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552Y1 - 차선 임시 표시구 - Google Patents

차선 임시 표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552Y1
KR200403552Y1 KR20-2005-0027810U KR20050027810U KR200403552Y1 KR 200403552 Y1 KR200403552 Y1 KR 200403552Y1 KR 20050027810 U KR20050027810 U KR 20050027810U KR 200403552 Y1 KR200403552 Y1 KR 2004035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ne
indicator
lane temporary
present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78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 호 김
Original Assignee
(주)서흥 알 이에프
성 호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흥 알 이에프, 성 호 김 filed Critical (주)서흥 알 이에프
Priority to KR20-2005-00278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5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5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5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65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having deflectable or displaceable parts
    • E01F9/573Self-righting, upright flexible or rockable markers, e.g. resilient flaps bending 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Abstract

본 고안은 차선 임시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형상의 PE 발포체로 구성되어진 몸체(11)와; 상기 몸체(11)를 감쌀 수 있도록 몸체(11) 외관에 구성되어지며, 상단에 돌출편(12a)이 구성되어진 형광 반사재(12)와; 상기 형광 반사재(12)의 밑면 즉 도로에 접착 고정될 수 있는 부위에 부착 구성되는 양면테이프(13);로 구성되어진다.
이에 본 고안은 몸체를 탄발 복원력이 뛰어난 PE 발포체로 구비하여 차량의 하중에도 훼손되지 않고 원상태로 복원되어져 차선 임시 표시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 외부에 형광 반사재를 구비하여 주간에는 형광색에 의해 야간에는 고휘도의 빛 반사에 의해 식별력이 향상되어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선 임시 표시구{Lane temporary indicator}
본 고안은 도로 차선을 도색하기전 운전자에게 일시적으로 도로의 차선을 인식시켜 안전한 주행을 유도하게 되는 차선 임시 표시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테이프로 부착되어져 설치가 간편하며 PE발포체로 구성되어 탄발 복원력이 우수하여 중량에 의한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관에 형광 반사재를 구성하여 주/야간에 관계없이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차선 임시 표시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도로의 신축 공사나 도로 보수 공사 후 차선을 도색하여야 하는데 차선을 도색하기 전 운전자의 안전한 주행을 도모하기 위해 차도에 차선 임시 표시구가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종래에 사용되어지는 차선 임시 표시구(1)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도(D) 표면에 부착되어지는 베이스부(1a)와, 이 베이스부(1a)에 대해 수직되게 형성된 표시부(1b), 및 표시부(1b)의 양측면에 부착되는 야광시트(1c)로 구성되어지며, 전체적으로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종래의 차선 임시 표시구(1)는 베이스부(1a)의 저면에 부착된 접착시트(1d)를 통해 차도(D)에 탈부착된다. 즉, 차선 임시 표시구(1)는 차선을 도색하기 이전에 부착되어 사용되다가 차선을 도색한 경우 차도(D)에서 제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선 임시 표시구(1)는 운전자가 주간에는 차선 임시 표시구(1)의 색상과 형상을 통해 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차선 임시 표시구(1)의 안내를 받아 차량을 주행하게 되며, 야간에는 야광시트(1c)에 의해 반사되는 빛과 형상을 보고 차량을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차선 임시 표시구(1)는 차량이 통과할 때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된 표시부(1b)가 차량으로부터의 동적하중에 의해 눌리게 되는데, 차선 임시 표시구(1)가 경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표시부(1b)와 베이스부(1a)의 이음부가 파단되어 표시부(1b)가 베이스부(1a)에서 떨어지는 한편, 차량으로부터의 동적하중과 함께 차량 바퀴와의 접촉 저항에 의해 표시부(1b)가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밀리기 때문에 표시부(1b)에 부착된 야광시트(1c)가 표시부(1b)에서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에서 처럼 표시부(1b)가 베이스부(1a)에서 제거되고, 야광시트(1c)가 표시부(1b)에서 제거되면 주/야간 모두 운전자에게 차선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차선 임시 표시구(1)로서의 신뢰성이 떨어지고, 차선이 구획되지 않으므로 운전자에게 혼란을 주어 교통사고가 야기될 수 있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간의 식별력은 반사재의 형광색으로 야간의 식별력은 고휘도의 반사재로 구성하여 식별력이 뛰어나 차선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차선 임시 표시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PE 발포체의 충격흡수재를 사용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중량에 의해 훼손을 막아 처음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차선 임시 표시구는 일정 형상의 PE 발포체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 외관에 구성되어진 형광 반사재와; 상기 형광 반사재의 한쪽면 즉 밑면에 차선 임시 표시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부착된 양면테이프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임시 표시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차선 임시 표시구(10)는 몸체(11)와, 형광 반사재(12), 및 양면테이프(13)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몸체(11)는 일정 형상의 PE 발포체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몸체(11)는 본 고안에 따른 첨부된 도면 도 4에서와 같이 반원기둥뿐만 아니라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지게 된다.
상기 형광 반사재(12)는 몸체(11)를 감쌀 수 있도록 몸체(11) 외관에 구성되어지며, 상단에 돌출편(12a)이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형광 반사재(12)는 PVC(Polyvinyl chloride), 아크릴(acrylic),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형광 반사재(12)는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표현되어지게 된다.
상기 양면테이프(13)는 차선 임시 표시구(10)가 도로에 접착 고정될 수 있는 부위, 즉 형광 반사재(12)의 밑면에 부착 구성되어진다.
한편 본 고안의 차선 임시 표시구(10)는 차선을 표시하기 위한 도로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의 가이드레일이나 공사 현장 등 주의를 요하는 구조물에 일시적으로 부착되어져 구조물의 안전한 보전과 구조물을 피해야 하는 상태 차량 및 보행자로 하여금 쉽게 인지하여 안전한 운행과 보행을 유지할 수 있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상기 양면테이프(13)를 사용하여 차선 임시 표시구(10)를 도로에 부착시켜 차선을 표시하게 되면 이에 운전자는 차선 임시 표시구(10)를 확인하면서 재차선으로 차량을 운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차선 임시 표시구(10)의 외관이 형광 반사재(12)로 이루어져 있어 주간에는 형광색에 의해 용이한 식별이 가능하게 되며, 야간에는 차량의 전조등 불빛에 의해 빛이 반사되어지게 되는 고휘도의 반사재로 이루어짐으로 차선 임시 표시구가 선명하게 식별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형광 반사재(12) 상단에 돌출편(12a)이 구비되어져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부위를 최대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PE 발포체로 이루어진 몸체(11)의 특성에 의해 주행하는 차량이 차선 임시 표시구(10)를 밟고 지나가도 원상태로 금방 복원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를 탄발 복원력이 뛰어난 PE 발포체로 구비하여 차량의 하중에도 훼손되지 않고 원상태로 복원되어져 차선 임시 표시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 외부에 형광 반사재를 구비하여 주간에는 형광색에 의해 야간에는 고휘도의 빛 반사에 의해 식별력이 향상되어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일반적인 차선 임시 표시구의 설치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차선 임시 표시구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차선 임시 표시구를 보인 일부 절개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차선 임시 표시구의 절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선 임시 표시구 (11) : 몸체
(12) : 형광 반사재 (12a) : 돌출편
(13) : 양면테이프

Claims (3)

  1. 일정 형상의 PE 발포체로 구성되어진 몸체(11)와;
    상기 몸체(11)를 감쌀 수 있도록 몸체(11) 외관에 구성되어지며, 상단에 돌출편(12a)이 구성되어진 형광 반사재(12)와;
    상기 형광 반사재(12)의 밑면 즉 도로에 접착 고정될 수 있는 부위에 부착 구성되는 양면테이프(13);
    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임시표시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는 반원기둥이나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임시표시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 반사재(12)는 PVC(Polyvinyl chloride), 아크릴(acrylic), TPU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선 임시 표시구.
KR20-2005-0027810U 2005-09-28 2005-09-28 차선 임시 표시구 KR2004035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10U KR200403552Y1 (ko) 2005-09-28 2005-09-28 차선 임시 표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7810U KR200403552Y1 (ko) 2005-09-28 2005-09-28 차선 임시 표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552Y1 true KR200403552Y1 (ko) 2005-12-09

Family

ID=43704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7810U KR200403552Y1 (ko) 2005-09-28 2005-09-28 차선 임시 표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55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8098Y1 (ko) 도로표시구
US9334614B1 (en) Traffic barrier delineator apparatus
WO2012139594A1 (es) Reductores de velocidad reflectivos metálicos removibles
KR200403552Y1 (ko) 차선 임시 표시구
JPS6117610A (ja) 表示線用発光ブロツク
KR200492789Y1 (ko) 안전 운전을 위한 도로용 매트
JP3223345U (ja) 光反射具
KR20180039343A (ko) 도로표지병
KR100806861B1 (ko) 교통안내 경계석
KR101082341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100710877B1 (ko) 유턴차선 표시용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0939536B1 (ko) 차선 표시구
KR200260369Y1 (ko) 교각용 안전표지판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CN213773065U (zh) 一种夜间防撞标示装置
KR100300090B1 (ko) 도로매설용차선표시구
KR101132004B1 (ko) 압전소자가 적용된 교통사고 예방장치
KR200384154Y1 (ko) 지주형 도로 표시판 구조
KR200401523Y1 (ko) 도로용 표지병 구조
KR200385869Y1 (ko) 차선 규제봉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CN211713781U (zh) 一种可发光的车挡石装置
KR100965929B1 (ko)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KR200241068Y1 (ko) 도로안전 표시봉
KR0129736Y1 (ko)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