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5841Y1 - 낚시줄연결구 - Google Patents

낚시줄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5841Y1
KR200405841Y1 KR2020050029296U KR20050029296U KR200405841Y1 KR 200405841 Y1 KR200405841 Y1 KR 200405841Y1 KR 2020050029296 U KR2020050029296 U KR 2020050029296U KR 20050029296 U KR20050029296 U KR 20050029296U KR 200405841 Y1 KR200405841 Y1 KR 200405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ranch
main
fishing
branch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9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길
Original Assignee
최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길 filed Critical 최명길
Priority to KR2020050029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5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5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5841Y1/ko
Priority to JP2006279699A priority patent/JP4601597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53Fishing booms, i.e. connecting devices spreading out the leaders, e.g. to avoid tangling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첫 번째 본선(11)에 대하여 두 번째 본선(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바늘(14)이 연결된 지선(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낚시줄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방향으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의 양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제1,2본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줄연결구{a fishing line connector}
도 1은 종래의 낚시줄에 있어서 본선 및 지선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와 본선 및 지선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와 본선 및 지선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 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3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낚시줄연결구의 제1실시예 21, 22 ... 제1,2본선공
23 ... 지선공
120 ... 낚시줄연결구의 제2실시예 121, 122 ... 제1,2본선공
121a, 122a ... 돌부 123 ... 지선공
220 ... 낚시줄연결구의 제3실시예 221, 222 ... 제1,2본선공
223 ... 지선공 223a, 223b ... 입구, 출구
223c ... 단차
320 ... 낚시줄연결구의 제4실시예 321, 322 ... 제1,2본선공
323 ... 지선공 323a, 323b ... 입구, 출구
420 ... 낚시줄연결구의 제5실시예 421 ... 중앙본선공
422a, 422b ... 제1,2본선공 423a, 423b ... 제1,2지선공
520 ... 낚시줄연결구의 제6실시예 521 ... 중앙본선공
522a. 522b ... 제1,2본선공a 523a, 523b ... 제1,2지선공
523a', 523b' ... 단차
620 ... 낚시줄연결구의 제7실시예 621 ... 중앙본선공
622a, 622b ... 제1,2본선공 623a, 623b ... 제1,2지선공
720 ... 낚시줄연결구의 제8실시예 721, 722 ... 제1,2본선공
723 ... 지선공
820 ... 낚시줄연결구의 제9실시예 821, 822 ... 제1,2본선공
823 ... 지선공 823a, 823b ... 입구, 출구
823c ... 단차
920 ... 낚시줄연결구의 제10실시예 921, 922 ... 제1,2본선공
923 ... 지선공 923a, 923b ... 입구, 출구
1020 ... 낚시줄연결구의 제11실시예 1021a, 1021b ... 제1본선공
1022a, 1022b ... 제2본선공 1023 ... 지선공
1120 ... 낚시줄연결구의 제12실시예 1121a, 1121b ... 제1본선공
1122a, 1122b ... 제2본선공 1123 ... 지선공
1123a, 1123b ... 입구, 출구 1123c ... 단차
1220 ... 낚시줄연결구의 제13실시예
1221a, 1221b ... 제1본선공 1222a, 1222b ... 제2본선공
1223 ... 지선공 1223a, 1223b ... 입구, 출구
본 고안은 첫 번째 본선에 대하여 두 번째 본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낚시줄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낚시줄에 있어서 본선의 단부에는 봉이 설치되고, 본선의 중간중간에는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된다. 이때 지선(3)을 본선(1)에 연결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선(1)의 중간중간에 소정 간격을 이루게 한쌍 이상의 구슬(5)(6)을 삽입하고, 구슬(5)(6) 사이의 간격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각 구슬(5)(6)의 외측에서 본선(1)을 묶어 매듭(1a)(1b)을 형성하였다. 즉 구슬(5)(6)이 걸어지는 매듭(1a)(1b)을 형성함으로써, 구슬(5)(6)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 태에서, 지선(3)의 단부에 연결된 고리(3a)를 양 구슬(5)(6) 사이에 걸음으로써, 지선(3)은 본선(1)에 연결되는 것이다.
그런데, 본선에 있어서 구슬(5)(6)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매듭(1a)(1b)은 본선(1)을 묶어서 구현한 것이기 때문에, 낚시도중에 본선(1)이나 지선(3)에 많은 장력이 인가될 때 매듭(1a)(1b)된 부분이 끊어지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유속이 변화하거나 여러번의 채비를 할 경우에, 물속에서 본선(1)이 회전하면서 지선(3)과 엉키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낚시를 하기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낚시도중에 많은 장력이 인가되더러도 본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낙시줄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물속에서 유속이나 채비를 반복하더라도 본선이나 지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낚시줄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다른 여러 본선을 연결할 수 있는 낚시줄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일실시예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선공의 양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제1,2본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2본선공(121)과 제2본선공(122)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부로 돌출되는 돌부(121a)(122a)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223)은 작은 직경의 입구(223a)와 큰 직경의 출구(2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223a)와 출구(22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223c)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323)은 입구(323a)에서 출구(3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2 개의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423a)(4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지선공(423a)(423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1,2지선공(423a)(423b) 사이에 첫 번째 본선(11)이 연결되는 중앙본선공(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지선공(423a)(423)의 양측으로 2 개의 두 번째 본선(12a)(12b)이 연결되는 제1,2본선공(422a)(4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선공(523a)(523b) 각각은 작은 직경의 입구와 큰 직경의 출구를 가지는데, 상기 입구와 출구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523a')(523b')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선공(623a)(623b)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7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7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723)의 일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본선공(721)(7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623)은 작은 직경의 입구(623a)와 큰 직경의 출구(6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623a)와 출구(6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623c)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923)은 입구(923a)에서 출구(9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10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10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선공(1023)의 양측에 2개의 첫 번째 본선과 2개의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각각 2개씩의 제1본선공(1021a)(1021b)과 제2본선공(1022a)(1022b)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1123)은 작은 직경의 입구(1123a)와 큰 직경의 출구(11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1123a)와 출구(11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1123c)가 형성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1223)은 입구(1223a)에서 출구(12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와 본선 및 지선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는, 첫 번째 본선(11)에 대하여 두 번째 본선(1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바늘(14)이 연결된 지선(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낚시줄연결구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며 이를 하나하나씩 설명하며 본다.
도 3은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1실시예(20)는, 일방향으로 지선공(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23)의 양측에 제1,2본선공(21)(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14)이 연결된 지선(13)은 지선공(23)을 관통한 후 매듭(13')됨으로써 지선(23)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또 첫 번째 본선(11)은 상부로부터 제1본선공(21)을 관통한 후 하부에서 매듭(11')됨으로써 낚시줄연결구(20)를 지지하고, 두번째 본선(12)은 제2본선공(22)의 하부로부터 관통한 후 상부에서 매듭(12')됨으로써 낚시줄연결구(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여러개의 낚시줄연 결구와 본선들을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첫 번째 본선(11)과 두 번째 본선(12)은 엇갈리게 낚시줄연결구(20)에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두께가 다른 본선이라 하더라도 낚시줄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2실시예(120)는, 일방향으로 지선공(1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1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123)의 양측에 제1,2본선공(121)(1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본선공(121)과 제2본선공(122)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부로 돌출되는 돌부(121a)(122a)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2 개의 돌부 각각에 제1본선공(121)과 제2본선공(122)이 형성된 것을 예로써 설명하고 있으나, 하나의 돌부가 형성되고 그 돌부에 본선공이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본선(11)과 지선(13)을 연결하는 방식은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3실시예(220)는, 일방향으로 지선공(2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2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223)의 양측에 제1,2본선공(221)(2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지선(13)이 연결되는 지선공(223)은 작은 직경의 입구(223a)와 큰 직경의 출구(223b)를 가지는데, 입구 (223a)와 출구(22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223c)가 형성된다.
지선공(223)의 입출구(223a)(223b)로 지선(13)의 일단을 관통시킨 후 관통된 부분을 매듭짓고, 이후 지선(13)을 잡아당기면 매듭된 부분은 출구(223b) 내부로 몰입된 후 단차(223c)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지선(13)은 지선공(2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매듭된 부분이 출구(223b)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연결구가 깔끔하게 마감된다.
도 6은 도 2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4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4실시예(320)는, 일방향으로 지선공(3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3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323)의 양측에 제1,2본선공(321)(3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지선(13)이 연결되는 지선공(323)은 입구(323a)에서 출구(3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지선공(323)의 입출구(323a)(323b)로 지선(13)의 일단을 관통시킨 후 관통된 부분을 매듭짓고, 이후 지선(13)을 잡아당기면 매듭된 부분은 테이퍼진 출구(323b) 내부로 몰입된 후 걸리게 된다. 그러면 지선(13)은 지선공(32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매듭된 부분이 테이퍼진 출구(323b)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연결구가 깔끔하게 마감된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와 본선 및 지선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는 첫 번째 본선(11)에 대하여 2 개의 두 번째 본선(12a)(12b)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낚시바늘(14) 이 연결된 2 개의 지선(13a)(13b)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낚시줄연결구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며 이를 하나하나씩 설명하며 본다.
도 8은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5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5실시예(420)는, 일방향으로 2 개의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423a)(42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2지선공(423a)(423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제1,2지선공(423a)(423b) 사이에 첫 번째 본선(11)이 연결되는 중앙본선공(421)이 형성되고, 제1,2지선공(423a)(423)의 양측으로 2개의 두 번째 본선(12a)(12b)이 연결되는 제1,2본선공(422a)(422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14)이 연결된 지선(13a)(13b)은 제1,2지선공(423a)(423b)을 관통한 후 매듭(13a')(13b')됨으로써 제1,2지선공(423a)(423b)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연결된다. 또 첫 번째 본선(11)은 상부로부터 중앙본선공(421)을 관통한 후 하부에서 매듭(11')됨으로써 낚시줄연결구(420)를 지지하고, 두번째 본선(12a)(12b)은 제1,2본선공(422a)(422b)의 하부로부터 관통한 후 상부에서 매듭(12a')(12b')됨으로써 낚시줄연결구(4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여러개의 낚시줄연결구와 본선들을 상기한 방법에 의하여 연결되는데, 첫 번째 본선(11)과 두 번째 본선(12a)(12b)은 엇갈리게 낚시줄연결구(420)에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두께가 다른 본선이라 하더라도 낚시줄연결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6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 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6실시예(520)는, 일방향으로 2 개의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523a)(52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2지선공(523a)(523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제1,2지선공(523a)(523b) 사이에 첫 번째 본선(11)이 연결되는 중앙본선공(521)이 형성되고, 제1,2지선공(523a)(523b)의 양측으로 두 번째 본선(12a)(12b)이 연결되는 제1,2본선공(522a)(522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523a)(523b) 각각은 작은 직경의 입구와 큰 직경의 출구를 가지는데, 입구와 출구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523a')(523b')가 형성된다.
제1,2지선공(523a)(523b)의 입출구로 2 개의 지선(13a)(13b)을 각각 관통시킨 후 관통된 부분을 매듭짓고, 이후 2지선(13a)(13b)을 잡아당기면 매듭된 부분은 출구 내부로 몰입된 후 단차(523a')(523b')에 걸리게 된다. 그러면 지선(13)은 제1,2지선공(523a)(523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매듭된 부분이 출구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연결구가 깔끔하게 마감된다.
도 10은 도 7에 채용되는 낚시줄연결구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7실시예(620)는, 일방향으로 2 개의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623a)(623b)이 형성되어 있고, 제1,2지선공(623a)(623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제1,2지선공(623a)(623b) 사이에 첫 번째 본선(11)이 연결되는 중앙본선공(621)이 형성되고, 제1,2지선공(623a)(623b)의 양측으로 두 번째 본선(12a)(12b)이 연결되는 제1,2본선공(622a)(622b)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623a)(623b)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제1,2지선공(623a)(623b)의 입출구로 2 개의 지선(13a)(13b)을 각각 관통시킨 후 관통된 부분을 매듭짓고, 이후 2개의 지선(13a)(13b)을 잡아당기면 매듭된 부분은 테이퍼진 출구 내부로 몰입되어 걸리게 된다. 그러면 지선(13a)(13b)은 제1,2지선공(623a)(623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고, 매듭된 부분이 출구 내부에 위치되므로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낚시줄연결구가 깔끔하게 마감된다.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8실시예(720)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7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7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723)의 일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본선공(721)(722)이 형성된다. 지선공(7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2본선공(721)(722)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9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9실시예(820)은,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8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8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823)의 일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본선공(821)(822)이 형성된다. 이때, 지선공(823)은 작은 직경의 입구(823a)와 큰 직경의 출구(823b)를 가지며, 입구(823a)와 출구(8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823c)가 형성된다. 지선공(8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2본선공(821)(822)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0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10실시예(920)은,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9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9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923)의 일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본선공(921)(922)이 형성된다. 이때 지선공(923)은 입구(923a)에서 출구(9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지선공(9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2본선공(921)(922)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1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11실시예(1020)는, 일방향으 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10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10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1023)의 양측에 2개의 첫 번째 본선과 2개의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각각 2개씩의 제1본선공(1021a)(1021b)과 제2본선공(1022a)(1022b)이 형성된다. 지선공(10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본선공(1021a)(1021b)와 제2본선공(1022a)(1022b) 각각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2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12실시예(1120)는,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11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11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1123)의 양측에 2개의 첫 번째 본선과 2개의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각각 2개씩의 제1본선공(1121a)(1121b)과 제2본선공(1122a)(1122b)이 형성된다. 이때, 지선공(1123)은 작은 직경의 입구(1123a)와 큰 직경의 출구(1123b)를 가지며, 입구(1123a)와 출구(11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1123c)가 형성된다. 지선공(11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본선공(1121a)(1121b)와 제2본선공(1122a)(1122b) 각각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의 제13실시예에 있어서, 본선공과 지선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낚시줄연결구의 제13실시예(1220)는, 일방향으 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1223)이 형성되어 있고, 지선공(12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지선공(1223)의 양측에 2개의 첫 번째 본선과 2개의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각각 2개씩의 제1본선공(1221a)(1221b)과 제2본선공(1222a)(1222b)이 형성된다. 이때 지선공(1223)은 입구(1223a)에서 출구(12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다. 지선공(1223)에 지선을 연결시키고, 제1본선공(1221a)(1221b)와 제2본선공(1222a)(1222b) 각각에 본선을 연결시키는 방식은 전술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낚시줄연결구에 따르면, 2 개의 또는 3 개의 본선을 어긋나도록 연결함으로써, 낚시도중에 많은 장력이 인가되더러도 본선이 끊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속에서 유속이나 채비를 반복하더라도, 본선이나 지선이 낚시줄연결구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어 낚시도중에 본선과 지선의 꼬임이나 엉킴을 방지할 수 있어, 낚시를 장시간동안 할 수 있다.
그리고, 낚시줄연결구에 다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두께가 다른 여러 본선을 연결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낚시줄의 연결강도를 높일 수 있다.

Claims (13)

  1.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선공의 양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제1,2본선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본선공(121)과 제2본선공(122)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부로 돌출되는 돌부(121a)(122a)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223)은 작은 직경의 입구(223a)와 큰 직경의 출구(2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223a)와 출구(22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22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323)은 입구(323a)에서 출구(3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낚시줄연결구.
  5.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2 개의 지선(13a)(13b)이 연결되는 제1,2지선공(423a)(4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지선공(423a)(423b)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제1,2지선공(423a)(423b) 사이에 첫 번째 본선(11)이 연결되는 중앙본선공(4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2지선공(423a)(423)의 양측으로 2 개의 두 번째 본선(12a)(12b)이 연결되는 제1,2본선공(422a)(4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선공(523a)(523b) 각각은 작은 직경의 입구와 큰 직경의 출구를 가지는데, 상기 입구와 출구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523a')(523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지선공(623a)(623b)은 입구에서 출구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8.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7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7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선공(723)의 일측에 첫 번째 본선과 두 번째 본선이 각각 연결되는 제1,2본선공(721)(7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823)은 작은 직경의 입구(823a)와 큰 직경의 출구(8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823a)와 출구(8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82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923)은 입구(923a)에서 출구(9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11. 일방향으로 낚시바늘이 연결된 지선이 연결되는 지선공(10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선공(1023)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상기 지선공(1023)의 양측에 2개의 첫 번째 본선과 2개의 두 번째 본선이 엇갈리게 연결되는 각각 2개씩의 제1본선공(1021a)(1021b)과 제2본선공(1022a)(1022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1123)은 작은 직경의 입구(1123a)와 큰 직경의 출구(1123b)를 가지며, 상기 입구(1123a)와 출구(1123b)가 만나는 부분에는 단차(1123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선공(1223)은 입구(1223a)에서 출구(1223b)로 갈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줄연결구.
KR2020050029296U 2005-10-14 2005-10-14 낚시줄연결구 KR200405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96U KR200405841Y1 (ko) 2005-10-14 2005-10-14 낚시줄연결구
JP2006279699A JP4601597B2 (ja) 2005-10-14 2006-10-13 釣り糸連結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9296U KR200405841Y1 (ko) 2005-10-14 2005-10-14 낚시줄연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137A Division KR20070041406A (ko) 2006-10-25 2006-10-25 낚시줄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5841Y1 true KR200405841Y1 (ko) 2006-01-11

Family

ID=38031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9296U KR200405841Y1 (ko) 2005-10-14 2005-10-14 낚시줄연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01597B2 (ko)
KR (1) KR200405841Y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54U (ko) * 1989-06-27 1991-02-19
JPH0344045U (ko) * 1989-09-08 1991-04-24
JP2517353Y2 (ja) * 1989-09-29 1996-11-2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プール底用緩衝体
JP2516412Y2 (ja) * 1990-06-14 1996-11-06 リヨービ株式会社 釣用仕掛けのエダス固定具
JP3062751B1 (ja) * 1999-04-30 2000-07-12 實 竹内 釣り用ハリス止め仕掛
JP4239164B2 (ja) * 2003-06-24 2009-03-18 政敏 加藤 釣り糸接続具兼用撚り戻し具
JP4420411B2 (ja) * 2003-07-17 2010-02-24 保博 川上 釣糸のワンタッチ式連結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01597B2 (ja) 2010-12-22
JP2007105042A (ja) 200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5691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ower drag helix rope for pelagic trawls
CN102782361B (zh) 混杂绳索
ES2702523T3 (es) Cuerda con cubierta trenzada para redes de arrastre pelágicas
EP2831336B1 (de) Kern-mantelseil
KR200405841Y1 (ko) 낚시줄연결구
KR20070041406A (ko) 낚시줄연결구
EP1659209B2 (en) Static rope and mast or boom construction including a static rope
CN2898069Y (zh) 外墙加固网格布
KR101435977B1 (ko) 스누드
DK1471192T3 (en) Concrete Component connector
JP3541146B2 (ja) 網仕立用ロープ及びそれを用いた網並びに網の仕立方法
JP7478496B1 (ja) ロープ、ストランド、およびストランドの製造方法
CN108708201A (zh) 一种双层多股编织绳缆
KR100605287B1 (ko) 그라우트 유도관이 내부에 마련되는 그라운드 앵커
JPH0440456Y2 (ko)
CN218619645U (zh) 一种组装式绕线盘
JP3244221U (ja) 繊維ロープ
TWM515280U (zh) 漁具浮子繩
US20080000136A1 (en) Method for Production or Pre-Assembly of a Net in Particular a Fishing Net and Fishing Net Obtained Thus
JP7477879B2 (ja) 弓用ストリングのループ部形成方法および弓用ストリングの製造方法
JP4508741B2 (ja) インシュレーションダイ用インサート
KR20110006878U (ko) 강화사를 와인딩하여 준설호스를 제조하는 방법과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준설호스
KR200365616Y1 (ko) 무매듭 쌍바늘채비
WO2017045098A1 (zh) 渔具浮子绳
KR200214513Y1 (ko) 외줄낚시채비_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