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50B1 -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50B1
KR102415050B1 KR1020220022813A KR20220022813A KR102415050B1 KR 102415050 B1 KR102415050 B1 KR 102415050B1 KR 1020220022813 A KR1020220022813 A KR 1020220022813A KR 20220022813 A KR20220022813 A KR 20220022813A KR 102415050 B1 KR102415050 B1 KR 102415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vehicle
bumper
construction sit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이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2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50B1/ko
Priority to PCT/KR2022/009738 priority patent/WO202312809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extending primarily along the sides of, or completely encircling,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2019/005Crash attenuators, i.e. means added to highway service vehicles for softening high speed impa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2019/026Buffers, i.e. bumpers of limited ex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의 수직붐대에서 수평붐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때에 단일의 유압실린더로 수평붐대의 기울임 없이 승강시킬 수 있어 붐대의 승강을 위한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Mobile protective device for road construction}
본 발명은 도로의 공사현장에 배치되며, 운전석의 후방으로 적재함이 마련되는 차량과;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상기 공사현장으로 접근하는 접근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범퍼 및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범퍼부와; 상기 적재함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 및 사전 인지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국도 등에서 도로를 포장하거나 유지 보수를 위한 공사 등의 작업 때에는 차량으로부터 공사를 진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하여 위하여 공사현장 주변에 주행중 발생될 수 있는 충돌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안전시설물이 설치된다.
일반적인 안전시설물은 전방의 공사상황 등을 문구나 이미지로 안내하는 단순 표지판 형태로서 이러한 안전시설물의 경우 휴대전화, DMB 조작 등에 따른 전방주시 태만, 졸음운전, 과속 등의 운전자 부주의에 따른 충돌에 의하여 도로 작업자 교통사고로 인한 작업자의 인명피해를 방지하기에 역부족이었다.
이에, 도로 공사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및 사고 발생시 부상정도를 줄이기 위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을 위하여 도로의 특정 차선을 폐쇄하는 경고나 주의를 환기하는 안내 장치, 그리고 도로 작업자의 보호를 위하여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 시설물이 설치되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충격흡수 시설물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종래에는 도 1a)와 같은 시멘트 콘크리트 재질 또는 도 1b)와 같은 철제 가드레일 형태의 방호벽이 도로 공사현장 및 그 주변에 설치되어 충돌하는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여 도로 공사현장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술한 방호벽의 경우 현장에서의 설치와 이동이 까다롭기 때문에 도로 작업장을 해체하고 도로를 원상 복구할 때에 많은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단순히 도로와 공사현장을 구분하는 용도로 설치되었기 때문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한 운행을 유도하여 충돌을 미리 방지할 수 없고, 차량의 충돌시 작업자와 차량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현장 시공 및 이동이 용이하며, 도로 공사현장의 작업자 및 해당구간을 주행하는 운전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호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097056호(도로용 방호벽)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의 공사현장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고, 공사구간이 유동적이더라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며, 현장설치시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공사현장으로 진입한 차량과 충돌할 경우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의 공사현장에 배치되며, 운전석의 후방으로 적재함이 마련되는 차량과;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상기 공사현장으로 접근하는 접근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범퍼 및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범퍼부와; 상기 적재함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 및 사전 인지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범퍼는 상기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 이동시에는 상기 적재함 위에 양측으로 적재되어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적재함의 측면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측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범퍼는,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1차 완충되도록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되며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2차적으로 완충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양측면이 개방되는 육면체로서, 판상형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대응되는 판상체로서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굴곡형태로 이루어져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찌그러지면서 완충효과를 제공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어범퍼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접근차량이 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과 접근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근차량과의 충돌 발생시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에 지면 방향으로 수직인출되어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하로 회동되는 상하회동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지판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하회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며, 적재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 회동되어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과,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과, 상기 전광판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가 전방의 상황을 보다 신속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 도형, 숫자가 조합된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주행 가능한 차량을 포함하여 도로의 공사현장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고, 공사구간이 유동적이더라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며, 현장설치시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공사현장으로 진입한 차량과 충돌할 경우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이드범퍼는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 이동시에는 상기 적재함 위에 양측으로 적재되어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적재함의 측방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측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범퍼는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굴곡형태의 완충부를 갖는 완충부재가 케이싱 내부에 탑재되어,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상기 완충부가 찌그러지면서 더욱 우수한 완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범퍼를 통해 공사현장으로 접근한 차량이 장치의 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과 접근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의 전면과 후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지면 방향으로 수직인출되어 상기 차량을 4점지지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어, 접근차량과의 충돌 발생시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과 전광판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통해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가 보다 신속하게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나, 전방의 상황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식 방호장치와의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호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의 예시도.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부의 개략적인 예시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소작업차량용 아웃트리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공사현장에 신속한 설치가 가능하고, 공사구간이 유동적이더라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며, 현장설치시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공사현장으로 진입한 차량과 충돌할 경우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를 개시한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의 예시도이고, 도 6 내지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범퍼부의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12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차량(10)과, 범퍼부(20)와, 표시부(3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차량(10)은 개방된 적재함(11)을 갖는 구조와 더불어 일정의 적재용량을 갖는 형태의 차량으로서, 통상의 트럭 구조, 예컨대 3.5톤 또는 그 이상의 적재용량을 갖는 차량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이동성을 갖는 차량(10)을 통해 공사현장으로 이동되어 공사현장에서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공사 진행중 구간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상기 차량(10)을 주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호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유동적인 공사구간에서도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다.
상기 범퍼부(20)는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상기 공사현장으로 접근하는 접근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적재함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범퍼(21) 및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범퍼(22)를 포함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범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사이드범퍼(2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싱(211)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되는 완충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211)은 내부가 비어있는 장방형의 형태로서,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1차 완충되고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도록 강도가 우수하며 가벼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211)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적재함(11)의 측방향 모서리와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적재함으로부터 외측으로 인출되었을 때 적재함 하부의 공간부를 차폐시킬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갖는 것이 좋다.
상기 완충부재(212)는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되어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2차 완충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가벼우며, 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완충부재(212)는 양측면이 개방되는 육면체로서, 판상형의 전면부(212a)와, 상기 전면부와 대응되는 판상체로서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후면부(212b)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완충부(212c)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완충부(212c)는 전면부(212a)와 후면부(212b) 사이에 완충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굴곡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사이드범퍼(21)가 적재함의 외측으로 인출되면 상기 완충부(212c)가 적재함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접근차량과 추돌시 상기 완충부(212c)가 찌그러지면서 충격을 완화시켜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싱(211)은 충분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완충부재(212)는 케이싱(211) 내부에서 가로와 세로 방향을 따라 용접결합되어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고, 전후로 2열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근차량과 추돌시 충분한 완충효과를 제공하여 공사현장의 작업자는 물론 접근차량의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어범퍼를 도시한 개략적인 예시도로서, 상기 리어범퍼(22)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후방을 항하여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21)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는 충격완화부재(22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221)는 적재함의 후면에 착탈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재함의 후방에서 상기 충격완화부재(222)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유압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신축 구동되는 X자 형태의 신축 암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격완화부재(222)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접근차량이 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과 접근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충격흡수가 가능한 고무, 스티로폼, 메모리폼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드범퍼(21)는 상기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를 기준으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싱(2111)과 적재함(11)의 측면 모서리는 복수의 힌지로 결합되고, 상기 적재함(11)의 측면 모서리 측에는 소정의 개구부(11a)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함의 하부에는 상기 사이드범퍼를 회동시키기 위한 실린더가 마련된다. 상기 실린더의 로드(13)는 상향 대각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상기 개구부(11a)를 관통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범퍼(21)가 적재함(11)에 안착될 때 적재함의 상면과 대향되는 케이싱(211)의 일면에는 폭 방향을 따라 가이드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는 슬라이더(2112) 및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는 회동축(2113)이 마련되며, 일단은 상기 회동축(2113)에 링크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실린더 로드(13)의 단부와 링크결합되는 가변링크(14)가 마련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가변링크의 타단에는 상기 적재함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축(141)의 타단이 상기 실린더의 로드(13)의 하부에 링크결합된다.
상기 실린더의 로드(13)가 인출되면 가변링크(14)가 고정축(141)을 중심으로 적재함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112)가 가이드홀(2111)을 따라 적재함의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사이드범퍼(21)를 적재함의 외측으로 인출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실린더의 로드(13)가 인입되면 가변링크(14)가 고정축(141)을 중심으로 적재함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2112)가 가이드홀(2111)을 따라 적재함의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사이드범퍼(21)를 적재함 위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사이드범퍼(21)가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차량 이동시에는 상기 적재함 위에 양측으로 적재되어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적재함의 측면 외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측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범퍼(21)가 측방으로 회동인출될 때 완충작용을 제공하는 완충장치(15)를 포함한다.
도 10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적재함 하부의 일측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스프링(151)이 장착되고, 상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완충되는 완충장치(15)를 지지하는 완충장치 지지브라켓(152)이 마련되며, 상기 탄성스프링(151)의 탄성력에 의하여 탄지되며 그 일측 단부에는 연결링크(155) 및 상기 완충장치 지지브라켓(152)에 일측이 힌지(H)결합되는 지지링크(154)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완충링크(153)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연결링크(155)와 힌지(H)결합되어 탄지되며 상기 완충장치 지지브라켓(152)의 일측에 힌지(H)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일측에는 개폐링크(157)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H)결합되는 회동 링크(156)와, 상기 회동링크(156)의 일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사이드범퍼(21)의 케이싱 외주면에 고정결합되는 케이싱 지지브라켓(158)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H)결합되는 소정 길이의 개폐링크(157)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는 적재함(11)의 측방으로 사이드범퍼(21)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이드범퍼(21)를 적재함의 외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완충장치(15)를 구성하는 완충링크(153)의 이동에 따라 탄성스프링(151)이 압축되고, 상기 탄성스프링(151)의 탄발력에 의하여 완충링크(153)가 완충되면서 사이드범퍼(21)가 적재함(11)의 측면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돌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범퍼(21)가 적재함의 내측 방향으로 회동시에는 탄성스프링(151)의 탄발력이 완충링크(153)에 작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이드범퍼(21)가 회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실린더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적재함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 및 사전 인지를 정보를 표시한다.
먼저, 상기 표시부(30)는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한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31a)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하로 회동되는 상하회동프레임(31b)을 포함하는 표지판 지지프레임(31)과, 상기 상하회동프레임에 결합되며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상하회동프레임(31b)을 통해 적재함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배치되어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가 보다 원거리에서도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를 파악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차량의 주행 금지를 표시하는 적색의 'X' 표시나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녹색의 '↙' 또는 '↘' 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복수의 LED가 점등 또는 점멸되어 유도신호를 표시할 수 있고, 또는 형광물질이나 반사물질 등으로 유도신호를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은 대형으로 일정 거리에서 향상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30)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33)과, 상기 전광판프레임에 결합되는 전광판(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광판(34)은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가 전방의 상황을 보다 신속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 도형, 숫자가 조합된 안내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광판(34)은 공사현장 주변으로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광판(34)은 공사현장 방향으로 접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경각심을 갖도록 부저, 경종, 사이렌, 경고음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11)의 전면과 후면의 양측 모서리에 아웃트리거(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트리거(12)는 상기 적재함(11)의 측면 모서리에 지면 방향으로 수직인출되어 상기 차량을 지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아웃트리거(12)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 양측 모서리에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차량을 2점 지지할 수 있고, 또는 적재함의 전면 및 후면의 양측 모서리에 각각 아웃트리거(12)가 마련되어 상기 차량을 4점 지지하여 접근차량과의 충돌 발생시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13과 같이, 일반적으로 고소작업차량의 전복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는 차체의 골격을 이루는 메인프레임(1)의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크로스바(5)와, 수평바(6) 및 수직바(7)로 구성된다. 그런데, 도 13과 같은 형태의 아웃트리거는 수평바(6)에 의해 수직바(7)가 적재함의 외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단된 차선의 옆 차선에서 주행하는 차량에 방해가 될 수 있어 추돌 등의 안전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범퍼(21)를 외측으로 인출시키거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업, 그리고 아웃트리거(12)를 인출시키거나 인입시키는 작업을 위한 컨트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작업자가 현장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사이드범퍼(21) 또는 아웃트리거(12)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5에서,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의 사이드범퍼(21)를 차량의 적재함(11)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한 상태이다. 이때, 차량(10)은 도로 공사 현장으로 이동할 때이거나 사이드범퍼(21)를 인출하지 않은 상태가 될 것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3에서,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를 도로 공사현장으로부터 후방의 일정 거리에 도로의 갓길이나 우측 가장자리 차로에 정차시킨 후에 상기 사이드범퍼(21)를 적재함의 측면 외측으로 인출시킨다. 사이드범퍼(21)는 적재함의 측면에 근접한 형태로 인출되기 때문에 옆 차로에서 다른 차량의 주행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사이드범퍼(21)의 인출 전, 또는 인출 후에 상기 아웃트리거(12)를 작동시켜 지면에 접촉 고정시켜야 할 것이다. 이때, 아웃트리거(12)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이때, 상기 사이드범퍼(21) 및 아웃트리거(12)는 제어부(미도시)와 무선으로 연결된 별도의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적재함(11)의 전면에 마련되는 상하회동프레임(31b)를 구동시켜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을 적재함의 소정 높이에 위치시킨 다음, 차량의 주행 금지를 표시하는 적색의 'X' 표시하거나 차량의 주행이 가능한 녹색의 '↙' 또는 '↘' 표시를 선택적으로 표시하여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가 위치한 차로 또는 인접 차로로 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한다.
다음으로, 도로 공사나 각종 안전사고에 의한 차량 통행의 제한이 해제된 때에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로부터 인출된 사이드범퍼(21)를 적재함으로 끌어 올리고, 소정 높이에 배치된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32)를 하강시킨다. 즉, 도 2 및 3의 상태에서 도 4 및 5의 상태로 전환한다. 이후, 지면에 접촉된 아웃트리거(12)를 해제하면 차량(1)이 이동 준비가 갖추어질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는 적재함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범퍼 및 후면에 배치되는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범퍼부를 통해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측방 또는 후방에서 진입한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공사현장의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으며, 공사구간이 가변되는 경우에도 차량을 통해 신속한 이동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 차량
11 : 적재함
12 : 아웃트리거
13 : 로드
14 : 가변링크
15 : 완충장치
20 : 범퍼부
21 : 사이드범퍼
22 : 리어범퍼
30 : 표시부
31 : 표시판 지지프레임
32 :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
33 : 전광판프레임
34 : 전광판

Claims (6)

  1. 도로의 공사현장에 배치되며, 운전석의 후방으로 적재함이 마련되는 차량(10)과; 사전에 차단된 특정차선을 침범하여 상기 공사현장으로 접근하는 접근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양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범퍼(21) 및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리어범퍼를 포함하는 범퍼부(20)와; 상기 적재함에 후방을 향해 설치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하는 운전자에게 경고 및 사전 인지를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사이드범퍼(21)는 상기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를 회동축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량 이동시에는 상기 적재함 위에 양측으로 적재되어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으며, 공사현장에서는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하향 회동되어 적재함의 측면 외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측방으로부터 접근하는 차량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고,
    상기 사이드범퍼(21)는,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1차 완충되도록 강도가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장방형의 케이싱(211)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삽입되며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2차적으로 완충되는 완충부재(212)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재는 양측면이 개방되는 육면체로서, 판상형의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대응되는 판상체로서 상기 전면부의 후방에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의 상단 모서리와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굴곡형태로 이루어져 접근차량과의 추돌시 찌그러지면서 완충효과를 제공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범퍼는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후방을 향하여 설치되는 X자 형태의 고정브라켓와,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며 상기 접근차량이 후방에서 충돌하였을 때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을 최소화하여 상기 차량의 전방에서 작업중인 작업자의 안전과 접근차량을 운전중인 운전자를 보호하는 충격완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차량과의 충돌 발생시 상기 이동식 방호장치의 이동 또는 전복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함의 측면 모서리에 지면 방향으로 수직인출되어 상기 차량을 지지하는 아웃트리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재함의 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하로 회동되는 상하회동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지판 지지프레임과,
    상기 상하회동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되며, 적재함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상향 회동되어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에게 해당 차선의 주행 가능 여부를 가시적으로 표시하는 도로안전 유도신호표지판과,
    상기 적재함의 후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전광판프레임과,
    상기 전광판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공사현장 방향으로 주행중인 운전자가 전방의 상황을 보다 신속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문자, 도형, 숫자가 조합된 안내정보가 표시되는 전광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KR1020220022813A 2021-12-29 2022-02-22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KR102415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13A KR102415050B1 (ko) 2022-02-22 2022-02-22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PCT/KR2022/009738 WO2023128092A1 (ko) 2021-12-29 2022-07-06 도로 공사용 안내 장치 및 도로 공사용 방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813A KR102415050B1 (ko) 2022-02-22 2022-02-22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050B1 true KR102415050B1 (ko) 2022-06-30

Family

ID=8221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813A KR102415050B1 (ko) 2021-12-29 2022-02-22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0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4324A (zh) * 2023-02-13 2023-05-09 淮阴工学院 一种缓冲装置及防撞车
CN116084324B (zh) * 2023-02-13 2024-06-04 淮阴工学院 一种缓冲装置及防撞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56B1 (ko) 2011-05-02 2011-12-22 (주)신화금속 도로용 방호벽
KR101694141B1 (ko) * 2016-05-10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방호 울타리
KR20200000171U (ko) * 2018-07-13 2020-01-22 이선영 도로공사 표지판을 갖는 차량
KR102366160B1 (ko) * 2021-12-29 2022-02-23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7056B1 (ko) 2011-05-02 2011-12-22 (주)신화금속 도로용 방호벽
KR101694141B1 (ko) * 2016-05-10 201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동식 방호 울타리
KR20200000171U (ko) * 2018-07-13 2020-01-22 이선영 도로공사 표지판을 갖는 차량
KR102366160B1 (ko) * 2021-12-29 2022-02-23 주식회사 제다코리아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84324A (zh) * 2023-02-13 2023-05-09 淮阴工学院 一种缓冲装置及防撞车
CN116084324B (zh) * 2023-02-13 2024-06-04 淮阴工学院 一种缓冲装置及防撞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8717B2 (en) Safety truck attachments, and methods of safety truck use
US20210164179A1 (en) Mobile barrier
US9394657B2 (en) Mobile barrier
KR10236616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안내 장치
US20090290324A1 (en) Safety and construction trailer
JP3208674U (ja) 工事規制標識装置
US9045881B1 (en) Deployable safety apparatus
KR102415050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방호장치
KR20150129247A (ko)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915336B1 (ko) 보행자 보호용 방호장치
WO2017196054A1 (ko) 이동식 방호 울타리
EP1191150B1 (en) Temporary passage for road median barrier
KR101464865B1 (ko) 차량용 크레인 조종석 캐빈
CN112343420A (zh) 一种工程道路施工用道路警示防护装置
CN215714861U (zh) 一种土木工程道路桥梁防撞护栏
KR102365652B1 (ko) 도로의 차선 차단 신호장치
KR102508386B1 (ko) 도로 공사용 이동식 보조장치
KR101653239B1 (ko) 이동식 방호 울타리
KR102237142B1 (ko) 차량통행 지시기능 및 휴게시설을 갖춘 싸인보드 차량시스템
KR102292887B1 (ko) 횡단보도의 차단막 복구장치
KR200482179Y1 (ko) 사인보드 트레일러
KR102619294B1 (ko) 편도 5차선 도로용 이동식 차선안내장치
KR102648261B1 (ko) 도로 작업자의 보호장치
KR102614231B1 (ko) 도로 공사현장용 안내표지판 자동설치시스템
CN215441589U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交通管制用限高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