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929B1 -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 Google Patents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929B1
KR100965929B1 KR1020090075967A KR20090075967A KR100965929B1 KR 100965929 B1 KR100965929 B1 KR 100965929B1 KR 1020090075967 A KR1020090075967 A KR 1020090075967A KR 20090075967 A KR20090075967 A KR 20090075967A KR 100965929 B1 KR100965929 B1 KR 10096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school zone
school
roadwa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5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주일
진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Priority to KR1020090075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쿨존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된 지주 또는 난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고,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된 표지판과;평상시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등하교시간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등하교시간에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이 표시되는 상기 표지판으로 인해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서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 주정차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쿨존의 건널목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 구동부재, 표지판, 제어부

Description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THE SCHOOL ZONE THE0 AUTOMATIC CRAFT DEBT CLOCK WHICH DOZES}
본 발명은 스쿨존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된 지주 또는 난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고,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된 표지판과;평상시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등하교시간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등하교시간에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이 표시되는 상기 표지판으로 인해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서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 주정차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쿨존의 건널목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쿨존(School Zone)이란 초등학교 및 유치원 주변의 차도와 보도에 교통안전시설물 및 도로부속물을 설치하여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를 의미한다.
여기서, 스쿨존(10)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물 및 도로부속물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도(110)와 보도(130)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되는 지주(150) 또는 난간(170)과, 차도(110)에서 명확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칼라포장된 건널목(190)과, 상기 건널목(190)의 양측에 설치되는 신호등(192)과, 차도(110)에서 주행하는 차량 등이 과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과속방지턱(112)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스쿨존(10)에 설치되는 교통안전시설물 및 도로부속물을 주행중인 차량 운전자가 쉽게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쿨존(10) 주변의 차도(110)에서 차량 운전자가 과속하게 될 경우 스쿨존(10)에서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스쿨존(10)의 차도(110)에 주정차된 차량 등으로 인해 건널목(190)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의 시야 및 스쿨존(10)의 차도(110)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의 시야가 스쿨존(10)의 차도(110)에 주정차 된 차량 등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스쿨존(10)의 차도(110)를 주행중인 차량을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차량 운전자가 상기 건널목(190)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스쿨존(10)에서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등하교시간에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이 표시되는 표지판으로 인해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서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 주정차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쿨존의 건널목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쿨존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된 지주 또는 난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고,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된 표지판과; 평상시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등하교시간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표지판은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표지판에는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등하교시간에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적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생성된 전기적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표지판의 하부에는 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축과 상기 표지판의 축은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등하교시간에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이 표시되는 표지판으로 인해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서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 주정차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쿨존의 건널목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이 연질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표지판에 스쿨존의 차도에서 주행중인 차량 등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표지판이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지판에 부딪힌 차량 또한 훼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표지판에 구비된 발광부재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등하교시간에 빛을 발광함으로써, 스쿨존의 차도를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표지판에 표시된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교통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등하교시간에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전원을 사용할 필요 없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구동부재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의 축과 상기 표지판의 축 사이에 탄성부재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표지판에 스쿨존의 차도에서 주행중인 차량 등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표지판이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지판에 부딪힌 차량 또한 훼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고정부(30)의 내부에 구동부재(50)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고정부(30), 구동부재(50), 표지판(70)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부(30)는 스쿨존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된 지주(150) 또는 난간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의 양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지주(150)에 고정되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152)에 의해 상기 지주(150) 또는 난간에 일정높이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고정부(30)가 상기 지주(150)에 일정높이로 고정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고정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지주(150) 또는 난간에 고정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재(50)는 상기 표지판(7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3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0)로는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는 등 상기 표지판(70)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표지판(70)은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된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지판(70)에는 예를 들어 전면에는 주정차금지가 표시되고, 후면에는 속도제한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지판(70)은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과 상기 표지판(7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표지판(70)이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기어(1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표지판(70)은 고무 등의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표지판(70)이 고무 등의 연질수지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상기 표지판(70)에 스쿨존의 차도에서 주행중인 차량 등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표지판(70)이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지판(70)에 부딪힌 차량 또한 훼손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는 상기 표지판(70)이 상기 고정부(30)의 상측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30)의 일측 등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있는 곳이라면 모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지판(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4는 제어부(90)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는 구동부재(50)의 구동에 의해 표지판(70)이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구동부재(50)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써, 축전지(210)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재(5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적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200)이 상기 난간(17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집광판(200)에 생성된 전기적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210)가 상기 집광판(20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난간(170)상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90)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축전지(210)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재(50)를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등하교시간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등하교시간에 따라 상기 제어부(90)가 상기 구동부재(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타이머(T)가 상기 축전지(2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난간(170)상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이머(T)에 지정된 등하교시간, 예를 들어 am 08:00~09:00 및 pm 12:00~15:00에는 상기 구동부재(50)가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에 결합되는 상기 표지판(70)이 상기 구동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도(110)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타이머(T)에 지정된 등하교시간 이외의 시간 즉, 평상시에는 상기 구동부재(50)가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에 결합되는 상기 표지판(70)이 상기 구동부재(50)의 회전에 따라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차도(110)와 평행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90)가 등하교시간에 상기 축전지(210)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재(50)를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 구동부재(50)를 제어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전원을 사용할 필요 없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구동부재(50)를 구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표지판(70)에는 발광부재(710)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표지판(70)에 상기 발광부재(710)가 구비될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90)가 등하교시간에 상기 발광부재(710)가 빛을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710)로는 LED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지판(70)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등하교시간에 빛을 발광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표지판(70)에 구비된 상기 발광부재(710)가 상기 제어부(90) 의 제어에 의해 등하교시간에 빛을 발광함으로써, 스쿨존의 차도를 주행하는 차량 운전자가 상기 표지판(70)에 표시된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음은 물론 교통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6은 구동부재(50)의 축(510)과 표지판(70)의 축(730) 사이에 탄성부재(S)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표지판(70)의 하부에는 축(730)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과 상기 표지판(70)의 축(730)은 탄성부재(S)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동부재(50)의 축(510)과 상기 표지판(70)의 축(73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S)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표지판(70)에 스쿨존의 차도에서 주행중인 차량 등이 충돌하더라도 상기 표지판(70)이 파손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상기 표지판(70)에 부딪힌 차량 또한 훼손될 우려가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등하교시간에 상기 구동부재(50)의 구동에 의해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이 표시되는 상기 표지판(70)으로 인해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서 과속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차량 등이 스쿨존의 차도에 주정차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 운전자가 스쿨존의 건널목을 보행중인 어린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스쿨존에서 발생하는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쿨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고정부의 내부에 구동부재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5은 구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표지판이 회전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구동부재의 축과 표지판의 축 사이에 탄성부재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스쿨존, 110; 차도,
112; 과속방지턱, 130; 보도,
150; 지주, 152; 고정부재,
170; 난간, 190; 건널목,
192; 신호등, 30; 고정부, 50; 구동부재, 510,730; 축,
70; 표지판, 710; 발광부재,
90; 제어부, 100; 감속기어,
200; 집광판, 210; 축전지,
S;탄성부재, T; 타이머

Claims (5)

  1. 스쿨존의 차도와 보도의 경계주변에 고정설치된 지주 또는 난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축에 결합되고, 주정차금지 및 속도제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표시된 표지판과;
    평상시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평행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고 등하교시간에는 상기 표지판이 차도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표지판의 하부에는 축이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의 축과 상기 표지판의 축은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은 연질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지판에는 발광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등하교시간에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4. 제1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적에너지를 생성하는 집광판과, 상기 집광판에 생성된 전기적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에 축전된 전기적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부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5. 삭제
KR1020090075967A 2009-08-18 2009-08-18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KR10096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67A KR100965929B1 (ko) 2009-08-18 2009-08-18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5967A KR100965929B1 (ko) 2009-08-18 2009-08-18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929B1 true KR100965929B1 (ko) 2010-06-24

Family

ID=42370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5967A KR100965929B1 (ko) 2009-08-18 2009-08-18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9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88B1 (ko) 2021-07-09 2021-12-08 (주)라인테크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예방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27Y1 (ko) * 2002-02-21 2002-06-03 이종수 주차 제한 장치
KR200311363Y1 (ko) * 2003-01-23 2003-04-23 차호성 풍력발전기와 태양발전기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7427Y1 (ko) * 2002-02-21 2002-06-03 이종수 주차 제한 장치
KR200311363Y1 (ko) * 2003-01-23 2003-04-23 차호성 풍력발전기와 태양발전기를 이용한 안내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7088B1 (ko) 2021-07-09 2021-12-08 (주)라인테크 어린이 보호구역 사고예방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952B1 (ko) 횡단보도 및 가변차선용 교통안전 시설물
KR101140531B1 (ko) 도로 경계석 안전 표시장치
KR20110093418A (ko) 과속 방지턱 겸용 횡단보도 장치
KR100965929B1 (ko) 스쿨존 자동주정차금지 표지판
KR101740267B1 (ko) 철로 패턴을 이용한 스쿨존용 횡단보도 시스템
KR200492789Y1 (ko) 안전 운전을 위한 도로용 매트
KR20130128831A (ko) 보행자용 안전 신호등
KR20090089738A (ko)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KR102151974B1 (ko) 무신호등 횡단보도 보행자 알림장치
KR200300452Y1 (ko) 싸인카의 방향 표시장치
KR200298063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563624B1 (ko)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260837B1 (ko) 횡단보도용 안전장치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200365472Y1 (ko) 교통안전 신호장치
KR200393732Y1 (ko) 도로경계석
KR101281728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200450436Y1 (ko) 엘이디 라이트를 장착한 난간지주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101313265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101027640B1 (ko) 교통 안전구역의 감속주행 유도장치
KR101204131B1 (ko) 안개 차로병
KR20000017885U (ko) 운전자 시선유도표지
KR200226452Y1 (ko) 발광수단이 부착된 교량용 난간동자
KR200403552Y1 (ko) 차선 임시 표시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