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434A -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 - Google Patents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434A
KR20040111434A KR20047015110A KR20047015110A KR20040111434A KR 20040111434 A KR20040111434 A KR 20040111434A KR 20047015110 A KR20047015110 A KR 20047015110A KR 20047015110 A KR20047015110 A KR 20047015110A KR 20040111434 A KR20040111434 A KR 20040111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ic acid
strain
lactobacillus
bacteria
lactobacillus salivari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15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020B1 (ko
Inventor
코가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프렌테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프렌테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프렌테 인터내셔날
Publication of KR20040111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4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6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3/36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2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 A23G4/123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containing paramedical or dietetical agents, e.g. vitamins containing microorganisms,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79Sakei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Zo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에 관한 것으로, 치주병균(齒周病菌), 충치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치주병 및/또는 충치의 발증이나 재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구강내 마이크로플로러를 정상화 하므로써 구취(口臭)의 발생방지 및 타액의 pH를 생리적으로 정상화시킬 수 있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VITAL CELL PREPARATIONS CONTAINING LACTIC ACID BACTERIUM AS THE ACTIVE INGREDIENT AND LACTIC ACID BACTERIUM-CONTAINING FOODS}
일본국 후생성의 조사에 따르면, 치주병에 걸려 있는 환자수가 1975년의 조사에서 전체국민의 18.2%이었던 것이 1993년에는 68.1%, 1989년에는 72.9%로 증가하고, 그 후에도 점점 더 증가하고 있으며, 현재 추정 환자수는 약 9000만명에 이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의료 경제학적인 면에서도 치과영역에 대한 지출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는 현상이다.
그 때문에 정부 당국에서는 1988년에 전국적으로 치주병 예방에 철저하게 대응하기로 결정하고, 소위「8020운동」의 발전과 추진을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 그러나, 현재, 환자수의 두드러진 감소는 찾아볼 수 없고, 획기적인 예방법 및 치료법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최근에 치주병은 단순한 잇몸조직의 만성 감염증이라고 불리워지는 질환에 그치지 않고, 순화기계통의 질환인 심근경색, 동맥경화 등 혈관파괴의 원인이 되는 위험성이 있으며, 더욱이 당뇨병, 조산(早産) 유발 등의 위험인자로서 주목을 끌고 있다.
치주병의 치료에는 현재까지 확실한 그 치료법은 없고, 치과기술에 의한 처치 즉, 환자에 살균제를 투여하거나 외과적 수술, 경구투여에 의한 항생물질의 사용 등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러나 치료를 위한 살균제나 항생물질의 장기 연속 투여는 그 사용으로 인한 새로운 내성균(耐性菌)을 키우게 되어 약제에 의한 부작용의 발생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만족스러운 치료방법의 확립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여기서 치주병이나 충치의 예방이나 치료의 목적으로 살균제나 항생물질의 투여에 대신하는 방법으로 유산균을 사용하여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의 가능성이 검토되고 있다. 유산균을 사용하는 치주병이나 충치의 예방 및 치료법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페이시움(Enterococcus faecium), 스트렙토코커스 이큐이너스
(Streptococcus equini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사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등의 균체 및 / 또는 수(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방법이 일본 특개소 61-91126호 와 특공평 4-5224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WO99/07826에서는 락토바실러스 에스피피 브이 20
(Lactobacillus spp V20) 및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Streptococcus oralis)가 발현 또는 생성하는 글루코스 전위효소(glucosyl transferase)의 저해(沮害) 활성이나 충치의 증식을 억제하는 인자 및 과산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유산균이 검토되고 있다.
한편, 사람의 구강내는 400종류 이상의 세균이 번식하고 있으며, 그 균수는 100억개에 달하고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타액에는 108∼109 CFU/㎖ 수준의 균수가 검출되고 있다.
따라서, 사람의 구강 내에는 복잡한 플로러(구강 세균)가 있고, 치주병이나 충치 등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하여는 단순한 생체 밖에서(in vitro계로) 얻어지는 성적을 가지고 사람에 대한 유효성을 논한다는 것은 아주 큰 문제가 있다.
또, 사람에게 투여를 전제로 하여 그 유효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생균제제나 유산균 함유 식품으로서의 생균의 생존성, 경우에 따라서는 향미(香味), 물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치주병이나 충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유산균의 이용에 관한 문헌에는 사람 및 모델 동물에 쓰이는 생체 내에서의(in vivo계의) 치주병, 충치등의 원인균의 제균(除菌) 또는 억제에 관련된 데이터, 또는 생균제제나 유산균 함유 식품으로서 생균의 생존성, 향미, 물성등에 관한 각종 데이터는 일체 기재되어 있지 않다.
사람에게 투여를 전제로 하는 치주병, 충치의 예방 및 치료의 수단이 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에 사용되어지는 균주로는 사람 및 모델 동물에 이용된 시험에 있어서, 구강내의 병원균인 치주병, 충치등의 원인균을 확실하게 제균 또는 억제시킬 수 있는 유산균주가 선택되어야 하고, 또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 유산균주의 생존성이 강해야 한다는 것이 필수조건이며, 여기에 향미, 물성도 좋아야 한다.
본 발명은 잇몸의 염증, 치주염(齒周炎), 치주병(齒周病), 충치 및 구취(口臭)의 방지 또는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종합 구강관리용 의약품(생균제제)과 유산균 함유 식품 및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 salivarius) TI 2711주(株)의 마우스 구강 내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 gingivalis) JCM 8525주에 대한 억제 효과(in vivo(생체내에서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 salivarius) TI 2711주의 마우스 구강내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 mutans) MT 8184주에 대한 억제 효과(in vivo(생체내에서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사람의 구강내 총 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4는 사람의 구강내 치주병균 (BPAR) 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사람의 구강내 뮤턴스(mutans) 연쇄구균 균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6은 사람의 구강내 유산균의 균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사람의 타액의 pH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8은 사람의 타액중의 불용성 글루칸 양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9는 하리미터(halimeter)에 의한 사람의 구취 측정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0은 시험예 2에 있어서 실험1 및 실험2의 프로토콜(protocols)의 개요를 나타내는 그림.
도 11은 시험예 3에 있어서 임상시험의 프로토콜 개요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하는 유산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순에 따라 건강한 사람의 구강 안에서 분리된 다수의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屬)의 보존 균수(30 균주)를 시험하고, 그 중 가장 적합한 균주를 선택하였다.
1. 통상의 유산간균(乳酸桿菌)과 대비하여 가장 짧은 시간에 증식하는 균주를 선택하였다(시험예 1의 ①항 참조).
2.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의 보존균주(30주)를 각각 주요한 치주병 원인균의 임상 분리주(分離株)인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ophyromonas
gingivalis), 프리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프리보텔라 니그레센스(Prevotella nigrescens)와 혼합배양하고, 치주병균의 생육을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는 균주를 선정하였다(그 일예로서,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사용한 시험예 1의 ②항 참조).
3. 다음에 상기 1의 락토바실러스 속의 보존균주(30주)와 충치의 주요 원인균의 임상분리주(臨床分離株) 스트렙코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및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너스(Streptococcus sobrinus) 각각을 혼합배양하고, 충치균의 생육을 유의하게 저지시킬 수 있는 균주를 선정하였다(그 일예로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를 사용한 시험예 1의 ③항 참조).
4. 특히, 충치에 대한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서 혼합 배양액 중에서 불용성 글루칸(충치의 주된 원인물질)을 정량하여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을 유의하게 저해하는 균주를 선정하였다(시험예 1의 ③항 참조).
5. 다음에, 상기 1∼4의 생체내(in vitro) 시험에 의해 선정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TI 2711주의 유효성을 실제로 입증하기 위해서 무균 마우스에 의한 감염 모델시험을 하였다(시험예 2 참조). 그 개요는 아래와 같다.
1) 치주병균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를 무균 마우스의 구강 안에 접종시키고, 정착시킨 후에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 TI 2711주를 경구 투여한 후,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의 균수를 측정하여 생육이 유의하게 저지된 것을 실제로 입증하였다(실험 1 참조).
2) 충치균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를 무균 마우스에 접종시키고, 정착시킨 후,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경구 투여하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균수를 측정하여 생육이 저지된 것을 실제로 입증하였다
(실험 2 참조)
6. 임상실험으로 본인의 동의를 받은 건강한 지원자 (n=57)를 모집하여 구강내의 타액을 채집하고, 총 균수(菌數), 치주병균 (BPAR = 흑색의 색소를 갖는 그람 음성 혐기성 간균의 콜로니) 및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및 유용균인 유산간균(乳酸稈菌)을 분별하여 균의 수를 측정하고, 또 타액의 pH 및 타액중의 불용성 글루칸(glucan)의 량을 측정하며, 또 하리미터를 사용하여 구강내의 구취(口臭)를 측정하였다.
그 후,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의 정제(정과)를 복용기간을 8주간으로 하여, 상기 지원자에게 복용시킨 다음 복용 후 4주일째 및 최종 8주째에 상기 항목의 모든 것을 측정하고 동시에 문진(問診)에 의한 복용후의 유효성 및 부작용 등을 조사하였다. 모든 항목에 대해서 통계학적 처리(윌콕손(wilcoxon)법)를 한 결과, 모든 항목에 대해서 복용전후에 객관적인 유의차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문진결과를 합쳐 총합평가를 한 결과, 그 유효성을 임상학적으로 명확하게 증명할 수있었다(시험예 3 참조).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되는 균주로서 상기 1∼4에서 선택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 주의 세균학적 성상(性狀)은 다음과 같다.
A : 형태학적 성상(性狀)
세포형태: 간균(桿菌)
세포의 크기: 0.6~0.9×1.7~5.2㎛
운동성: 없음
포자(胞子)의 유무: 없음
그램 염색성: 양성
B : 생리학적 성상 (양성: +, 음성: - )
가스의 생성: -
카타라제(Catalase): -
젤라틴액화능: -
산소에 대한 거동: 통성(通性) 혐기성
인돌(Indole)의 생성: -
질산염 환원능: -
황화수소의 생성: -
생성된 젖산의 광학 활성체: L체
C : 당의 자화성(資化性) (자화성 양성: +, 자화성 음성: -)
아라비노스 (Arabinose): -
아미그다린 (Amygdalin): -
셀로비오스 (Cellobiose): -
에스쿠린 (Esculin): -
갈락토스 (Galactose): +
글루코스 (Glucose): +
프럭토스 (Fructose): +
글루콘산 (Gluconic acid): -
락토스 (Lactose): +
말토스 (Maltose): +
맨니톨 (Mannitol): +
맨노스 (Mannose): +
멜리비오스(Melibiose): +
라피노스 (Raffinose): +
멜레치토스 (Melezitose): -
램노스 (Rhamnose): +
리보스(Ribose): -
솔비톨(Sorbitol): +
슈크로스(Sucrose): +
자이로스(Xylose): -
살리신(Salocin): -
트레하로스(Trehalose): +
이상의 세균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Bergey's manual of systematics Bacteriology" 제2권 (1986년판) 및「장내균의 세계」(일본 叢分社 발행 (1980) 저자: 光岡知足)의 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1∼4에서 선정된 본 발명의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 주(株)"라고 명명하였다. 이 균주는 일본에 있는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종합연구소 특허생물기탁센터"(소재지: 일본 쓰쿠바시 히가시 1초오메 1-1)에 서기 2002년 3월 26일자로 기탁되어 있다(수탁번호: FERM BP-7974).
본 발명이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 주(株)는 사람 등 숙주에 경구 섭취되어 치주병균이나 충치균이 잇몸조직 또는 치주포켓(치근막낭(periodontal pockets)), 치부(齒部) 등에 부착하거나 증식됨을 억제 또는 저지하고, 구강내에 존재하는 병원균을 억제 또는 배제(排除) 한다.
이로 인하여 국민병이라고 불리워지는 충치나 치주병의 예방 및 치료에 아주 유효한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숙주와 구강내 미생물간의 상호작용은 자연계에 있어서 관찰되어지고, 숙주와 미생물과의 관계에서 공생, 기생 또는 길항현상(拮抗現像)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유산균주(Lactobacillus salivariusTI 2711주)의 용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 유산균주(Lactobacillus salivariusTI 2711주)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그대로 또는 적당한 첨가제와 함께 단제(單劑)로 해서 투여할 수 있으며, 또 다른 활성성분, 예로써 이 균주와 작용 메카니즘이 서로 다른 타의 구강관리 의약품과 함께 투여하거나 또는 합제로서 투여할 수 있다.
투여형태로는 예를 들면,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사럽제 등의 형태가 바람직하고, 경구적으로 안전하게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주를 이들의 투여형태로 사용하는 경우는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건조균체 (생균)를 사용하여 제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건조균체 (생균)는 통상의 방법으로 얻을 수 있으며, 예로써 본 발명의 유산균체를 순수 배양한 후, 원심분리 등의 방법에 의해 집균(集菌)시킨 다음 적절한 안정제를 첨가하여 동결 건조시켜서 얻게 된다. 또, 상기한 각종 제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주약(主藥)인 본 발명의 유산균주와 함께 결합제, 부형제, 붕괴제, 코팅제, 윤활제, 안정제, 교미교취제(矯味矯臭劑), 용해 보조제, 윤활제, 현탁제, 희석제 등의 의약품 제제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주지의 의약품 첨가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각종 제제의 투여량은 대상이 되는 질환의 종류 및 정도에 의해 달라지나, 예로써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건조균체를 1일 1∼2000㎎ 정도를 증상에 따라 1일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산균주는 정제(錠菓), 추잉 껌, 캔디 등의 과자류와 김치 등의 찬류와 함께 일반식품에 첨가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유산균 함유 식품을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산균주를 식품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건조균체(생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것을 식품으로 허용되는 임의의
첨가물과 함께 일반식품에 첨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유산균주는 요쿠르트 등의 발효식품 형태로 섭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발효식품은 예를들면 우유나 양유 등의 발효원료에 요쿠르트 제조상 스타터균(starter bacteria)인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헬비티커스(Lactobacillus helveticus), 스트렙토코커스 스로모필러스
(Streptococcus thermophilus), 스트렙토코커스 락티스(Streptococcus lactis) 등의 낙농 유산균과 함께 본 발명의 유산균주를 접종시키고, 혼합 배양하거나 또는 각각을 발효 원료중에서 단독 배양한 후에 혼합시킴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효과를 더욱 좋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유산균주와 함께 부가 또는 시너지효과를 갖는 물질을 찾기 위해 충치를 지표로 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주와 함께 올리고당 및 당 알콜류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 알콜의 에리스리톨(erythritol)을 본 발명의 유산균주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억제에 있어, 각각 단독의 항충치효과에 대하여 상승적으로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였다(시험예 4 참조).
당 알콜류(자일리톨, 말티톨, 솔비톨, 에리스리톨 등) 및 올리고당 (플럭토 올리고당, 자일로 올리고당, 게스토스, 라피노스 등)은 충치에 대해서 유효하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당 알콜 및 올리고당과 유산균주와의 상승효과 또는 상가효과에 대하여는 유산균주의 선정에 따라 크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들의 유용한 당 알콜 및 올리고당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본 발명의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에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당 알콜 및 올리고당은 감미제, 또는 부형제로서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들 당 알콜 및 올리고당의 종류, 배합비율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임의의 당 알콜 또는 올리고당을 임의의 비율로 사용할 수 있다.
예로써, 정제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타정기술을 사
용하여 정제조성, 타정압 등의 조건, 정제의 경도 등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임의의 당 알콜 또는 올리고당을 임의의 비율로 함유케 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 구강내 병원 세균의 억제에 적합한 유산간균 균주(Lactobacillus속)의 선택
① 증식성에 관한 시험
MRS broth (Difico) 배지에 표 1에 나타나 있는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유산균 30주를 각각 1×107CFU/㎖로 접종시키고, 37℃에서 6시간, 호기조건하에서 배양시킨 후, 한천 평판법으로 생균의 수를 측정하였다.
즉, 각 균주의 상기 배양 6시간마다 그 배양액 1㎖를 혐기성 희석액(KH2PO44.5g/ℓ, Na2HPO46.0g/ℓ, 시스테인염산염 0.5g/ℓ, 한천 0.5g/ℓ, 트윈(Tween) 80 0.5g/ℓ)으로 단계적으로 희석시키고, 희석액 0.1㎖을 MRS 한천배지 (MRS broth에 한천 1.5%를 첨가시켜 얻은 한천 평판)에 도말하고 37℃에서 48시간 동안 혐기조건하에서 배양시킨 후, 콜로니수를 계측하여 희석배수를 곱해서 생균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② 치주병 원인균의 주요 병원균인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Porphyromonas gingivalis) JCM 8525 주에 대한 억제작용의 시험
GAM 육즙(Nissui: 日水)에 0.7%의 글루코오스를 첨가한 액체 배지 10㎖에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Prophyromonas gingivalis) JCM 8525주(균수: 1×106CFU/㎖) 를 단독 (콘트롤: 대조군) 또는 표 1에 나타나 있는 30주의 유산간균 각각(균수: 1×106CFU/㎖)과 함께 혼합 접종하였다.
혐기배양 조건하에서 37℃에서 12시간 배양시킨 후, 배양액중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균수를 한천 평판법에 의해 측정하고,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단독으로 배양시킨 경우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균수 (콘트롤(대조군) 100%)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속균과의 혼합 배양시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균수의 비율을 구하였다.
한천 평판법에 의한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균수 측정을 EG 한천배지(Nissui: 日水)에 켄타마이신 10㎍/㎖을 첨가한 EG-GM 배지를 선택배지로 하여,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만을 생육시키고 균수를 측정한다.
즉,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단독 또는 각각의 유산간균주(30주)를 혼합 배양시킨 상기 배양액을 각각 1㎖씩 체취하여 상기 혐기성 희석액으로 단계적으로 희석시키고, 그 0.1㎖를 상기 EG-GM 한천 평판에 콘라디스 막대(conradi's bar)로 도말하고 37℃에서 48∼72시간 혐기배양을 하여 얻은 콜로니 수를 계측하고, 희석배수를 곱해서 생균의 수를 구한다.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단독으로 배양한 경우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균수 (콘트롤(대조군) 100%)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속균과의 혼합배양시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균수의 비율을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 생존율로 하고, 하기식에 따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존률(%)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속균의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에 대한 저해율(%)은 콘트롤(대조군, 100%)에서 폴피로모나스 진지발리스의 생존률(%)을 빼어서 얻게 되는 값(%)에 의해 표시된다.
③ 충치의 주요 병원균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MT
8148주에 대한 억제 및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억제 시험
GAM 육즙(Nissui: 日水)에 글루코오스 0.7%, 슈크로오스 3%를 첨가한 액체배지 5㎖를 원심 샘플링관(centrifugal sample collection tube)에 넣고, 여기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MT 8148 주(균수; 1×106CFU/㎖)를 단독(콘트롤(대조군) 또는 표 1에 기재된 30주의 유산간균(균수: 1×106CFU/㎖) 각각과 함께 혼합 접종시켰다. 호기적 조건하에서 37℃에서 24시간 배양시킨 후, 배양액중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를 한천 평판법에 의해 측정하고,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단독으로 배양시킨 경우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콘트롤(대조군) 100%)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속균과의 혼합 배양시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 비율로 구하였다.
한천 평판법에 의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균수의 측정은 TCYSB 한천배지(트립티카제소이아가(tripticase soy agar)(BBL) 40g/ℓ, 시스틴 0.3g/ℓ, 효모엑기스 5g/ℓ, 슈크로스 200g/ℓ, 한천 5g/ℓ, 바시트라신 10U/㎖)을 선택 배지로 사용함으로써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만을 생육시켜 균수를 측정하였다.
즉, 상기 각 배양액에서 1㎖을 채취하여 상기 혐기성 희석액으로 단계적으로 희석시킨 다음, 그것의 0.1㎖를 상기 선택 배지 플레이트(plate)에 도말하고, 37℃에서 72시간 배양시킨다. 플레이트 위에 생긴 콜로니를 계측하고, 희석 배율을 곱해 생균수를 구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단독으로 배양시킨 경우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콘트롤(대조군) 100%)에 대한 락토바실러스 속균과의 혼합 배양시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의 비율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존율(%)로 하고, 상기 ②와 같이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존율(%)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속균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저해율(%)은 콘트롤(대조군: 100%)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존율(%)을 빼어서 얻게 되는 값(%)에 의해 표시된다.
한편, 불용성 글루칸의 측정에 대하여는 상기 배양액을 넣은 각 샘플링관에 부착된 불용성 글루칸을 스퍼튤러(spatula)로 잘 떼어내어 3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시켜 침전시키고, PBS (Phosphate Buffer Solution)로 2회 세척한 후 5㎖의 PBS를 첨가하여 측정 검사체를 얻었다. 그러나, 불용성 글루칸은 페놀황산법에 의해 정량하였다( 高橋禮子 著 「생화학 시험법 23」 증보판, "당, 단백질, 당쇄연구법").
그 결과를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단독으로 배양시킨 경우에 측정한 불용성 글루칸의 량에 대한 각 락토바실러스 속균과의 혼합 배양한 경우에 측정한 불용성 글루칸의 량과의 비율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율 %)로 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속균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불용성 글루칸 생성의 저해율(%)은 콘트롤(대조군: 100%)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의해 생성된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율(%)을 빼어서 얻은 값(%)에 의해 표시되어 진다.
표 1: 락토바실러스속 각종 유산균주의 증식성,P. gingivalisJCM 8525주와
S. mutansMT 8148주에 대한 억제효과(in vitro(생체외에서)) 및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 억제 효과
*) 대조군(Control)은P. gingivalisS. mutans각각을 단독배양하여 얻은
균수로서, 100(%)로 나타내었다.
표 1에 나타나 있는 결과에서 락토바실러스속 30주 중 가장 증식성이 우수한
치주병균인P. gingivalis및 충치균인S. mutans의 증식을 제일 강하게 억제하고 또 불용성 글루칸의 생산량이 아주 적은 우수한 균주는 (26)의L. salivariusTI 2711주 라는 것이 밝혀졌다.
시험예 2: 생체내(In vivo)에 있어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 주의 무균 마우스 구강내의P. gingivalis(치주병의 원인균) 및S. mutans(충치의 원인균)에 대한 유효성 :
① 시험방법
실험 1 :
BALB/C 4주령의 무균 마우스를 사용하여 콘트롤군(감염 후 비투여군, n=10) 및 치주병 원인균 감염 후 투여균 (n=10)으로 구분하였다. 감염 후 투여군 및 콘트롤군에 치주병 원인균인P. gingivalisJCM 8525 1×109CFU/0.5㎖를 연속적으로 3일간, 합계 3회 구강내에 접종시키고, 감염 성립 후 1주마다 감염 후 투여군에 본 발명의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균수 1×109CFU/0.5㎖)를 연속 3일간 합계 3회 투여했다.
그 후 감염 마우스의 구강내를 혐기 희석액을 투침시킨(impregnated) 무균의 면봉으로 잘 닦아서 구강내의 타액을 매 1주, 매 2주 및 매 4주마다 샘플링하고, 타액중에 함유된P. gingivalis의 균수를 측정하였다.P. gingivalis의 균수 측정은 시험예 1의 ②항과 같이 하였다.
실험 2 :
BALB/C 4주령의 무균 마우스를 사용하여 콘트롤군(감염 후 비투여군, n=10) 및 충치 원인균 감염 후 투여군 (n=10)으로 구분하였다.
감염 후 투여군 및 콘트롤군에 충치 원인균인S. mutansMT 8148 1×109CFU/0.5㎖를 연속 3일간 합계 3회 구강내에 접종시키고, 특히 감염 성립 후 1주일마다 감염 후 투여군에 본 발명의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균수 1×109CFU/0.5㎖)를 연속 3일간 합계 3회 투여하였다.
그 후 감염 마우스의 구강내를 혐기 희석액을 투침시킨 무균 면봉으로 잘 닦아서 구강내의 모든 타액을 매 1주, 매 2주 및 매 4주마다 각각 샘플링하고, 타액중에 함유된S. mutans균수를 측정하였다.S. mutans의 균수의 측정은 시험예 1의 ③항과 같이 하였다.
이상의 생체내(in vivo)에 있어서 실험 1 및 실험 2의 프로토콜의 개요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또 실험 1 및 실험 2의 결과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도 1에 나타낸 실험 1의 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무균 마우스(BALB/c)에본 발명의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투여한 전후에서 치주병 원인균인P. gingivalis의 균수를 비교하면,P. gingivalis의 균수는 윌콕손(Wilcoxon)법에 의한 유의차 검정에 있어서, 유의차 P〈 0.001이고 투여 후 확실하게 감소되었다.
도 2에 나타낸 실험 2의 결과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무균 마우스(BALB/c)에 본 발명의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4주간에 걸쳐 투여하고, 충치의 원인균인S. mutansMT 8148주의 균수 변동을 조사한 결과, 투여 후의 균수는 약 1주일마다 P〈 0.01이고, 균수가 투여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제4주째에 이르러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현상이 계속됨을 알 수 있었다( P〈 0.01 ).
시험예 3: 임상시험의 프로토콜
서면으로 동의를 받은 건강한 사람(지원자) 57명에 대해서 아래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임상시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유산균주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의 동결 건조균의 분말을 1정당 140㎎(치수 1×108CFU/g) 함유하는 정제를 조제하고 1일 5회, 1회에 5정씩 합계 25정을 식사 중간에 각 지원자에게 복용시켰다. 2개월의 복용기간에 걸쳐 연일 복용시키고 타액을 채집, 구취를 측정하고, 의사에 의한 문진을 받도록 하였다. 제1회 검사로서 복용전에 타액을 채집, 구취를 측정("하리미터C-21" 미국인터스캔사 제품)하고 문진을 받었다. 같은 방법으로 제2회의 검사를 복용 후 4주째에 실시하고, 제3회의 최종검사를 복용 후 8주째에 하였다. 도 11은 본 시험예의 임상시험 프로토콜의 개요를 나타내고 있다.
ⓐ 타액중의 균수 측정법
채집한 건강한 사람의 지원자(n=57)의 타액 100㎕을 멸균 혐기성 희석액(시험예 1의 ①항 참조) 900㎕에 첨가한 것을 원액(×1배액)으로 하고, 단계적으로 희석시켜 ×3, ×5, ×6배의 희석액을 조제하여 0.1㎖를 취하고, 먼저 준비한 하기 선택배지의 한천 평판배지에 도포한 후, 콘라디스봉(Conradi's bar)으로 고르게 젓은 후 37℃에서 72시간 혐기 배양을 실시하였다. 나타난 콜로니수를 계측하여 총균수, Lactobacilli 균수, 치주병균의 균수 및 충치균군의 균수를 구하였다. 그 후 콜로니를 1 백금이 채취하여 그램 염색을 한 후 현미경 하에서 확인하였다.
(선택배지)
· 총균수: BL 한천배지 및 EG한천배지를 사용함.
· Lactobacill: 변법 LBS 한천배지.
· 치주병균 (BPAR=혐기성 그램 음성 흑색간균): EG-GM 한천배지,
BL 한천배지
· 충치균군(S. mutans,S. sobrinus) : TCYSB 한천배지
ⓑ 불용성 글루칸의 정량 : 페놀황산법에 의한다.
ⓒ 구취측정: 하리미터-C 21 (미국 인터스캔사 제품)을 사용함.
측정온도 20℃.
ⓓ pH의 측정: 소형의 pH 측정기 (일본 堀場製作所 제품) 사용.
(시험결과)
① 구강내의 총균수에 대하여 :
얻어진 총균수의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제 복용전 및 4주간째 복용후 사람의 구강내의 총 균수는 전혀 그 유의차를 발견할 수 없었다.
② 구강내 치주병균 (BPAR:흑색 색소를 생성하는 그램 음성, 혐기성
간균)의 변동에 대하여 :
얻어진 구강내 치주병균 균수의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용전에는 검출 한계보다 적은 치수를 갖는 것이 8명 있었고, 그 평균치는 106.6±1.3CFU/타액총량이었던 것이 복용 후 4주간에는 검출한계 이하의 균수를 갖는 것이 30명으로 대폭 증가했다.
그 평균치는 105.3±1.6CFU/타액총량 (P〈 0.0001) 이었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의 복용에 의해 병원균인 치주 병균이 없어졌거나 억제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③ 구강내 충치균 (그램 양성의 뮤턴스 연쇄구균)의 변동에 대하여;
얻어진 충치균군의 균수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와 같이 복용전후에서 뮤턴스 연쇄구균의 타액중 균수에는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을 정도이었다.
④ 구강내 유산균의 변동에 대하여 :
얻어진 구강내 유산균의 균수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와 같이 구강내의 유산간균의 균수에 대하여도 복용 전후에서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을 정도이었다.
⑤ 타액의 pH 변동에 대하여 :
타액 pH의 변동을 측정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복용전의 57명에 대해서는 pH의 변동폭도 컸으며, 그 평균치는 pH 7.0±0.7를 나타내었으나, 복용 4주후에는 pH의 변동폭은 적게되어 그 평균치는 pH 7.3±0.2를 나타내었다. 혈액의 pH도 거의 같은 값을 나타내었다. 즉 타액의 pH가 정상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8주 후에도 나타났다. pH가 정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또 그 변동폭도 아주 적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사람에 유산균을 투여하면 젖산의 생성이 촉진되어 충치를 조장하지 않나하는 의문을 자아내게 하는 데이터로 볼 수 있고, 그 임상적 의의는 지극히 중요한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⑥ 타액중의 불용성 글루칸의 생산량 변동에 대하여 :
타액중의 불용성 글루칸의 생산량 측정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복용전에 타액중의 불용성 글루칸의 량은 평균치 9.9±6.0㎎/타액총량이었던 것이 복용 후 4주째에는 평균치 7.6±5.8㎎/타액총량 (P〈 0.05)이 되어 통계학적으로 유의차를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8주째에 있어서는 평균치 4.2±2.2㎎/타액총량 (P〈 0.001)이 되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복용에 대해서 Dose Response Correlation이 인정되었다.
이것은 본 임상시험에 의해서 나타나는 본 발명 유산균주의 유효성의 과학적근거를 구성하는 증거의 일부라 할 것입니다.
즉, 본 발명의 유산균주는 치구(Dental plaque)의 중요한 원인물질인 불용성 글루칸의 생산을 중지시키고 혐기성의 치주병균이나 충치균의 생식장소를 처음부터 단절시킬 수 있어, 충치나 치주병 등의 만성 감염증의 진전, 재발, 재연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는 장기 복용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타액의 pH가 정상으로 되고, 특히 치구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구강내 세균에 의한 치구 내부에서 산의 생성이 억제되고, 충치나 치주병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강하게 인식시켜 준다.
⑦ 하리미터(Halimeter)에 의한 구취의 측정 결과에 대하여 :
구취의 측정은 건강한 사람 지원자의 호기중의 휘발성 황화화합물의 량을 하리미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구취발생의 주요 원인중 하나로서 치주병균에 의한 단백질의 분해를 들 수 있다. 즉 치주병균은 단백질 분해효소(protease)의 활성이 현저하게 높기 때문에 이 균의 영양원중 하나인 구강내의 먹이가스 등의 단백질을 용이하게 분해시켜 H2S나 CH3SH, 기타의 티올류, 설파이드류등의 휘발성 황화화합물 (VSC=Volatile Sulfurated Compound)인 구취의 원인물질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유산균주를 함유하는 정제(錠菓)를 복용전의 건강한 사람 지원자 57명의 호기중 휘발성 황화화합물의 량을 하리미터를 이용하여 실온(20℃)에서 측정하고, RU(Response Unit, ppb=parts per billion)값이 65 ppb 이상인 지원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여 복용 후의 추적 측정을 한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이 20명의 구취의 RU 값은 복용전에는 164±96 ppb (평균±표준오차) 이었고, 복용 후 4주째에는 94±21ppb로 떨어져서 통계학적으로 지극히 유의차(P〈 0.005)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더욱이 8주째의 측정에 있어서는 RU 값은 90±21ppb로 떨어져서 65ppb 이하의 구취가 전혀 감지할 수 없을 정도의 정상자가 13명이나 존재하였다(P〈 0.001 ).
즉, 복용전 구취가 있었던 지원자의 수를 100%라 할 때 그 수는 4주째에는 52%로 감소하였고, 8주째에는 38%로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거의 Dose Response Correction을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유산균주의 장기복용에 의해서
구취제거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산균주인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에 의한 치주병균의 억제사실과 구취발생을 억제하는 사실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특히 의사에 의한 57명의 문진결과 복부증상의 발생은 발견할 수 없었다.
시험예 4 각종 올리고당, 당알콜류의 첨가 및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접종에 의한S. mutans의 불용성 글루칸 생성에 대한 억제
효과(in vitro(생체외에서)) :
(시험방법)
기초배지로 GAM 육즙(Nissui: 日水)에 글루코오스 0.7%, 슈크로스 3%를 함유하는 액체 배지에 당(糖)알콜로서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솔비톨 및 올리고당으로플락토 올리고당, 케스토스 등 각각을 5% 첨가하고,S. mutansMT 8148주 1×107CFU/㎖를 각각의 배지에 접종시키고, 37℃에서 24시간 호기 배양시켰다.
한편, 상술한 당 알콜류 및 올리고당의 5% 첨가배지에S. mutansMT 8148주를 1×107CFU/㎖ 접종시킨 후, 특히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1×107CFU/㎖ 접종시켜 37℃에서 24시간 호기 배양시켰다.
배양 종료 후 양자의S. mutansMT 8148주의 균수측정과 불용성 글루칸의 정량(시험예 1에 기재된 방법)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표 2에 나타나 있는바와 같이 당 알콜 및 올리고당 중에서 가장 불용성 글루칸의 생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에리스리톨이었다. 에리스리톨 단독으로는 약 60% 저해되었지만, 특히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접종하여 혼합 배양한 결과, 이들의 상승 및 상가효과가 인정되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의 비 접종 불용성 글루칸의 량을 100 %라고 하였을 때 약 90%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표 2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의 건조 균체의 조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를 0.3% 탄산칼슘을 함유하는 블릭스 리버(Briggs liver) 액체배지에 접종시킨 후, 37℃에서 18시간 정치하여 배양시켰다.
배양 종료 후, 7000rpm, 15분간 원심분리를 한 배양액의 1/100량의 농축 균체를 얻었다. 계속하여 이 농축균체에 글루타민산소다 5%(중량), 가용성 전분 5%
(중량), 서당 5%(중량)을 함유하는 분산매와 같은 량으로 혼합시키고, pH 7.0로 조정한 후 -40℃ 이하에서 동결시키면서 동결 건조시켰다. 얻어진 동결 건조균의 분말을 60메시의 체로 분말화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분말을 조제하였다.
특히, 균의 보존안정성에 대해서 유산균 분말을 실온 24℃, 10개월, 밀봉조건하(알루미네이트 포대)에서 보관하여도 균의 수는 저하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의약품 생균 제제 (정제)의 제조
개정된 일본 약국방 해설서 (제12권)「제제총칙 "정제편"」의 규정에 따라 실시예 1에서 조제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건조균 분말 2g(균수, 5×109CFU/g 상당)을 유당(日局) 161g, 전분(日局) 116g, 결합제 폴리비닐피로리돈 K25(日局) 20g, 활석제로서 스테아린산마그네슘(日局) 0.8g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시키고,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1정당 300㎎의 소정(素錠)을 290g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유산균 함유 식품(정제)의 제조
개정된 일본 약국방 해설서 (제12권)「제제총칙 "정제편"」을 참고로 하여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건조균 분말 0.7g(균수, 5×109CFU/g 상당), 에리스리톨 47g, 솔비톨 47g, 1-멘톨 2.5g, 향미료(flavor: 라임) 1.5g 및 활석제로 일본의 식품 첨가물로 지정되어 있는 슈크로오즈 지방산에스테르 1.3g를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타정기로 압축 성형하여 1정당 300㎎의 소정(素錠)을 95g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유산균 함유 식물(껌)의 제조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건조균 분말 10g(균수, 5×109CFU/g 상당), 에리스리톨 160g, 솔비톨 160g, 향료로서 페파민트오일 20g 및 껌베이스(식품첨가물) 150g을 먼저 평량해 두고, 껌 제조용 니더를 사용하여 껌 베이스를 잘 혼련시킨 후, 감미제인 에리스리톨 및 솔비톨을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건조 분말과 균일하게 혼합시킨 것을 껌 베이스 혼련시에 소량씩 첨가하고균일하게 혼련시킨 다음 최후에 페파민트 오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련하였다.
혼련 종료 후, 니더로부터 껌의 덩어리를 끄집어내고 압연 로울러에 걸어서 두께 3㎜의 판껌을 제조하고, 2일간 항온실에서 성숙시킨 후 시판하는 판껌의 크기로 재단하여 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유산균 함유 식품(발효유)의 제조
스타터균Lactobacillus acidophilus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의 혼합 배양에 의한 제조 :
발효유의 스타터균인L. acidophilus를 탈지분유 23g, 효모엑기스 10g, 아스콜빈산 0.06g를 함유하는 환원탈지 배지에 접종시키고, 37℃에서 16시간 정치배양한 것을 벌크스타터로 하였다.
한편, 생유 또는 탈지분유로 이루어지는 원료 혼합물에 실시예 1에 제조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의 배양액과 먼저 조제해 둔 벌크스타터 배양액을 각각 5% 접종시키고, 37℃에서 16시간 배양하여 발효유를 얻었다.
본 발명의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발효유는 풍미(風味)와 미미(美味)가 우수할 뿐 아니라 기호성이 높은 제품이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에 대하여 생체외(in vitro) 시험 및 무균 마우스를 사용한 생체내(in vivo)시험, 특히 장기에 걸친 임상시험(n=57)을 한 결과, 어떠한 시험에 있어서도 구강내 플로러의 정상화, 치주병균 및충치균의 억제, 구취발생 방지 등에 대한 유효성이 입증되었다. 즉, 본 발명의 균주를 복용 또는 섭취 함으로써 구강내 플로러를 정상화시키고, 그 결과로서 치주병균이나 충치균을 억제하며 구취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균주는 타액의 pH를 생리적으로 정상을 유지할 수 있고 잇몸염, 치주염 및 치주병의 발생방지 또는 치료, 충치의 발생 예방 또는 치료, 구취의 발생 예방 및 구취의 제거 등에 쓰일 수 있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식품의 성분으로 유용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의 목적에 합치 상기한 바와 같은 치주병이나 충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산균을 이용하는 종래의 기술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치주병균, 충치균을 원인균으로 하는 치주병 및/또는 충치의 발생 또는 재발, 재연을 방지할 수 있는 유산균주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유산균주를 포함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균주(菌株)로서는 사람과 모델동물에 대한 시험에 있어서, 구강내 병원균인 치주병, 충치의 원인균을 제균 또는 억제시킬 수 있고, 특히 구강내 플로러를 정상화시켜 구취의 발생을 없애고, 타액의 pH를 생리적으로 정상 유지하는 등의 임상적으로 유효성이 입증되는 균주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락토바실러스속에 속하는 각종 유산균을 탐색하여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가 상기한 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여이를 함유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식품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식품은 구강내 플로러의 정상화, 잇몸염증, 치주염 및 치주병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치료하며, 충치의 발생예방 및 치료, 구취의 발생예방 및 제거 등에 이용되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의 바람직한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株) (FERM BP-7974) 및 이들의 균체 및 건조 균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으로 특별히 바람직하기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로서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074)를 함유한다.
또,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의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의 사용 및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및 이 균주와는 작용 메카니즘이 다른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12)

  1.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Lactobacillus salivarius)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내(口腔內) 플로라를 정상화함에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
  2.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잇몸염, 치주염 및 치주병의 발생방지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 함유 식품.
  3.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충치의 발생예방 또는 치료용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
  4.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취의 발생예방 및 구취제거용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
  5.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 함유 식품.
  6.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7.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를 순수 배양하여 얻은 균체.
  8.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의 균체를 건조시켜 얻은 건조 균체.
  9. 생균제제 또는 유산균함유 식품제조에 따르는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의 사용.
  10.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및 이 균주와는 작용 메카니즘이 서로 다른 활성성분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와 당(糖)알콜 및 올리고당으로부터 선택된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유산균이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 TI 2711주 (FERM BP-7974) 와 에리스리톨(erythritol)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47015110A 2002-03-29 2002-03-29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 KR1008430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3177 WO2003082027A1 (fr) 2002-03-29 2002-03-29 Preparations cellulaires vitales et aliments contenant une bacterie lactique comme principe acti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434A true KR20040111434A (ko) 2004-12-31
KR100843020B1 KR100843020B1 (ko) 2008-07-01

Family

ID=28470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10A KR100843020B1 (ko) 2002-03-29 2002-03-29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74613B2 (ko)
EP (1) EP1498039B1 (ko)
JP (1) JP4203855B2 (ko)
KR (1) KR100843020B1 (ko)
CN (1) CN1309316C (ko)
AU (1) AU2002243005A1 (ko)
DK (1) DK1498039T3 (ko)
HK (1) HK1073230A1 (ko)
TW (1) TW200305370A (ko)
WO (1) WO2003082027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23A (ko) * 2017-06-01 2018-12-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1074B1 (ko) * 2018-12-07 2019-07-18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조성물
KR20200070080A (ko) * 2019-07-09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70081A (ko) * 2019-07-09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32926A1 (ko) * 2019-12-26 2021-07-01 여장욱 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페이스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1756A1 (en) * 2004-06-14 2005-12-22 Eamonn Connolly Use of lactic acid bacteria for decreasing gum bleeding and reducing oral inflammation
KR100605992B1 (ko) * 2004-08-25 2006-07-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구취를 억제하는 유산균
US20060062774A1 (en) * 2004-09-21 2006-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for maintaining and restoring normal urogenital flora
EP2133414A1 (en) 2008-06-11 2009-12-16 Basf Se Uses and methods for preventing and /or treating oral malodour
JP5365166B2 (ja) * 2008-11-28 2013-12-11 ライオン株式会社 乳酸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US20110014324A1 (en) * 2009-07-10 2011-01-20 Christoffer Lundqvist Product for the storage of freeze-dried lactic acid bacteria mixed with oral rehydration solution
EP2455095B1 (en) 2009-07-16 2017-06-07 Hiroshima University Prophylactic, ameliorating or therapeutic agent for oral diseases
CN102311932B (zh) * 2010-07-07 2014-03-19 生展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改善口腔内细菌群的唾液乳酸杆菌及其保健组合物
JP2012092094A (ja) * 2010-09-30 2012-05-17 Wakamoto Pharmaceutical Co Ltd 油脂中に乳酸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CN102618452B (zh) * 2011-02-01 2014-06-25 任发政 唾液乳杆菌及其代谢物的制备方法和组合物以及应用
AU2012293231B2 (en) 2011-08-05 2017-04-13 Kabushiki Kaisha Yakult Honsha Prophylactic or therapeutic agent for oral diseases
CA2903943A1 (en) 2013-03-04 2014-09-12 Swiss Stem Cell Foundation A system for extraction of cells from a sample of tissue
CN104825380A (zh) * 2015-04-21 2015-08-12 溧水区人民医院 一种快速恢复口腔正常菌群的护理液及其制备方法
JP6236052B2 (ja) * 2015-11-16 2017-11-22 欽也 斉藤 口内虫歯予防粉及び口内虫歯予防粉の製造方法
EP3623464A4 (en) * 2017-05-12 2020-07-08 Kikkoman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LACTIC BACTERIA RICH IN DOUBLE-STRANDED RNA AND SAID LACTIC BACTERIA
CN111373463A (zh) * 2017-11-16 2020-07-03 宝洁公司 产品演示装置及其方法
US11147845B2 (en) 2018-07-16 2021-10-19 ProBiora Health, LLC Foods containing beneficial oral bacteria
JP6487106B1 (ja) * 2018-10-15 2019-03-20 株式会社湖池屋 免疫機能向上用食品組成物
JP7160652B2 (ja) * 2018-11-29 2022-10-25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歯周病予防用組成物
CN112126605A (zh) * 2020-10-12 2020-12-25 镇江市天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唾液乳杆菌及其应用
CN114053313B (zh) * 2022-01-17 2022-04-01 中科嘉亿营养医学(山东)微生态研究院有限公司 一种唾液乳杆菌jyls-372在制备解酒护肝产品中的应用
CN115040465B (zh) * 2022-07-06 2023-01-24 浙江爱尚日用品有限公司 一种有效祛除牙斑、牙垢的增白牙膏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1126A (ja) 1984-10-09 1986-05-09 Advance Res & Dev Co Ltd 抗歯周症剤
EP0154549B1 (en) * 1984-03-09 1990-12-27 Kabushiki Kaisya Advance Anticariogenic or antiperiodontitic agent
DE3439094A1 (de) * 1984-10-25 1986-05-07 Henkel KGaA, 4000 Düsseldorf Mund- und zahnpflegemittel
JPH107577A (ja) * 1996-06-17 1998-01-13 Yakult Honsha Co Ltd 血糖降下剤
KR100266752B1 (ko) * 1997-08-07 2001-03-02 오종석 인체 구강내 치태형성을 억제하는 신규한 유산균
JP3648115B2 (ja) 2000-01-14 2005-05-18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乳酸菌の培養方法及び飲食品
KR100753012B1 (ko) * 1999-08-03 2007-08-30 가부시키가이샤 야쿠루트 혼샤 발효유 음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ATE419331T1 (de) * 2000-08-25 2009-01-15 Wakamoto Pharma Co Ltd L. salivarius-stamm enthaltende probiotische produkt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1823A (ko) * 2017-06-01 2018-12-1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류테리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01074B1 (ko) * 2018-12-07 2019-07-18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유산균 조성물
KR20200070080A (ko) * 2019-07-09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05 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70081A (ko) * 2019-07-09 2020-06-17 주식회사 메디오젠 충치 억제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살리바리우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21132926A1 (ko) * 2019-12-26 2021-07-01 여장욱 동물용 프로바이오틱스 페이스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25345A (zh) 2005-06-08
DK1498039T3 (da) 2012-10-15
TWI342750B (ko) 2011-06-01
JP4203855B2 (ja) 2009-01-07
CN1309316C (zh) 2007-04-11
EP1498039B1 (en) 2012-10-03
EP1498039A1 (en) 2005-01-19
KR100843020B1 (ko) 2008-07-01
JPWO2003082027A1 (ja) 2005-07-28
US20070071737A1 (en) 2007-03-29
TW200305370A (en) 2003-11-01
WO2003082027A1 (fr) 2003-10-09
EP1498039A4 (en) 2006-03-29
US7674613B2 (en) 2010-03-09
HK1073230A1 (en) 2005-09-30
EP1498039A8 (en) 2005-06-22
AU2002243005A1 (en) 2003-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020B1 (ko) 유산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균제제 및 유산균 함유 식품
JP4455333B2 (ja) プロバイオティック細菌:Lactobacillusfermentum
JP5879349B2 (ja) 口腔衛生のためのプロバイオティック組成物
US7226590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US9763988B2 (en) Nano-sized kimchi lactic acid bacteria
US8349316B2 (en) Lactobacillus fermentum SG-A95 for improving oral bacterial groups and health care compositions thereof
CN111700916B (zh) 一种益生菌组合物及其应用
US20110318281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SG-M6 for Improving Oral Bacterial Groups and Health Care Compositions Thereof
JP2006508943A (ja) 酵母成長を阻害するための方法
JP5544234B2 (ja) 歯周病菌生育抑制用組成物
DebMandal et al. Detection of intestinal colonization of probiotic Lactobacillus rhamnosus by stool culture in modified selective media
TWI733207B (zh) 植物乳桿菌菌株、含其之組成物、其製造方法及其用於製備抑制或減少口腔病原菌之組成物的用途
JP2006328052A (ja) ポルフィロモナス・ジンジヴァリス除菌のための組成物
CN116024128B (zh) 一株嗜热链球菌菌株p0012及其制备的口腔健康护理用益生菌组合物和应用
US20230381093A1 (en) Bacillus subtilis strain and use thereof
US20230372414A1 (en) Novel bacillus velezensis strains and uses thereof
WO2022255568A1 (ko) 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aushad et al. An in vitro study of probiotic activity exhibit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rhamnosus on oral isolates of Streptococcus mutans and Candida albicans
CN116904341A (zh) 一株可改善口腔健康的鼠李糖乳杆菌及其益生菌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