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9736Y1 -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 Google Patents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736Y1
KR0129736Y1 KR2019960002403U KR19960002403U KR0129736Y1 KR 0129736 Y1 KR0129736 Y1 KR 0129736Y1 KR 2019960002403 U KR2019960002403 U KR 2019960002403U KR 19960002403 U KR19960002403 U KR 19960002403U KR 0129736 Y1 KR0129736 Y1 KR 0129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insertion hole
protrusion
center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1916U (ko
Inventor
전연수
Original Assignee
전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연수 filed Critical 전연수
Priority to KR2019960002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9736Y1/ko
Publication of KR9700519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19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일반적인 도로표시구 중 중앙분리표시구는 오인시 심각한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고정덮개(가)가 위로 길레 연장돌출된 몸체(11)를 갖는 표시구(나) 하부를 덮으면서 위에서 고정하고 하부에서는 하지지구(다)의 중앙돌출구(20)가 중공부(10)에 삽입되어 지위하므로서 도로에 간단히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표시기능을 발휘하며, 충격흡수기능이 있어 차량이 진행되면서 착오로 충력을 주어도 계속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고정덮개 나 : 표시구
다 : 하지지구 1 : 테이퍼부
2 : 삽입공 3 : 체결돌기부
4 : 지중고정돌기부 5 : 고정홈부
10 : 중공부 11 : 몸체
12 : 반사층 13 : 체결공
14 : 오목부 15 : 수평플레이트
20 : 중앙돌출구 21 : 지중고정돌기가이드홈
22 : 체결돌기가이드공 30 : 구멍
본 고안은 차선, 중앙분리선을 주야간에 명확히 구분표시하여 안전운전을 유도하며 충돌시 파손도 방지한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 또는 국도 등을 운행하는 경우 도로상황에 따라서 차선분리선과 중앙분리선 또는 기타 안전선, 횡단보도선 등과 같은 다양한 선에 의하여 차량의 진행이 유도되는 것이며 이를 표식이 잘못인식되는 경우 또는 표식이 불명확한 경우 크고작은 사고를 유발하는 것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중앙분리선은 서로 진행방향이 반대인 차량을 구분시켜 주는 것이기에 잘못인식되거나 구분이 되지 못하는 경우 대형참사로 이어지는 것이다.
현재 중앙분리선은 긴 실선으로 표시되며 일정간격을 두고 반사체를 내장한 표시구를 노면상에 돌출 고정시켜 야간에 실선이 보이지 않더라도 손쉽게 육안 식별토록하여 주고 있다.
또다른 형태로서 중앙에 분리대를 설치하여 이것에 직종 발광표지 또는 야광표지를 표현하는 형태들이 함께 병설되므로서 중앙차선분리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차선표지구는 나름대로 장점이 있으나 지면에 낮게 깔리는 형태는 높이가 낮은 관계로 쉽게 식별되지 못하여 분리표지 기능으로서 완벽치 못한것이며, 화단 높이 또는 그 이상의 분리대는 분리기능은 완벽한 대신 차량이 접촉시 차량이 쉽게 파손되고 심한 경우 또다른 사고유발 요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일정높이의 몸체의 외주면에 반사층을 형성한 표시구(나)를 고정덮개(가)로 고정하고 표시구는 하지지구(다)에 의하여 보다 단단하게 지지토록하여 도로 지면에 고정되므로서 먼거리에서도 운전자의 실선이 보이지 않더라도 손쉽게 육안 식별토록하여 주고 있다.
본 고안은 일정높이의 몸체의 외주면에 반사층을 형성한 표시구(나)를 고정덮개(가)로 고정하고 표시구는 하지지구(다)에 의하여 보다 단단하게 지지토록하여 도로지면에 고정되므로서 먼거리에서도 운전자의 눈에 보다 쉽게 인식되므로 도로 차선표지구로서 기능이 충분히 발휘됨은 물론 설사 차량이 접촉한다하여도 자체탄성으로 자체복원가능토록하여 장기 사용에도 파손이 극소화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시한다.
본 고안은 중앙의 삽입공(2)이 표시구의 몸체(11)단면 구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부(1)를 구성하되 저면에는 삽입공(2)를 중심으로 삽입공에 가까운 곳에 체결돌기부(3)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보다 길이가 긴 지중고정돌기부(4)가 형성된 고정덮개(가)와, 상기한 고정덮개(가)의 중앙 삽입공(2)에 삽입되어 지상돌출토록한 몸체(11)이 외주면에 그 이상의 반사층(12)을 형성하며 몸체(11)의 하부는 수평플레이트(15)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덮개의 체결돌기부(3)가 삽입가능한 체결공(13)을 형성하되 몸체(11)의 중앙에는 중공부(10)를 갖는 표시구(나)와, 상기한 표시구(나)의 중공부(10)에 끼워맞추어 질 수 있는 중앙돌출구(20)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주위에 상기한 고정덮개의 체결돌기부(3)가 끼워맞추어질 수 있는 체결돌기가이드공(22)이 형성되며, 양측변에는 지중고정돌기부(4)가 일부 끼워지면서 지나가도록 지중고정돌기가이드홈(21)이 형성된 하지지구(다)로 구성하여 조립시 지중고정돌기부(4)만이 도로지중에 삽입고정토록 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 표시구(나)는 판체구조를 같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직육면체, 원통체, 다면체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가능한 것이며, 재질은 자동차 충돌시 자체 복원가능한 고무, 탄성합성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한다. 반사공(12)로 필요에 따라 중공부(10)에 전원공급부를 두어 자체발광성을 갖는 기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하지지구(다)에는 다수의 구멍(30)들이 형성되나 이는 재료절감의 특징외에도 단일체 보다는 열변형이 적고 강도가 증가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고정덮개(가)는 표시구(나)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즉, 표시구가 원통형이면 원형으로, 직육면체이면 직사각형 형태등으로 구성하여 서로 미적인 맷칭도 가능한 것이다.
이상의 본 고안은 도로에 설치시 지중고정돌기부(4)가 삽입가능할 정도로 천공후 각종 점착제 등으로 재워주고 지중고정돌기부(4)가 삽입토록하여 경화를 유도하므로서 설치가 되는 것이다.
도로의 경우 본 고안의 제품을 일정거리로 연속 설치하므로 능 차선분리구조물이 되며 또다르게는 이 곳에 각종 화살표 등 안내문이나 기호를 적어넣어 안내표시 기능도 발휘하는 것이다. 설치가 된 후에는 높이에 따른 특징으로 상당히 먼 거리에서도 식별이 가능하므로 야간이나 악천후에도 즉시 판독하여 위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주행시 차량이 충돌하더라도 충격을 흡수하여 자체 복원하므로 파손위험도 적어 장시간 경과후 표지기능이 계속유지되어 노후도로에서도 기능이 완벽히 발휘되는 사고 방지효과가 최대화되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의 삽입공(2)이 표시구의 몸체(11) 단면 구조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중앙에서 외주로 갈수록 경사진 테이퍼부(1)를 구성하되 저면에는 삽입공(2)을 중심으로 삽입공에 가까운 곳에 체결돌기부(3)를 형성하고 외측에는 길이가 긴 지중고정돌기부(4)가 형성된 고정덮개(가)와, 상기한 고정덮개(가)의 중앙삽입공(2)에 삽입되어 지상돌출토록 한 몸체(11)의 외주면에 반사층(12)을 형성하며, 몸체(11)의 하부는 수평플레이트(15)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고정덮개의 체결돌기부(3)가 삽입가능한 체결공을 형성하되 몸체(11)의 중앙에는 중공부(10)를 갖는 표시구(나)와, 상기한 표시구(나)의 중공부(10)에 끼워맞추어 질 수 있는 중앙돌출구(20)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그 주위에 상기한 고정덮개의 체결돌기부(3)가 끼워맞추어 질 수 있는 체결돌기가이드공(22)이 형성되며, 양측변에는 지중고정돌기부(4)가 일부 끼워지면서 지나가도록 지중고정돌기가이드홈(21)이 형성된 하지지구(나)로 구성되어 조립시 지중고정돌기부(4)만이 도로의 지중에 삽입고정토록하는 충격흡수 가능한 차선표시기.
KR2019960002403U 1996-02-15 1996-02-15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KR0129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03U KR0129736Y1 (ko) 1996-02-15 1996-02-15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403U KR0129736Y1 (ko) 1996-02-15 1996-02-15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916U KR970051916U (ko) 1997-09-08
KR0129736Y1 true KR0129736Y1 (ko) 1998-12-15

Family

ID=19450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403U KR0129736Y1 (ko) 1996-02-15 1996-02-15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973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1916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0546B1 (ko) 도로용 차선 규제봉
US11466414B2 (en) Traffic control marker including a reinforcing member
JPH11140832A (ja) 道路標識柱
KR0129736Y1 (ko) 충격흡수가능한 차선표시기
KR100961621B1 (ko) 도로표지병
KR101958657B1 (ko) 도로표지병
JPH08239812A (ja) 道路標識柱
KR200405204Y1 (ko) 도로 표지병
KR102168269B1 (ko) 다목적 시선 유도봉
KR101082341B1 (ko) 도로 차선 표지병
KR200208404Y1 (ko) 차선 식별용 도로 표지병
KR200271982Y1 (ko) 도로용 차량유도 봉
KR200331575Y1 (ko) 도로분리 표시대
KR200191507Y1 (ko) 차선표시용 도로표지병
KR20080079366A (ko) 차선 분리선용 도로 안전 표지병
KR200398245Y1 (ko) 도로 표지병
KR910008139Y1 (ko) 차선 표시대
KR200336636Y1 (ko) 도로의 중앙선 표시판
US2079260A (en) Highway pilot
KR200252854Y1 (ko) 도로용 안전표시봉
KR200197080Y1 (ko) 도로용 차선분리대
JP3136241U (ja) 自立型看板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385869Y1 (ko) 차선 규제봉
KR200423303Y1 (ko)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