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6640B1 -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6640B1
KR101046640B1 KR1020080096619A KR20080096619A KR101046640B1 KR 101046640 B1 KR101046640 B1 KR 101046640B1 KR 1020080096619 A KR1020080096619 A KR 1020080096619A KR 20080096619 A KR20080096619 A KR 20080096619A KR 101046640 B1 KR101046640 B1 KR 10104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thelial
center
cover body
central
d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337A (ko
Inventor
손광훈
Original Assignee
손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광훈 filed Critical 손광훈
Priority to KR102008009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64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01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5/00Sheets united without binding to form pads or blocks
    • B42D5/04Calendar blocks
    • B42D5/042Diaries; Memorandum calend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42F13/04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with cords, coil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의 커버체를 내,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면서도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방법을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이의 제조방법은 다이어리 커버체를 구성하기 위한 내,외피를 준비하는 내,외피 준비단계와; 상기 내피의 중심부분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심보강재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중심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내피의 중심보강재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보강재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몸체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합체된 내피 중심부의 세로 방향을 따라 절첩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부의 상,하단에는 절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절첩홈을 형성하는 내피의 절첩선 및 절첩홈 형성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결착된 내피의 중심 절첩부분에 결속스프링과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토록 하는 내피의 결속공 천공단계와; 상기 내피와 별도로 재단된 외피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함과 동시에, 상기 외피 중심부의 좌,우측에 절첩선을 형성하는 내,외피의 결합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이어리, 수첩, 노트, 커버체, 다리어리 커버,

Description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PRODUCT METHOD OF DIARY COVER AND DIARY}
본 발명은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이어리의 커버체를 내,외피의 이중 구조로 형성하면서도 속지를 결속하는 결속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제조방법을 간편하고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어리, 노트, 수첩, 카렌다, 화일, CD케이스, 전화번호부, 명함(이하 "다이어리"라 함)등은 용도에 맞는 여러 가지 내용물이 인쇄 및 수록되어 있거나 또는 각종 내용을 사용자가 메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이어리의 기본적인 구조는 각종 내용물이 기록되어 있거나 또는 기록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속지와, 상기 속지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이들을 보호토록 하는 커버체와, 상기 커버체와 속지를 일체형으로 결속시키도록 하는 결속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어리의 종래 구조를 일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닐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중심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결속공(2)이 천공되는 비교적 경질의 전,후 커버체(1)와, 상기 커버체(1)의 내측에는 일측면에 역시 결속공(3)이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되면서 각종 내용물이 인쇄되어 있거나 또는 내용물을 메모할 수 있도록 다수로 적층되는 속지(4)로 구성되고, 상기 커버체(1)와 속지(4)는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결속스프링(5)으로 결속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이어리는 커버체(1)의 내부에 다수의 속지(4)가 결속스프링(5)으로서 결속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결속스프링(5)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쉽게 움직이거나 분리되어 그 결속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사용자가 휴대시 피부와 접하는 촉감도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종래 다이어리 구조는 도 2에서 같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도면에서도 보듯이 커버체(1)의 내부 양측에 각각 포켓(6)을 형성하고, 속지(4)들을 결속스프링(5)으로 결속한 상태에서 속지(4)의 전,후면 겉장을 각각 포켓(6)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결속스프링(5)이 커버체(1)에 의해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고정되기는 하지만, 속지(4)를 결속스프링(5)으로 결속한 커버체(1)의 포켓(6)에 고 정하여야 하는 작업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결속스프링(5)이 커버체(1)에 밀착되어 속지(4)의 사용도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커버체(1)와 속지(4)의 유동으로 인하여 결속력도 좋지 못하여 흔들리거나 빠지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근자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커버체를 내,외피의 이중구조로 형성하여 결속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결속력을 좋도록 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국내 특허번호 제643850호인 "커버구조체,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는 비교적 경질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중심부가 절첩되는 외피의 내부 양측으로 각각 분리형성된 좌/우 내피가 각각 열융착으로 접착형성되고, 상기 외피와 좌/우 내피의 사이에는 내피의 약한 특성을 보강하기 위한 몸체보강재가 형성됨과 동시에, 결속스프링이 체결되는 중심부에 위치하는 상기 좌/우 내피의 날개부에는 각각 보강재가 형성되며, 또한 외피의 중심부에도 별도의 물성보강띠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등록특허는 외피의 내부에 부착되는 내피가 각각 분할되는 두 개의 좌/우 내피로 형성됨으로써, 이들을 정확하게 외피가 결합시키기가 어렵고 까다로운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내피의 결속구멍이 천공되는 부분에 별도의 날개보강재를 각각 부착고정하여야 함으로써 이를 부착고정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의 좁은 간격으로 인하여 결속스프링을 체결시 결속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할되는 두 개의 내피를 결속스프링으로 결속할 경우 이들의 결속부분 이 약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의 날개보강재를 부착고정한다 하더라도 충분한 강도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피의 중심부상에도 별도의 보강띠를 형성하여야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도 복잡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더욱이 복잡한 구조와 제조방법에 비하여 기대하는 결속력을 충분히 얻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그 목적은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과 구조를 간단하고도 손쉽게 함으로써, 제본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월등히 절감되면서도 외관이 좋고, 또한 커버체와 속지의 결속력이 월등히 향상되는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이어리 커버체를 제조함에 있어 새로운 형태의 제조방법을 제시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이는 다이어리 커버체를 구성하기 위한 내,외피를 각각 필요로 하는 적절한 크기로 재단하여 준비하는 내,외피 준비단계와;
상기 내피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중심부분에 세로방향을 따라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심보강재를 얹고, 이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중심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내피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중심보강재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보강재를 얹고, 이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몸체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합체된 내피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 방향을 따라 절첩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부의 상,하단에는 절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절첩홈을 형성하는 내피의 절첩선 및 절첩홈 형성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결착된 내피의 중심 절첩부분에 세로 방향을 따라 결속스프링과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토록 하는 내피의 결속공 천공단계와;
상기 내피와 별도로 재단된 외피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함과 동시에, 상기 외피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절첩선을 형성하는 내,외피의 결합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절첩선 및 절첩홈 형성단계에서 다이어리의 내측 포켓부 또는 명함꽂이부 등을 형성하는 별도의 각종 부속물들을 함께 합체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특징은 내피의 결속공 천공단계에서 내피와 합체된 보강재를 한꺼번에 천공하여 결속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속공에 결속스프링이 정확하게 결합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상기 내피의 중심보강재와 몸체보강재가 단일체로 형성된 보강재를 사용하고, 이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경우에는 그 구성요소를 보다 간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커버체를 외피와 내피의 이중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외피와 내피를 각각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함으로써 즉,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외피에 역시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내피를 포개의 이들을 일체화되게 결합으로써 부품의 단순화와 더불어,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등 제조에 따른 작업성과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내피를 제조시 중심부분에 별도의 보강재를 결합한 후, 결속스프링을 체결하는 결속공을 동시에 천공함으로써, 결속공의 천공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불량율을 줄이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결속공의 강도가 증대되어 결속스프링의 체결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외피에 별도의 보강수단을 강구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즉, 결속스프링이 체결되는 내피의 중심부에 충분한 강도가 보강됨으로써 외피에는 별도의 보강수단이 요구되지 않아 부품수가 줄어듬과 동시에, 제조공정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는 실용적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과정을 나타낸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이어리를 보인 사시도, 도 5 본 발명의 상세도, 도 6 이하는 본 발명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이어리 커버체가 내,외피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을 필요로 하는 크기로 재단한 후, 내,외피를 각각 선 가공한 다음, 이들을 서로 합체하여 하나의 단일체로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조과정을 각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내,외피 준비단계);
이는 제조하고자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100)를 구성하기 위한 내,외피(10)(20)를 필요로 하는 적절한 크기와 형태로 재단하여 준비한다.
상기 내,외피는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비닐, 천연 또는 인조가죽, 일반섬유, 종이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재질로 제조될 수 있고, 이들 중 그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되며, 첨부된 도 6에서 보듯이 제조하고자 하는 다이어리의 종류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전,후 및 측면이 일체화된 하나의 크기로 펼쳐진 상태로 재단된다.
제2단계(내피의 중심보강재 결합단계)
상기 준비된 내피(10)의 내측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엎어놓은 상태에서 내피(10)의 절첩되는 중심부분에 세로방향을 따라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심보 강재(30)를 얹고, 상기 내피(10)와 중심보강재(30)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중심보강재(30)는 합성수지 또는 비닐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주로 내피(10)와는 차별되는 종이재를 사용하게 되고, 이는 도 7에서 보듯이 내피(10)의 중심부 절첩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부착되며,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3단계(내피의 몸체보강재 결합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와 같이, 준비된 내피(10)의 내측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엎어놓은 상태에서 내피(10)의 상기 중심보강재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보강재(40)를 얹고, 상기 내피(10)와 몸체보강재(40)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되도록 결합한다.
상기 몸체보강재(40)는 합성수지 또는 비닐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주로 내피(10)와는 차별되는 종이재를 사용하게 되고, 이는 내피(10)의 중심부 절첩부분을 제외한 좌, 우측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부착되며,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단계(내피의 절첩선 및 절첩홈 형성단계)
상기의 단계에서 내피(10)와 중심보강재(30) 및 몸체보강재(40)를 부착하고 나면, 상기 중심보강재(30)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세로 방향을 따라 절첩선(11)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부의 상,하단에는 절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절첩홈(12)을 임의의 형태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상기 절첩선(11)은 완성된 다이어리의 절첩시 내피(10)가 원활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고주파 열을 가하여 가압함으로써 가압되는 누름선을 따라 절첩선(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첩선(11)은 중심보강재(30)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세로 방향을 따라 절첩선(11)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 8에서 보듯이 중심선과 근접되는 양측에 3열로 형성함으로써, 결속스프링(120)의 체결을 더욱 좋게 함과 동시에, 절첩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첩부분의 상,하단에는 절첩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임의의 형태로 형성되는 절첩홈(12)을 형성함으로써, 커버체의 절첩작동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결속스프링(120)이 최대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절단칼날에 의해 절단된다.
제5단계(내피의 결속공 천공단계)
상기 중심보강재(30)가 결합된 내피(10)의 중심 절첩부분에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는 세로방향을 따라 각각 결속스프링(1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공(13)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한다.
즉, 도 9에서 보듯이 내피(10)와 중심보강재(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양측으로 결속공(13)을 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결속공(13)은 별도의 펀치에 의해 원형이나 사각형 등의 구멍으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체결되는 결속스프링(120)의 크기에 따라 그 간격이나 크기 등을 달리할 수 있다.
제6단계(내,외피의 결합단계)
상기 내피(10)의 선 가공처리에 의해 준비된 내피(10)와, 별도로 재단되어 준비된 상기 외피(20)를 별도의 금형을 이용하여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하면서, 상기 외피(20)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절첩안내홈(21)을 형성한다.
즉, 도 10에서 보듯이 상기 외피(20)의 중심부분을 열을 가한 금형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외피(20)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만큼 절첩아내홈(21)이 형성되며, 이 절첩안내홈(21)은 외피가 절첩될 시 절첩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능과 더불어, 속지(110)를 결속한 결속스프링(120)을 안전한 상태로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내,외피(10)(20)의 합체는 상기 외피(20)의 내측면 상측에 상기 내피(10)를 뒤집어서 올려놓고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이들을 하나의 구조체로 합체시킨다.
도 11에서 보듯이 상기 외피(20)와 내피(10)는 중앙부분을 제외한 가장자리 부분을 고주파 열융착으로 부착시키게 되며, 이들 사이에는 별도의 종이,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몸체보강재(30)가 삽입체결되어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며, 이의 단계를 마침으로써 다이어리 커버체(100)의 모든 제조공정을 마무리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조된 커버체(100)의 내부에는 통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별도의 결속스프링(120)을 이용하여 속지(110)를 결속시킴으로써 다이어리 제조 를 완료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다이어리 커버체는 도면 도 4 및 도 5에서 부호 100으로 표시하고 있고, 이의 다이어리 커버체는 내,외피(10)(20)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이들에게는 다수의 속지(110)가 결속스프링(120)에 의해 결속되어 완전한 다이어리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내피(10)는 합성수지,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중심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절첩선(11)이 형성되고, 이의 상,하단에는 절첩홈(12)이 각각 형성되면서 절첩선(11)의 양측으로는 결속스프링(120)이 체결되는 결속공(13)이 다수로 천공된다.
또한 상기 내피(10)의 중심부의 후면에는 별도의 종이, 합성수지, 비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심보강재(30)가 세로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만큼 일체형으로 결합 형성된다.
이 중심보강재(30)는 주로 내피와는 다른 재질인 종이재질로 형성되면서 내피(10)의 중심부인 절첩부위는 물론이고, 결속스프링이 체결되는 결속공(13)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내피(10)에 먼저 부착시공된 후에 내피(10)의 결속공(13)과 절첩홈(12)을 천공하게 된다.
상기 절첩선(11)은 내피(10)가 합성수지,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을 가하여 금형으로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절첩홈(12)은 금형에 의해 가압되는 절단칼날에 의해 절단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피(10)와 일체형으로 합체되는 외피(20)는 역시 합성수지, 비 닐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중심부에는 세로방향으로 절첩안내홈(21)이 형성되면서 가장자리를 통하여 내피(10)와 고주파 열융착으로 결합된다.
상기 절첩안내홈(21)은 금형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것으로, 열을 가하여 가압함에 따라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외피(10)(20)의 사이에는 양측으로각각 몸체보강재(4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합체되며, 상기 몸체보강재(40)는 역시 외피(20)와는 다른 재질의 종이, 합성수지, 비닐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체적인 강도를 유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이어리 커버체(100)는 내,외피(10)(20)를 일체로 합체하여 이중구조로 형성하면서도 내피(10)를 하나의 단일체로 형성하고, 또한 그 중심부의 절첩부위에 별도의 중심보강재(30)를 결합한 상태에서 결속공(13)들을 천공함으로써, 절첩부위는 물론이고 다수의 결속공(13)들을 견고하게 보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내피(10)의 절첩부위를 보강함으로써 외피(20)상에는 별도의 보강수단을 강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의 단순화와 더불어, 제조를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다이어리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종래 또 다른 다이어리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다이어리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도 4에서 요부를 분해하여 보인 구성도.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구성도로서, (a)는 평면구성도, (b)는 중심부의 확대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커버체 110:속지
120:결속스프링 10:내피
11:절첩선 12:절첩홈
13:결속공 20:외피
21:절첩안내홈 30:보강대
40:몸체보강대

Claims (4)

  1. 다이어리 커버체를 구성하기 위한 내,외피를 각각 요구되는 크기와 형태로 재단하여 준비하는 내,외피 준비단계와;
    상기 내피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중심부분에 세로방향을 따라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중심보강재를 얹고, 이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중심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내피를 엎어놓은 상태에서 중심보강재가 부착된 중심부분의 좌,우측에 별도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보강재를 얹고, 이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시키는 내피의 몸체보강재 결합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합체된 내피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 방향을 따라 절첩선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중심부의 상,하단에는 절첩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는 절첩홈을 형성하는 내피의 절첩선 및 절첩홈 형성단계와;
    상기 중심보강재가 결착된 내피의 중심 절첩부분에 세로 방향을 따라 결속스프링과 결합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결속공을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토록 하는 내피의 결속공 천공단계와;
    상기 내피와 별도로 재단된 외피를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일체로 합체함과 동시에, 상기 외피 중심부의 좌,우측에 세로방향을 따라 절첩선을 형성하는 내,외피의 결합단계; 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2. 하나의 단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중심부에는 세로 방향으로 다수의 절첩선(11)이 형성되고, 중심부 상,하단에는 절첩홈(12)이 형성되면서 절첩선(11)의 양측으로는 결속스프링이 체결되는 결속공(13)이 다수로 천공되는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내측에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합체되면서 중심부에는 세로방향으로 반원형의 절첩안내홈(21)이 형성되는 외피(20)와;
    상기 내피(10)의 중심부분에 세로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결합되어 중심부의 절첩부위와 결속공(13)을 보강토록 하는 중심보강재(30)와;
    상기 내피(10)와 합체되며, 내,외피(10)(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일체로 합체되면서 커버체 전체를 보강토록 하는 몸체보강재(40); 를 구비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보강재(30)는 내피(10)와는 다른 재질인 종이재질을 사용하며, 이는 내피(10)의 중심부 절첩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결합되게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결합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보강재(40)는 내피(10)와는 다른 재질인 종이재질을 사용하며, 이는 내피(10)의 중심부 절첩부분을 제외한 좌, 우측부분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폭으로 결합되게 고주파 열 융착방법으로 결합하여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커버체.
KR1020080096619A 2008-10-01 2008-10-01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046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19A KR101046640B1 (ko) 2008-10-01 2008-10-01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619A KR101046640B1 (ko) 2008-10-01 2008-10-01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37A KR20100037337A (ko) 2010-04-09
KR101046640B1 true KR101046640B1 (ko) 2011-07-05

Family

ID=4221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619A KR101046640B1 (ko) 2008-10-01 2008-10-01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36B1 (ko) 2017-08-08 2018-08-28 김태홍 다이어리 겉표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56B1 (ko) * 2011-04-22 2012-01-18 주식회사양지사 수첩다이어리커버내 포켓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켓 제조방법
IT202100028628A1 (it) * 2021-11-10 2023-05-10 Sales S R L Soc Benefit Articolo di cartoleria e relativo procedimento di produzi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85A (ko) * 2002-09-26 2004-04-01 김형중 비노출형 스프링 제본방법 및 이에 의한 제본물
KR200371180Y1 (ko) * 2004-10-13 2004-12-24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한 노트
KR100747091B1 (ko) * 2006-07-31 2007-08-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85A (ko) * 2002-09-26 2004-04-01 김형중 비노출형 스프링 제본방법 및 이에 의한 제본물
KR200371180Y1 (ko) * 2004-10-13 2004-12-24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스프링 고정부재를 구비한 노트
KR100747091B1 (ko) * 2006-07-31 2007-08-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2236B1 (ko) 2017-08-08 2018-08-28 김태홍 다이어리 겉표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37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640B1 (ko)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H0220394A (ja) 本装丁方法
KR101622877B1 (ko) 다이어리 커버체에 적용되는 명함꽂이용 카드 수납부 제조방법 및 그 명함꽂이용 카드수납부
KR200395717Y1 (ko) 분리된 표지를 갖는 제본 구조체
KR200484307Y1 (ko) 노트 및 노트의 연결끈 결속방법
CN102198772A (zh) 笔记本外皮
KR100747091B1 (ko)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56659B1 (ko) 책 커버
KR20110059200A (ko) 스프링 제본용 커버
WO1997003841A1 (en) Cover for printed matter
KR20110061992A (ko) 스프링 제본용 커버
KR200393072Y1 (ko) 개량된 링 제본부재를 가진 다이어리
KR200484309Y1 (ko) 노트
JP3186183U (ja) 組立式クラフトケース展開構成体およびこれによって組立てられるクラフトケース
KR19990046272A (ko) 결속스프링이외부로노출되지않는다이어리노트의제조방법및그다이어리노트
KR20100065960A (ko) 책갈피 일체형 책 표지 제조방법
JP7320695B1 (ja) 栞及び栞付き収集帳
KR20240009236A (ko)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스프링 다이어리커버과 스프링 다이어리커버 만드는 방법
JP2695620B2 (ja) ファイル
KR200346929Y1 (ko) 중철 제본으로 제작된 책의 구조
KR20100091711A (ko) 다이어리 커버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5622503B2 (ja) 集冊ファイル用別冊、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表紙部及び集冊ファイル用別冊の綴じ込み方法
JP6919409B2 (ja) ファイル、及び、ファイルの製造方法
KR20090089115A (ko) 스프링 비노출형 다이어리 및 그 제조방법
CN206182548U (zh) 一种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