007644A1 (en) Automatic Pressure Steam Canning Appliance
US5549038A (en) Modulated steam cooker
CN107847069A (zh) 压力烹饪装置
KR200416767Y1 (ko)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JP2006326090A (ja) 蒸煮装置および蒸煮方法
US5378482A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boiling power for a water-containing vessel
JP2008113987A (ja) 炊飯器
KR20070097935A (ko) 라면전용 압력냄비
KR200464703Y1 (ko) 가정용 멀티 중탕기
JP2006102204A (ja) 調理装置
KR102345724B1 (ko) 열 효율성을 높인 증기 가열식 조리장치
JP3156656B2 (ja) 電気貯湯容器
KR200190007Y1 (ko) 수육조리기
JP3645545B2 (ja) ゆで容器
TW201625168A (zh) 食材萃取設備
KR20070103562A (ko) 정육점용 곰국 기계
JP2008228985A (ja) 電気貯湯容器
JP2011019711A (ja) 炊飯器
KR20010076028A (ko) 수육조리기
CN210114326U (zh) 一种智能炊饭器
JP2024030186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1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