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9294B1 -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 Google Patents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9294B1
KR102619294B1 KR1020230075781A KR20230075781A KR102619294B1 KR 102619294 B1 KR102619294 B1 KR 102619294B1 KR 1020230075781 A KR1020230075781 A KR 1020230075781A KR 20230075781 A KR20230075781 A KR 20230075781A KR 102619294 B1 KR102619294 B1 KR 102619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folding
lane
draw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5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75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92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9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92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08G1/0955Traffic lights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2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mounted on vehicles, e.g. service vehicles; Warning vehicles travelling along with road-maintenance, e.g.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도 5차선 도로에 설치되어 교통 통제 및 주행 가능 차선을 명확하게 안내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도로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작업을 시행중인 작업자를 주변을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Traffic guide apparatus for multi traffic lane}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 위에 설치되되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직붐대와,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결합되되 수직붐대로부터 수평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다단으로 전개되는 수평붐대와,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전개된 상기 수평붐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차선안내표지판와,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붐대는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중공의 메인붐과, 상기 메인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1인출붐과, 상기 제1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2인출붐과, 상기 제2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3인출붐과, 후단부가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3인출붐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포개지거나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철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붐대가 전개되면 제1차선 내지 제5차선 위에 각각 접철붐과, 제3인출붐과, 제2인출붐과, 제1인출붐 및 메인붐이 배치되어 각 차선 위에서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통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서 도로를 포장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한 공사 등의 작업 때에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의 특정 차선을 폐쇄하는 경고나 주의를 환기하는 안내장치가 도로에 고정식으로 설치되거나 차량에 이동식으로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내장치는 공사 현장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시인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고등이나 주행방향을 알리는 지시등을 점등하거나 점멸하여 안내하거나, 도로에서 추돌 등의 안전사고 발생으로 인하여 사고 처리를 위하여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차선의 주행을 차단하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한편, 공사현장의 상황에 따라 해당 구간(도로)의 차선 모두를 전면 차단하거나 특정의 차선으로 주행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경우가 있는데, 도로의 경사도나 굽은 도로에 따라 또는 차량의 수가 많거나 대형차량 등에 가려 안내 장치를 쉽게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도로를 일정 속도로 주행하는 차량이 전방에 공사 중인 폐쇄된 차선에서 통행이 가능한 차선으로 빠른 변경을 하지 못해 작업 차량이나 작업자와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 차량의 적재함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턴테이블 위로 유압에 의하여 상하로 회동전개되는 수직붐대가 배치되고, 수직붐대의 상단에 텔레스코픽 방식의 수평붐대가 장착되며, 상기 수평붐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형태의 안내장치(또는 교통신호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안내장치는 상기 수평붐대가 도로의 폭 방향을 따라 전개되면 복수의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이 도로의 각 차로 위에 배치되면서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안내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런데, 종래에 개시된 안내장치(또는 교통신호장치)는 수평붐대가 도로의 폭 방향을 따라 전개될 때 확장 거리에 따른 차량의 전복 위험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평붐대를 최대 4개의 붐으로 구성할 수 밖에 없다는 구조적인 제약이 있어서, 편도 4차로 이내에서만 적용 가능할 뿐, 5차로 이상의 도로는 전혀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1178호(이동식 교통신호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편도 5차선 도로의 교통 통제 및 주행 가능 차선을 명확하게 안내할 수 있는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 위에 설치되되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직붐대와,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결합되되 수직붐대로부터 수평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다단으로 전개되는 수평붐대와,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전개된 상기 수평붐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차선안내표지판와,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붐대는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중공의 메인붐과, 상기 메인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1인출붐과, 상기 제1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2인출붐과, 상기 제2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3인출붐과, 후단부가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3인출붐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포개지거나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철붐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붐대가 전개되면 제1차선 내지 제5차선 위에 각각 접철붐과, 제3인출붐과, 제2인출붐과, 제1인출붐 및 메인붐이 배치되어 각 차선 위에서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통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인출붐과 접철붐은 접철붐 구동장치로 연결되되, 상기 접철붐 구동장치는,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접철붐의 후단이 제1회동축으로 힌지결합되는 접철브라켓과, 상기 접철브라켓의 타측에 제2회동축을 매개로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링크와, 상기 접철붐의 후단부 일측에 제3회동축을 매개로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링크와, 상호 겹쳐지는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4회동축과,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 측 외주면에 접철브라켓과 이격되어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과, 상기 실린더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의 로드가 상기 제4회동축에 연결되는 접철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과 함께 밀리면서 접철붐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인출붐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개되어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가 인입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과 함께 당겨지면서 접철붐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인출붐의 전면 외주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접철붐은 강도와 부식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며, 경량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접철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편도 5차선 도로에 배치되어 교통 통제 및 주행 가능 차선을 명확하게 안내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도로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작업을 시행중인 작업자를 주변을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붐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직붐대를 따라 수평으로 수평붐대가 상승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7a) 및 7b)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8a) 및 8b)는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편도 5차선 도로에 배치되어 교통 통제 및 주행 가능 차선을 명확하게 안내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도로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작업을 시행중인 작업자를 주변을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개시한다.
도 1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붐 구동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직붐대를 따라 수평으로 수평붐대가 상승되는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예시도이고,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4와 같이 본 발명은 유지, 보수 등을 위한 공사가 이루어지는 도로의 현장으로의 이동을 위한 차량(1)이 마련된다.
상기 차량(1)은 개방된 적재함(2)을 갖는 구조와 더불어 일정의 적재용량을 갖는 통상의 트럭(예컨대 3.5톤의 적재용량을 갖는 트럭)일 수 있으나, 도로의 차선 수에 따라 적재용량을 달리하는 차량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1)은 공사 현장에서 갓길이나 최외측 차로 등 적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적재함 위에는 유압모터에 의해 좌우로 회동 가능한 턴테이블(5)이 마련된다. 상기 턴테이블의 회전에 의해 후술할 수직붐대 및 상기 수직붐대에 수평으로 결합된 수평붐대가 회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턴테이블(5)을 좌,우로 회전시켜 수직붐대에서 수평으로 전개된 수평붐대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수직붐대(10)는 턴테이블 위에서 리프트실린더(19, 이하 "제1리프트실린더"라고 부르도록 함)를 매개로 하여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수직붐대(10)는 제1힌지부(15)로 힌지 결합되는 제1수직프레임(11)과 제2수직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주행하는 차량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 6m 이상으로 수직으로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프레임(11)은 하단이 턴테이블(5) 위에 일정 각도의 기울기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며, 그 주위로 한 쌍의 고정브래킷(6)의 일단이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래킷의 타단은 일정의 중량이 작용하는 중량체(7)와 고정된다.
상기 중량체(7)는 제1수직프레임(11)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수직붐대(10)로부터 수평붐대(20)가 전개되는 반대 방향으로 수평붐대(20)의 중량과 대응하는 중량으로 작용하여 수평붐대의 전개 후에 차량(1)에 가해지는 중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량체(7)는 수평붐대(20)가 전개되는 길이에 따라 그 중량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2수직프레임(12)은 제1힌지부(15)를 중심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에는 제1지지브래킷(13)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수직프레임(11)이 상단부에는 제2힌지부(16)로 수평지지바(14)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수평지지바(14)는 제2수직프레임(12)의 아래에 위치하여 수평붐대(2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수평으로 승강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제1리프트실린더(19)는 제1수직프레임(11)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부가 제3힌지부(17)로 힌지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2수직프레임(12)의 중앙부에 고정 결합된 제2지지브래킷(22)에 제4힌지부(18)로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리프트실린더(19)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압으로 작동하거나 전동모터 또는 복수의 감속기어와 동력전달기어 등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붐대(20)는 상기 수직붐대의 상승 또는 하강시 수직붐대로부터 수평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먼저 수직붐대(10)의 제2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메인붐(21)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붐(21)은 내부에 복수의 인출붐이 중첩되어 출입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붐(21)의 일단부 아래로는 힌지돌기(40)가 돌출 결합된다.
상기 힌지돌기(40)는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메인붐(21)의 저면에 한 면이 고정되어 하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힌지돌기(40)의 내측 중앙부에 제1지지브래킷(13)이 제6힌지부(24)가 힌지 결합되고, 힌지돌기(40)의 하단부에 수평지지바(14)의 타단부가 제5힌지부(23)로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평붐대(20)는 메인붐(21)의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1인출붐(25)과, 상기 제1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2인출붐(26)과, 상기 제2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3인출붐(27)과, 후단부가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3인출붐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포개지거나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철붐(28)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메인붐(25)과, 제1인출붐 내지 제3인출붐(25,26,27)은 강도가 우수하고 부식에 대한 저항을 갖는 금속 재질(예를 들어 ATOS8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인출붐 내지 제3인출붐(25,26,27)은 각각 전동모터 및 스크루바에 의해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고, 또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인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인출붐 내지 제3인출붐(25,26,27)은 도로의 1개 차선의 폭만큼의 길이로 전개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철붐(28)은 강도와 부식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며, 경량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철붐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접철붐(28)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면서 전개되거나,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으며, 도로의 1개 차선의 폭만큼의 길이로 전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인출붐(27)과 접철붐(28)은 접철붐 구동장치(50)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접철붐(28)은 상기 접철붐 구동장치(50)를 통해 제3인출붐(27)으로부터 회전되면서 전개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철붐 구동장치(50)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먼저, 상기 접철붐 구동장치는 상기 제3인출붐(27)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접철브라켓(51)을 포함한다. 상기 접철브라켓(5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접철붐(28)의 후단이 제1회동축(52)으로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52)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접철브라켓의 타측에는 제2회동축(54)을 매개로 제1회동링크(53)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접철붐(28)의 후단부 일측에는 제3회동축(56)을 매개로 제2회동링크(55)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회동링크(53)와 제2회동링크(55)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제2회동축(54)의 양단에 각각 상기 한 쌍의 제1회동링크(53)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링크(53) 및 제2회동링크(55)의 타단부는 서로 겹쳐지며, 그 겹쳐진 부분에는 제4회동축(57)이 힌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철붐(28)은 외주면에 소정 면적과 두께를 갖는 보강편(28a)이 용접결합되어 상기 제1회동축(52), 제3회동축(56)과의 결속력을 확보하고, 휨 등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 측 외주면에는 상기 접철브라켓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실린더브라켓(58)이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브라켓(58)은 내부가 비어있고 마주보는 두 면이 개방된 형태로서, 그 내부로 접철실린더(59)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접철실린더(59)는 실린더 몸체(59a)의 단부에 직교 방향으로 회동부(59b)가 구비되며, 상기 회동부(59b)는 상기 실린더브라켓(58) 내부에 구비되는 힌지체결부(58a)에 힌지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59b)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측 단부가 상기 힌지체결부(58a)와 힌지결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59c)는 상기 제4회동축(57)에 연결되어 상기 제4회동축(57)과 로드(59c)가 대략 "T"자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3인출붐(27)과 접철붐(28)은 복수의 회동축 및 회동링크이 링크구조로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접철실린더(59)가 구동되면서 접철붐의 회전전개가 이루어지게 된다.
일 예로써,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59c)가 인출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53) 및 제2회동링크(55)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57)과 함께 밀리면서 접철붐(28)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52,54,56)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인출붐(27)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개되어 제3인출붐(27)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59b)는 힌지체결부(58a)를 통해 회동되면서 실린더 몸체(59a)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배치시켜록 로드(59c)의 전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반대로,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59c)가 인입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53) 및 제2회동링크(55)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57)과 함께 당겨지면서 접철붐(28)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52,54,56)을 회전축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역회전되면서 제3인출붐(27)의 전면 외주면에 중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접철붐(28)이 접철실린더(59)에 의해 전개될 때 수평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전개되는 방식으로서, 접철붐이 전개될 때 단순히 수평붐대의 길이만 연장될 뿐 작업반경(높이)은 가변되지 않지 않는다.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전개되는 수평붐대(20)는 주변을 지나는 차량의 주행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며, 표지판이나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 등의 간섭을 받지 않지 않고 접철붐을 전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붐대를 이루는 복수의 붐이 모두 인출 또는 전개되면 5개의 차로 위에 각각 배치되어 후술할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9)을 통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8a) 및 8b)은 본 발명과의 비교를 위한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8a) 및 8b)과 같이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의 경우 회전붐대(30)가 제2서브프레임(23)으로부터 부채꼴 형태로 펼쳐지면서 전개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회전붐대(30)를 전개시키기 위해 일정 높이가 확보되어야 하므로 표지판이나 도로에 설치된 구조물 등이 설치된 구간에서는 전개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붐(30)을 전개시키고자 승강 수직붐대(10)를 작동시켜 슬라이드 수평붐대(20)의 높이를 하향 가변시키면 주변을 지나는 차량(예를 들어 전고가 높은 트럭)이 간섭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더욱이, 도 8a) 및 8b)의 차선안내장치는 슬라이드 수평붐대(20)와 회전붐대가 모두 전개되더라도 3개의 차로만을 통제할 수 있을 뿐, 4차로 이상의 도로에는 전혀 적용될 수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메인붐(21)과, 제1인출붐 내지 제3인출붐(25,26,27)과, 그리고 접철붐(28)의 표면에는 도로의 후방을 향하도록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이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브라켓(B)을 매개로 각 붐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차량의 주행 금지를 표시하는 적색의 'X' 표시나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녹색의 '↓' 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복수의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도신호를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형광물질이나 반사물질 등으로 유도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는 상기 적재함(2)의 후면에 일정 높이로 표지판 지지프레임(30)이 돌출설치되고, 그 상단으로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이 힌지결합되며,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배면에 적재함(2)의 바닥면에 일단부가 고정된 리프트실린더(31, 이하 "제2리프트실린더"라고 부르도록 함)의 타단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제2리프트실린더(31)의 작동으로 표지판 지지프레임(30) 위에 수직으로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된다. 상기 제2리프트실린더(31)는 유압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공압으로 작동하거나 전동모터 및 복수의 감속기어와 동력전달기어 등으로 작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더욱이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대형으로 일정 거리에서 향상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복수의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도신호를 표시한다. 또한,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형광물질이나 반사물질 등으로 유도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차량의 주행 금지를 표시하는 적색의 'X' 표시나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녹색의 '↓' 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2) 위에는 턴테이블(5)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거치대(8)가 돌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8)는 수평붐대(20)를 전개하기 전과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이 직립하기 전에 수평붐대(20)와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을 거치하여 차량의 이동 중에 향상된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로의 공사현장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전방의 상황을 알려 서행과 안전운전을 유도하기 위해 설치되는 도로공사작업용 간판(미도시)을 거치하기 위한 간판 거치대(9)가 상기 적재함 위에 거치대(8)의 후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는 상기 적재함의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에 각각 완충범퍼(3, 4)가 설치되고, 전면과 후면에는 각각 아웃트리거(33, 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범퍼(3, 4)는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불의의 안전사고로 추돌하여도 충격을 완화 및 흡수하여 차량과 도로 공사 중인 작업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아웃트리거(33, 34)는 차량(1)을 지면에서 4점을 고정 지지하여 수평붐대(20)가 한 방향으로 전개된 후에 수평붐대(20)의 중량에 의해 차량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아웃트리거(33,34)는 대략 'ㅅ'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적재함(2)에서 지면까지 접촉 돌출되었을 때 최하단의 폭이 적재함(2)의 폭보다 좁아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의 한 개 차선 내에 위치하여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방해가 되지 않아 추돌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편도 5차선 도로에 적용 가능한 이동식 차선안내장치를 통해 공사 현장에서 차선을 통제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1)은 상행 방향에서 갓길을 제외한 편도 5차로 도로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차량(1)이 해당 현장으로 이동하여 갓길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인출붐 내지 제3인출붐(25,26,27)이 메인붐(21)으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1리프트실린더(19)에 의해 수직붐대(10)가 상승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수평붐대(20)가 수직붐대를 따라 수평으로 상승된다.
다음으로, 상기 턴테이블(5)이 하행 방향으로 회동되면 수평붐대(20)가 상행의 복수의 차로 위에 도로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때, 메인붐(21)은 5차로 위에, 제1인출붐(25)은 4차로 위에, 제2인출붐(26)은 3차로 위에, 제3인출붐은 2차로 위에 각각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철붐 구동장치(50)를 통해 제3인출붐으로부터 접철붐(28)을 수평방향으로 회전하여 전개시킨다. 접철붐(28)은 5차선 위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메인붐(21)과, 제1,2,3인출붐(25,26,27) 및 접철붐(28)의 표면에 설치된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이 점등된다. 이때,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현장 상황에 따라 차로를 통제하는 'X' 또는 주행이 가능한 '↓' 표시가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b)와 같이 상기 접철붐(28)과 제3인출붐(27) 및 제2인출붐(26)에 결합된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주행이 가능한 '↓'이 점등되고, 제1인출붐(25) 및 메인붐(21)의 결합된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은 차로를 통제하는 'X' 표시가 점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적재함 후면의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을 통해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여부와, 전방의 공사정보 등을 안내함으로써 현장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가 보다 신속히 차선을 변경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추돌사고를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접철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컨트롤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원거리(또는 중, 단거리)에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신호 제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1,2리프트실린더를 제어하여 상기 수직붐대(10) 및 수평붐대(20)의 회동 및 전개되도록 하거나, 접철붐이 전개되도록 하거나 또는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28)과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의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편도 5차선 도로에 배치되어 교통 통제 및 주행 가능 차선을 명확하게 안내함으로써 해당 구간에서 도로의 유지, 보수 등을 위한 작업을 시행중인 작업자를 주변을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으로,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설명을 고려하여 충분히 변경, 변환, 치환 및 대체할 수 있을 것이고,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1 : 차량 2 : 적재함
3, 4 : 완충범퍼 5 : 턴테이블
6 : 고정브래킷 7 : 중량체
8 : 거치대 9 : 간판 거치대
10 : 수직붐대
11 : 제1수직프레임 12 : 제2수직프레임
13 : 제1지지브래킷 14 : 수평지지바
15 : 제1힌지부 16 : 제2힌지부
17 : 제3힌지부 18 : 제4힌지부
19 : 제1리프트실린더
20 : 수평붐대
21 : 메인붐 22 : 제2지지브래킷
23 : 제5힌지부 24 : 제6힌지부
25 : 제1인출붐 26 : 제2인출붐
27 : 제3인출붐
28 : 접철붐 28a : 보강편
29 : 가변차선 유도신호표지판 B : 브라켓
30 : 표지판 지지프레임
31 : 제2리프트실린더 32 :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
33, 34 : 아웃트리거
40 : 힌지돌기
50 : 접철붐 구동장치
51 : 접철브라켓 52 : 제1회동축
53 : 제1회동링크 54 : 제2회동축
55 : 제2회동링크 56 : 제3회동축
57 : 제4회동축
58 : 실린더브라켓 58a : 힌지체결부
59 : 접철실린더
59a : 실린더 몸체 59b : 회동부
59c : 로드

Claims (4)

  1. 차량의 적재함 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 위에 설치되되 실린더에 의해 상하로 펼침 가능하게 마련되는 수직붐대와,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결합되되 수직붐대로부터 수평으로 상승 또는 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며,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다단으로 전개되는 수평붐대와,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전개된 상기 수평붐대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차선안내표지판와,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차선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붐대(20)는 상기 수직붐대의 상단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중공의 메인붐(21)과, 상기 메인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1인출붐(25)과, 상기 제1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2인출붐(26)과, 상기 제2인출붐 내에 인출 또는 삽입되는 제3인출붐(27)과, 후단부가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에 힌지로 결합되어 제3인출붐의 외주면에 평행하게 포개지거나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접철붐(28)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도로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수평붐대가 전개되면 제1차선 내지 제5차선 위에 각각 접철붐과, 제3인출붐과, 제2인출붐과, 제1인출붐 및 메인붐이 배치되어 각 차선 위에서 상기 차선안내표지판을 통해 해당 차로의 주행 가능 여부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인출붐(27)과 접철붐(28)은 접철붐 구동장치(50)로 연결되되,
    상기 접철붐 구동장치(50)는,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며 일측에 상기 접철붐의 후단이 제1회동축(52)으로 힌지결합되는 접철브라켓(51)과,
    상기 접철브라켓의 타측에 제2회동축(54)을 매개로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회동링크(53)와,
    상기 접철붐의 후단부 일측에 제3회동축(56)을 매개로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2회동링크(55)와,
    상호 겹쳐지는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4회동축(57)과,
    상기 제3인출붐의 전단부 측 외주면에 접철브라켓과 이격되어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58)과,
    상기 실린더브라켓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타단의 로드가 상기 제4회동축에 연결되는 접철실린더(59)를 포함하며,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가 인출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과 함께 밀리면서 접철붐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인출붐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전개되어 제3인출붐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접철실린더의 로드가 인입되면 상기 제1회동링크 및 제2회동링크의 타단부가 제4회동축과 함께 당겨지면서 접철붐이 제1회동축 내지 제3회동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제3인출붐의 전면 외주면에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붐은 강도와 부식에 대한 저항이 우수하며 경량인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접철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KR1020230075781A 2023-06-13 2023-06-13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KR102619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781A KR102619294B1 (ko) 2023-06-13 2023-06-13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5781A KR102619294B1 (ko) 2023-06-13 2023-06-13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9294B1 true KR102619294B1 (ko) 2023-12-29

Family

ID=8933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5781A KR102619294B1 (ko) 2023-06-13 2023-06-13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92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766A (ko) * 2009-07-15 2011-01-2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931178B1 (ko) 2018-08-03 2018-12-20 이윤규 이동식 교통신호장치
KR102366160B1 (ko) * 2021-12-29 2022-02-23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766A (ko) * 2009-07-15 2011-01-21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931178B1 (ko) 2018-08-03 2018-12-20 이윤규 이동식 교통신호장치
KR20220040283A (ko) * 2020-09-23 2022-03-30 주식회사 엠앤씨코리아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366160B1 (ko) * 2021-12-29 2022-02-23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16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US10920384B2 (en) Mobile barrier
US9394657B2 (en) Mobile barrier
US10240308B2 (en) Mobile barrier
CN211713773U (zh) 一种重型防撞缓冲车
KR102237831B1 (ko) 도로의 차선안내장치
KR102619294B1 (ko)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CN210529559U (zh) 一种升降式限高架
KR102101572B1 (ko) 싸인카 방향표시장치가 구비된 트레일러
KR102381321B1 (ko) 도로교통 표시장치
KR200482179Y1 (ko) 사인보드 트레일러
KR102365652B1 (ko)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10241505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KR20230017533A (ko) 차선 신호장치
KR102305253B1 (ko) 도로교통 표시장치
KR102605422B1 (ko) 도로 작업차량에 장착되는 가변형 사인보드 장치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102508386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보조장치
AU2014265099A1 (en) Mobile barrier
US20230175217A1 (en) Impact attenuator safety truck
KR20240018897A (ko) 싸인보드의 승하강 장치
CN114802069A (zh) 一种可翻转防撞装置及自卸车辆
JP2021031873A (ja) 移動式防護柵トレー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