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1160A - 액체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액체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1160A
KR20040111160A KR1020040045450A KR20040045450A KR20040111160A KR 20040111160 A KR20040111160 A KR 20040111160A KR 1020040045450 A KR1020040045450 A KR 1020040045450A KR 20040045450 A KR20040045450 A KR 20040045450A KR 20040111160 A KR20040111160 A KR 20040111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mount
wipe
nozzl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8003B1 (ko
Inventor
이시하라미츠구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1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1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 B41J2/1742Open waste ink collectors, e.g. ink receiving from a print head above the collector during borderless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002/16573Cleaning process logic, e.g. for determining type or order of clean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한다.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와, 상기 기간에서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와, 상기 2개의 회수카운트 기억부(59, 58)로부터의 와이프회수 N 및 잉크 허위 토출회수 M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하는 정보출력부(60)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체토출장치{LIQUID EJ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토출헤드에 형성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잉크젯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는, 일반적으로 직렬헤드방식이라 부르고, 기록지의 인쇄폭보다 짧은 치수의 프린트 헤드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인쇄를 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잉크토출노즐의 막힘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기록지의 외측 쪽에 퇴피한 위치에 폐잉크 받음부를 배치하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 폐잉크 받음부까지 이동시켜 잉크를 허위 토출하고, 또한, 기록지의 외측 쪽에 퇴피한 위치에 배치된 헤드캡에 잉크흡인기구를 설치하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이 잉크흡인기구까지 이동시켜 잉크를 흡인하여, 노즐클리닝을 행하고 있었다.
이들 방식에 의한 프린트 헤드의 노즐클리닝은, 상기 프린트 헤드를 좌우로 왕복이동시켜 인쇄를 행하는 직렬헤드방식의 잉크젯 프린터로는 실현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리고, 폐잉크 받음부에 잉크를 허위 토출해도, 프린트 헤드의 노즐수가 적기 때문에 폐기된 잉크량이 적어 자연건조하므로, 그 폐잉크 받음부를 사용자가적절한 사용간격으로 교환할 필요는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록지(예를 들면A4판)의 한변의 폭에 걸쳐 장척하게 형성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가 제공되도록 되어 오고 있다. 이러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로서는, 잉크토출노즐열이 기록지의 인쇄폭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나열되어 있고, 그 잉크토출노즐의 막힘에 의한 인쇄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폐잉크 받음부에 잉크를 허위 토출하면, 그 허위 토출되는 잉크량이 직렬헤드방식인 것에 비해 많아져, 상기 폐잉크 받음부를 사용자가 적절한 사용간격으로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는, 폐잉크 받음부의 교환시기를 사용자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지만, 그 교환시기의 통지에 관한 기술로서는, 잉크토출노즐로부터 강제적으로 소정량의 잉크를 배출시키는 토출회복처리에서의 잉크토출의 누적실행회수를 카운트하고, 그 카운트한 누적실행회수를 기억해 두어, 잉크의 토출회복처리를 행하기 전에, 상기 기억된 누적실행회수를 판독하여, 폐잉크 받음부가 그 토출회복처리에 의해 배출되는 폐잉크를 수용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수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는, 그 폐잉크 받음부의 교환을 지시하는 경보를 발하여, 폐잉크 받음부의 교환을 지시하는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허 제2755791호 공보(제1페이지, 도 5)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기술에 있어서는, 잉크의 토출회복처리의 누적실행회수를 그 때마다 카운트함과 동시에 그 누적실행회수를 기억해 두고, 이 기억된 누적실행회수를 판독하여, 폐잉크 받음부가 그 토출회복처리에 의해 배출되는 폐잉크를 수용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할 수 있지만,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잉크를 와이프하는(닦아내어 흡수함) 클리닝 부재도 구비한 프린트 헤드에 있어서, 그 클리닝 부재가 흡수한 잉크의 흡수량을 검출하고, 이 잉크의 흡수량을 누적하여 상기 클리닝 부재의 교환시기를 판단하는 데에는 적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폐잉크 받음부와 클리닝 부재를 구비한 프린트 헤드에 관해서,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폐잉크 받음부 및 클리닝 부재의 교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액체토출장치에서의 헤드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의 외커버를 벗겨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상기 헤드캡 개폐기구에 의해 헤드캡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잉크젯 프린터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잉크젯 프린터가 구비한 CPU의 내부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상기 CPU의 내부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상기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클리닝 실행시의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 용량 및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도 7에 나타내는 정보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잉크젯 프린터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로 전송하고, 그 표시화면의 다이알로그 박스 내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클리닝 실행시의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 용량 및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하는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잉크젯 프린터 12 : 프린터 본체부
13 : 헤드 카트리지 14 : 기록지 트레이
18 : 표시패널 19 : 잉크탱크
20 : 프린트 헤드 21 : 헤드캡
22 : 노즐면 23 : 잉크토출노즐
24 : 클리닝 롤러 25 : 폐액수부
34 : CPU 38 : 호스트 컴퓨터
55 : 잉크 허위 토출 카운터 56 : 롤러 와이프 카운터
58 :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
59 :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
60 : 정보출력부 61 : 허위 토출회수 상한비교 검지부
62, 64 : 상한값 메모리
63 : 와이프 회수 상한비교 검지부
65 : 다이알로그 박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처하여,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하는 액체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는,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해 두고, 이와 같이 기억된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정보출력수단으로 입력하여, 그 2개의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와 폐액 받음부를 갖는 헤드캡을 구비한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서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해 두고, 이와 같이 기억된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정보출력수단으로 입력하여,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와 폐액 받음부를 갖는 헤드캡을 구비한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한쪽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 상한값을 초과한 경우에, 이후의 액체토출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액체토출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고, 사용량 상한값을 초과하여 사용한 것에의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의 도트열 또는 도트형성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표시수단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고,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 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고,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하게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수치, 그래프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있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보기 쉬운 상태로, 표시수단에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수치, 그래프 또는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액체토출장치의 일례로서의 잉크젯 프린터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잉크젯 프린터(11)는, 기록매체의 소정위치에 잉크방울을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프린터 본체부(12)와, 헤드 카트리지(13)와, 기록지 트레이(1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린터 본체부(12)는, 장치 본체부로서 기록매체인 기록지에 대하여 적정하게 인화를 행하게 하기 위한 기록지반송 기구부나 전기회로부를 내부에 수납한 것으로, 상면에는 헤드 카트리지(13)를 수납하는 수납부(15)가 개구되어 있고, 그 상단부에는 그 수납부(15)를 개폐하는 상부덮개(16)가 설치된다. 또한,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면 하부에는, 후술의 기록지 트레이(14)를 장착하기 위한 트레이 삽입구(17)가 설치된다. 이때, 이 트레이 삽입구(17)는 기록지의 배지구도 겸하고 있다. 또한, 이 프린터 본체부(12)의 전면 상부에는, 잉크젯 프린터(11)의 전체동작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표시수단)(18)이 설치된다.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수납부(15)에는, 헤드 카트리지(13)가 화살표 Z와같이 수납되어, 탈착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헤드 카트리지(13)는, 옐로우 Y, 진홍색 M, 시안 C, 블랙 K의 4색의 잉크탱크(19)를 구비한 프린트 헤드(20)와, 이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 장착된 헤드캡(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기록지(예를 들면 A4판)의 한변의 폭에 걸쳐 노즐부재가 장척하게 형성된 풀라인타입의 프린트 헤드(2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트레이 삽입구(17)에는, 기록지 트레이(14)가 탈착가능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기록지 트레이(14)는, 기록지를 거듭 수납하는 것으로, 그 상면부에는 프린터 본체부(12)로부터 배치되는 기록지의 배지수부(14a)가 설치된다.
도 2는, 상기로 헤드 카트리지(13)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단면 측면도이다. 잉크탱크(19)는, 소정의 액체(잉크)가 저장된 액체용기가 되는 것으로, Y, M, C, K의 4색의 잉크에 대응하여 4개의 탱크(19y, 19m, 19c, 19k)가 탈착가능하게 세트되어 있다. 또한, 프린트 헤드(20)는, 상기 잉크탱크(19y, 19m, 19c, 19k)에서 잉크의 공급을 받아 잉크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가 되는 것으로, 그 하면의 노즐면(22)에는 Y, M, C1,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액체토출노즐)(23)의 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하면측에는, 헤드캡(21)이 그 프린트 헤드(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헤드캡(21)은, 상기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을 보호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4둘레에 직립편을 갖는 가늘고 긴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상기 노즐면(22)을 이동하면서 증점부착된 잉크 찌꺼기를 와이프하는 클리닝 롤러(클리닝 부재)(24) 및 상기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 허위 토출된 잉크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25)를 가지고 있다.
이때, 상기 클리닝 롤러(24)는, 탄력성을 가짐과 동시에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폐액 받음부(25)는, 흡습성을 갖는 부재, 예를 들면 스폰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부호 26은, 상기 헤드캡(21) 내에서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된 노즐밀봉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상기 헤드캡(21)의 이동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12)의 외커버를 벗겨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4는, 헤드캡 개폐기구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에서, 프린터 본체부(12)에 대하여 헤드 카트리지(13)를 화살표 Z 방향으로 내려 수납부(15)에 수납한 후, 헤드탈착기구(27)를 약 90도 앞측에 기울게 하여, 상기 헤드 카트리지(13)를 프린터 본체부(12)에 고정한다. 이때, 도 2에 나타내는 헤드캡(21)이, 도 3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28)와 걸어 맞추게 되어 있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헤드캡 개폐기구(28)의 상세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우선, 도 2에 나타내는 클리닝 롤러(24)가 부착된 헤드캡(21)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변부에 직선형의 랙(lac)(29)이 형성된 이동용 랙판(40)에 연결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이동용 랙판(40)은, 상기 헤드캡(21)을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그 이동용 랙판(40)의 내측 측면의 상부양단에 설치된 2개의 가이드핀(41a, 41b)을, 도 3에 나타내는 프린터 본체부(12)의 한쪽의 외측판(42)에 형성된 직선형의 이동가이드홈(43)에 관하여 걸어 맞추고, 하변부에 형성된 락(29)을, 상기 한쪽의 외측판(42)에 부착된 이동용 모터(44)의 회전축 상의 웜기어(45)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30)에 맞물려,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캡(21)의 한쪽의 외측면에는, 상기 이동용 랙판(40)측에 향하여 전후 2개의 캡 가이드핀(46a, 46b)이 돌출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한쪽의 외측판(42)의 중간부에는, 상기 헤드캡(21)의 이동궤적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형상으로 만곡한 2개의 캡가이드홈(47, 4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캡(21)의 전후 2개의 캡가이드핀(46a, 46b)은, 각각 상기 프린터 본체부(12)의 외측판(42)의 캡가이드홈(47, 48)에 걸어 맞추어져, 또한 전방부의 캡가이드핀 46a만은 상기 이동용 랙판(40)의 전단부에 세로 길이로 형성된 가이드홈 49에 걸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기구에 의해, 상기 이동용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45)를 통해 피니언(30)이 화살표 F, G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과 맞물리는 락(29)에 의해 이동용 랙판(40)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상기 헤드캡(21)의 전방부의 캡가이드핀 46a가 상기 이동용 랙판(40)의 전단부의 가이드홈 49에 걸어 맞추어져 있으므로, 그 헤드캡(21)은 상기 이동용 랙판(40)과 동시에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때의 헤드캡(21)의 이동궤적은, 전후 2개의 캡가이드핀 46a, 46b가 걸어 맞추는 캡가이드홈 47, 48의 형상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헤드캡 개폐기구(28)에 의해 헤드캡(21)이 이동할 때의 클리닝동작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5a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헤드캡(21)이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에 대하여 닫힌 위치에 있고, 노즐면(22)의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이 노즐밀봉부재(26)에 의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프린터 기동시 또는 인화개시시 또는 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프린터 본체부(12)에 캡닫힘 트리거 신호가 입력되면, 도 4에 나타내는 이동용 모터(44)가 회전구동되어,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헤드캡(21)의 이동에 따라, 예를 들면 스폰지 제조의 클리닝 롤러(24)가 노즐면(22)을 마찰하면서 순차 회전이동한다. 그리고, 이 회전이동시에,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에 고화하여 증점한 잉크 찌꺼기를 상기 클리닝 롤러(24)로 닦아 낸다.
또한, 광식 또는 기계식 등의 센서에 의해, 예를 들면 스폰지 제조의 폐액 받음부(25)가 상기 클리닝 롤러(24)로 잉크 찌꺼기를 닦아낸 후의 잉크토출노즐(23)의 바로 아래에 이른 것을 검지하면, 그 잉크토출노즐(23)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한 잉크의 허위 토출이 행해진다.
도 5b에서는, Y색의 잉크토출노즐(23)에 대하여 클리닝 롤러(24)로 잉크 찌꺼기를 닦아낸 후에, 그 Y색의 잉크토출노즐(23)의 바로 아래에 달한 폐액 받음부에 대하여 잉크를 허위 토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Y, M, C, K의 4색의 잉크토출노즐(23)의 전부에 대하여, 클리닝 롤러(24)에 의한 와이프와 잉크의 허위 토출이 종료한 상태로, 도 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은 화살표 A 방향으로 가득 채워 이동하여 헤드캡 퇴피위치에 계류된다. 이 상태로, 프린터 본체부(12) 및 헤드 카트리지(13)는 인화가능하게 된다.
소정의 인화가 종료하면, 프린터 본체부(12)에 캡닫힘 트리거신호가 입력되고, 도 4에 나타내는 이동용 모터(44)가 역회전되어, 도 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상기 헤드캡 퇴피위치로부터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하고, 왕로와 동일한 궤적을 통해 원래의 위치에 복귀동작한다.
이 복귀로에서는, 클리닝 롤러(24)는 잉크토출노즐(23)의 와이프를 하지 않고, 잉크의 허위 토출도 하지 않는다. 클리닝 롤러(24)의 수명을 길게 하여, 부품교환시기를 늦추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도 5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캡(21)이 화살표 B 방향으로 가득 채워 이동한 것으로, 도 5a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잉크젯 프린터(1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서, 프린터 내부의 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버스(31)에는, 프린트 헤드(20)를 구동하는 프린트 헤드 구동부(32)와, 표시패널(18)을 구동하는 표시부구동회로(33)와, 프린터 내부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중앙연산처리장치)(34)가 접속된다.
또한 프린터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된 주메모리가 되는 ROM(35)과, 각종의 데이터를 기록, 판독하는 RAM(36)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 버스(31)에 접속된 인터페이스(37)를 통해, 이 잉크젯 프린터(11)는, 정보처리장치로서의 호스트 컴퓨터(38)에 접속된다. 이때, 부호 39는, 통신회선 또는 접속케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CPU(34)에는, 도 1에 나타내는 트레이 삽입구(17)에 장착된 기록지 트레이(14)에 기록지가 수납되어 있는지를 검지하는 용지센서(50) 및 프린트헤드(20)에 구비된 잉크탱크(19)에 잉크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지하는 잉크센서(5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CPU(34)에는, 상기 기록지 트레이(14)의 근방에 설치된 용지 전송용의 서보모터(52)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용지반송 서보모터 구동부(용지전송 서보회로를 내장)(53)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헤드캡(21) 및 클리닝 롤러(24)를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용 모터(44)에 구동신호를 보내는 캡 와이프모터구동부(54)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34)에는, 도 5b에 나타내는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의, 잉크의 허위 토출을 카운트하는 잉크 허위 토출카운터(55) 및 노즐면(22)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롤러(24)의 동작회수를 카운트하는 롤러 와이프 카운터(56)가 접속되어 있다.
이때, 헤드캡부착 센서(57)는, 프린터의 사용기간에 따라 상기 헤드캡(21)이 교환되었을 때에 그 탈착을 검지하여, 헤드캡(21)의 교환을 검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CPU(34)의 내부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와,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와, 정보출력부(60)가 설치된다.
상기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는,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한 폐액수용 용량을 누적하고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잉크 허위 토출카운터(55)로 카운트된 잉크토출노즐(23)로부터의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의 신호를 입력하여 기억하고, 그 카운트값의 총계 M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는, 동일하게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롤러 와이프 카운터(56)로 카운트된 노즐면(22)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롤러(24)의 동작회수의 신호를 입력하여 기억하고, 그 카운트값의 총계 N의 신호로서 출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보출력부(60)는, 상기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 및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로부터의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폐액수용 사용량) 및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와이프 사용량)을 입력하여, 그 카운트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이 되는 것이다.
이때,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 또는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하는 경우는, 정보출력부(60)의 내부에는, 그 2개의 값을 비교하여 큰 쪽을 출력하기 위한 비교회로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정보출력부(60)로부터의 출력신호는, 도 6에 나타내는 시스템 버스(31)를 통해, 프린터 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패널(18)에 전송되고, 그 표시패널(18)에 표시된다. 혹은, 잉크젯 프린터(11)가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38)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되어, 그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다.
이것들의 표시내용은, 상기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 및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로부터의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 및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을, 예를 들면 수치, 그래프(막대그래프 또는 원그래프) 또는 도형(폐액 받음부(25) 및 클리닝 롤러(24)의 도형 등)으로 표시하면 된다.
이때, 상기 정보출력부(60)로부터의 출력신호의 표시는, 잉크젯 프린터(11)의 표시패널(18) 및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의 양쪽에 표시해도 되고, 어느 쪽인지 한쪽에 표시해도 된다.
도 8은, CPU(34)의 내부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의 후단에 허위 토출회수 상한 비교검지부(61)를 설치함과 동시에,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의 후단에 와이프회수 상한비교 검지부(63)를 설치한 것이다.
상기 허위 토출회수 상한비교 검지부(61)는,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로부터의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입력하고, 미리 정해진 폐액 받음부(25)의 허위 토출회수의 상한값 Mmax와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한값 메모리(62)에 기억된 허위 토출회수의 상한값 Mmax를 판독하여 도입하고, 상기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과 허위 토출회수의 상한값 Mmax와의 비교결과는, M이 Mmax보다도 큰지 크지 않은지, M과 Mmax와의 차, 또는 M과 Mmax와의 비율로서 구한다. 그리고, M≥Mmax가 되었을 때, M과 Mmax와의 차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 또는 M과 Mmax와의 비율이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M과 Mmax와의 차가 "0" 또는 비율이 "1"이 된 것으로 비교결과신호 X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와이프회수 상한비교검지부(63)는,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로부터의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을 입력하고, 미리 정해진 와이프회수의 상한값 Nmax와 비교하는 상한값 비교수단이 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비교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한값 메모리(64)에 기억된 와이프회수의 상한값 Nmax를 판독하여 도입하고, 상기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과 비교하여 이 비교결과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과 와이프회수의 상한값 Nmax와의 비교결과는, N이 Nmax보다도 큰지 크지 않은지, N과 N과의 차, 또는 N과 Nmax와의 비율로서 구한다. 그리고, N≥Nmax가 되었을 때, N과 Nmax와의 차가 일정값을 넘었을 때, 또는 N과 Nmax와의 비율이 일정값을 넘었을 때에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이때, N과 Nmax와의 차가 "O" 또는 비율이 "1"이 된 것으로 비교결과신호 Y를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정보출력부(60)는, 상기 허위 토출회수 상한비교검지부(61) 및 와이프회수 상한비교검지부(63)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 X, Y를 입력하여,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폐액수용 사용량) 및 클리닝 롤러의 와이프회수 N(와이프 사용량)에 관련된 값으로서 출력하는 것이 된다.
이때, 이상의 설명에서는,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사용량으로서는, 클리닝 롤러(24)가 노즐면(22)을 와이프한 회수 N을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와이프회수 N을 사용하여 산출된 클리닝 롤러(24)가 흡수하는 잉크의 흡수량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1회당 잉크흡수량 P를 실험 등으로 구해 놓고, 어떤 사용기간에서의 클리닝 롤러(24)의 잉크의 흡수량 Q를,
Q=N·P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혹은,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사용량으로서, 상기한 와이프회수 N을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Q=F(N))으로부터 산출한 잉크의 흡수량 Q를 사용해도 된다. 이 함수식은, 실험 등으로 구하면 된다.
또한,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의 폐액수용 사용량으로서는, 이상의 설명에서는,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사용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허위 토출회수 M을 사용하여 산출된 폐액 받음부(25)가 흡수하는 잉크의 흡수량을 사용해도 된다. 이때, 잉크의 허위 토출 1회당 잉크체적 L을 실험 등으로 구해 놓고, 어떤 사용기간에서의 폐액 받음부(25)의 잉크의 흡수량 R을,
R=M·L
의 계산식으로 구하면 된다.
혹은,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의 폐액수용 사용량으로서, 상기한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R=F(M))으로부터 산출한 잉크의 흡수량 R을 사용해도 된다. 이 함수식은, 실험 등으로 구하면 된다.
다음에, 이러한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클리닝 실행시의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 받음부(25)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하는 동작에 대하여, 도 9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의 클리닝은, 프린터 기동시 또는 인화개시전 또는 사용자의 지시 등에 의해 행해진다. 이 경우, 프린터 기동시 및 인화개시전에는, 클리닝 롤러(24)에 의한 노즐면(22)의 와이프와 잉크의 허위 토출은 함께 행해지지만, 사용자가 임의로 지시했을 때는, 클리닝 롤러(24)에 의한 노즐면(22)의 와이프만일 때에도 있으면, 노즐면(22)의 와이프와 잉크의 허위 토출의 양쪽이 실행되는 경우도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노즐면(22)의 클리닝의 실행신호가 프린터 본체부(12)에 입력되면,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CPU(34) 내부의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로부터,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이 판독됨과 동시에,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로부터, 동일한 기간에서의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이 판독된다(스텝 S1).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판독된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과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의 신호는, 도 7에 나타내는 정보출력부(60)로 입력하고,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의 값이, 도 6에 나타내는 프린터 내부의 표시패널(18)에 전송되며, 혹은 잉크젯 프린터(11)가 접속된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18)의 화면, 또는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의 화면에,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과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표시한다(스텝 S2). 이때,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과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의 값을 표시해도 된다.
도 10은, 이 경우의 표시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예를 들면,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의 화면의 다이알로그 박스(65) 내에,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하는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나타내는 지표 E1(예를 들면, 수치 93)을 표시하거나,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을 나타내는 지표 E2(예를 들면, 수치 98)를 표시하면 된다. 이때, 허위 토출회수 M의 상한값, 와이프회수 N의 상한값을 함께 표시해도 된다.
이때, 상기한 지표 E1, E2와 함께, 혹은 그 지표 E1, E2 대신에,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하는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에 대응하는 막대그래프 H1 및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에 대응하는 막대그래프 H2를 표시해도 된다. 또한, 원그래프나 도형(폐액 받음부(25)및 클리닝 롤러(24)의 도형 등)으로 표시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패널(18)의 화면, 또는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된 내용을 보아, 사용자가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의 클리닝을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필요에 따라,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의 클리닝을 실행한다.
이때, 도 7에 나타내는 잉크 허위 토출카운터(55) 및 롤러 와이프 카운터(56)의 카운트값이 가산되고, 각각 가산된 회수 M, N이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 및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에 기억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헤드캡(21) 및 클리닝 롤러(24)의 교환을 실행한다. 이 헤드캡(21)이 교환되면, 각종 메모리 등에 누적된 수치는 리셋트되고, 이후에는 다시 잉크젯 프린터(11)의 사용상황에 따라 각종의 수치가 적산하여 카운트된다. 이때, 상기 수치의 리셋트는, 사용자에게 리셋트 버튼을 누르게 하거나, 혹은 프린터 내부에 설치된 헤드캡부착 센서(57)(도 6 참조)로 캡교환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행해도 된다.
도 11은, 잉크젯 프린터에서의 클리닝 실행시의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 받음부(25)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하는 다른 동작예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동작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노즐면(22)의 클리닝의 실행신호가 프린터 본체부(12)에 입력되면, 우선, 노즐면(22)의 클리닝동작에 관련되는 각종의 수치를 판독한다(스텝 S11). 여기서는, 프린터의 전원투입회수 Kd, 인화실행회수 Ki, 사용자의 지시에 의한 클리닝 롤러(24)에서의 와이프 회수 Kr, 사용자의 지시에 의한 와이프와 잉크의 허위 토출의 회수 Kw가 프린터 내부의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다음에,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을, 누적실시회수로서 산출한다(스텝 S12). 여기서, 와이프의 누적실시회수 N은, 상기 판독한 각종의 수치를 사용하여,
N=Kd+Ki+Kr+Kw
의 계산식으로 구할 수 있다.
다음에, 헤드캡(21)의 폐액 받음부(25)가 수용하는 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을, 누적실시회수로서 산출한다(스텝 S13). 여기서, 허위 토출의 누적실시회수 M은, 상기 판독한 각종의 수치를 사용하여,
M=Kd+Ki+Kw
의 계산식으로 구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스텝 S2와 마찬가지로, 상기 표시패널(18)의 화면, 또는 호스트 컴퓨터(38)의 표시장치의 화면에,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의 누적실시회수 N과 잉크의 허위 토출의 누적실시회수 M을 표시한다(스텝 S14). 이때, 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의 누적실시회수 N과 잉크의 허위 토출의 누적실시회수 M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의 값을 표시해도 된다.
이때, 사용자가 프린트 헤드(20)의 노즐면(22)의 클리닝을 실행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을 경감하기 위해, 도 6에 나타내는 CPU(34)의 내부에, 잉크 허위 토출회수 카운트 기억부(58) 및 클리닝 롤러 와이프회수 카운트 기억부(59)로부터의 폐액수용 사용량(잉크의 허위 토출회수 M) 및 와이프 사용량(클리닝 롤러(24)의 와이프회수 N)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 중 어느 하나인지 한쪽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이후의 인화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는, 자동적으로 인화동작이 정지하므로, 사용량 상한값을 넘어 사용함에 의한 인화품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는,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된 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액체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액체방울로서 토출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기록방식이 잉크젯방식의 팩시밀리장치나 복사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는 잉크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것이면, 다른 액체의 토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DNA 감정 등에 있어서 DNA 함유용액을 파렛트 상에 토출하기 위한 액체토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었으므로, 본 발명에 관한 액체토출장치에 의하면,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해 두고, 이와 같이 기억된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정보출력수단으로 입력하고,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와 폐액 받음부를 갖는 헤드캡를 구비한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액체토출장치에 의하면,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함과 동시에, 상기 기간에 있어서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해 두고, 이와 같이 기억된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수단으로 입력하여,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표시하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 및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액체토출헤드의 클리닝 부재와 폐액 받음부를 갖는 헤드캡를 구비한 액체토출에 관해서,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한쪽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이후의 액체토출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액체토출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어, 사용량 상한값을 넘어 사용함에 의한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의 도트열 또는 도트형성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표시수단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아,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표시장치의 와이프 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에 관한 표시내용을 보아, 헤드캡의 교환시기를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수치, 그래프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보기 쉬운 형태에 의해, 표시수단에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수치, 그래프 또는 도형으로 표시할 수 있다.

Claims (12)

  1.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고,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갖고, 상기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며,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용량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2.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고,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이동하면서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갖고, 상기 액체토출헤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또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노즐면을 보호하는 헤드캡을 구비하며,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의 양쪽, 또는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큰 쪽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은, 그 클리닝 부재가 노즐면을 와이프한 회수, 또는 이 회수를 사용하여 산출된 그 클리닝 부재가 흡수하는 액체의 흡수량, 또는 상기 회수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으로부터 산출한 액체의 흡수량, 또는 미리 정해진 와이프회수의 상한값과의 비율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은,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액체가 허위 토출된 회수, 또는 이 회수를 사용하여 산출된 그 폐액 받음부가 흡수하는 액체의 흡수량, 또는 상기 회수를 사용하여 소정의 함수식으로부터 산출한 액체의 흡수량, 또는 미리 정해진 허위 토출회수의 상한값과의 비율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은, 액체토출헤드의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동작에 관련되는 각종의 수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수식에 의해 산출되는 노즐면의 와이프회수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의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은, 액체토출헤드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액체를 폐액 받음부에 허위 토출하는 동작에 관련되는 각종의 수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수식에 의해 산출되는 액체토출노즐로부터의 허위 토출회수로부터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용량 및 폐액수용 용량을 입력하여, 그 2개의 값 중 어느 쪽인지 한쪽이 미리 정해진 사용량 상한값을 넘은 경우에 , 이후의 액체토출동작을 정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장치 본체부에 설치된 장치의 구동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장치 본체부가 접속된 정보처리장치의 정보처리내용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출력수단으로부터의 출력신호는,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으로부터의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수치, 그래프 또는 도형으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1.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고,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상기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정보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12. 장치 본체부와,
    이 장치 본체부에 탈착가능하게 유지되고, 소정의 액체가 저장된 액체용기로부터 그 액체의 공급을 받고, 노즐면에 형성된 복수의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는 액체토출헤드와,
    상기 노즐면을 와이프하는 클리닝 부재 및 상기 액체토출노즐로부터 허위 토출된 액체를 수용하는 폐액 받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액체토출노즐로부터 소정의 액체를 토출하여 도트열 또는 도트를 형성하는 액체토출장치에 있어서,
    사용개시 시점부터 현시점까지의 기간에서의 상기 클리닝 부재의 와이프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기간에 있어서, 상기 폐액 받음부의 폐액수용 사용량을 누적하여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2개의 누적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와이프 사용량 및 폐액수용 사용량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토출장치.
KR1020040045450A 2003-06-20 2004-06-18 액체토출장치 KR1010280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75915A JP4277591B2 (ja) 2003-06-20 2003-06-20 液体吐出装置
JPJP-P-2003-00175915 2003-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1160A true KR20040111160A (ko) 2004-12-31
KR101028003B1 KR101028003B1 (ko) 2011-04-13

Family

ID=34055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450A KR101028003B1 (ko) 2003-06-20 2004-06-18 액체토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08350B2 (ko)
JP (1) JP4277591B2 (ko)
KR (1) KR101028003B1 (ko)
CN (1) CN10052608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1360B4 (de) * 2005-03-04 2006-11-30 Francotyp-Postalia Ag & Co. Kg Druckvorrichtung
JP2007090853A (ja) * 2005-09-02 2007-04-12 Sony Corp 液体吐出装置
US7648222B2 (en) * 2005-10-11 2010-01-19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aintenance station comprising maintenance roller and ink removal system
AU2006301900B2 (en) * 2005-10-11 2010-05-27 Memjet Technology Limited Printhead maintenance assembly comprising maintenance roller and cleaning mechanism
US7399057B2 (en) * 2005-10-11 2008-07-15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maintenance station having cylindrical engagement pad
US7669958B2 (en) * 2005-10-11 2010-03-0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head cartridge comprising integral printhead maintenance station with maintenance roller
JP4709031B2 (ja) * 2006-02-20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装置
US20070195367A1 (en) * 2006-02-22 2007-08-23 Seiko Epson Corporation 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a printer control program, printer control method, and printer system
KR101309791B1 (ko) * 2006-06-19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JP2008110523A (ja) * 2006-10-30 2008-05-15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JP4924265B2 (ja) * 2007-07-26 2012-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5733914B2 (ja) * 2010-06-22 2015-06-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および該装置の部品交換時期判定方法
JP5831678B2 (ja) * 2011-02-28 2015-12-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KR102152998B1 (ko) * 2013-11-13 2020-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드 클리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젯 프린팅 장치
JP6443002B2 (ja) * 2014-11-21 2018-12-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メンテナンス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EP3746302B1 (en) * 2018-04-23 2024-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ping a print hea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5791B2 (ja) * 1990-06-13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141704A (ja) 1998-11-06 2000-05-23 Fine Technol Kk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廃インク回収機構
JP2002029065A (ja) 2000-07-18 2002-01-2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328005B2 (ja) 2000-10-31 2009-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4945843B2 (ja) * 2001-02-21 2012-06-06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7784A (ja) 2005-01-13
CN1572506A (zh) 2005-02-02
CN100526081C (zh) 2009-08-12
KR101028003B1 (ko) 2011-04-13
US7108350B2 (en) 2006-09-19
US20050012777A1 (en) 2005-01-20
JP4277591B2 (ja)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003B1 (ko) 액체토출장치
JP5385548B2 (ja) 記録装置
US20070008371A1 (en) Waste liquid quantity detecting method, waste liquid quantity detecting device, and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US5992964A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means for stopping printing and ink jetting capability maintaining operations for one nozzle opening row during a printing operation for another row
EP1642721B1 (en) Liquid-discharging device
US6796633B1 (en) Ink-jet recorder and method for cleaning restoring system
US20190224975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thereof
JP3635759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229030B2 (ja) 液滴噴射装置
US11813880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and delivery system for liquid ejection head
KR101007493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186834B2 (ja) 液体吐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74770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エンド値調整装置及び調整方法
US20220314626A1 (en) Printing apparatus and cleaning assembly of printing apparatus
JP2005022320A (ja) 液体吐出装置
JP2006159836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7180099B2 (ja) 液体排出装置
JPH0839824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該インクカートリッジを用いた記録装置
US8622507B2 (en) Control method for a fluid ejection device, and a fluid ejection device
JP2003072098A (ja) 印刷装置
JP4807877B2 (ja) インク粘度判定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8105262A (ja) カートリッジ、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吐出方法
JP200424378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インク収容体
JP200423760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7069451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