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7091B1 -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091B1
KR100747091B1 KR1020060072069A KR20060072069A KR100747091B1 KR 100747091 B1 KR100747091 B1 KR 100747091B1 KR 1020060072069 A KR1020060072069 A KR 1020060072069A KR 20060072069 A KR20060072069 A KR 20060072069A KR 100747091 B1 KR100747091 B1 KR 100747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cover
reinforcement
skin material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102006007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4Perforated or punch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16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claw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41/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books or filing appliances
    • B42P2241/20Protecting; Reinforcing; Preventing deform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61/00Manufacturing; Forming

Abstract

본 발명은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구조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로서, 속지 고정용 고정홀이 형성된 날개부를 구비한 내표지의 가장자리를 외표지의 가장자리와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되며, 속지 고정을 간이하게 이루어낼 수 있는 커버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속지의 커버와의 결속력을 충분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제품 사용시 사용자 또는 타인에게 안전사고를 발생하게 할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스프링 등의 고정부재가 제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편리성, 미관성, 촉감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사용시 제품의 펼쳐짐을 용이하게 사용편리성을 제공하며,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품 완성에 소요되는 소재 비용이나 제작시간을 줄임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 제본, 표지, 보강재, 스프링, 노트

Description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Cov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본구조체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외피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내피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내피재와 외피재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이용하여 제본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30...외표지 31...중앙접힘부보강재
32a, 32b...좌/우측 표지보강재
50...내표지 51...날개부보강재
53...제1누름선 54a, 54b...제누름선
본 발명은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내피의 연장부에 굴곡가능하며, 고정홀에 끼워진 고정부재, 예컨대 트윈코일 등을 끼워 결속시킴으로써, 속지의 보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커버구조체를 제공하되, 표지를 구성하는 외피재와 내피재 간의 접착 또는 점착 방식에 의해 간이하게 이중층의 고정을 이루게 할 수 있는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트, 다이어리, 수첩, 카렌다, 화일, CD케이스, 전화번호부, 명함첩 등은 하나 이상의 매수로 이루어지는 속지를 보호하기 위해 그 외측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구조체가 필요하며, 이러한 커버구조체와 속지의 결속을 이루는 방법은 종래에 잘 알려진 제본 방식을 따르거나, 속지의 일측부에 천공된 구멍을 통 해 끼워진 스프링 등의 고정부재를 커버구조체에 구비된 결속장비와 연결시키기거나 외측으로 결속스프링이 노출되도록 결합하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그런데, 하기 도 1에서와 같이, 스프링 등의 고정 부재가 외측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사용상 스프링이 외압에 의해 눌려지는 등의 변형이 초래되어, 책자 등의 사용이나 보관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점차로, 속지 고정용 스프링을 표지 내측에 비치시키는 방식에 대한 하기 도 2와 같은 형태로의 기술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본구조체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상기 제본구조체(10)는 속지(11)의 일측부에 천공된 구멍(14)과 커버(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5)에 결속링(16)이 끼워져 속지(11)와 커버(12)가 결속된다.
이와 같은 제본구조체(10)는 속지(11)가 커버(12)에 직접 결속되기 때문에 속지(11)와 커버(12)가 분리되거나 쉽게 유동되는 문제점은 없다. 그러나, 상기 제본구조체(10)는 결속링(16)이 커버(12) 외부로 노출되었기 때문에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치거나 결속링(16)이 파손될 염려가 있으며, 결속링(16)이 외부의 걸림 형태의 물건에 걸릴 경우 풀어질 수 있고, 휴대하는 경우 촉감이 좋지 않고, 특히 혐오감을 줄 정도로 미관상 좋지 않아서 고급제품으로 생산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 1 및 2에 나타낸 제본구조체가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결속링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형태로 결합된 제품의 외피를 외부에서 다시 감싸는 형태의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결속링을 속지의 구멍과 표지의 구멍 사이에 끼우는 작업이 수작업을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고, 속지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표지를 다시 부착하여야 하는 과정에서 수납된 속지가 손상될 수 있는 개연성이 존재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결속링을 속지에 일차 결합시킨 후, 속지의 좌우측 외측을 표지에 부착하거나,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표지와 결합시키는 방식을 채택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하지만, 이또한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책의 펼침시 완전한 펼침을 위해서는 책의 상면에서 상당한 외력을 가하여야 하며, 이때, 책등이 접혀지게 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접힘으로 인해 책의 좌우 표지와 책등의 경계부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종래의 제본품의 커버구조체는 완성품의 품질을 충분하게 확보시키지 못하는 단점과 그 제조 공정상의 여러 단점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기술적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시도가 관련업계에서 꾸준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그 결과로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속지와 좌/우 내피 간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사용시 사용자 및 타인이 다칠 염려가 적도록 스프링 등의 고정부재가 제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이로 인해 휴대의 편리성, 미관성, 촉감성을 개선함은 물론, 사용시 제품의 펼쳐짐을 용이하게 하며,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품 완성에 소요되는 소재 비용이나 제작시간을 줄임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구조체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전체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 및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의 전면 중심부와 정합되어 대접되며, 그 대접된 가장자리에서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이루어져 고정된 좌/우측 내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우/좌측 단부에 그 우/좌측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며, 상기 속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좌/우측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우/좌측 날개부를 구비하는 좌/우측 내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 내피재의 우측 날개부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 내피재의 좌측 날개부의 좌측단은 상기 외피재의 중심선을 경계로 분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의 우/좌측 날개부의 배면은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 전면과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대접된 전체 영역이 상호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재는, 고주파 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각각의 배면에 접착 또는 점착된 날개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속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인 스프링이 결착되어 매달리는 경우 날개부만으로 쳐짐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비되는 부재로서,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그 경계에 누름선이 더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구조체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 중심부를 감싸도록 대접되되, 그 가장자리를 통해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의 전면 가장자리가 소 정 폭만큼 노출되도록 대접된 판상형의 좌/우측 표지보강재; 및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전면을 감싸 대접되며, 그 가장자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가장자리와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되어 대접되는 좌/우측 내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우/좌측 단부에 그 우/좌측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며, 상기 속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좌/우측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우/좌측 날개부를 구비하는 좌/우측 내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 내피재의 우측 날개부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 내피재의 좌측 날개부의 좌측단은 상기 외피재의 중심선을 경계로 상호 분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의 우/좌측 날개부의 배면은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 전면과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피재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지,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배면은,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 재의 전면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배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각각의 배면에 접착 또는 점착된 날개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우/좌측을 확장시켜 구비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우/좌측 확장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름선을 더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와 완전분리된 상태로 구비되지만, 그 경계부가 밀착되거나 소정폭만큼 이격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그 경계에 누름선을 구비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는, 그 전면에 접착되어 대접되는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제본 제품이 완성된 경우, 그 중앙접힘부에서 라운드 형상이 잘 이루어지며, 꺽임에 대한 복원력이 상당한 재질인, PVC 원단,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지, 부직포, 천, 인조피혁지, 비닐, S1지, 자보루, 합지, 마니라지, 본디드싱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커버구조체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수의 속지를 갖는 제본품의 커버로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S1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 (S12)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의 보강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S13)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S14)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S15)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키는 단계; (S16)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S17)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의 다른 하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S2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 (S22) 그 테두리가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되는 좌/우측 표지보강재를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 상면에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키는 단계; (S23)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의 보강재를 부착시키는 단계; (S24)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S25)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S26)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표지보강재가 배치된 면과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키는 단계; (S27)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표지보강재에 의해 노출된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S28)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 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내피재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내피재 중심부에 접착 또는 점착되어 부착된 날개부보강재는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지,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배면은,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전면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배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는, 그 전면에 접착 또는 점착되어 대접되는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PVC 원단,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지, 부직포, 천, 인조피혁지, 비닐, S1지, 자보루, 합지, 마니라지, 본디드싱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구조체의 각 부재에 대한 명칭 및 그 재질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별도 정의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그 명칭이 다르게 표현된다 하더라도, 실제 구성상 동일한 부재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에 따른 재질과 구조로 이해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외피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외피재(30) 상면 중심부의 중앙접힘부(30c)에 띠형보강재인 중앙접힘부보강재(31)를 부착하고, 그 좌/우에 영역 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30a/30b)에 판상형의 좌/우측 표지보강재(32a, 32b)를 각각 대접시킨다. 이때, 중앙접힘부보강재(31)는 제본품 제조시 그 중앙선을 기준으로 꺾여 접거나 제본품의 사용시 접혀지는 경우 그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외형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는 소재이지만, 외피재(30) 자체로서 그러한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면, 이는 반드시 필요한 부재는 아니다. 다만, 이하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상기 외피재(30)의 띠형보강재인 중앙접힘부보강재(31)가 사용된 예를 기준하여 설명하지만, 상기 외피재(30)의 띠형보강재인 중앙접힘부보강재(31)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의 경우에도 대등하게 이해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좌/우측의 표지보강재(32a, 32b)가 외피재(30)의 좌/우측 외표지부(30a/30b)에 대접되면서 그 가장자리의 일정 폭의 테두리 영역은 노출될 수 있는 크기로서 준비하였 다. 향후, 상기 노출된 좌/우측 외표지부(30a/30b)의 가장자리는 그 상면에 부착되는 내피재와의 고주파 접착을 위한 영역으로 이용된다. 상기 외피재(30)는,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PVC 원단,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지, 부직포, 천, 인조피혁지, 비닐, S1지, 자보루, 합지, 마니라지, 본디드싱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지,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내피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내피재(50)의 일면의 좌/우 대칭선을 중심으로 하는 일정 폭에 걸쳐 띠형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51)를 부착시킨다. 제본품의 표지측에 구비되는 고정홀이 형성되는 날개부보강재(51)는 속지의 고정홀과의 고정부재, 예컨대 스프링 특히 트윈스프링의 체결시 속지의 지지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부재이며, 내피재(50) 만으로도 이러한 목적이 충분하게 달성될 수 있는 경우에는 별도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내피재(50)의 일면에 띠형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51)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된 내피재(50)를 뒤집은 상태로서, 도 7에 도시하였다. 즉, 띠형보강재인 날가부보강재(51)를 구 비한 후, 내피재(50)를 그 상면과 그 저면이 뒤집히도록 180°회전시킨 후, 상기 띠형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51)가 형성된 그 배면, 즉 도 7에서의 상면부에 3개의 누름선(53, 54a, 54b)를 형성하였다. 제1누름선(53)은 내피재(50)의 좌/우 대칭선을 따라 형성하였으며, 제2누름선(54a, 54b)은 상기 제1누름선(53)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일정폭 이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누름선(53)과 평행한 상태로 형성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제1누름선(53)은 추후 내피재(50)를 절반 접은 상태에서 고정홀을 형성하는 타공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 것이며, 제2누름선(54a, 54b)은 그 양측의 좌/우측 내표지부(50a/50b)로부터 중앙부를 분리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진행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1누름선(53) 및 제2누름선(54a, 54b)은 일정한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도무송이나 재단칼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완전히 절단된 상태는 아니지만, 접거나 분리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칼선 등의 형태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누름선(53) 및 제2누름선(54a, 54b)의 양단에는 W자 형의 누름선이나 칼선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제본 과정에서 제2누름선(54a, 54b)을 경계로 중심부 영역을 용이하게 분리해내기 위한 목적과 좌/우측 내표지부(50a/50b)의 좌/우측 날개부의 모서리 단부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다른 모양으로 임의 변형하여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W자 형의 모서리 단부는 그 형성 직후에 뜯어낼 수도 있으며, 공정 진행 과정에서 필요한 적절한 때에 뜯어내어 제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8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준비된 내피재(50)를 반으로 접 은 후, 좌/우 내표지부(50a/50b)의 우/좌측 날개부영역(57a57b)에 일자로 복수개의 속지 고정용 고정부재가 체결되는 고정홀(54)을 형성하였다. 상기 고정홀(54)은 내피재(50)를 반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하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제1누름선(53)을 경계로 좌우 대칭되게 한번의 공정으로 위치 및 크기가 정합된 상태로 형성된다. 상기 내피재(50)는, 제품 완성시 좌/우로 분리되며, 그 좌측은 좌측 내표지부(50a)와 그 우측 연장부로서 우측날개부(57a)를 구비하고, 그 우측은 우측 내표지부(50b)와 그 좌측 연장부로 좌측날개부(57b)를 구비하는 부재이며,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가능한 소재로서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내피재 중심부에 접착 또는 점착되어 부착된 띠형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51)는 내피재의 좌/우측 날개부의 배면에 부착되는 부재로서,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100)의 내피재(50)와 외피재(3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들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도 3 및 4에 따라 준비된 외피재(30)를 하측에 상기 도 5 내지 도 8에 따라 준비된 내피재(50)를 상측에 그 가장자리가 정합되도록 배치한 후, 그 대접된 가장자리와 상기 내피재의 좌/우측 내표지부(50a/50b)와 고정홀(54)이 형성된 우/좌측 날개부(57a/57b)의 경계부를 따라 고주파를 가하여 외피재(30) 상면에 내피재(50)가 고정 접착되도록 한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내피재(50) 중심부의 띠형보강재(51) 가 형성된 면과 외피재 좌/우 면상에 부착된 좌/우측 표지보강재(32a/32b) 및 그 중심부의 띠형보강재인 중앙접힘부보강재(31)가 부착된 면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였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누름선(54a/54b)을 경계로 내피재(50)로부터 그 중심부를 뜯어내면 하기 도 11와 같은 커버구조체가 완성된다.
도 12는 도 11의 A-A'에 따른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측의 좌측 외피재와 상측의 내피재는 그 좌측단 가장자리 및 좌측 내표지부(50a)와 우측 날개부(57a)의 경계부에서 상호 접촉되며, 전술한 바에 따른 고주파 접착이 이루어져 접착층(70a, 70b)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층(70a, 70b)의 형성은 고주파를 가하여 이루어지게 하면 공정의 효율성과 그 접착 고정력의 향상 등에 유리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는 종래에 알려진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의 접착층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접착층이 형성된 영역의 상하면의 접착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박음질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표지 좌측의 단면구조는 우측 표지에서도 대칭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자명하다. 이미 전술한 바 있지만, 내피재 좌측 내표지부(50a)의 우측 연장부인 우측날개부(57b) 저면에 부착되며 고정홀(54)이 형성된 날개부보강재(51) 및 외표지의 중앙접힘부(30c) 상면에 부착된 중앙접힘부보강재(31)는 필요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구비되거나, 이들 두 부재 모두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도 제본품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다면, 공정 간이성을 위해 변형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변형의 경우에 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이용하여 제본품을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에 따라 준비된 본 발명에 따르는 커버구조체(100)의 내표지 좌/우 양측의 날개부에 형성된 고정홀(도 11의 54)과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제본용 속지(58)의 일측단에 형성된 고정홀(59)을 스프링과 같은 고정부재(60)를 이용하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제본품이 제조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따라 진행하면 바람직하다.
(S1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한다. 한편, 상기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앙접힘부 전면에 제본품 사용시 접히거나, 제본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접혀지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물성보강용 띠형 보강재로서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부착시키는 단계(S11a)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그 부가적인 부착의 목적을 고려하여 외피재 자체로서도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함은 자명하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중앙접힘부보강재가 더 구 비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12)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의 보강재를 부착시킨다. 상기 내표지 중심부에 부착되는 띠형의 보강재는 내표지의 좌/우측 날개부의 물성을 보강하기 위한 날개부보강재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이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서도 제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이러한 날개부보강재는 속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나 외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이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날개부보강재가 더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13)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1누름선과 제2누름선은 제조 공정 진행 중에 내피재를 접거나 절단하여 제거하는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누름선은 도무송이나 재단칼 등을 이용하는 등 종래에 알려진 어려 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S14)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한다. 그 배면 중심부에 띠형 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가 접착 또는 점착되어 부착된 내피재를 상기 제1누름선을 대칭선으로 하여 반으로 접은 후, 종래에 알려져 있는 타공기(또는 천공기)에 탑재시킨 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고정홀 형성 단계는 제본품의 속지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은 간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의 고정홀 형성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위치의 정합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상품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이다.
(S15)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보강재(향후 날개부보강재로 변형됨)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킨다. 이때, 내피재와 외피재의 위치 정합 및 이후 공정시 정합된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 또는 점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S16)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킨다.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내피재를 상기 (S11)단계에서 준비된 외피재 전면에 위치 정합되도록 올려놓은 후, 내피재의 좌/우측 내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주파를 가하여 내피재와 외피재가 접착되도록 한다. 이때, 가장자리 이외의 다른 영역에 대해서도 고주파를 가하여 그 접착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별도의 점착제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그 접착 고정을 강화시킬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마지막으로, (S17)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일실시예가 완성된다. 상기 내피재와 외피재의 가장자리가 고주파 접착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지만, 이들 두 층간의 중심부에서는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미리 형성해놓은 제2누름선을 따라 외력을 가하여 중심부의 영역을 뜯어내면, 내피재는 좌/우측 내표지부로 각각 좌/우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외피재와 접착 고정된 영역은 좌/우측 내표지부를 이루게 되고, 상기 외피재와는 분리되면서 좌측 내표지부의 우측단부에 연결된 우측 날개부를 이루며, 우측 내표지부의 좌측단부에 연결된 좌측 날개부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우/좌측 날개부에는 속지 고정홀과 고정부재, 예컨대 트윈스프링에 의해 연결되는 좌/우측 고정홀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중앙접힘부는 그 좌우측에 위치한 외표지와 내표지의 접착경계부를 축으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접게 되면 자연스럽게 라운드 형상이 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차후 제본품의 책등(일명 '세네카'라고도 함)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책등(세네카)은 속지 고정부재인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책을 펼쳤을 때나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책의 원형을 유지케하고, 외부 변형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의 사용시 안전사고나 스프링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존케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속지에 천공된 구멍과 내피재의 좌우 띠형보강재에 형성된 고정홀에 동시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인 트윈링과 같은 결속링을 결합하여 제본품을 제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흐름도이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하는 다른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 하면 바람직하다. 하기에서 사용되는 각 부재의 재질은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S2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한다. 한편, 상기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에서, 상기 중앙접힘부 전면에 제본품 사용시 접히거나, 제본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접혀지는 경우, 탄성 복원력을 갖도록 하기 위한 물성보강용 띠형 보강재로서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부착시키는 단계(S11a)를 진행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그 부가적인 부착의 목적을 고려하여 외피재 자체로서도 전술한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는 경우에는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함은 자명하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중앙접힘부보강재가 더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2) 그 테두리가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되는 좌/우측 표지보강재를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 상면에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킨다.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좌우 대칭되며,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에 접착 또는 점착되지 않은 상태로 그 상면에 올려져 있을 수도 있으며, 고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에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하기 설명되는 내표지의 날개부보강재가 부착되는 그 배면 상에 부착되는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S23)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의 보강재를 부착시킨다. 상기 내표지 중심부에 접착 또는 점착되어 부착되는 띠형의 보강재는 내표지의 좌/우측 날개부의 물성을 보강하기 위한 날개부보강재로 이용되며, 이는 필요에 따라서 구비되지 않은 상태로 제본품이 제조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이러한 날개부보강재는 속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나 외력에 대한 충분한 내력이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가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용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날개부보강재가 더 구비된 형태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S24)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1누름선과 제2누름선은 제조 공정 진행 중에 내피재를 접거나 절단하여 제거하는 편리성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누름선은 도무송이나 재단칼 등을 이용하는 등 종래에 알려진 어려 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S25)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한다. 그 배면 중심부에 띠형 보강재인 날개부보강재가 부착된 내피재를 상기 제1누름선을 대칭선으로 하여 반으로 접은 후, 종래에 알려져 있는 타공기(또는 천공기)에 탑재시킨 후, 하나 이상의 고정홀을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시킨다. 이러한 고정 홀 형성 단계는 제본품의 속지가 결합되기 이전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은 간이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좌측과 우측의 고정홀 형성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위치의 정합도 정밀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상품성과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계이다.
(S26)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표지보강재가 배치된 면과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킨다. 이때, 내피재와 외피재의 위치 정합 및 이후 공정시 정합된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 상면과 내피재의 배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접착 또는 점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S27)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표지보강재에 의해 노출된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킨다. 상기 고정홀이 형성된 내피재를 상기 (S21)단계에서 준비된 외피재 전면에 위치 정합되도록 올려놓은 후, 내피재의 좌/우측 내표지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주파를 가하여 내피재와 외피재의 대접된 가장자리가 서로 접착 고정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S28)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이 제공하는 바에 따른 커버구조체의 다른 실시예가 완성된다. 상기 내피재와 외피재의 가장자리가 고주파 접착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지만, 이들 두 층간의 중심부에서는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므 로, 상기 (S25)단계에서 미리 형성해놓은 제2누름선을 따라 외력을 가하여 중심부의 영역을 뜯어내면, 내피재는 좌/우로 분리된다. 이때, 상기 외피재와 접착 고정된 영역은 좌/우측 내표지부를 이루게 되며, 그 우/좌측단 영역은 상기 외피재와는 분리되어 있으며 각각의 좌/우측 내표지부와 일체로 연결된 우/좌측 날개부를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우/좌측 날개부에는 속지의 고정홀과 고정부재, 예컨대 트윈스프링이 체결되는 좌/우측 고정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중앙접힘부는 그 좌/우측의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의 접착 부위를 경계로 우측 또는 좌측으로 접게 되면 자연스럽게 라운드 형상이 발현될 수 있으며, 이는 차후 제본품의 책등(세네카)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책등(세네카)은 속지 고정부재인 스프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며, 책을 펼쳤을 때나 접어서 보관하는 경우, 책의 원형을 유지케하고, 외부 변형력을 감소시키며, 사용자의 사용시 안전사고나 스프링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품질을 보존케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후,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속지에 천공된 구멍과 내피재의 좌우 띠형보강재에 형성된 고정홀에 동시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인 트윈링과 같은 결속링을 결합하여 제본품을 제조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에는 개시된 바 없는 새롭고 기술적으로 진일보한 기술이며, 그로 인해 발생되는 발명적 효과는 종래에 비해 현저하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 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속지의 커버와의 결속력을 충분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둘째 제품 사용시 사용자 또는 타인에게 안전사고를 발생하게 할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스프링 등의 고정부재가 제품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휴대편리성, 미관, 촉감 등에서 개선된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으며, 넷째 사용시 제품의 펼쳐짐을 용이하게 사용편리성을 제공하며, 다섯째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제조공정의 간소화 및 제품 완성에 소요되는 소재 비용이나 제작시간을 줄임으로써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커버구조체를 이층 또는 3층의 복층 구조로 제작함에 있어서, 이들 층간 접착을 고주파 등을 가하여 간이하게 접착 또는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량생산공정에 적용하기 용이하고, 커버구조체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용 날개부가 커버구조체와 일체를 이룸으로써 추가적인 다른 소재, 예컨대 철제 고정구 등을 구비할 필요도 없는 제품 구성의 간이성과 제품의 외관의 미려성에서 수요자의 구매의욕을 자극할 수 있게 되어, 관련업계의 발전에 지대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이 자명하다.

Claims (21)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전체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 및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의 전면 중심부와 정합되어 대접되며, 그 대접된 가장자리에서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이 이루어져 고정된 좌/우측 내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우/좌측 단부에 그 우/좌측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며, 상기 속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좌/우측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우/좌측 날개부를 구비하는 좌/우측 내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좌측 내피재의 우측 날개부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 내피재의 좌측 날개부의 좌측단은 상기 외피재의 중심선을 경계로 분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의 우/좌측 날개부의 배면은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 전면과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대접된 전체 영 역이 상호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그 경계에 누름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각각의 배면에 접착 또는 점착된 날개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 중심부를 감싸도록 대접되되, 그 가장자리를 통해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의 전면 가장자리가 소정 폭만큼 노출되도록 대접된 판상형의 좌/우측 표지보강재; 및
    그 배면 중심부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전면을 감싸 대접되며, 그 가장자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에 의해 노출된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가장자리와 고주파접착 또는 초음파접착되어 대접되는 좌/우측 내표지부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우/좌측 단부에 그 우/좌측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되며, 상기 속지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가 통과하는 하나 이상의 좌/우측 고정홀이 각각 형성된 우/좌측 날개부를 구비하는 좌/우측 내피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 내피재의 우측 날개부의 우측단과 상기 우측 내피재의 좌측 날개부의 좌측단은 상기 외피재의 중심선을 경계로 상호 분리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의 우/좌측 날개부의 배면은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 전면과 분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지,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좌/우측 내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배면은,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전면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배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그 각각의 배면에 접착 또는 점착된 날개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DS지, 폴리프로필렌 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우/좌측을 확장시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우/좌측 확장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형성된 누름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보강재는,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와 완전분리된 상태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3. 제6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내피재에 구비된 우/좌측 날개부는,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그 경계에 누름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4. 제6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는, 그 전면에 접착되어 대접되는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PVC 원단,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지, 부직포, 천, 인조피혁지, 비닐, S1지, 자보루, 합지, 마니라지, 본디드싱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5. 제1항, 제2항 및 제6항 내지 제8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한에 있어서,
    상기 커버구조체는, 그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매수의 속지를 갖는 제본품의 커버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16.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S1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
    (S12)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의 보강재를 접착 또는 점착되도록 부착시키는 단계;
    (S13)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S14)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S15)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하는 단계;
    (S16)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S17)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17.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수를 갖는 속지를 수납 고정시키면서 그 외측을 감싸 보호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에 있어서,
    (S21) 상기 수납 고정되는 속지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약간 정도 큰 수치의 폭을 갖는 중앙접힘부와, 상기 중앙접힘부의 양측 경계선을 중심으로 굴곡 가능하도록 좌우 영역구분된 좌/우측 외표지부로 이루어진 외피재를 준비하는 단계;
    (S22) 그 테두리가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 내측에 위치 되는 좌/우측 표지보강재를 상기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 상면에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키는 단계;
    (S23) 상기 외피재의 전면에 정합되는 크기를 갖는 내표지의 중심부에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힙부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띠형보강재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부착시키는 단계;
    (S24) 상기 띠형의 보강재가 접착된 면을 배면으로 하고, 그 전면의 좌/우 중심선을 따른 제1누름선과, 상기 중심선을 따르는 누름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제2누름선을 각각 형성하는 단계;
    (S25) 상기 좌/우 중심선 영역에 형성된 제1누름선을 중심으로 내피재를 접은 후, 상기 제2누름선과 상기 띠형 보강재의 좌/우 측단 사이에 고정홀을 형성하는 단계;
    (S26)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접착된 면이 상기 외피재의 표지보강재가 배치된 면과 대접되도록 하고,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와 상기 내피재의 띠형 보강재가 상호 정합되도록 대접 배치시키는 단계;
    (S27) 상기 내피재의 전면에서 고주파를 가하여 상기 외피재와 내피재를 상호 고정시키되, 상기 표지보강재에 의해 노출된 외피재의 좌/우측 외표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접된 내피재를 접착시키는 단계; 및
    (S28) 상기 내피재로부터 상기 제1누름선 좌/우 양측의 제2누름선 내측부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내피재는, 폴리염화비닐지(PVC), 폴리비닐지, 비닐지, DS지, 시트지, 누박지, 폴리프로필렌(PP)지, 폴리에스테르지, 부직포 및 열가소성소재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며,
    상기 내피재 중심부의 부착되어 날개부보강재로 이용되는 띠형보강재는, DS지, 폴리프로필렌지, 폴리에스테르지, 합지, 종이, 시트지, 비닐,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는, 합지, 이형지, 크라프트라이너보드, 플라스틱, 세라믹파우더페이퍼, 폴리프로필렌, 원단, 텍션지, 본디드, 천, 폴리에틸렌 및 비닐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배면은, 상기 좌/우측 외표지부 전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도록 하며, 상기 좌/우측 표지보강재의 전면은 상기 좌/우측 내표지부의 배면과 접착 또는 점착된 상태로 대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21.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의 중앙접힘부는, 그 전면에 접착 또는 점착되어 대접되는 중앙접힘부보강재를 더 구비하되, 상기 중앙접힘부보강재는 PVC 원단, 압축스폰지, 전가성가교지, 부직포, 천, 인조피혁지, 비닐, S1지, 자보루, 합지, 마니라지, 본디드싱 및 텍션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구조체 제조방법.
KR1020060072069A 2006-07-31 2006-07-31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069A KR100747091B1 (ko) 2006-07-31 2006-07-31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069A KR100747091B1 (ko) 2006-07-31 2006-07-31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7091B1 true KR100747091B1 (ko) 2007-08-09

Family

ID=38602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069A KR100747091B1 (ko) 2006-07-31 2006-07-31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0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40B1 (ko) * 2008-10-01 2011-07-05 손광훈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119696B1 (ko) 2009-11-27 2012-03-16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스프링 제본용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669A (ja) * 1995-10-05 1997-04-15 Toppan Printing Co Ltd リング綴じ本
KR20000004575U (ko) * 1998-08-11 2000-03-06 김경민 바인더용 속지
KR200410625Y1 (ko) 2005-12-09 2006-03-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669A (ja) * 1995-10-05 1997-04-15 Toppan Printing Co Ltd リング綴じ本
KR20000004575U (ko) * 1998-08-11 2000-03-06 김경민 바인더용 속지
KR200410625Y1 (ko) 2005-12-09 2006-03-09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640B1 (ko) * 2008-10-01 2011-07-05 손광훈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101119696B1 (ko) 2009-11-27 2012-03-16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스프링 제본용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4218A (en) Bookbinding
EP2308774A1 (en) Package body
KR101753746B1 (ko) 다이어리와 그 유사제품에 사용되는 커버체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커버체
KR100747091B1 (ko)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5856057B2 (ja) 装丁方法
KR100893927B1 (ko) 책 표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본방법
CN104245344B (zh) 封盖、联接元件和文件夹
JP3432518B2 (ja) カバーと印刷物
KR101046640B1 (ko) 다이어리 커버체의 제조방법 및 그 물품
JP3902701B2 (ja) 背に柔軟材を用いた本、それに用いる表紙材及び製本方法
JP2009029100A (ja) 書類ホルダー
KR100797008B1 (ko) 제본용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JP5280103B2 (ja) マチ付き袋状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43850B1 (ko) 커버구조체,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H0215663Y2 (ko)
KR200431603Y1 (ko) 수납부를 구비한 제본용 커버 구조체
KR102244794B1 (ko) 재봉선이 노출되지 않는 지갑 제작방법 및 그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지갑
KR200410625Y1 (ko)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JP3093185U (ja) クロスカバー体
JP3165087U (ja) 紙袋
KR20100022190A (ko) 수납부를 구비한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090B1 (ko) 수납부를 구비한 제본용 커버 구조체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제본 방법
KR20100026008A (ko) 책 커버 및 그 제조방법
JP3099848U (ja) 年金書類収納体
JP3389505B2 (ja) 収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