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610Y1 - 쿠션 표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쿠션 표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610Y1
KR200387610Y1 KR20-2005-0009454U KR20050009454U KR200387610Y1 KR 200387610 Y1 KR200387610 Y1 KR 200387610Y1 KR 20050009454 U KR20050009454 U KR 20050009454U KR 200387610 Y1 KR200387610 Y1 KR 200387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synthetic resin
foam
layer
reinfor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4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Priority to KR20-2005-00094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6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2Book covers made of specia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4Book covers loos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쿠션 표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는, 평탄형 보강재; 및 상기 평탄형 보강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평탄형 보강재 일면 상부에 접착되는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더하여 외피로 감싸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그 가공의 용이성과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의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국부적인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자체 탄력성에 의해 원형 복원성이 우수하게 발현되어 그 외관상의 미감을 개선하며, 제조공정을 수동으로 진행하는 것은 물론 자동화된 공정 진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쿠션 표지 구조체{Cover structure with cushion}
본 고안은 쿠션 표지 구조체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탄형 보강재의 일면에 소정의 발포체층을 접착시키고, 이를 외피로 감싸면서 접착시킴으로써, 쿠션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는 쿠션 표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문서 보관용 파일에는 수 내지 수십매의 속지가 구비되고, 이들 속지를 보호하고 미관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표지나 챙표지가 그 외측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문서 보관용 파일의 경우에는 그 고급성을 강화하기 위한 측면에서 고급스러운 소재, 예컨대 가죽 소재나 직물 소재 등을 이용하여 별도의 보강재 등을 감싸면서 평탄한 표지 상태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 고급화를 위한 일측면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이 외표지에 쿠션 기능을 두는 것이 제안되고 실용화에 이르렀다. 그런데,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스폰지를 보강재상에 접착시킨 후, 스폰지 외편에 별도 내지를 부착한 후, 외표지로 활용되는 고급 소재를 접착시킨 상태로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스폰지의 경우에는 경량화 및 소정 압력이 가해지고 그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려고 하는 탄성이 있는 점에서는 쿠션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소재로서의 적합성은 있으나, 절단 가공 및 접착제를 바르게 되면 수축현상이 발생하거나, 스폰지 내의 통기공을 통해 접착제가 상하면으로 불규칙하게 관류되면서 스폰지가 피착제에 군데 군데 눌러 붙게 되면 외표면에 균일한 평탄면이 확보되지 않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소폰지 소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외표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물결 모양이 형성되며, 원래의 평탄한 모양으로 복원되지 않아 제품의 불량이 초래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한편, 스폰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끝단을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소재에 따라 고주파처리를 이용한 절단을 행하거나 부가적으로 재봉을 하는 방법으로 단부의 불균일성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이 더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고주파처리를 이용한 절단 작업을 행하게 되면 그 절단부위가 날카롭게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가 제품 사용시 베이는 등의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게 됨은 물론 사용 중에 끝단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꺽이거나 함몰상태가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부가적인 재봉을 행하는 방법은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함으로 인하여 제품 제조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재봉을 하는 경우에는 재봉시의 바늘구멍을 통해 스폰지가 노출됨으로써 제품의 외관이 불량하게 형성되는 단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재와 스폰지를 적층한 후, 스폰지의 외면에 다시 보강재를 적층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공정이 복잡하며, 사용되는 소재가 추가됨으로 인해, 제조비용이 증가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의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고안이 안출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쿠션 부재로 사용되어 온 스폰지재를 풀과 같은 접착제나 공기가 관통되기 어려운 기밀성을 갖는 압출발포시킨 합성수지 발포체로 대체함으로써, 그 가공의 용이성과 이로부터 제조된 제품의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의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며, 그 외관상의 미감과 제조비용을 저감시키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쿠션 표지 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쿠션 표지 구조체는 평탄형 보강재; 및 상기 평탄형 보강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평탄형 보강재 일면 상부에 접착되는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평탄형 보강재는 두꺼운 종이, 합지, 골판지, MDF 목재, 필름류,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합성수지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면 바람직하고,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는 폴리에틸렌폼, 아크릴폼, 부직포펠트쿠션,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스티렌폼, 전자선가교방식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폼 및 폴리우레탄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것이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 상면에 접착된 외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외피 상면에 박층의 비닐층을 부착한 후, 상기 박층의 비닐층 상면에 접착제가 발라져,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 상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면 바람직하고, 외피의 재질은 천, 천연가죽, 비닐소재, 지레자 및 인조가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외피는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의 일면 전부와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과 평탄형 보강재의 적층구조의 노출된 측면부를 완전히 감싸면서 접혀져 상기 보강재의 이면에 부착 고정되는 여유부가 구비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며, 상기 외피가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과 평탄형 보강재의 적층구조의 노출된 측면부를 감싸면서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100)를 나타낸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100)는 제1접착층(11)을 사이에 두고, 상기 평탄형 보강재층(10)과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이 접착되어 있으며, 중앙에 접힘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접힘부(24)를 경계로 양측부가 각각 상기 평탄형 보강재(10)와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또는 상기 평탄형 보강재(10)를 감쌀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외피(20) 및 상기 접힘부(24)를 경계로 상기 평탄형 보강재(10)의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과 마주보는 상기 외피(20)의 일면 상부에 제2접착층(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쿠션 표지 구조체(100)의 단면을 도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평탄형 보강재(10), 제1접착층(11),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 제2접착층(13) 및 외피(20)로 순차로 적층된 5층 구조를 갖는다. 다만, 제1접착층(11) 및 제2접착층(13)은 이들에 면하는 인접 층상에 대부분 흡착되는 이유로 실제 도면에서와 같이 비례적인 두께를 갖지는 않으며 도면에서는 적층구조의 이해를 위해 다소 과장되게 표현하였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쿠션 표지 구조체는 중앙의 접힘부(24)에 의해 좌/우 양측으로 구분됨이 없이 하나의 동일한 단일면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은 내부의 기공이 존재하여, 그 부피대비 경량화를 이룰 수 있으며, 발포체가 갖는 고유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원래의 평탄한 형태로 쉽게 복원되므로, 제품의 외관 형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품의 경량화라는 점에서는 종래의 스폰지를 사용하는 제품이 존재하고 있으나, 이는 통기공이 그 내부를 관통하므로, 상면 또는 하면에 접착제가 발라지는 경우, 통기공을 통해 접착제가 관류되어 스폰지가 국부적으로 눌려진 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 외관이 전체적으로 평탄하게 확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바, 이러한 기술적 한계를 본 고안이 해결하였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으며, 제품 가공성 및 끝단 마무리 가공성에서도 종래의 제품과는 각별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상기 평탄형 보강재(10)는 두꺼운 종이나 합지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골판지, MDF 목재판, 플렉서블(flexible)한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필름류, 또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제조된 판상체이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적절한 재질 및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평탄형 보강재(10)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형상으로 제작되어 각진 모서리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서리가 쉽게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은 평탄형 보강재(10)의 소정 일면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기공이 존재하기는 하지만, 풀과 같은 접착제나 공기가 층상의 상하로 내부 관통이 쉽게 일어나지 않을 정도의 기밀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폼, 아크릴폼, 부직포펠트쿠션,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스티렌폼, 전자선가교방식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폼 및 폴리우레탄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체를 이용하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은 제2접착층(13)이 평탄형 보강재(1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제2접착층(13)은 평탄형 보강재(10)와 직접 맞닿는 것이 아니라 평탄형 보강재(10)의 소정 일면 상부에 형성된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과 맞닿게 된다. 상기 접힘부(24)를 경계로 양측부가 각각 상기 평탄형 보강재(10)와 동일한 크기를 갖거나 또는 상기 평탄형 보강재(10)를 감쌀 수 있는 여유부(26)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외피(20)는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평탄형 보강재(10)의 외측을 완전히 감싸는 다양한 형상이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 모양을 갖도록 하였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날개형 표지 구조를 갖는 경우에는 양측의 두개의 평탄형 보강재(10)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평탄형 보강재(10)보다 상·하단 및 양측단으로 5~10㎜ 정도 더 큰 여유부(26)를 갖는 형태로 제작된다.
한편, 외피(20)와 그 상면의 제2접착층(13) 사이에 T 다이와 같은 얇은 박층의 비닐층을 개재시키면, 외피(20)의 평탄한 외면의 유지 및 복원력이 한층 증대될 수 있어 외력이 가해진다 하여도 주름이 발생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외피(2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종이, 천, 일반섬유, 비닐섬유, 지레자 등으로 제조되며, 더 바람직하게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을 포함하는 양장으로 제조된다. 상기 양장으로 외피(20)를 제조하는 경우, 외피(20)의 질감이 상당히 우수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쿠션 기능이 충실하게 구현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평탄형 보강재(10)의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과 마주보는 상기 외피(20)의 일면 상부에는 전술했듯이 제2접착층(13)이 도포되어 있으며, 상기 제2접착층(13)에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이 접착되고, 상기 외피(2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여유부(26)가 평탄형 보강재(10)의 테두리를 따라 안쪽으로 접혀져서 평탄형 보강재(10)의 이면에 접착된다. 외피(20)의 중앙부에는 책, 노트 등과 같은 속지 등이 위치할 수 있도록 소정간격의 접힘부(24)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2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상기 쿠션형 표지 구조체(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적층구조를 갖되, 최상부에 내피(3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즉, 최하부로부터 최상부로 향하면서, 외피(50), 제2접착층(미도시),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미도시), 평탄형 보강재층(40), 제1접착층(미도시) 및 내피(30)로 구성된 6층 구조를 갖는다. 상기 평탄형 보강재층(40)의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미도시)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면 상부에 내피(30)를 더 부착함으로써 상기 커버(200)를 펼치는 경우에 평탄형 보강재층(40) 및 외피(50)의 가장자리 부분이 보이지 않게 하여 시각적으로 보다 깔끔하고 고급스러워 보이는 커버(200)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내피(3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종이나 일반섬유 등으로 제조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내피(30)와 평탄형 보강재(40) 사이에는 간지가 더 삽입되는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간지는 내피(30)와 평탄형 보강재(40)가 직접 접촉하는 면적에 대응하는 크기로 제조되어, 내피(30)가 간지 및 외피(50) 위로 접착되는 경우에 외피(20)의 테두리에 의해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더 바람직하게 간지는 종이 등으로 제조되어 내피(30)와의 접착력을 높여준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가진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100, 200)를 사용하는 경우, 외피(20, 50)의 상면에 평탄형 보강재(10, 40)를 구비하여 외피(20, 50)와 함께 표지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표지 외측에서 표지 상면에 가해지는 국부적인 소정의 압력이 제거되었을 때,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이 갖는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평탄한 표면으로 손쉽게 복원됨으로써, 보관, 운반, 사용 중에 발생될 수 있는 불측의 외력에 의해서도 미려한 미관을 유지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12)이 갖는 탄력성에 의해 각 끝단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종래의 각진 형상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 및 모서리의 파손 및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 구조체(200)에 따르면, 상기 평탄형 보강재(10)의 내측면에 내피(3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커버(200)를 펼치는 경우에 평탄형 보강재(40) 및 외피(50)의 가장자리 부분이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보다 깔끔하고 고급스러워 보이는 커버(20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평탄형 보강재에 접착된 발포체층은 내부 기공은 존재하여 그 부피에 비하여 경량이 구현됨과 동시에, 발포체층의 층간 기밀성이 존재하여, 평탄형 보강재와의 접착 및 외피와의 접착 과정에서 접착제가 다른 이면으로 관통되지 않으므로, 접착제가 상하로 흘러들게 됨으로써 발생되는 발포체가 피접착면에 눌러 붙거나 단부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둘째, 표지의 측면 모서리에서 외피가 감싸지면서, 일정한 힘이 부여되면서 발포체층이 눌리면서 자연스럽게 끝단에 라운드가 형성되어 부드러운 단부가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고주파처리에 의해 발생되는 날카로운 단부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상처를 유발시키는 등의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각적으로도 수요자의 구매 의욕을 자극시킬 수 있는 미관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국부적인 외력에 대한 탄력성이 존재하여, 원형복원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종래의 제품에서는 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스폰지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여 제조 설비의 자동화에 어려움이 있었는데,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경제성은 작업성 및 가공성이 월등하게 개선되어, 수동 생산은 물론 자동생산까지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을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일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쿠션 표지 구조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평탄형 보강재층 12...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
20...외피 11...제1접착층
13...제2접착층 30...내피
100, 200...쿠션 표지 구조체

Claims (9)

  1. 평탄형 보강재; 및
    상기 평탄형 보강재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평탄형 보강재 일면 상부에 접착되는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표지 구조체는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 상면에 접착된 외피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상면에 박층의 비닐층을 부착한 후, 상기 박층의 비닐층 상면에 접착제가 발라져,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 상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천, 천연가죽, 비닐소재, 지레자 및 인조가죽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형 보강재는 두꺼운 종이, 합지, 골판지, MDF 목재, 필름류,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및 합성수지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는 폴리에틸렌폼, 아크릴폼, 부직포펠트쿠션, 폴리프로필렌폼, 폴리스티렌폼, 전자선가교방식으로 제조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폼 및 폴리우레탄폼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발포체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 표지 구조체는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이 외피에 의해 노출된 영역을 완전하게 감싸는 내피가 더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8. 제2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의 일면 전부와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과 평탄형 보강재의 적층구조의 노출된 측면부를 완전히 감싸면서 접혀져 상기 보강재의 이면에 부착 고정되는 여유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가 상기 평탄형 합성수지 발포체층과 평탄형 보강재의 적층구조의 노출된 측면부를 감싸면서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쿠션 표지 구조체.
KR20-2005-0009454U 2005-03-25 2005-04-07 쿠션 표지 구조체 KR200387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454U KR200387610Y1 (ko) 2005-03-25 2005-04-07 쿠션 표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8196 2005-03-25
KR20-2005-0009454U KR200387610Y1 (ko) 2005-03-25 2005-04-07 쿠션 표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610Y1 true KR200387610Y1 (ko) 2005-06-20

Family

ID=4368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454U KR200387610Y1 (ko) 2005-03-25 2005-04-07 쿠션 표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610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944B1 (ko) 2006-09-05 2007-07-23 지인구 앨범용 표지 및 그 제작방법
KR100764021B1 (ko) * 2006-05-10 2007-10-09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파일 표지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797008B1 (ko) 2006-09-05 2008-01-22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제본용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896B1 (ko) 2009-09-04 2011-05-25 정은권 안전 표시용 폼 테이프
KR101375689B1 (ko) * 2012-06-14 2014-03-19 우혜정 노트 및 책 표지
KR102137100B1 (ko) * 2019-06-27 2020-07-23 (주) 소노마엠지 베루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및 다이어리 커버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21B1 (ko) * 2006-05-10 2007-10-09 주식회사 대화 정밀화학 파일 표지용 시트,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741944B1 (ko) 2006-09-05 2007-07-23 지인구 앨범용 표지 및 그 제작방법
KR100797008B1 (ko) 2006-09-05 2008-01-22 주식회사 세일콜렉션 제본용 커버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036896B1 (ko) 2009-09-04 2011-05-25 정은권 안전 표시용 폼 테이프
KR101375689B1 (ko) * 2012-06-14 2014-03-19 우혜정 노트 및 책 표지
KR102137100B1 (ko) * 2019-06-27 2020-07-23 (주) 소노마엠지 베루를 구비한 다이어리 커버 및 다이어리 커버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7610Y1 (ko) 쿠션 표지 구조체
JP2022501086A (ja) ティ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93927B1 (ko) 책 표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제본방법
US8679612B2 (en) Craft fabric
KR100850302B1 (ko) 장식패널 제작방법
US20050102786A1 (en) Lotion applicator
JP2012149434A (ja) 床材
CN206938322U (zh) 新型儿童用画框
KR100936717B1 (ko) 목재를 사용하는 가방의 제조방법
CN211365590U (zh) 一种新型孔膜包装材料
JP2002199921A (ja)
KR102193308B1 (ko) 화장품 용기용 명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10625Y1 (ko) 커버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제본구조체
WO2022168923A1 (ja) 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および当該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の製造方法
KR102079560B1 (ko) 형압을 이용한 다이어리 커버 제조방법
CN203126040U (zh) 隔音汽车备胎盖板材料
CA27655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upholstered furniture using reinforced board such as corrugated board
KR101382139B1 (ko) 투명 창을 구비한 셋업 박스 및 그 제조 방법
JPH06255288A (ja) 刺繍体
JP3178249U (ja) ランドセル用蓋板
KR100887727B1 (ko) 표지 제작 방법
JPS6237442Y2 (ko)
CN204740963U (zh) 一种开关装饰贴
JP2019097955A (ja) スリッパの底部材となる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スリッパ
JP2003334104A (ja) 靴の中敷シート、及び、脱臭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