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179Y1 - 사인보드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사인보드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179Y1
KR200482179Y1 KR2020150005408U KR20150005408U KR200482179Y1 KR 200482179 Y1 KR200482179 Y1 KR 200482179Y1 KR 2020150005408 U KR2020150005408 U KR 2020150005408U KR 20150005408 U KR20150005408 U KR 20150005408U KR 200482179 Y1 KR200482179 Y1 KR 20048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gn board
opening
navacon
tra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4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복희
Original Assignee
황복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복희 filed Critical 황복희
Priority to KR20201500054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1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17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8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hicle Waterproofing, Decoration, And Sanitation Devic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인보드 트레일러와 관련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차량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이 가능한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2패널을 포함하는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사인보드 트레일러 {Sign board trailer}
본 고안은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도로에서 공사 중임을 표시하거나 안전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사인보드가 장착된 트레일러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견인식 사인보드 트레일러는 고속도로 및 일반도로에서 일시적으로 교통통제나 차량 유도가 필요할 때 신호표출을 통해 운행중인 차량의 운행자에게 차선변경을 유도 함으로서 도로에서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도로나 고속도로 및 공사현장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중요한 포인트 중 하나는 운전자들이 사인보드를 먼 거리에서도 인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먼 거리에서도 운전자들이 사인보드가 설치되었다는 것을 인식한다면 회피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하여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충돌사고를 방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사인보드 트레일러 중 하나는 충격방지부가 채용된 것으로서 프레임을 여러단으로 만들어 통행차량의 부주의로 인한 추돌시 충격을 완화시키는 방식이 있다. 충격방지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충격으로부터 트레일러를 보호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사고 후 트레일러를 보호하는 것일 뿐 충돌이 일어나기 전에 이를 미리 방지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0869호 (2008.09.05)
본 고안은 사인보드의 확장이 가능하도록 하여 먼 곳에서도 인식이 용이하며,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제시한다.
그 외 본 고안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실시예로, 차량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이 가능한 제1패널 및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2패널을 포함하는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개폐도어를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나바콘을 수납할 수 있는 나바콘 수납함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작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인형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인보드를 높은 곳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전자들이 먼 곳에서도 사인보드가 설치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차량의 충돌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고안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펼쳐지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는 몸체(1)와 제1패널(2) 및 제2패널(3)을 포함한다.
몸체(1)는 다른 차량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몸체(1)의 일단에 제1패널(2)이 힌지 결합된다. 제1패널(2)은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패널(2)에는 제2패널(3)이 결합된다. 제2패널(3)은 제1패널(2)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가 이동된다. 제2패널(3)은 제1패널(2)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제1패널(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패널(3)은 펼쳐지면서 제1패널(2)로부터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패널(3)에는 표시램프(31)가 부착되어 통행 중인 차량들에게 지시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는 지시신호를 표시하는 제2패널(3)을 더 높은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운전자들이 먼 곳에서도 사인보드가 설치되었음과 지시신호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를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몸체(1)는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를 구성하는 기본 골격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11)에 바퀴가 구비되어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작업시에는 고정기구(8)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또한 몸체(1)에는 차량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연결프레임(16)이 구비된다.
고정기구(8)는 몸체(1)의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고 실린더 작동에 의해 지면을 밀어 사인보드 트레일러(100)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외에도 고정기구가 몸체에 힌지 결합되고 몸체에 밀착되도록 접혀져 있는 상태에서 펼쳐져 지면을 지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별도로 고정기구를 구비하여 몸체를 고정할 수도 있다.
몸체(1)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화물이 적재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인보드는 공사 중임을 표시하기 위해 도로에 설치된다. 따라서 몸체(1)의 내부에는 공사에 사용되는 자재나 도구 등을 적재할 수 있다.
몸체(1)에는 본체(11)와 본체(11)의 상측면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제1개폐도어(12) 및 제1개폐도어(12)와 쌍으로 부착되고 힌지 결합되는 제2개폐도어(13)를 포함한다.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는 본체(11)의 상측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결합된다. 한편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는 중간이 접히는 관절구조나 가스실린더에 의해 개폐 및 개방상태의 지지가 가능하다.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는 본체(11)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다른측의 끝단까지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를 개방할 경우 V자 형태가 되면서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고 입구가 커지므로 큰 부피의 화물을 적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는 확장형 구조이므로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을 잘 지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를 이용하면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의 정면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한 지지가 가능하다.
한편 몸체(1)의 측면에는 측면으로부터 화물을 수납하거나 꺼내기 위한 제3개폐도어(14)를 구비할 수 있다. 몸체(1)의 상측면에는 제1패널(2)을 세우도록 작동시키는 실린더(62)가 통과하는 관통홀(15)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패널(2)은 제2패널(3)과 연결되어 제2패널(3)이 세워지고 확장되어 연장되도록 하는 기준이 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패널커버(21)와 슬라이드부재(22) 및 확장구동기(23)를 포함한다.
제1패널(2)은 개폐구동기(6)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다. 개폐구동기(6)는 제1연결부재(61), 실린더(62) 및 제2연결부재(63)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개폐구동기(6)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일단이 몸체(1)의 밑면에 고정되고 몸체(1)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15)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다른 일단이 제1패널(2)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연결부재(61)와 제2연결부재(63)가 몸체(1)의 밑면과 제1패널(2)에 각각 설치된다. 실린더(62)는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몸통의 끝단이 제1연결부재(61)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실린더 로드의 끝단이 제2연결부재(63)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 로드의 왕복운동에 의해 제1패널(2)이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된다.
패널커버(21)는 제1패널(2)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룬다. 패널커버(21)의 양 끝단에는 슬라이드부재(22)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제2패널(3)에 연결된다. 또한 패널커버(21) 내부에는 확장구동기(23)가 설치되고 확장구동기(23)의 로드가 제2패널(3)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패널(3)은 슬라이드부재(22)를 따라 제1패널(2)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이 가능하다. 확장구동기(23)는 유압실린더나 공압실린더 또는 가스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확장구동기(23)의 로드의 양측에는 가이드바(7)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7)는 제2패널(3)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이 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가이드바(7)의 내부를 비어 있는 상태로 하면 제2패널(3)에 설치되는 램프에 배선을 하기 위한 통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제2패널(3)은 제1패널(2)에 대하여 연장되도록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고 표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로서, 양 끝단에 슬라이드부재가 구비되어 제1패널(2)의 슬라이드부재(22)와 맞물려 이동이 가능하고, 표시램프(31)에 의해 지시신호의 표시가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2패널(3)에는 각종 표시램프(31)가 설치되고 배선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배선이 이루어진 표시램프(31)에 지시신호를 표시하여 통행하는 차량들에게 지시 사항을 알릴 수 있다.
제1패널(2)이 세워진 후 제2패널(3)이 펼쳐지면 제2패널(3)은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들이 제2패널(3)에 표시된 내용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들은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방어운전을 할 수 있다.
한편 몸체(1)의 일측에는 나바콘 수납함(4)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도로에서 작업을 할 때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나바콘(41)이 여러 개 사용된다. 나바콘 수납함(4)은 이러한 나바콘(41)을 외부에 수납되게 하여 필요시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나바콘 수납함(4)은 상방이 트인 상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나바콘 수납함(4)의 내부에는 나바콘(41)의 크기에 맞추어 격벽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나바콘(41)을 수납할 수 있다. 한편 나바콘 수납함(4)의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몸체(1)의 내부에도 나바콘(41)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제1패널(2)의 일측면에는 작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인형(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인형(5)은 작업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작업 중임을 알리고 운전자들의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인형(5)은 일부분을 움직이게 하여 운전자들의 인식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인형(5)은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분리가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인형(5)의 형상은 마네킹과 같이 입체적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 형상으로 만들 수도 있다.
평면적 형상으로 만들어진 인형(5)은 제1패널(2)에 부착시켜 설치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이동시에는 제1패널(2)과 같이 눕혀진 상태가 되므로 바람의 저항을 받지 않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작업자 인형(5)은 나바콘 수납함(4)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나바콘 수납함(4)에는 인형(5)이 설치되는 공간이 마련된다. 나바콘 수납함(4)에 인형(5)을 설치하는 경우 인형(5)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바콘 수납함(4)을 제1패널(2)의 힌지축 아래에 설치하고 나바콘 수납함(4)에 인형(5)을 설치하면 제1패널(2)이 세워졌을 때 제1패널(2)과 인형(5)이 접촉하거나 근접한 위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개폐도어(12) 및 제2개폐도어(13)의 개방과 함께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의 양측을 지지하여 제1패널(2) 또는 제2패널(3)의 정면과 후면에서 힘이 가해지더라도 충분한 지지가 가능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사인보드 트레일러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펼쳐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사인보드 트레일러에서 사인보드가 펼쳐지고 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이동을 위한 차량에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를 연결하고 작업장소로 이동한다. 이 때 제1패널(2)과 제2패널(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져 몸체(1)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이동한다. 이동이 완료되면 사인보드 트레일러(100)를 적절한 장소에 배치하고 고정기구(8)를 이용하여 몸체(1)를 지면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개폐구동기(6)를 작동시켜 제1패널(2)을 수직으로 세운다. 개폐구동기(6)가 작동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널(2)은 제2패널(3)과 함께 힌지점을 축으로 하여 서서히 세워진다.
다음으로 확장구동기(23)를 작동시켜 제2패널(3)을 인출한다. 확장구동기(23)가 작동됨에 따라 제2패널(3)은 제1패널(2)로부터 확장되어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2패널(3)이 연장된 상태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나바콘 수납함(4)에 수납된 나바콘(41)을 설치하는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의 제1개폐도어(12), 제2개폐도어(13) 및 제3개폐도어(14)를 열고 내부에 수납된 자재나 작업용 도구를 꺼내고 작업을 실시한다. 제1개폐도어(12)와 제2개폐도어(13)를 열어둔 상태로 유지하면 제2패널(3)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인보드 트레일러는 이동이 간편하고 소형으로 제작되더라도 운전자들이 사인보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사인보드가 장착되는 대형 차량을 운전하기 위한 면허가 없더라도 소형 차량에 연결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자재나 나바콘 및 작업용 도구를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고 설치 후에도 구조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몸체 11 : 본체 12 : 제1개폐도어 13 : 제2개폐도어
14 : 제3개폐도어 15 : 관통홀 16 : 연결프레임
2 : 제1패널 21 : 패널커버 22 : 슬라이드부재 23 : 확장구동기
3 : 제2패널 31 : 표시램프
4 : 나바콘 수납함 41 : 나바콘
5 : 인형
6 : 개폐구동기 61 : 제1연결부재 62 : 실린더 63 : 제2연결부재
7 : 가이드바
8 : 고정기구
100 : 사인보드 트레일러

Claims (4)

  1. 차량에 결합되어 이동이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이 가능한 제1패널,
    상기 제1패널에 결합되고 상기 제1패널로부터 연장되도록 위치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제2패널 및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상태로 일단이 상기 몸체 내부의 밑면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다른 일단이 상기 제1패널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실린더를 구비하여 상기 제1패널을 작동시키는 개폐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면의 길이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고 개폐가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다른측 끝단까지의 영역에 형성되는 한 쌍의 개폐도어를 포함하고,
    한 쌍의 상기 개폐도어는 측면으로부터 개방되어 중간이 접히는 관절구조나 가스실린더에 의해 V자 형태로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패널 또는 상기 제2패널의 일측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패널에는 평면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작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리는 인형이 설치되는
    사인보드 트레일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나바콘을 수납할 수 있는 나바콘 수납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인보드 트레일러.
  4. 삭제
KR2020150005408U 2015-08-13 2015-08-13 사인보드 트레일러 KR200482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08U KR200482179Y1 (ko) 2015-08-13 2015-08-13 사인보드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408U KR200482179Y1 (ko) 2015-08-13 2015-08-13 사인보드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179Y1 true KR200482179Y1 (ko) 2016-12-30

Family

ID=57708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408U KR200482179Y1 (ko) 2015-08-13 2015-08-13 사인보드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17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39U (ko)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태건특장 사인보드를 구비한 경사 사다리 트럭
KR102574047B1 (ko) * 2022-03-29 2023-09-04 주식회사 동국산업 원터치 접이형 세로현수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43A (ja) * 2000-12-14 2002-06-26 Nagawa:Kk 注意標示板付きトレーラー
KR20030047423A (ko) * 2001-12-10 2003-06-18 박명환 교통유도 신호장치
JP2005535486A (ja) * 2002-03-14 2005-11-24 バッジャー ブラザ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実用トレーラーおよび実用車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テント組立品
KR200411092Y1 (ko) * 2005-12-02 2006-03-09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080080869A (ko) 2007-03-02 2008-09-05 주식회사 우신테크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43A (ja) * 2000-12-14 2002-06-26 Nagawa:Kk 注意標示板付きトレーラー
KR20030047423A (ko) * 2001-12-10 2003-06-18 박명환 교통유도 신호장치
JP2005535486A (ja) * 2002-03-14 2005-11-24 バッジャー ブラザ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実用トレーラーおよび実用車と共に使用するためのテント組立品
KR200411092Y1 (ko) * 2005-12-02 2006-03-09 성화기술산업 주식회사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080080869A (ko) 2007-03-02 2008-09-05 주식회사 우신테크 견인식 싸인보드 트레일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39U (ko) 2019-05-14 2020-11-24 주식회사 태건특장 사인보드를 구비한 경사 사다리 트럭
KR102574047B1 (ko) * 2022-03-29 2023-09-04 주식회사 동국산업 원터치 접이형 세로현수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9227B2 (en) Roadway work area safety truck
KR10236616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KR10157188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터널용 공동구의 미닫이 덮개
US10160373B2 (en) Utility truck bed
KR200482179Y1 (ko) 사인보드 트레일러
US7350328B1 (en) Deployable traffic sign
JP5080222B2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CN103306227A (zh) 可活动折叠的反光围挡
KR101977906B1 (ko) 휴대형 비상표시장치
JP3750804B2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CN210177394U (zh) 安全警示装置及车辆
KR101604313B1 (ko) 확장식 쉘터 박스
KR102274534B1 (ko) 차량 탑재형 비상표시장치
JP5016460B2 (ja) 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用固定装置
JP2019156522A (ja) 高所作業車の乗降装置
CN104309517B (zh) 车载式大型led组合屏及启闭方法
KR102110959B1 (ko) 도로공사 안내용 방향 표시장치
KR102508386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보조장치
CN103738438B (zh) 信息化移动警务平台
CN204136844U (zh) 车载式大型led组合屏
KR102619294B1 (ko)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KR101756936B1 (ko) 바리케이드 차량 및 바리케이드 차량을 제어하는 방법
KR20200099719A (ko) 차량용 접이식 비상표시등
JP2005330801A (ja) 車両搭載用の道路交通規制標識表示装置
KR102605422B1 (ko) 도로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사인보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