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809Y1 -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809Y1
KR200415809Y1 KR20060003762U KR20060003762U KR200415809Y1 KR 200415809 Y1 KR200415809 Y1 KR 200415809Y1 KR 20060003762 U KR20060003762 U KR 20060003762U KR 20060003762 U KR20060003762 U KR 20060003762U KR 200415809 Y1 KR200415809 Y1 KR 200415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ement
cover structure
storage space
edge
transparent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037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200600037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8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80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6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 B42F7/065Filing appliances comprising a plurality of pockets or compartments, e.g. portfolios or cases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s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를 가진 외피;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촉된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굴곡부에 의해 그 테두리가 상기 보강재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 내피; 및 상기 내피에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음질 된 굴곡부에 그 테두리가 접착된 투명 비닐;을 구비한다.
메뉴판, 커버 구조체, 고주파 접착, 끼움부, 실크인쇄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Cover structure having keeping spac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의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외피 22 : 본체부
24 : 굴곡부 40 : 보강재
60 : 내피 80 : 투명 비닐
82 : 접착부 84 : 끼움부
86 : 실크인쇄부 100 :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본 고안은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외피와 투명 비닐의 부착부위인 테두리 부분이 견고해지고 위생상 청결하며, 외관상 미려한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표지나 메뉴판의 커버 구조체 또는 상장, 졸업장, 위촉장, 보험 증서 등의 각종 증서 또는 문서를 고정·보관하기 위한 커버 구조체에서 속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테두리가 박음질 되어 끼움부가 형성된다. 커버 구조체의 외피의 테두리를 내부로 굴곡하여 박음질하는 것은 불순물이 박음질 된 부분에 끼이거나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커버 구조체는 오래 사용하다 보면 외피의 박음질 된 부분이 뜯어져서 테두리가 너덜너덜해지고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사용에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외피의 박음질 된 부분에 이물질이 끼워짐으로써 위생상 불결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외관상 보기에도 저급하게 보이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이를 개선하기 위해 커버 구조체를 두 겹으로 제조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킨 제품도 있지만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제조방법이 복잡해짐으로써 생산비용이 높으며, 제품의 무게가 무거워짐으로써 사용하는데도 불편함이 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외피와 투명 비닐의 부착부위인 테두리 부분이 견고해지고 쉽게 훼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상 청결하며, 외관상 미려한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를 가진 외피;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촉된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굴곡부에 의해 그 테두리가 상기 보강재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 내피; 및 상기 내피에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음질 된 굴곡부에 그 테두리가 접착된 투명 비닐;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를 가진 외피; 상기 본체부 상면의 중심부에 접촉된 중심 보강재와, 상기 중심 보강재의 좌/우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면에 접촉된 좌/우 보강재를 가진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굴곡부에 의해 그 테두리가 상기 보강재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 내피; 및 상기 내피의 중심부 좌/우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음질 된 굴곡부에 그 테두리가 접착된 한 쌍의 투명 비닐;을 구비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의 테두리는 상기 굴곡부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은 실크인쇄된 테두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끼움부의 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비닐의 테두리는 적어도 그 상면 또는 이면에 보호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박음질하는 실은 면 재질의 실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외피는 고주파로 상기 투명 비닐의 부착이 가능한 폴리염화비닐(PVC), 비닐, 인조가죽, 합성피혁 및 지레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내피는 인조가죽, 합성피혁, 섬유,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 보강재는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자성가교체, 부직포, 천, 인조피혁, 폴리염화비닐(PVC)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좌/우 보강재는 합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텍션지, 천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는 본체부(22)와 굴곡부(24)를 가진 외피(20), 본체부(22)의 상면에 접촉된 보강재(40), 보강재(40)의 상면에 접촉된 내피(60) 및 상기 굴곡부(24)에 접착된 투명 비닐(80)을 구비한다.
상기 외피(20)는 본체부(22)와, 본체부(22)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24)를 가진다. 본체부(22)의 상면에는 보강재(40)가 접촉된다. 본체부(22)로부터 연장된 굴곡부(24)는 보강재(40) 및 내피(6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굴곡되어 부착된 후 박음질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상기 외피(20)는 그 재료가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외피는 투명 비닐 의 부착이 가능한 폴리염화비닐(PVC), 비닐, 인조가죽, 합성피혁 및 지레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20)는 지레자 또는 인조가죽을 포함하는 양장으로 제조된다. 지레자 또는 양장으로 제조된 외피(20)는 질감이 아주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원래 형태로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자체탄력을 가지며, 반복적으로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다.
상기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는 외피(20)와 내피(60) 사이에 보강재(40)가 겹쳐진다. 즉, 보강재(40)는 본체부(22)의 상면에 접촉되며, 바람직하게, 본체부(22) 상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보강재(40)는 외피(20)와 내피(6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피(60)는 보강재(40)의 상면에 접촉되며, 외피(20)의 굴곡부(24)에 의해 그 테두리가 보강재(40)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다. 외피(20)의 굴곡부(24)와, 내피(60) 및 보강재(40)의 테두리가 박음질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내피(60)는 보강재(40) 상면의 전부 또는 일부에 부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내피(60)는 보강재(40) 상면의 일부에 부착됨으로써, 보강재(40)가 힘을 받아 구부러진 후 다시 복원되는 경우에도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한편, 상기 내피(60)는 그 재료가 한정되지 않으나,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면,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습식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투명 비닐(80)은 내피(60)에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 는 끼움부(84)가 형성되도록 외피(20)의 굴곡부(24)에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투명 비닐(80)은 끼움부(84)를 형성하기 위해 1개의 테두리가 개방되도록 굴곡부(24)를 따라 3개의 테두리가 접착된다. 즉,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는 투명 비닐(8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접착부(82)로 인하여 끼움부(84)를 가지게 된다. 끼움부(84)에는 속지가 끼워질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커버 구조체(100)가 문서를 고정·보관하는 커버 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장, 졸업장, 위촉장, 보험 증서 등의 각종 문서가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80)의 테두리는 상기 굴곡부(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20)의 굴곡부(24)와, 굴곡부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투명 비닐(80)의 모서리 부분에 요철 형상을 이루는 접착 돌기(미도시)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명 비닐(80)의 굴곡부(24)에 대한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시 접착력이 향상되어 더욱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외피(20)의 굴곡부(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부재는 상기 투명 비닐(80)에만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이 가능한 재질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비닐(80)은 외피(20)의 굴곡부(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박음질 되어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 비닐(80)과 굴곡부(24)의 접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 후 박음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비닐(80)의 테두리 부분이 외피(20)의 굴곡부(24)에 접착됨 으로써 테두리 부분이 견고해지고 쉽게 훼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테두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투명 비닐(80)이 더러워지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음으로써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 부분의 접착부(82)는 외관상 보기 좋은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80)은 실크인쇄된 테두리를 구비한다. 실크인쇄부(186)는 굴곡부(24) 및 박음질 된 실(26)을 가리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다양한 패턴의 디자인과 그에 따른 채색을 이룸으로써 속지를 돋보이게 하여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80)은 실크인쇄 된 것이 훼손되지 않도록 투명 비닐(80)의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 실크인쇄가 된다. 투명 비닐(80)의 테두리가 실크인쇄 된 후, 박음질된 외피(20)의 굴곡부(24)에 접착됨으로써 박음질 자국을 덮어서 외관상 보기 좋게 한다. 한편, 상기 투명 비닐(80)의 테두리는 실크인쇄 된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라비어 인쇄 및 박지나 불투명 비닐시트로 인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84)의 입구에 대응되는 투명 비닐(80)의 테두리는 적어도 그 상면 또는 이면에 보호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즉, 투명 비닐(80)의 테두리 중 접착되지 않는 테두리에 보호재가 부착된다. 보호재는 끼움부(84)에 속지를 자주 갈아 끼우는 과정에서 끼움부(84)의 입구에 대응되는 테두리 부분이 늘어나거나 훼손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보호재는 상기 테두리의 상면 또는 이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20)의 굴곡부(24)를 박음질하는 실(26)은 투명 비닐(80)의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시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면 재질의 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비닐(80)을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하는 과정에서 높은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박음질 된 실(26)이 합성수지로 된 실인 경우에 녹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외피(20)의 굴곡부(24)를 박음질하는 실(26)은 합성수지 재질의 실에 비해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면 재질의 실이 사용된다.
상기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에서 외피(20), 보강재(40), 내피(60) 및 투명 비닐(8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지닌다. 이러한 구성요소의 형상은 속지, 각종 문서 등의 끼움부(84)에 끼워지는 부재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모양을 갖기 때문에 사각형 패턴으로 준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사각형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서리가 라운드 지는 등 다양한 패턴으로 준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러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피(20)와 보강재(40) 및 내피(60)를 준비한 후, 외피(20)의 본체부(22) 상면에 보강재(40)를 부착한다. 그런 다음, 보강재(40)의 상면에 내피(60)를 부착한다. 물론, 보강재(40)의 상면에 내피(60)를 부착한 후, 그 하면에 외피(20)의 본체부(22)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어서, 본체부(22)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24)를 보강재(40) 및 내피(6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굴곡하여 부착한 후 박음질한다.
마지막으로, 투명 비닐(80)의 3개의 테두리를 외피(20)의 굴곡부(24)에 고주 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한다. 이와 같이 투명 비닐(80)의 3개의 테두리가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됨으로써 끼움부(84)가 형성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는 노트 표지나 메뉴판의 커버 구조체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장, 졸업장, 위촉장, 보험 증서 등의 각종 증서 또는 문서를 고정·보관하는 커버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는 본체부(122)와 굴곡부(124)를 가진 외피(120), 본체부(122)의 상면에 접촉된 중심 보강재(142)와 좌/우 보강재(144,146)를 가진 보강재(140), 보강재(140)의 상면에 접촉된 내피(160) 및 상기 굴곡부(124)에 접착된 한 쌍의 투명 비닐(180)을 구비한다.
상기 외피(120)는 본체부(122)와, 본체부(122)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124)를 가진다. 본체부(122)의 상면에는 보강재(140)가 접촉된다. 본체부(122)로부터 연장된 굴곡부(124)는 보강재(140) 및 내피(16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굴곡된어 부착된 후 박음질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는 외피(120)와 내피(160) 사이에 보강재(140)가 겹쳐진다. 보강재(140)는 본체부(122) 상면의 중심부에 접촉된 중심 보강재(142)와, 중심 보강재(142)의 좌/우에 위치하도록 본체부(122) 상면에 접촉된 좌/우 보강재(144,146)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중심 보강재(142)와 좌/우 보강재(144,146)는 본체부(122)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중심 보강재(142)는 외피(120)를 반으로 접는 경우에 외피(120)가 반으로 완전히 접히지 않도록 지탱해 줌으로써 외피(120)의 좌우 중심선 부분의 접는 부위가 굴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외피(120)를 반으로 접는 경우에 중심 보강재(142)는 굴곡되며, 외피(120)를 다시 펴는 경우에는 굴곡된 중심 보강재(142)는 다시 펴지면서 복원된다. 한편, 중심 보강재(142)는 좌/우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외피(120)의 중심부 뿐만 아니라 외피(120)의 중심부에 근접하는 좌/우 보강재(144,146)의 테두리의 상면에도 부착될 수 있다. 나아가, 외피(120), 좌/우 보강재(144,146), 내피(160), 중심 보강재(142) 순으로 중심 보강재(142)는 외피(120)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내피(16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심 보강재(142) 및 좌/우 보강재(144,146)는 외피(120)와 내피(16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 구조체(200)의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심 보강재(142)는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자성가교체, 부직포, 천, 인조피혁, 폴리염화비닐(PVC), 텍션지 등과 같이 굴곡되기 쉬운 연성의 물질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좌/우 보강재(144,146)는 합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텍션지, 천, 폴리에틸렌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상기 내피(160)는 보강재(140)의 상면에 접촉되며, 외피(120)의 굴곡부(124)에 의해 그 테두리가 보강재(140)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다. 외피(120)의 굴곡부(124)와, 내피(160) 및 보강재(140)의 테두리가 박음질됨으 로써 견고하게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내피(160)는 보강재(140)의 상면에 부착되는데, 바람직하게 내피(160)의 중심부가 중심 보강재(142)에 부착된다. 내피(160)가 중심 보강재(142)에만 부착됨으로써, 좌/우 보강재(144,146)가 힘을 받아 구부러진 후 다시 복원되는 경우에도 내피(160)에는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 물론, 내피(160)는 중심 보강재(142) 뿐만 아니라 좌/우 보강재(144,146)에도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피(120), 내피(160)의 재질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한 쌍의 투명 비닐(180)은 내피(160)의 중심부 좌/우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184)가 형성되도록 외피(120)의 굴곡부(24)에 접착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투명 비닐(180)은 끼움부(184)를 형성하기 위해 1개의 테두리가 개방되도록 굴곡부(124)를 따라 3개의 테두리가 접착된다. 즉,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는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에 형성된 접착부(182)로 인하여 끼움부(184)를 가지게 된다. 끼움부(184)에는 속지가 끼워질 수 있으며,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커버 구조체(200)가 문서를 고정·보관하는 커버 구조체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장, 졸업장, 위촉장, 보험 증서 등의 각종 문서가 끼워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는 상기 굴곡부(1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120)의 굴곡부(124)와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투명 비닐(180)의 모서리 부분에 요철 형상을 이루는 접착 돌기(미도시) 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투명 비닐(180)의 굴곡부(124)에 대한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시 접착력이 향상되어 더욱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한편, 외피(120)의 굴곡부(1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부재는 상기 투명 비닐(180)에만 한정되지 않고,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이 가능한 재질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 비닐(180)은 외피(120)의 굴곡부(124)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박음질 되어 접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투명 비닐(180)과 굴곡부(124)의 접착부위를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서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 후 박음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 부분이 외피(120)의 굴곡부(124)에 접착됨으로써 테두리 부분이 견고해지고 쉽게 훼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테두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투명 비닐(180)이 더러워지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음으로써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 부분의 접착부(182)는 외관상 보기 좋은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180)은 실크인쇄된 테두리를 구비한다. 실크인쇄부(186)는 굴곡부(124) 및 박음질 된 실을 가리는 역할을 하며, 나아가 다양한 패턴의 디자인과 그에 따른 채색을 이룸으로써 속지를 돋보이게 하여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의 상품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투명 비닐(180)은 실크인쇄 된 것이 훼손되지 않도록 투명 비닐(180)의 내면의 테두리를 따라 실크인쇄가 된다.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가 실크인쇄 된 후, 박음질된 외피(120)의 굴곡부(124)에 접착됨으로써 박음질 자국을 덮어서 외관상 보기 좋 게 한다. 한편, 상기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는 실크인쇄 된 것으로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그라비어 인쇄 및 박지나 불투명 비닐시트로 인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184)의 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는 적어도 그 상면 또는 이면에 보호재(미도시)를 더 구비한다. 즉, 투명 비닐(180)의 테두리 중 접착되지 않는 테두리에 보호재가 부착된다. 보호재는 끼움부(184)에 속지를 자주 갈아 끼우는 과정에서 끼움부(184)의 입구에 대응되는 테두리 부분이 늘어나거나 훼손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보호재는 상기 테두리의 내면 또는 외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피(120)의 굴곡부(124)를 박음질하는 실은 투명 비닐(180)의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시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면 재질의 실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의 제조공정은 도 3의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100)의 제조공정으로부터 당업자가 자명하게 알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200)는 노트 표지나 메뉴판의 커버 구조체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상장, 졸업장, 위촉장, 보험 증서 등의 각종 증서 또는 문서를 고정·보관하는 커버 구조체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투명 비닐의 테두리 부분이 외피의 굴곡부에 고주파 접착됨으로써 테두리 부분이 견고해지고 쉽게 훼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테두리 부분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투명 비닐이 더러워지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닦을 수 있음으로써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아울러, 테두리 부분의 접착부위는 외관상 보기 좋은 장점이 있다.
둘째, 투명 비닐의 테두리가 실크인쇄됨으로써 외피 굴곡부의 박음질 자국을 덮어서 외관상 보기 좋을 뿐만 아니라 미려한 효과를 낼 수 있다.

Claims (10)

  1.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를 가진 외피;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 접촉된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접촉되고, 상기 굴곡부에 의해 그 테두리가 상기 보강재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 내피; 및
    상기 내피에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음질 된 굴곡부에 그 테두리가 접착된 투명 비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구조체.
  2.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4방으로 연장된 굴곡부를 가진 외피;
    상기 본체부 상면의 중심부에 접촉된 중심 보강재와, 상기 중심 보강재의 좌/우에 위치하도록 상기 본체부 상면에 접촉된 좌/우 보강재를 가진 보강재;
    상기 보강재의 상면에 접촉되며, 상기 굴곡부에 의해 그 테두리가 상기 보강재의 테두리와 함께 감싸도록 부착된 후 박음질 된 내피; 및
    상기 내피의 중심부 좌/우에 각각 대면하게 위치하며, 속지를 삽입할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박음질 된 굴곡부에 그 테두리가 접착된 한 쌍의 투명 비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비닐의 테두리는 상기 굴곡부에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비닐은 실크인쇄된 테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투명 비닐의 테두리는 적어도 그 상면 또는 이면에 보호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의 굴곡부를 박음질하는 실은 면 재질의 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투명 비닐의 부착이 가능한 폴리염화비닐(PVC), 비닐, 인조가죽, 합성피혁 및 지레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인조가죽, 합성피혁, 섬유,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보강재는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자성가교체, 부직포, 천, 인조피혁, 폴리염화비닐(PVC)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보강재는 합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텍션지, 천 및 폴리에틸렌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KR20060003762U 2006-02-10 2006-02-10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KR200415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762U KR200415809Y1 (ko) 2006-02-10 2006-02-10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03762U KR200415809Y1 (ko) 2006-02-10 2006-02-10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809Y1 true KR200415809Y1 (ko) 2006-05-08

Family

ID=40513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03762U KR200415809Y1 (ko) 2006-02-10 2006-02-10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8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69A1 (en) * 2007-07-09 2009-01-15 Jeong Woo Park A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KR101515192B1 (ko) * 2014-05-16 2015-04-28 황인성 증서 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8669A1 (en) * 2007-07-09 2009-01-15 Jeong Woo Park A cover capable of supporting diary or calendar
KR101515192B1 (ko) * 2014-05-16 2015-04-28 황인성 증서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56703T5 (es) Cuadernillo que comprende una página de datos personalizados
KR200415809Y1 (ko)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TWM310604U (en) Structure of brim of a hat capable of being folded and shaped
KR200387610Y1 (ko) 쿠션 표지 구조체
JP5410178B2 (ja)
CN210094708U (zh) 纱布面料的缝合结构及其衣服
CN210988243U (zh) 一种衣领结构及衬衫
KR100643850B1 (ko) 커버구조체,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3208235U (ja) シーツ
JP2011244990A (ja) 携帯型枕
KR200410625Y1 (ko)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JP6309484B2 (ja) 襟芯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シャツ
CN212499330U (zh) 一种超强防辐射功能涤纶布
JPH11113602A (ja) 甲被に平らな面を有するスリッパ
JP3041763U (ja) ランドセルの背板
JP2018144336A (ja) 草茎織物積層体を用いたカバー
JP3122161U (ja) 保温座布団
EP1987728B1 (en) Disposable bib
CN208709097U (zh) 一种全棉学生床垫
JP3197852U (ja) 紙製バッグ
JP2008278927A (ja) フェイスタオル
JP2000314009A (ja) ワイヤー付きブラジャー
JP3099848U (ja) 年金書類収納体
JP2006335441A (ja) 寝具収納袋
JP2717387B2 (ja) 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