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717Y1 -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 Google Patents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717Y1
KR200395717Y1 KR20-2005-0017441U KR20050017441U KR200395717Y1 KR 200395717 Y1 KR200395717 Y1 KR 200395717Y1 KR 20050017441 U KR20050017441 U KR 20050017441U KR 200395717 Y1 KR200395717 Y1 KR 2003957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binding
layer
cover
envelope
top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7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20-2005-0017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7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7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7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7/00Manufacturing bookbinding cases or covers of books or loose-leaf b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04Devices for protecting or reinforcing edges or corners of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는, 복수개의 매수를 갖는 속지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속지층의 일단부가 상하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제본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제본 내지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과 제본 결합단부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하면 표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본 결합단부를 감싸고 있는 제본 외피층이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는, 제본 표지의 재료 선택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제본 책자나 노트의 책 등에 대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본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제본 제품의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어 수요자의 구매의욕을 자극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Bookbinding structure having a separated cover}
본 고안은 분리된 표지재를 갖는 제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본된 책자나 노트 등의 최상부층과 최하부층을 감싸는 표지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가져 제본의 결합 단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책자나 노트 등은 그 일단면에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되어 있으며, 접착된 단부를 축으로 하여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제본 속지를 넘기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표지는 속지보다는 보다 강한 강도를 갖는 외표지로 통채로 감싸여져 있는 구조를 갖는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본이 스프링이나 별도의 바인더 고정구로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가장 일반적인 제본 방식은 양장 제본(Hard Cover Book Binding) 또는 반양장 제본(Perfect Book)의 방식을 들 수 있다.
양장제본은, 표지를 두꺼운 합지(Hard Cover)로 만들어 붙인 책을 말한다. 보통 본문을 구성하는 복수 매수의 속지를 실로 엮어 묶은 다음 책 등에 엉성한 거즈와 같은 생사를 바르고 그 위에 질긴 종이를 덧붙여 만든다. 양장 제본은 속지층과 표지층을 따로 제작, 재단한 다음 속지의 최상면층과 표지의 이면에 걸쳐 부착되는 면지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방식으로서, 백과사전, 연감, 법전, 보관용 장서, 다이어리, 성경책이나 불경과 같은 각종 종교서적 등을 제작함에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러한 양장 제본은 좌/우 또는 상/하로 분리되는 대칭되는 책표지 및 중간 결합부의 책 등(통상, '세네카'라고 칭하기도 함)을 서로 절단하여 접힘 또는 굽힘 영역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소정 간격 이격시킨 후, 전체적으로 일체로 외부에서 감싸는 외피를 덮씌워 부착하는 과정으로 진행하는 공정의 복잡함으로 인하여 그 제작 과정이 다소 번거롭고, 대량생산을 이루기에는 다소 어려움 점이 있다. 또한, 양쪽의 책표지와 외피에 의해 연결되는 책 등 간의 접힘 영역은 반복 사용으로 인해 낡아져서 쉽게 헤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사용이 빈번하면서도 오랜 기간 동안 보관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반양장 제본은, 전술한 양장 제본처럼 본문을 실엮기하는 것은 동일하나 표지의 재질을 비교적 부드러운 종이로 사용하는 제본 형태이다. 양장 제본에 비해 내구성이 떨어지나 작업 공정이 단순하여 원가가 절감되어 보급형 책, 예컨대 단행본이나 잡지 등을 제작함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제본 방법이다. 반양장 제본에 의해 제작된 책자나 노트는 잘 펴지고 책갈피가 잘 넘어가지만, 양장본과 달리 천을 쓰지 않고 면지와 풀로 붙이기 때문에 두꺼울 경우 잘 떨어지면 제본된 책자나 노트의 고급스러움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장 제본의 표지의 구성은 일면표지와 중앙의 제본부위(책 등) 및 타면표지를 일체로 감싸는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며, 가장 일반적으로는 합지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외표지는 사용시 제본 부위의 표지가 닳아 헐어지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섬유 원단이나 인조 가죽 등을 덧대어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대안이 제시되고는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에는 외관상 결함요인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보관시 대체로 책장 내에 세로로 세워진 형태로서, 제본부가 외부로 표출되도록 장식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고려되어야 할 사안이다. 한편, 제본 책자의 사용시 표지 모서리 등이 날카롭게 형성되어 사용상 긁히거나 베이거나 찔리는 등의 여러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제본 구조가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관련분야에서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제본 구조체의 외면을 일체로 감싸는 표지 구조를 탈피하고, 그 표지의 모서리 부분의 날카로움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제조 과정이나 사용상의 편리함 및 고품격화된 제본 책자나 노트의 사용 욕구를 만족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는, 복수개의 매수를 갖는 속지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속지층의 일단부가 상하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제본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제본 내지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과 제본 결합단부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하면 표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본 상면 표지층과 상기 제본 하면 표지층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본 결합단부를 감싸고 있는 제본 외피층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본 상면 표지층은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에 부착된 제본 외피층 중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의 제본 외피층이 더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소정의 여유부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본 하면 표지층은,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에 부착된 제본 외피층 중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의 제본 외피층이 더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소정의 여유부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면에 부착되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은 상기 결합단부를 제외한 다른 단부에서, 제본 내지층이 형성하는 각 단부와 정합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제본 내지층이 형성하는 각 단부보다 더 확장된 단부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재, 각종 금속소재, 목재(木材), 골재(骨材), 합판재(合板材), 가죽재, 섬유재 및 합지재(合紙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구조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의 각 모서리 단부는 라운드처리된 단부를 구비하도록 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강 파일의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사용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본 내지층(20)은 복수개의 매수를 갖는 속지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속지층의 일단부가 상하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제본 결합단부(23)를 구비하고 있다. 제본 외피층(22)은 상기 제본 내지층(20)의 최상부면과 제본 결합단부(23)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다. 제본 외피층(22)은 잘 꺽이는 재질로서, 이후 원상복원력을 갖는 재질을 갖는 소재로서, 일반 종이 재질, 섬유 소재나, 각종 합성수지 필름 또는 종이에 필름층이 코팅된 재질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본 상면 표지층(24)은 상기 제본 내지층(20)의 최상부면 영역을 감싸도록 제본 외피층(22) 상면에 부착되며, 제본 하면 표지층(26)은 상기 제본 내지층(20)의 최하부면 영역을 감싸도록 제본 외피층(22)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제본 상면 표지층(24)과 제본 하면 표지층(26)은 상기 제본 내지층(20)의 최상부면 및 최하부면 상의 제본 외피층(22)에 정합되도록 부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본 결합단부(23)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본 외피층(22) 상면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제본 결합단부(23)의 측부영역과 그와 인접한 제본 내지층(20)의 최상부 및 최하부면상에 부착된 제본 외피층(22)의 일부 영역까지도 노출되도록 부착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한편,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은 상기 결합단부를 제외한 다른 단부에서, 제본 내지층이 형성하는 각 단부와 정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 상기 제본 내지층이 형성하는 각 단부보다 더 확장된 단부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본 결합단부(23)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여 제본 내지층(20)이 상하 견고하게 결속됨과 동시에 합지재 또는 섬유재로 이루어진 제본 외피층(22)에 감싸여질 수도 있지만, 제본용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결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본 결합단부(23) 영역에서는 상기 제본 상/하면 표지층(24, 26)이 서로 분리되어, 제본 결합단부(23) 및 그 인접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상기 제본 결합단부(23)는 일자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지만, 라운드를 갖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면서 속지 상하간의 결속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접착방식이나 스프링을 통한 링결합방식 또는 바인더링을 통한 바인더 결합 방식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술적 변형예들 모두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기술적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상기 제본 외피층(22)의 일부는 관련 제본 제품 사용시 외부로 노출되며, 특히 제본 결합단부(23)에서는 반복적인 접힘과 펼침 동작이 일어나므로, 보다 질긴 강도를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본 상/하면 표지층(24, 26)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재, 각종 금속소재, 목재(木材), 골재(骨材), 합판재(合板材), 가죽재, 섬유재 및 합지재(合紙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구조이면 바람직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제본 상/하면 표지층(24, 26)의 각 모서리에 대한 마무리 공정을 추가하여 라운드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제본 제품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베이거나 찔리는 문제 등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표지면 상에 여러가지 다양한 문양을 직접 새기거나 인쇄할 수 있으며, 목재 고유의 무늬 등을 그대로 표현할 수 있는 점에서 종래의 제품들과는 보다 고급화된 제품으로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제본 상/하(좌/우) 표지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보다 간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성을 높일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제본 구조체는 좌측표지(또는 상부표지), 결합단부 및 우측표지(또는 하부표지)가 일체로 이루어진 합지재질의 하나의 판상체로 제조되는 것에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제본 구조체는 좌측 표지와 우측 표지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로서 각각의 표지면에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으며, 중간의 결합단부 및 그 인접 영역을 노출시키는 상태로 제조된다. 이때, 각 표지 자체에 대한 재료 선택의 범위가 보다 넓게 확장되고, 특히 각종 문양을 새겨 가공된 목재(wood) 등의 소재를 선택함으로써 고품격 소재가 사용됨에 제약이 없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 도시된 상기 제본 내지층(20)의 매수나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서 변형 가능한 다양한 예로서 제작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는, 좌우(또는 상하) 표지를 서로 분리 접착시킴으로써, 종래의 제본 표지의 재료 선택의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목재, 플라스틱 등의 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제본의 중앙 결합부(또는 접힘부)에 대한 별도의 가공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본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제본 제품의 고급화를 달성할 수 있어 수요자의 구매의욕을 자극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표지의 각 모서리 단부를 라운드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날카로운 단부로 인해 자상이나 창상 등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의 사용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
10...제본 구조체 20...제본 내지층
22...제본 외피층 23...제본 결합단부
24...제본 상면 표지층 26...제본 하면 표지층

Claims (4)

  1. 복수개의 매수를 갖는 속지층으로 적층되어 있으며, 상기 속지층의 일단부가 상하 일체로 결합 고정되는 제본 결합단부를 구비하는 제본 내지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과 제본 결합단부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전체적으로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 영역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에 부착된 제본 하면 표지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본 상면 표지층과 상기 제본 하면 표지층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구비되어 상기 제본 결합단부를 감싸고 있는 제본 외피층이 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본 상면 표지층은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에 부착된 제본 외피층 중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의 제본 외피층이 더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소정의 여유부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상부면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제본 하면 표지층은,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에 부착된 제본 외피층 중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만큼의 제본 외피층이 더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단부로부터 소정의 여유부만큼 이격되어 상기 제본 내지층의 최하부면을 감싸는 제본 외피층 상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은,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또는 폴리우레탄(PU)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재, 각종 금속소재, 목재(木材), 골재(骨材), 합판재(合板材), 가죽재, 섬유재 및 합지재(合紙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판형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분리된 제본 상면 표지층 및 제본 하면 표지층의 각 모서리 단부는 라운드처리된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KR20-2005-0017441U 2005-06-17 2005-06-17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KR2003957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41U KR200395717Y1 (ko) 2005-06-17 2005-06-17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7441U KR200395717Y1 (ko) 2005-06-17 2005-06-17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717Y1 true KR200395717Y1 (ko) 2005-09-13

Family

ID=4369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7441U KR200395717Y1 (ko) 2005-06-17 2005-06-17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7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42B1 (ko) 2006-09-29 2007-09-04 김효진 책등이 노출되도록 제본된 책 및 그 제본방법
KR101511625B1 (ko) * 2014-01-29 2015-04-13 서용석 다이어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642B1 (ko) 2006-09-29 2007-09-04 김효진 책등이 노출되도록 제본된 책 및 그 제본방법
KR101511625B1 (ko) * 2014-01-29 2015-04-13 서용석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30560A (en) Method of forming and casing books and product thereof
US6712396B2 (en) Soft book
US6390507B1 (en) Soft book
US20010048861A1 (en) Bookbinding signature comb and spine device
KR200395717Y1 (ko)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US2264119A (en) Indexed book
US20050230963A1 (en) Sticker book with stickers employed on the book&#39;s cover
JPH0220394A (ja) 本装丁方法
US7144044B2 (en) Foam book with improved binding and method II
KR101046640B1 (ko)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US5992886A (en) Cover for printed matter
EP2213472B1 (en) Inner cover sheet and method for binding a pile of sheets to a binding cover, and a bound product
GB2221190A (en) Book binding
US20070036609A1 (en) Page protector
JPH0219262Y2 (ko)
JP2603381Y2 (ja) 簡易上製本用素材セット
RU222453U1 (ru) Открытка деревянная поздравительная
JP3223167U (ja) 木製表紙によって装丁された冊子
JP6732385B2 (ja) 上製本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1992A (ko) 스프링 제본용 커버
JP2011194815A (ja) 本及び当該本の製造方法
KR20100026008A (ko) 책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5552352B2 (ja) 帳面及び背部材
JP6704140B2 (ja) ブックカバーとブックカバーの装着方法
KR200346929Y1 (ko) 중철 제본으로 제작된 책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