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625Y1 -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 Google Patents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625Y1
KR200410625Y1 KR2020050034783U KR20050034783U KR200410625Y1 KR 200410625 Y1 KR200410625 Y1 KR 200410625Y1 KR 2020050034783 U KR2020050034783 U KR 2020050034783U KR 20050034783 U KR20050034783 U KR 20050034783U KR 200410625 Y1 KR200410625 Y1 KR 2004106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reinforcement
cover structure
attached
book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2020050034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6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6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6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7/00Manufacturing bookbinding cases or covers of books or loose-lea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속지가 결속링에 의해 표지 보강재의 굴곡가능한 일측부에 결속됨으로써 결속력이 향상되고, 결속링이 외피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휴대시 외면의 촉감이 우수하고,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칠 염려도 적고, 제본시 용이하며, 미관상 미려하여 고급스럽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커버구조체, 제본구조체, 표지 보강재, 날개부 보강재

Description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Cover structure and bookbin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본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누름선 및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부 보강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가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서 내피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표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에서 몸체 보강재가 외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서 내피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표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에서 몸체 보강재가 외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서 내피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서 내피에 보강재를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표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에서 표지 보강재가 외피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본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본구조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외피 : 30 좌/우 내피 : 40,41
누름선 : 50 몸체부 보강재 : 62
날개부 보강재 : 64 물성 보강띠 : 90
속지 : 320 결속링 : 340
커버구조체 : 100 제본구조체 : 400
본 고안은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내피의 굴곡가능한 일측부에 결속링을 끼움으로써 속지와 좌/우 내피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결속링의 형태 및 촉감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다이어리, 수첩, 카렌다, 화일, CD케이스, 전화번호부, 명함첩 등은 속지의 일측부에 천공된 구멍과 커버의 중앙 부위에 천공된 구멍에 결속링이 끼워짐으로써 속지와 커버를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본구조체(10)는 속지(1)의 일측부에 천공된 구멍 (4)과 커버(2)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5)에 결속링(6)이 끼워져 속지(1)와 커버(2)가 결속된다.
이와 같은 제본구조체(10)는 속지(1)가 커버(2)에 직접 결속되기 때문에 속지(1)와 커버(2)가 분리되거나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은 없다. 그러나, 상기 제본구조체(10)는 결속링(6)이 커버(2) 외부로 노출되었기 때문에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치거나 결속링(6)이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결속링(6)이 외부의 걸림 형태의 물건에 걸릴 경우 풀어질 수 있고, 휴대하는 경우 촉감이 좋지 않고, 특히 혐오감을 줄 정도로 미관상 좋지 않아서 고급제품으로 생산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또 다른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본구조체(20)는 속지(11)와 내피(17)가 결속링(16)에 의해 먼저 결속된 후에 내피(17)가 커버(12)의 내측 양쪽에 형성된 끼움부(13)에 끼워져 고정된다.
이와 같은 제본구조체(20)는 내피(17)에 커버(12)가 감싸도록 씌워지므로 속지(11)의 일측부와 내피(17)를 결속하는 결속링(16)이 커버(12) 밖으로 노출되지는 않으나, 제본 공정 후 끼우는 공정이 추가되며, 상기 제본구조체(20)를 사용하는 경우 속지(11)를 사용하기 불편하고, 속지(11)의 무게로 인해 커버(12)의 끼움부(13)에 끼워진 내피(17)가 쉽게 훼손되어 흔들리거나 빠짐으로써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속지와 좌/우 내피의 결속력을 향상 시키고, 사용시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칠 염려가 적으며, 휴대함에 있어서 미관상 보기 좋고 촉감도 우수하며, 제조공정이 간소화되어 제본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한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좌/우 내피; 상기 외피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 부착층과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 사이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몸체부 보강재와,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에 부착되는 날개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의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내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개부 보강재는 상기 몸체부 보강재와 미소간격 이격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상기 날개부 보강재와 상기 몸체부 보강재가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누름선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성 보강띠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및 텍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구조체는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 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개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다.
또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제본구조체는, 커버구조체; 상기 커버구조체의 구멍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진 속지; 및 상기 커버구조체 및 속지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구조체와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링;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는 굴곡가능하고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제본구조체를 제공한다.
전술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제본구조체는, 커버구조체; 상기 커버구조체의 구멍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진 속지; 및 상기 커버구조체 및 속지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구조체와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링;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좌/우 내피; 상기 외피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층의 부착력을 제거하기 위해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 부착층과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 사이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몸체부 보강재와,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에 부착된 날개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의 일측부는 굴곡가능하고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제본구조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외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내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개부 보강재는 상기 몸체부 보강재와 미소간격 이격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상기 날개부 보강재와 상기 몸체부 보강재가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누름선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물성 보강띠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및 텍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구조체는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 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구조체는 좌/우 내피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표지 보강재에 좌/우 내피가 부착되지 않고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내피를 포함한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본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커버구조체(100)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90) 및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배치되는 표지 보강재를 구비한다.
상기 외피(30)는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부착층이 형성된다. 상기 부착층은 외피(30) 일면의 전부 또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외피(30)의 일면에 형성된 부착층은, 이형지(미도시)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외피(30)를 상기 이형지의 일면에 접합시킴으로써 상기 외피(30)의 일면에 점착제의 수분이 흡수하게 되어 접착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30)는 상기 이형지를 박리한 후, 그 일면에 부재를 접합하면 그 부재의 물성에 따라 점착 또는 접착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부착'은 점착 또는 접착을 일컫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3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을 지닌다. 이러한 외피(30)의 형상은 후술하는 좌/우 내피(40)(41)와, 속지(320)가 일반적으로 사각형의 모양을 갖기 때문에 사각형 패턴으로 준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반드시 사각형 형상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 내피(40)(41)와 속지(320)의 외곽 형상에 따라 모서리가 라운드 형성되는 등 다양한 패턴으로 준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외피(30)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으나,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습식 등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외피(30)는 천연 가죽이나 인조 가죽을 포함하는 양장으로 제조된다. 상기 양장으로 제조된 외피(30)는 질감이 아주 우수하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원래 형태로 자연스럽게 복원되는 자체탄력을 가지며, 반복적으로 오래도록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다.
상기 좌/우 내피(40)(41)는 일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부착층이 형성되며, 좌 내피(40)와 우 내피(41)는 서로 대칭한다. 상기 부착층은 좌/우 내피(40)(41) 일면의 전부 또는 부분에 형성된다. 좌/우 내피(40)(41)의 부착층은 상기 외피(30)에 부착층이 형성되는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형성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좌/우 내피(40)(41)가 후술하는 표지 보강재에 부착됨으로써 표지 보강재를 보호함과 동시에 표지 보강재를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보기 좋게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 내피(40)(41)는 미소간격 또는 누름선(도 13의 280)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가 굴곡하는 경우 상기 미소간격 또는 누름선(도 13의 280)이 완전히 꺽여서 미소간격 부분이 완전 분리되거나 표지 보강재가 뜯어져서 분리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좌/우 내피(40)(41)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상기 외피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어 절곡 및 복원 가능하다. 즉,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며, 후술하는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 즉 책등이 꺽여서 절곡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책등의 꺽인선의 자국이 남지 않도록 이를 다시 복원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는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하며, 책등의 내구력을 향상시켜 커버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외피(30) 좌우 중심부의 부착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물성 보강띠(90)는 날개부 보강재(64)가 상기 외피(30)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로 인하여 커버구조체(100)는 결속링(340)의 형태를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며, 결속링(340)의 촉감도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물성 보강띠(90)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텍션 등과 같이 굴곡되기 쉬운 연성의 물질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위, 즉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제조하는데 굴곡가능하고 연성인 물성 보강띠(9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몸체부 보강재(62)와 날개부 보강재(64)를 포함한다. 표지 보강재는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표지 보 강재는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지 보강재는 결속링(340)의 형태 및 촉감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몸체부 보강재(62)는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과 좌/우 내피(40)(41) 부착층 사이에 위치되어 부착된다. 또한, 날개부 보강재(64)는 물성 보강띠(90)의 상부에 위치되어 좌/우 내피(40)(41) 부착층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체부 보강재(62)는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부착되어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가 구부러져서 다시 복원되는 경우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대안으로서, 상기 몸체부 보강재(62)는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에 부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날개부 보강재(64)는 몸체부 보강재(62)와 미소간격 이격된다.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몸체부 보강재(62)와 미소간격 이격됨으로써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가 용이하게 굴곡된다.
대안으로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날개부 보강재(64)와 몸체부 보강재(62)가 일체형일 수 있다. 상기 일체형 표지 보강재는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가 용이하게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누름선(도 13의 280)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선(도 13의 280)은 표지 보강재가 좌/우 내피(40)(41)에 부착하기 전에 표지 보강재에만 형성되거나 좌/우 내피(40)(41)에 부착한 후에 좌/우 내피(40)(41)와 함께 표지 보강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미소간격이나 누름선(도 13의 280)은 커버구조체 (100)를 이용한 제본구조체(400)를 덮기 위해 외피(30)를 회동시켜 속지(320)를 덮는 경우 외피(30)가 용이하게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속지(3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표지 보강재의 몸체부 보강재(62)와 날개부 보강재(64)가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좌/우 내피(40)(41)를 일측부의 미소간격까지 연장되게 하여 감싸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체형 표지 보강재(266)는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무송이나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을 형성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굴곡되게 한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굴곡이 가능하며 촉감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구조체(100)의 내구력과, 속지(320)의 커버구조체(100)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지 보강재가 하드한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이 된 것이다. 상기 외피(30)의 테두리가 굴곡되어 상기 좌/우 내피(40)(41)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되지 않더라도 외피(30)의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를 접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될 수 있다.
또한, 메모지, 명함, 필기구 등을 끼울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30)가 좌/우 내피(40)(41) 타면의 전체 또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테두리만 부착 또는 박음질 될 수 있다.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날개부 보강재(4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45)이 천공될 수 있다. 즉, 결속링(340)을 이용하여 커버구조체(100)와 속지(320)를 결속하기 위해서는 날개부 보강재(4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에 결속링(340)이 끼워질 수 있는 복수의 구멍(45)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도 13의 280)과 복수의 구멍(45)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누름선(280)과 복수의 구멍(45)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구조체(100)를 이용한 제본구조체(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구조체(100), 커버구조체(100)에 결속되는 속지(320) 및 커버구조체(100)와 속지(320)를 결속시키는 결속링(340)을 구비한다.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전술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 다.
상기 속지(320)는 전술한 커버구조체(100)의 구멍(45)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구멍(325)을 구비한다.
상기 결속링(340)은 커버구조체(100)의 구멍(45)과 속지(320)의 구멍(325)에 끼워짐으로써 커버구조체(100)와 속지(320)를 결속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결속링(340)은 트윈링이 사용되었지만, 결속링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결속링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속링은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공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를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외피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물성 보강띠를 부착하는 단계(S11),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외피 부착층에 그 일측부가 굴곡가능한 표지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S12) 및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표지 보강재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부착하는 단계(S13)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도 8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누름선 및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부 보강재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가 분할되어 형성된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표지 보강재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 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50)(5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50)(50') 및 복수의 구멍(52)(52')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누름선(50)(50') 및 복수의 구멍(52)(52')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커버구조체는 좌/우 내피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표지 보강재에 좌/우 내피가 부착되지 않고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내피를 포함한 커버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공정이 개략적으로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체(100)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30) 및 내피(35)를 준비하는 단계(S20), 상기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물성 보강띠(90)를 부착하는 단계(S21), 상기 내피(35)의 일면에 몸체부 보강재(62)와 날개부 보강재(64)를 포함하는 표지 보강재를 부착하고 상기 내피(40)(41)의 양측부를 절곡하여 상기 날개부 보강재(64)를 감싸도록 부착한 후, 좌우 중심선을 절단하여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그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내피(40)(41)로 나누는 단계; 상기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에 상기 좌/우 내피(40)(41)에 부착된 몸체부 보강재(62)를 부착하는 단계(S23) 및 상기 외피(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좌/우 내피(40)(41)의 타면에 부착하는 단계(S24)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상기 커버구조체(100)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S21)단계는, 대안으로서 상기 (S50)단계 이후에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외피(30)와 내피(35)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외피(30)와 내피(35)를 준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형지(미도시)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외피(30) 또는 내피(35)를 상기 이형지의 일면에 접합시키면 상기 점착제를 흡수하는 외피(30) 또는 내피(35)의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게 되고, 이형지를 박리한 후 부착 또는 부착하고자 하는 부재를 접합할 수 있다.
상기 (S21)단계에서,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되지 않는 외피(30)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상기 외피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어 절곡 및 복원가능하다. 즉,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며, 후술하는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 즉 책등이 꺽여서 절곡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책등의 꺽인선의 자국이 남지 않도록 이를 다시 복원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는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하며 제본이 가능하게 하고, 책등의 내구력을 향상시켜 커버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외피(30) 좌우 중심부의 부착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물성 보강띠(90)는 날개부 보강재(64)가 상기 외피(30)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로 인하여 커버구조체(100)는 결속링(340)의 형태를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며, 결속링(340)의 촉감도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물성 보강띠(90)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텍션 등과 같이 굴곡되기 쉬운 연성의 물질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위, 즉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제조하는데 굴곡가능하고 연성인 물성 보강띠(9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단계 (S22) 내지 (S23)의 제조공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내피에 보강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좌/우 내피를 외피에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 보강재(62')는 상기 내피(35)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고, 상기 날개부 보강재(64)는 상기 몸체부 보강재(62')의 좌/우측으로 미소간격 이격되도록 부착한다. 상기 내피(35)의 양측부는 절곡하여 날개부 보강재(64)를 감싸도록 부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피(35)는 미소간격 이격된 부분까지 부착함으로써 이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게 한다. 그런 다음, 몸체부 보강재(62')의 중심선을 따라 몸체부 보강재(62')와 함께 내피(35)를 절단함으로써 좌/우 내피(40)(41)로 나눠지게 된다. 이어서,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에 상기 좌/우 내피(40)(41)에 부착된 몸체부 보강재(62)를 부착한 후, 외피(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좌/우 내피(40)(41)의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몸체부 보강재(62)와 미소간격 이격됨으로써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가 용이하게 굴곡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내피에 보강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좌/우 내피를 외피에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날개부 보강재(164')는 상기 내피(35)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고, 상기 몸체부 보강재(162)는 상기 날개부 보강재(164')의 좌/우측으로 미소간격 이격되도록 부착한다. 그런 다음, 날개부 보강재(164')의 중심선을 따라 날개부 보강재(164')와 함께 내피(135)를 절단함으로써 좌/우 내피(140)(141)로 나눠지게 된다.
이어서,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에 상기 좌/우 내피(140)(141)에 부착된 몸체부 보강재(162)를 부착한 후, 외피(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좌/우 내피(140)(141)의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날개부 보강재(164)가 몸체부 보강재(162)와 미소간격 이격 됨으로써 날개부 보강재(164)가 부착된 좌/우 내피(140)(141)의 일측부가 용이하게 굴곡된다.
도 14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내피에 보강재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제조과정을 거쳐서 제조된 좌/우 내피를 외피에 접합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내피(235)의 일면에 일체형의 보강재(266)를 부착한다. 상기 내피(235)의 양측부는 절곡하여 보강재(266)의 일측부를 감싸도록 부착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내피(235)는 보강재(266) 일측부의 절곡되는 경계의 안쪽까지 부착함으로써 이 부분이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재(266) 일측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일체형 보강재(266)의 중심선을 따라 일체형 보강재(266)와 함께 내피(35)를 절단함으로써 좌/우 내피(240)(241)로 나눠지게 한다. 이어서,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에 상기 좌/우 내피(240)(241)에 부착된 일체형 보강재(266)를 부착한 후, 외피(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좌/우 내피(240)(241)의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한다.
여기에서, 상기 표지부 보강재가 부착되며, 물성 보강띠(90)에 위치하는 좌/우 내피(240)(241)의 일측부가 용이하게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280)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누름선(280)은 표지 보강재가 좌/우 내피(240)(241)에 부착하기 전에 표지 보강재에만 형성되거나 좌/ 우 내피(240)(241)에 부착한 후에 좌/우 내피(240)(241)와 함께 표지 보강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4b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내피에 보강재를 부착한 후 절단하여 좌/우 내피로 나누는 방법이 아니라 미리 나누어진 내피(235')에 보강재(266')를 부착하여 감싸는 방법이다.
상기 내피(235')는 보강재(266')의 일측부를 위/아래로 감싸서 부착하고, 내피(235')의 측부는 보강재(266') 일측부의 절곡되는 경계의 안쪽까지 부착함으로써 이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시켜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보강재(266') 일측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미관상 보기 좋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커버구조체를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이 된다. 상기 외피(30)의 테두리가 굴곡되어 상기 좌/우 내피(40)(41)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되지 않더라도 외피(30)의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를 접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 (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될 수 있다.
또한, 메모지, 명함, 필기구 등을 끼울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30)가 좌/우 내피(40)(41) 타면의 전체 또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테두리만 부착 또는 박음질 될 수 있다.
상기 (S24)단계 이후에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45)을 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표지 보강재는 좌/우 내피(40)(41)와 외피(30) 사이에 배치되어 커버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표지 보강재는 결속링(340)의 형태 및 촉감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미소간격이나 누름선(도 13의 280)은 커버구조체(100)를 이용한 제본구조체(400)를 덮기 위해 외피(30)를 회동시켜 속지(320)를 덮는 경우 외피(30)가 용이하게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속지(320)를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이다. 상기 표지 보강재의 몸체부 보강재(62)와 날개부 보강재(64)가 서로 다른 재질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좌/우 내피 (40)(41)를 일측부의 미소간격까지 연장되게 하여 감싸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체형 표지 보강재(266)는 하나의 재질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무송이나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280)을 형성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굴곡되게 한다.
상기 표지 보강재는 굴곡이 가능하며 촉감이 우수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구조체(100)의 내구력과, 속지(320)의 커버구조체(100)에 대한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표지 보강재가 하드한 재질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6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이용하는 제본구조체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공정이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본구조체(400)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를 준비하는 단계(S100), 상기 외피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물성 보강띠를 부착하는 단계(S110),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외피 부착층에 그 일측부가 굴곡가능한 표지 보강재를 부착하는 단계(S120),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표지 보강재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부착하는 단계(S130), 상기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와 속지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단계(S140) 및 상기 표지 보강재 및 속지의 구멍에 결속링을 끼움으로써 상기 표지 보강재와 속지를 결속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상기 제본구조체는 좌/우 내피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표지 보강재에 좌/우 내피가 부착되지 않고 제조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좌/우 내피를 포함한 제본구조체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에는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이용하는 제본구조체를 제조하는 전체적인 공정이 나타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제본구조체(400)의 제조방법은,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30) 및 내피(35)를 준비하는 단계(S210), 상기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물성 보강띠(90)를 부착하는 단계(S220), 상기 내피(35)의 일면에 몸체부 보강재(62)와 날개부 보강재(64)를 포함하는 표지 보강재를 부착하고 상기 내피(40)(41)의 양측부를 절곡하여 상기 날개부 보강재(64)를 감싸도록 부착한 후, 좌우 중심선을 절단하여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그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내피(40)(41)로 나누는 단계(S230), 상기 물성 보강띠(90) 좌우에 노출된 외피(30) 부착층에 상기 좌/우 내피(40)(41)에 부착된 몸체부 보강재(62)를 부착하는 단계(S240), 상기 외피(30)의 테두리를 절곡하여 상기 좌/우 내피(40)(41)의 타면에 부착하는 단계(S250),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와 속지(320)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45)(322)을 천공하는 단계(S260) 및 상기 좌/우 내피(40)(41) 및 속지(320)의 구멍(45)(322)에 결속링을 끼움으로써 상기 좌/우 내피(40)(41)와 속지(320)를 결속하는 단계(S270)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상기 외피(30)와 내피(35)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외피(30)와 내피(35)를 준비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형지(미도시)의 일면에 점착제를 도포한 후, 외피(30) 또는 내피(35)를 상기 이형지의 일면에 접합시키면 상기 점착제의 수분을 흡수하는 외피(30) 또는 내피(35)의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게 되고, 이형지를 박리한 후 부착 또는 부착시키고자 하는 것을 접합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에서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되지 않는 외피(30)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상기 외피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어 절곡 및 복원가능하다. 즉, 상기 물성 보강띠(90)는 외피(30)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며, 후술하는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 즉 책등이 꺽여서 절곡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책등의 꺽인선의 자국이 남지 않도록 이를 다시 복원해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는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하며, 책등의 내구력을 향상시켜 커버구조체(100)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외피(30) 좌우 중심부의 부착력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물성 보강띠(90)는 날개부 보강재(64)가 상기 외피(30)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물성 보강띠(90)로 인하여 커버구조체(100)는 결속링(340)의 형태를 외부로 표출되지 않도록 하며, 결속링(340)의 촉감도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물성 보강띠(90)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텍션 등과 같이 굴곡되기 쉬운 연성의 물질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구조체(10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위, 즉 책등이 굴곡부를 이루도록 제 조하는데 굴곡가능하고 연성인 물성 보강띠(9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단계 (S220) 내지 (S240)의 제조공정은 상기 커버구조체(100)의 제1,2,3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S240)단계 이후에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이 된다. 상기 외피(30)의 테두리가 굴곡되어 상기 좌/우 내피(40)(41) 타면의 테두리에 부착되지 않더라도 외피(30)의 테두리를 박음질함으로써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를 접합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90)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커버구조체(100)는 상기 외피(30)와 좌/우 내피(40)(41)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30)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될 수 있다.
또한, 메모지, 명함, 필기구 등을 끼울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외피(30)가 좌/우 내피(40)(41) 타면의 전체 또는 부분까지 연장되어 테두리만 부착 또는 박음질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S250)단계에서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와, 속지(320)의 일측부에 복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진다.
대안으로서, 상기 (S250)단계에서 상기 날개부 보강재(64)가 부착된 좌/우 내피(40)(41)의 일측부와, 속지(320)의 일측부에 복수의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이 서로 별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도 13의 280)과 복수의 구멍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복수의 구멍과 누름선(도 13의 280)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좌/우 내피(40)(41)는 분리되어 이격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서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그 중심선을 절곡가능하게 함으로서 일체형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기 외피(30) 및 좌/우 내피(40)(41)에 접합하는 부재는 그 부재의 물성에 따라 점착 또는 접착하게 된다. 즉, 본 명세서에서 '부착'은 점착 또는 접착을 일컫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에 따르면, 좌/우 내피의 굴곡가능한 일측부에 결속링을 끼움으로써 속지와 좌/우 내 피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결속링이 커버구조체의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휴대시 외면의 촉감이 우수하고,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칠 염려가 적고, 제본시 용이하며, 미관상 미려하여 고급스럽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33)

  1.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2.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좌/우 내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 부착층과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 사이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몸체부 보강재와,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에 부착되는 날개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의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 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보강재는 상기 몸체부 보강재와 미소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상기 날개부 보강재와 상기 몸체부 보강재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선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 보강띠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및 텍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에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8. 커버구조체;
    상기 커버구조체의 구멍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진 속지; 및
    상기 커버구조체 및 속지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구조체와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링;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상기 외피 부착층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의 부착층에 부착되며,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하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형성된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표지 보강재의 일측부는 굴곡가능하고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19. 커버구조체;
    상기 커버구조체의 구멍과 대응되도록 형성된 구멍을 가진 속지; 및
    상기 커버구조체 및 속지의 구멍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커버구조체와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링;을 구비하며,
    상기 커버구조체는,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된 외피;
    일면에 부착층이 형성되며 서로 대칭되는 좌/우 내피;
    상기 외피 일면의 좌우 중심부에 부착된 물성 보강띠; 및
    상기 물성 보강띠 좌우에 노출된 상기 외피 부착층과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 사이에 위치되어 부착되는 몸체부 보강재와, 상기 물성 보강띠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좌/우 내피 부착층에 부착된 날개부 보강재를 포함하는 좌/우 대칭형의 표지 보강재;를 구비하며, 상기 날개부 보강재가 부착된 좌/우 내피의 일측부는 굴곡가능하고 일렬로 복수의 구멍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내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천연가죽, 인조가죽, 합성피혁, 일반섬유, 비닐, 지레자, 포크로스, 고급용지, 크라프트지, 하이플랙스 및 습식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 보강재는 상기 몸체부 보강재와 미소간격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상기 날개부 보강재와 상기 몸체부 보강재가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4. 제18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일측부가 굴곡가능하도록 굴곡되는 경계에 도무송 또는 재단칼을 이용하여 누름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누름선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선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7.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 보강띠는 폴리염화비닐 계열 원단, 자보루, 합지, 가죽,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 부직포, 천, 인조피혁, 비닐, 본디드싱 및 텍션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8.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29.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테두리를 따라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3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물성 보강띠가 부착되는 부분에 상하로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31.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와 표지 보강재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외피의 상하 중심부에 박음질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32.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 보강재에 형성된 복수의 구멍은 폴리프로필렌 판 재질의 표지 보강재에 열도무송이 사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33.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멍이 형성된 표지 보강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KR2020050034783U 2005-12-09 2005-12-09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KR2004106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83U KR200410625Y1 (ko) 2005-12-09 2005-12-09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783U KR200410625Y1 (ko) 2005-12-09 2005-12-09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783A Division KR100643850B1 (ko) 2005-12-09 2005-12-09 커버구조체,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625Y1 true KR200410625Y1 (ko) 2006-03-09

Family

ID=4176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783U KR200410625Y1 (ko) 2005-12-09 2005-12-09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6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91B1 (ko) 2006-07-31 2007-08-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091B1 (ko) 2006-07-31 2007-08-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850B1 (ko) 커버구조체,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410625Y1 (ko)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KR200387610Y1 (ko) 쿠션 표지 구조체
JP2001501140A (ja) 特にルーズリーフ・リング・バインダーと共に使用されるポケット
KR20110011980U (ko) 3단 표지구조를 갖는 졸업 앨범의 자석잠금장치
KR101119696B1 (ko) 스프링 제본용 커버
KR101046640B1 (ko)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0331378B1 (ko) 결속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다이어리 노트의 제조방법 및 그 다이어리 노트
KR101056659B1 (ko) 책 커버
KR200415809Y1 (ko) 수납공간을 가진 커버 구조체
KR100747091B1 (ko)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431603Y1 (ko) 수납부를 구비한 제본용 커버 구조체
JP3902702B2 (ja) 背に柔軟材を用いた本の製本方法及び表紙作成方法
CN220390796U (zh) 封皮和书籍
KR100797008B1 (ko) 제본용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3154410U (ja) ブックカバー
KR200371180Y1 (ko)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한 노트
KR200395717Y1 (ko)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CN213678159U (zh) 一种册装手账胶带
JP5810337B2 (ja) ペンホルダー付ノートブックカバー
KR20100091711A (ko) 다이어리 커버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8406B1 (ko) 메모지가 교환 가능한 다용도 커버
CN214928421U (zh) 一种便于使用的笔记本
KR100747090B1 (ko) 수납부를 구비한 제본용 커버 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제본 방법
US20020047258A1 (en) Portfolios with enhanced molded c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