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2240Y1 -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2240Y1
KR200402240Y1 KR20-2005-0019760U KR20050019760U KR200402240Y1 KR 200402240 Y1 KR200402240 Y1 KR 200402240Y1 KR 20050019760 U KR20050019760 U KR 20050019760U KR 200402240 Y1 KR200402240 Y1 KR 2004022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shaft
pedestal
support structure
lower support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9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우식
Original Assignee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앤아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9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22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22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22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대를 구성하는 구동축의 하부를 베어링 파손등의 비상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구조는 모터의 구동력을 벨트 풀리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와, 벨트풀리가 일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벨트 풀리의 회전력에 연동 회전되는 구동축과, 그 구동축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블럭상에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어링과, 그 베어링이 설치되는 고정블럭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구동축의 하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요홈부를 갖는 받침대를 구비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파손되더라도 그 하부를 지지하여 구동축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부품 파손으로 인한 조업이 중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대의 압연재 이송공정시 압연재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lower support structure of cooling device}
본 고안은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각대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어링 파손시 냉각대의 골부위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爐)를 통해 인발된 상태의 압연재가 압연공정을 통해 완제품으로 성형된 후에, 출구측으로 순차 전진되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냉각장치를 거치면서 냉각되는 공정을 갖게 되며, 그중 냉각장치는 벨트타입 또는 냉각대 플레이트등의 이송장치가 채용된다.
그 냉각대 플레이트는 서로 횡방향의 동일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개 배열되고, 그 플레이트의 사이마다 푸셔등의 압연재 순차 전진을 위한 이송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그 이송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벨트 풀리(20)측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25)와, 그 벨트부재(25)와 연동되도록 그 벨트 풀리(20)가 일단부에 일체로 마련되는 구동축(30)과, 그 구동축(30)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송되는 압연재를 상,하 리프팅동작 및 롤러의 회전력으로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50)로 구성된다.
그 구동축(30)은 외주면이 고정블럭(60)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데, 이때 구동축(30)의 회전을 보조하기 위한 베어링(40)이 고정블럭(60)의 상측에 설치되어 구동축(30)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기존에는 그 구동축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어링이 레벨링을 통해 동일 높이에서 구동축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그 구동축 및 이동부의 자체 하중이 베어링측으로 전달됨에 따라 이에 따라 과부하로 인해 베어링이 파손될 수 있으며, 구동축의 수평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이송부들간의 간섭현상이 발생되어 이송되는 압연재가 파손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각대의 하부구조를 베어링 파손시에도 구동축의 레벨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터의 구동력을 벨트 풀리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와 연동되도록 상기 벨트 풀리가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블럭상에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과, 그 구동축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송되는 압연재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와,
상기 고정블럭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면이 상기 구동축의 외주면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개구된 요홈부가 함몰되게 형성된 받침대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으로, 상기 받침대는 상기 중앙의 요홈부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고정블럭은 그 상측면에 상기 받침대의 하부 테두리가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편이 형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 구조는 모터(10)의 구동력을 벨트 풀리(20)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25)와, 벨트풀리(20)가 일단부에 일체로 마련되어 벨트 풀리(20)의 회전력에 연동 회전되는 구동축(30)과, 그 구동축(30)의 외주면을 감싸며 고정블럭(60)상에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개의 베어링(40)과, 그 베어링(40)이 설치되는 고정블럭(60)의 상측면에 안착되어 구동축(30)의 하부가 접촉되어 지지되도록 요홈부(105)를 갖는 받침대(100)를 구비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그 구동축(30)의 타단부에는 이송중인 압연재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50)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이송부(50)는 기존의 것과 동일하게 롤러 테이블 혹은 컨베이어와 푸셔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받침대(100)는 중앙의 요홈부(105)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으로 서로 대칭되게 분할된 제 1,2받침대(110)(120)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그 요홈부(105)가 구동축(3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구동축(30)의 하부면과 접촉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받침대(100)의 요홈부(105)는 고정블럭(60)과 구동축(30) 사이에 개재되도록 그 높이가 베어링(4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조금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그중 받침대(100)의 요홈부(105)가 베어링(40)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평상시 받침대(100)가 구동축(30)에 접촉되지 않고 구동축(30)이 베어링(40)에 의해서만 지지되어 고정블럭(60)의 상측면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게 되지만, 베어링(40)이 파손될 경우에는 받침대(100)의 요홈부(105)가 구동축(30)의 하부면과 접촉되도록 지지되어 구동축(3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그 받침대(100)의 요홈부(105) 내주면에는 그 받침대(100)의 재질과 다른 재질의 라이너(130)가 일체로 결합되어 구동축(30)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그 받침대(10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블럭(60)의 상측면에 받침대(100)의 외곽 테두리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측으로 고정편(65)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는, 고정편(65)이 고정블럭(60)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그 받침대(100)의 외곽 테두리에 접촉되어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의 기능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는, 평상시에는 구동축(30)이 베어링(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모터(10)의 구동력을 이송부(50)측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그 구동축(30)의 회전력은 이송부(50)를 구동시켜 압연재를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이송시켜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축(30)은 복수개의 베어링(40) 내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어 고정블럭(60)과 일정 높이로 위치하게 되지만, 그 베어링(40)측에 과하중이 전달됨에 따라 베어링(40)이 파손될 비상시에는, 받침대(100)가 그 베어링(40)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이다.
즉, 받침대(100)는 좌,우 양측의 제 1,2받침대(110)(120)가 분할되어 있으므로, 각각의 요홈부(105)가 일치되도록 서로 대칭되게 고정블럭(60)상에 안착시키면, 그 받침대(100)의 외주면 테두리가 고정블럭(60)상의 고정편(65)에 각각 접촉되면서 그 이동이 제한된다.
그 받침대(100)는 베어링(40)과 베어링(40) 사이의 중간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받침대(100)는 베어링(40)이 파손될 경우, 구동축(30)의 외주면이 라이너(130)가 설치된 요홈부(105)와 접촉되어 구동축(30)의 회전을 가이드하게 된다.
한편, 파손된 베어링(40)의 교체시에는 좌,우 분할된 제 1,2받침대(110)(120)를 좌,우 양측으로 이탈시켜 들어낸 후에 구동축(30)을 앞으로 빼내어 베어링(40)을 교체할 수 있으나, 작업상황에 따라 받침대를 들어 내지 않고도 베어링(40)의 교체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냉각대를 구성하는 구동축의 하부를 베어링 파손등의 비상시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받침대를 구비한 것인 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구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파손되더라도 그 하부를 지지하여 구동축의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부품 파손으로 인한 조업이 중지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냉각대의 압연재 이송공정시 압연재의 파손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연재의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인 받침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모터 20 : 벨트 풀리
25 : 벨트부재 30 : 구동축
40 : 베어링 50 : 이송부
60 : 고정블럭 65 : 고정편
100 : 받침대 105 : 요홈부
110,120 : 제 1,2받침대

Claims (4)

  1. 모터(10)의 구동력을 벨트 풀리(20)측에 전달하기 위한 벨트부재(25)와, 상기 벨트부재(25)와 연동되도록 상기 벨트 풀리(20)가 단부에 마련되는 구동축(30)과, 상기 구동축(30)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블럭(60)상에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40)과, 그 구동축(30)의 타단부에 일체로 결합되고 이송되는 압연재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50)로 구성된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60)의 상측면에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40)과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며 상부면이 상기 구동축(30)의 외주면 하부와 접촉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요홈부(105)가 함몰되게 형성된 받침대(100)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는 상기 중앙의 요홈부(105)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분할되어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럭(60)은 그 상측면에 상기 받침대(100)의 하부 테두리가 접촉되어 고정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고정편(6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의 요홈부(105)에 일체로 결합되는 라이너(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대의 하부 지지구조.
KR20-2005-0019760U 2005-07-07 2005-07-07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KR2004022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60U KR200402240Y1 (ko) 2005-07-07 2005-07-07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9760U KR200402240Y1 (ko) 2005-07-07 2005-07-07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2240Y1 true KR200402240Y1 (ko) 2005-11-29

Family

ID=4370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760U KR200402240Y1 (ko) 2005-07-07 2005-07-07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22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3B1 (ko) * 2019-04-17 2019-11-21 동주산업주식회사 압연 설비의 스핀들 및 커플링 조립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23B1 (ko) * 2019-04-17 2019-11-21 동주산업주식회사 압연 설비의 스핀들 및 커플링 조립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42504A (ja) 支持装置および搬送装置
WO2000040485A3 (en) Belt for a belt driven roller conveyor
EP1108662B1 (en) Conveyance-direction switching device in a roller conveyor
KR200402240Y1 (ko) 냉각대 하부 지지구조
JPH09207042A (ja) 金型反転装置
JP2000326926A (ja) パッケージング機械における移送装置
KR100570594B1 (ko) 롤러테이블의 슬래브 이동장치
KR100996869B1 (ko) 스핀들 교체용 지그장치
KR20090110504A (ko) 형강 이송 방향 전환 장치
JP4884937B2 (ja) 昇降機構における直動ベアリングの支持構造
CN215033542U (zh) 一种砂箱箱体移动机构
JPH08141657A (ja) ベンディングロールの製品搬出装置
CN217554911U (zh) 一种轻载式托盘平移装置
CN214489042U (zh) 用于龙门剪切机的上料装置及龙门剪切机
CN215398705U (zh) 卷料搬运车
CN217576858U (zh) 一种铸坯上料装置
JPH11244968A (ja) プレス材搬送装置
KR100961357B1 (ko) 소재 이송 장치
JP5914022B2 (ja) 機械式駐車装置
KR101225401B1 (ko) 절단설 처리용 틸팅 테이블
KR200278279Y1 (ko) 빌렛트 장입위치 보상장치
KR200286993Y1 (ko) 중후판의 크롭부위 진입보조장치
JP4107170B2 (ja) コンベア間搬送装置
JPH069029A (ja) 接続可能なコンベヤ装置
KR20100002527U (ko) 컨베이어 시스템의 체인 장력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