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1092Y1 -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1092Y1
KR200411092Y1 KR2020050034021U KR20050034021U KR200411092Y1 KR 200411092 Y1 KR200411092 Y1 KR 200411092Y1 KR 2020050034021 U KR2020050034021 U KR 2020050034021U KR 20050034021 U KR20050034021 U KR 20050034021U KR 200411092 Y1 KR200411092 Y1 KR 2004110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
display device
vehicle
direction display
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40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욱
Original Assignee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40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10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1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1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5Indicating devices for tow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45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서 일시적인 교통통제나 공사구간 등에서 차량 유도가 필요할 때 그 필요한 장소에 이동하여 점광표시를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방향 표시장치를 구성시 그 방향 표시장치를 이루는 2단 싸인보드 중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보드가 슬라이드 타입으로 상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후 이를 견인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트레일러에 장착 구성하거나, 또는 방향 표시장치를 트럭과 같은 차량에 직접 탑재할 경우 그 차량내의 적재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적개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단 싸인보드를 나란하게 배열시키면서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싸인카, 방향 표시장치, 보드, 트레일러, 트럭, 승강실린더, 승강로드

Description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A indicating apparatus of sign-car for the direc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바닥판을 포함하는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제1보드를 하강시킨 상태의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가 트레일러에 설치된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를 트럭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5의 결합 측면도.
도 8은 상하승강보조수단의 다른 실시예시도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상하승강보조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시도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2; 제1 및 제2보드 21; 상측 고정부
22; 하측 고정부 23; 레일봉
24; 승강 로드 25; 승강실린더
26; 승하강안내프레임 30; 안내레일
40; 구름바퀴 50,60; ㄱ자형 브라켓
51; 레일브라켓 61; 레일홈
70; 바닥판 80; 승강보조수단
100; 트레일러 200; 트럭
1; 콘트롤박스
본 고안은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서 일시적인 교통통제나 공사구간 등에서 차량 유도가 필요할 때 그 필요한 장소에 이동하여 점광표시를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싸인 보드로 이루어진 방향 표시장치를 차량에 장착할 때 그 차량의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싸인카는 도로상에서 차선을 변경하도록 운행중인 차량의 운전자에게 신호표출을 통해 차선변경을 유도함으로써, 도로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통 일반도로 또는 고속도로의 공사현장 등에 설치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싸인카는 다수의 조명등으로 방향을 지시하는 싸인보드로 형성된 방향 표시장치와 이를 장착하여 이동하는 트럭이나 견인차량에 견인되는 트레일러로 구성되어 공사현장으로 이동하여 변경된 차선의 방향을 지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트럭에 차량에 탑재되거나 또는 트레일러에 탑재되어 견인차량으로 이동되는 방향 표시장치의 경우 공사표시용의 싸인보드와 방향표시용의 싸인보드를 2단 구성할 때 그 2단 구성이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단 구성의 싸인보드에 대한 관리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 트럭차량에 직접 탑재되는 방향 표시장치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트럭차량의 적재공간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지만, 이러한 방향 표시장치가 트럭의 적재공간 일단에 고정되어 있는 관계로 트럭차량의 적재공간에 대한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는 못하였다.
즉, 종래에는 트럭차량의 후방 적재공간에 방향 표시장치를 설치할 경우, 전방의 적재공간에 공사에 사용될 장비들을 적재하게 되지만, 그 장비의 적재공간을 작업자가 임의 변경하지 못하고 항상 전방 적재공간으로만 적재시켜야 하는 등 트럭차량의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 표시장치를 구성시 그 방향 표시장치를 이루는 2단 보드 중 전방에 위치하는 하나의 보드가 슬라이드 타입으로 상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단 보드를 나란하게 배열시키면서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향 표시장치를 트럭과 같은 차량에 직접 탑재할 경우 그 차량내의 적재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비의 적개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바닥판을 포함하는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제1보드를 하강시킨 상태의 방향 표시장치 단위체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는, 콘트롤박스(1)와 일체를 이루는 제1보드(11)와 그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드(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보드(12)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승강실린더(25)를 설치하고, 상기 제2보드(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승강로드(24)의 하측 단부는 제1보드(11)를 지지하는 바닥판(70)에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보드(11)(12)의 사이에는 상기 제2보드(12)가 제1보드(11)와 평행하게 승강 안내될 수 있도록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은 상기 제1보드(11)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고정부(21)(22)와, 상기 상하측 고정부(21)(22)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봉(23)과, 상기 제2보드(12)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봉(2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승하강 안내프레임(2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는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콘트롤박스(1)가 일체화된 제1보드(11) 및 바닥판(70), 그리고 상기 제1보드(11)로부터 승하강이 이루어지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를 트레일러(100)에 장착되어 견인차량에 의해 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트럭내에 탑재되어 그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견인차량을 통해 트레일러(100)가 이동되면서 후방차량의 차선변경에 도움을 주고자 할 때, 2단 구조의 제1 및 제2보드(11)(12)에 있어, 상기 제2보드(12)는 승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그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말해,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제1보드(11)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일봉(23) 및 승강로드(24)와 승강실린더(25), 그리고 승하강안내프레임(26)을 이용하여, 상기 제2보드(12)를 하강시켜 제1보드(11)에 나란하게 배열시키면서, 상기 제1보드(11)를 가려, 후방 차량에게 제2보드(12)의 표시정보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실린더(25)의 구동은, 유압 또는 공압시스템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나, 엑츄에이터 등과 같은 전기적인 장치로도 본 고안이 요구하는 바 제1보드(11)의 상하 이동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전혀 없을 것이며, 이같은 동작을 위해 별도의 제어수단을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같은 제어수단은 주지된 통상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그 세부적인 구조의 설명을 생략하였다.
반면, 제1 및 제2보드(11)(12)를 통해 후방 차량의 진로를 안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실린더(25)를 통해 상기 제2보드(12)를 위로 상승시키며, 이에 따라 후방차량은 트레일러(100)에 장착된 방향 표시장치에서 제1 및 제2보드(11)(12)의 표시정보를 모두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6 및 도 7은 제2보드(12)가 승하강되는 방향 표시장치를 적재공간이 마련된 트럭(200)에 이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로, 이는 트럭(200)의 적재공간(A)에 방향 표시장치를 탑재한다.
그러면, 상기의 트럭(200)이 이동되면서 후방차량의 차선변경에 도움을 주고자 할 때, 2단 구조의 제1 및 제2보드(11)(12)에 있어, 상기 제2보드(12)는 승하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면서 그 사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말해,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또는 제1보드(11)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경우에는, 레일봉(23)과 승강로드(24) 및 승강실린더(25), 그리고 승하강안내프레임(26)을 이용하여, 상기 제2보드(12)를 하강시켜 제1보드(11)에 나란하게 배열시키면서, 상기 제1보드(11)를 가려, 후방 차량에게 제2보드(12)의 표시정보만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 제1 및 제2보드(11)(12)를 통해 후방 차량의 진로를 안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승강실린더(25)를 통해 상기 제2보드(12)를 위로 상승시키게 되며, 이에따라 후방차량은 트럭(200)에 장착된 방향 표시장치에서 제1 및 제2보드(11)(12)의 표시정보를 모두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보드(11)(12)로 이루어진 방향 표시장치는 트럭(200)의 적재공간(A)에서 그 탑재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트럭(200)의 적재공간(A)의 바닥면과 측면에는 그 적재공간(A)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레일(30)을 설치하였고, 상기 제1보드(11)의 저면과 측면에는 상기 안내레일(30)에 끼움되어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송수단으로서 다수의 구름바퀴(40)를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방향 표시장치는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안내레일(30)과 구름바퀴(40)에 의해 적재공간(A)내에서 그 탑재위치를 전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는 트럭(200)의 적재공간(A)에서 공사에 필요로 하는 장비들을 원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이 트럭(200)의 적재공간(A)내에, 공사에 필요로 하는 장비들을 원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트럭의 적재함에 마련되는 상기 안내레일(30)을 따라 전후 이동하는 콘트롤박스(1) 일체형의 상기 제1보드(11)가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상기 안내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바닥판(70)에는, 콘트롤박스(1) 일체형의 상기 제1보드(11)를 이동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정지기구(스톱퍼)를 구비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이같은 정지기구는 승용차의 시트 전후이동장치를 그대로 적용하게 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시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언급된 승강보조수단(80)의 다른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이는 제1보드(11)에서 제2보드(1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보드(11)(12)를 ㄱ자형 브라켓(50)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보드(11)에는 ㄱ자형의 브라켓(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ㄱ자형 브라켓(50)의 일단이 끼움되는 레일브라켓(5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드(12)에는 ㄱ자형 브라켓(50)의 타단을 체결수단(예;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언급된 승강보조수단(80)의 또 다른실시예로, 이는 제1보드(11)에서 제2보드(12)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상기 제 1,2 보드(11)(12)를 ㄱ자형 브라켓(60)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보드(11)에는 ㄱ자형의 브라켓(6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상기 ㄱ자형 브라켓(60)의 일단이 끼움되는 레일홈(6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드(12)에는 ㄱ자형 브라켓(60)의 타단을 체결수단(예; 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한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를 구성시 그 방향 표시장치를 이루는 2단 싸인보드 중 하나의 보드가 슬라이드 타입으로 상하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후 이를 견인차량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트레일러에 장착 구성하거나, 또는 방향 표시장치를 트럭과 같은 차량에 직접 탑재할 경 우 그 차량내의 적재공간에서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장비의 적개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방향 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2단 보드를 나란하게 배열시키면서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콘트롤박스(1)와 일체를 이루는 제1보드(11)와 그 전방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보드(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보드(12)의 좌우 양측에 한 쌍의 승강실린더(25)를 설치하고, 상기 제2보드(12)의 하측으로 노출되는 승강로드(24)의 하측 단부는 제1보드(11)를 지지하는 바닥판(70)에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드(11)(12)의 사이에는, 상기 제2보드(12)가 제1보드(11)와 평행하게 승강 안내될 수 있도록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은, 상기 제1보드(11)의 전방에 설치되는 상측 및 하측 고정부(21)(22)와, 상기 상하측 고정부(21)(22)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봉(23)과, 상기 제2보드(12)와 일체로 설치되며 상기 레일봉(23)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승하강 안내프레임(26)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은, 상기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를 ㄱ자형 브라켓(50)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보드(11)에는 ㄱ자형의 브라켓(5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ㄱ자형 브라켓(50)의 일단이 끼움되는 레일브라켓(5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드(12)에는 ㄱ자형 브라켓(50)의 타단을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이탈방지용 승강보조수단(80)은, 상기 제1보드(11)와 제2보드(12)를 ㄱ자형 브라켓(60)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보드(11)에는 ㄱ자형의 브라켓(6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ㄱ자형 브라켓(60)의 일단이 끼움되는 레일홈(61)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드(12)에는 ㄱ자형 브라켓(60)의 타단을 체결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는, 차량내에서의 이송을 통해 위치 변경을 가능하게 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제1보드(11)를 지지하는 바닥판(70)과 콘트롤박스(1) 측면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름바퀴(40)와,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구름바퀴(40)와 마주하는 길이방향의 안내레일(3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바닥판(70)에는, 콘트롤박스(1) 일체형의 상기 제1보드(11)를 이동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정지기구(스톱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20050034021U 2005-12-02 2005-12-02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0411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21U KR200411092Y1 (ko) 2005-12-02 2005-12-02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4021U KR200411092Y1 (ko) 2005-12-02 2005-12-02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2415A Division KR100748718B1 (ko) 2006-02-09 2006-02-09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1092Y1 true KR200411092Y1 (ko) 2006-03-09

Family

ID=41761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021U KR200411092Y1 (ko) 2005-12-02 2005-12-02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1092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192A (ko) * 2006-03-21 2007-10-02 장규원 차량용 싸인 보드
KR200458467Y1 (ko) * 2009-10-28 2012-02-20 주식회사 우신테크 싸인보드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KR101151141B1 (ko) * 2010-03-10 2012-06-01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표시장치
KR200482179Y1 (ko) * 2015-08-13 2016-12-30 황복희 사인보드 트레일러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481A (ja) * 1994-08-24 1996-03-05 Pajiero Seizo Kk 車載用表示装置
JPH1082022A (ja) * 1996-09-04 1998-03-31 Komura Seisakusho:Kk 道路標識
US6412203B1 (en) * 2000-04-11 2002-07-02 Schwarze Industries, Inc. Elevatable signboard system for highway vehicles
KR200300452Y1 (ko) * 2002-09-14 2003-01-14 주식회사 우신테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8481A (ja) * 1994-08-24 1996-03-05 Pajiero Seizo Kk 車載用表示装置
JPH1082022A (ja) * 1996-09-04 1998-03-31 Komura Seisakusho:Kk 道路標識
US6412203B1 (en) * 2000-04-11 2002-07-02 Schwarze Industries, Inc. Elevatable signboard system for highway vehicles
KR200300452Y1 (ko) * 2002-09-14 2003-01-14 주식회사 우신테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192A (ko) * 2006-03-21 2007-10-02 장규원 차량용 싸인 보드
KR200458467Y1 (ko) * 2009-10-28 2012-02-20 주식회사 우신테크 싸인보드의 방향전환이 가능한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KR101151141B1 (ko) * 2010-03-10 2012-06-01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표시장치
KR200482179Y1 (ko) * 2015-08-13 2016-12-30 황복희 사인보드 트레일러
KR20230147793A (ko) * 2022-04-14 2023-10-24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KR102648261B1 (ko) 2022-04-14 2024-03-19 한국도로공사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718B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ES2792980T3 (es) Vehículo de transporte sin conductor para el transporte seguro de cargas pesadas
DK2310574T3 (en) Mobile barrier
KR200411092Y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CN107351751A (zh) 智能清障车
ATE337940T1 (de) Nutzfahrzeug, insbesondere lastkraftwagen mit hubladebühne
WO2012070748A1 (ko) 가변차선의 중앙선 표시를 위한 상하 자동 차선규제봉
US20160129742A1 (en) Transfer Dump Truck Safety Light
KR101842607B1 (ko) 차량 주행시의 전광판 최소 노출 유지 기능을 가지는 승강형 경광등
US5527138A (en) Semi-trailer for automotive vehicle transportation
KR20140095086A (ko) 전방 도로 코스만을 사용하여 차량을 주차하고 보조 장치에 의하여 최종 주차 위치에 차량의 후방을 배치하는 방법-시스템
DE102004003294B4 (de) Fahrzeug-Fahrassistent
US3093210A (en) Sightseeing car
KR100613227B1 (ko) 자동차 운반용 휴식 및 이동 트레일러
AU2014265099B2 (en) Mobile barrier
KR102614231B1 (ko) 도로 공사현장용 안내표지판 자동설치시스템
CN106530775A (zh) 一种可移动的多功能交通管理装置及方法
WO2011073654A1 (en) A vehicle transporter.
KR101220517B1 (ko) 차량용 경광등 높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견인 차량
KR101725140B1 (ko) 승강형 경광 조명장치
ES1057828U (es) Transportador con carros de transporte.
GB2229682A (en) Assembly for laterally displacing a vehicle
KR102648261B1 (ko)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JPH1082022A (ja) 道路標識
CN217213953U (zh) 一种市快速路交通新型引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