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81Y1 -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81Y1
KR200401181Y1 KR20-2005-0024971U KR20050024971U KR200401181Y1 KR 200401181 Y1 KR200401181 Y1 KR 200401181Y1 KR 20050024971 U KR20050024971 U KR 20050024971U KR 200401181 Y1 KR200401181 Y1 KR 2004011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member
locking
fixed
fixing cli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준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24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고정용 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여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에서,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에 록킹부재 삽입홈을 형성하여 록킹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록킹부재의 고정홈에 회전몸체의 끼움부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어주어 고정하거나 상기 걸림후크를 젖힌 상태에서 록킹부재를 잡아당겨서 분리하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시, 록킹부위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A Structure For Assembling The Locking Element Wire Harness Fixing Clip}
본 고안은 와이어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여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에서,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에 록킹부재 삽입홈을 형성하여 록킹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록킹부재의 고정홈에 회전몸체의 끼움부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어주어 고정하거나 상기 걸림후크를 젖힌 상태에서 록킹부재를 잡아당겨서 분리하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시, 록킹부위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를 비롯한 많은 전장 부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 케이블,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클립 등의 서포트(Support) 부재를 사용하여 와이어를 정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는 자동차 혹은 여러 전기 장치에서 전기를 통전하는 와이어들을 지칭한다. 또한, 자동차의 각 전장품은 전력 구동력인 배터리나 발전기에 와이어 하네스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시켜 놓지 않으면, 차량의 주행진동으로 인하여 와이어 하네스가 심하게 유동된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개방 사시도 이고,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잠긴 상태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사용 상태도 이다.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1)은, 엔진 혹은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클립고정부재(100)에 고정하여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102)과; 상기 브라켓(102)의 설치공(104)에 삽입되어져서 고정되는 고정몸체(4)와; 상기 고정몸체(4)의 일측에 힌지부(10)에 의하여 회동하고, 안치된 와이어 하네스(16)를 끼움부(14)로 고정몸체(4)의 고정홈부(6)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고정하도록 하는 회전몸체(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와이어 고정클립(2)의 고정몸체(4)의 굴곡 부분에 와이어 하네스(16)를 대고서 힌지부(10)에 대하여 회전몸체(12)를 회전하여 끼움부(14)를 고정홈부(6)에 삽입하여서 걸어주어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몸체(4)와 회전몸체(12)의 굴곡진 내부에는 누름돌기(8)가 다수 돌출 형성되어져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6)를 압착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고정클립(2)의 고정몸체(4)에 형성된 홈부를 상기 클립고정부재(100)의 브라켓(102)에 형성된 설치공(104)에 삽입 고정하도록 하여 상기 와이어 하네스(16)를 상기 와이어 고정클립(2)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2)으로 와이어 하네스(16)를 고정한 후, 필요에 의하여 와이어 하네스(16)를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몸체(12)의 끼움부(16)를 고정몸체(44)의 고정홈부(6) 걸림 부분에서 분리하여 걸림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끼움부(16)를 드라이버 등과 같은 뾰족한 공구로 빼내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잡아 당기는 경우 록킹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닌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여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에서,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에 록킹부재 삽입홈을 형성하여 록킹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록킹부재의 고정홈에 회전몸체의 끼움부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어주어 고정하거나 상기 걸림후크를 젖힌 상태에서 록킹부재를 잡아당겨서 분리하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시, 록킹부위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엔진 혹은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클립고정부재에 고정하여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걸림홈에 삽입되어져서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동하고, 안치된 와이어 하네스를 끼움부로 고정몸체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고정하도록 하는 회전몸체로 구성된 와이어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에 상기 회전몸체의 끼움부가 전방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전,후방으로 관통되어져 형성되는 록킹부재 삽입홈과;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후방으로 삽입되어져서 상기 전방으로 삽입된 끼움부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림홈으로 걸어주거나 이탈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클립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진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진입되어져 조립되면서, 적정 거리 이상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이동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진입측 양측모서리가 절단된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조립된 후 분리하고자 할 때,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개방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잠김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리 상태도 이다.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고정 클립(120)의 록킹부재(140) 조립구조는, 엔진 혹은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클립고정부재(100)에 고정하여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102)과; 상기 브라켓(102)의 걸림홈(104)에 삽입되어져서 고정되는 고정몸체(128)와; 상기 고정몸체(128)의 일측에 힌지부(130)에 의하여 회동하고, 안치된 와이어 하네스(16)를 끼움부(32)로 고정몸체(128)의 고정홈부(122)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고정하도록 하는 회전몸체(132)로 구성된 와이어 고정클립(120)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128)에 상기 회전몸체(132)의 끼움부(136)가 전방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전,후방으로 관통되어져 형성되는 록킹부재 삽입홈(126)과;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후방으로 삽입되어져서 상기 전방으로 삽입된 끼움부(136)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138)를 걸림홈(144)으로 걸어주거나 이탈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클립(136)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록킹부재(1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40)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진입되어져 조립되면서, 적정 거리 이상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이동방지턱(146)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140)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진입측 양측모서리가 절단된 가이드면(148)을 형성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40)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조립된 후 분리하고자 할 때,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손잡이부(142)를 구비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와이어 고정클립(120)의 고정몸체(128)에 와이어 하네스(16)를 안치하고서 힌지부(130)에 대하여 회전몸체(132)를 회전하여서 끼움부(136)를 고정홈부(122)에 삽입하여 주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몸체(128)의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손잡이부(142)를 잡고서 록킹부재(140)를 삽입하여서 진입하여 상기 끼움부(136)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138)를 록킹부재(140)의 고정홈(144)에 걸려지면서 상기 회전몸체(132)를 고정몸체(128)에 조립하도록 한다.
상기 록킹부재(140)의 이동방지턱(146)이 록킹부재 삽입홈(126)의 입구에 걸려지면서 끼움부(136)의 걸림후크(138)에 걸려진 록킹부재(140)의 이동을 차단하여 걸림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40)의 전면 양측 모서리에는, 가이드면(148)이 형성되어져서 상기 록킹부재(140)가 록킹부재 삽입홈(126)에 진입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몸체(132)과 고정몸체(128)의 내면에는, 누름돌기(134)가 형성되어져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6)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여 준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하네스(16)가 와이어 고정클립(1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고정클립(120)을 엔진 혹은 트랜스미션 등에 고정된 클립고정부재(100)의 브라켓(102)에 고정몸체(128)의 브라켓삽입홈(124)에 삽입하여서 브라켓(102)의 설치공(104)에 고정돌기(123)를 걸어주어서 조립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조립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6)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102)의 설치공(104)에서 고정돌기(123)를 젖혀서 상기 와이어 고정클립(120)를 분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재(140)의 손잡이부(142)를 잡고서 회전몸체(132)의 끼움부(136)를 손으로 젖혀주어서 걸림후크(138)가 걸림홈(144)에서 이탈하도록 하고, 상기 손잡이부(142)를 잡아당겨서 상기 록킹부재(140)의 조립 상태를 해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부재(140)를 이용하여 와이어 고정클립(120)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고, 와이어 고정클립(120)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여 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와이어 고정용 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사용하게 되면, 고정몸체와 회전몸체에 와이어 하네스를 고정하여 브라켓으로 고정하도록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에서,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에 록킹부재 삽입홈을 형성하여 록킹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록킹부재의 고정홈에 회전몸체의 끼움부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어주어 고정하거나 상기 걸림후크를 젖힌 상태에서 록킹부재를 잡아당겨서 분리하므로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하고 분리시, 록킹부위의 파손을 최대한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고안이다.
도 1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개방 사시도 이고,
도 2는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잠긴 상태도 이고,
도 3은 종래의 와이어 고정클립의 사용 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개방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잠김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재 조립구조를 갖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분리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 와이어 고정클립 122 : 고정홈부
123 : 고정돌기 124 : 브라켓삽입홈
126 : 록킹부재삽입홈 128 : 고정몸체
130 : 힌지부 134 : 누름돌기
136 : 끼움부 138 : 걸림후크
140 : 록킹부재 142 : 손잡이부
144 : 걸림홈 146 : 이동방지턱

Claims (4)

  1. 엔진 혹은 트랜스미션 등과 같은 클립고정부재에 고정하여 돌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걸림홈에 삽입되어져서 고정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일측에 힌지부에 의하여 회동하고, 안치된 와이어 하네스를 끼움부로 고정몸체의 고정홈부에 삽입되어 걸려져서 고정하도록 하는 회전몸체로 구성된 와이어 고정클립에 있어서,
    상기 고정몸체에 상기 회전몸체의 끼움부가 전방으로 삽입되어지도록 전,후방으로 관통되어져 형성되는 록킹부재 삽입홈과;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후방으로 삽입되어져서 상기 전방으로 삽입된 끼움부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후크를 걸림홈으로 걸어주거나 이탈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 고정클립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록킹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진입되어져 조립되면서, 적정 거리 이상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이동방지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진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진입측 양측모서리가 절단된 가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는, 상기 록킹부재 삽입홈에 조립된 후 분리하고자 할 때,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고 미끄럼을 방지하도록 돌출된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KR20-2005-0024971U 2005-08-30 2005-08-30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KR2004011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71U KR200401181Y1 (ko) 2005-08-30 2005-08-30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971U KR200401181Y1 (ko) 2005-08-30 2005-08-30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756A Division KR100681950B1 (ko) 2005-11-16 2005-11-16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81Y1 true KR200401181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971U KR200401181Y1 (ko) 2005-08-30 2005-08-30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8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9365B2 (ja) 車両用のルーフラックおよびその固定方法
JP4533862B2 (ja) クリップの取付構造
KR200401181Y1 (ko)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KR100681950B1 (ko) 와이어 고정클립의 록킹부재 조립구조
KR100820595B1 (ko) 와이어 하네스의 프로텍터
KR2004011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분리구조
JP2005248981A (ja) 固定構造、プロテクタおよび電気接続箱
KR200288596Y1 (ko) 다용도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JPS5829554Y2 (ja) プラグ形漏電しや断器の固定装置
JP3719132B2 (ja) 電気接続箱の取付構造
JP2004218762A (ja) 固定具
KR200275868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립
KR100588749B1 (ko) 자동차 와이어 하네스 고정 클립
KR200391766Y1 (ko) 고정용 클립
JP3593498B2 (ja) 補器のブラケット結合構造
KR100737577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클립
KR200438134Y1 (ko) 커넥터 고정블록
JPH11145636A (ja) 筐体の嵌合構造
JP7345961B2 (ja) 電線の結束具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KR200145323Y1 (ko) 와이어링 고정클립
JP5114909B2 (ja) エレベータの電気配線装置
KR20038085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구조
KR200275795Y1 (ko) 커넥터의 터미널단자 조립구조
JPH11321425A (ja) フットレス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1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