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7421A -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7421A
KR20040107421A KR1020040043129A KR20040043129A KR20040107421A KR 20040107421 A KR20040107421 A KR 20040107421A KR 1020040043129 A KR1020040043129 A KR 1020040043129A KR 20040043129 A KR20040043129 A KR 20040043129A KR 20040107421 A KR20040107421 A KR 2004010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element
electrode
capacitor
driv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와미다까시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2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09G3/2965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using inductors for energy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09G3/29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for address dischar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3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using energy recovery or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소형화할 수 있는 용량성 발광소자. 소정 진폭으로 전압이 변동하는 구동펄스를 구동라인을 통하여 용량성 발광소자에 공급하기 위하여, 구동 장치는 커패시터, 온 (ON) 상태일 때 커패시터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구동라인에 공급하는 제 1 스위칭 소자, 온 상태일 때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함으로써 용량성 발광소자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구동라인을 통하여 커패시터의 타방의 전극에 공급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공진 전류 경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CAPACITIVE LIGHT EMITTING ELEMENTS}
본 발명은 용량성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 라 칭한다), 또는 일렉트로루미네슨스 디스플레이 패널 (이하, "ELP" 라 칭한다) 등의 용량성 발광소자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실용화되어 벽걸이 TV 세트를 제공한다.
도 1 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PDP 를 사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2-156941 호의 도 3 참조).
도 1 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PDP (10) 는, 화면의 제 1 행 내지 제 n 행에 각각 대응하는 행 전극쌍 (X, Y) 을 형성하는 행 전극 (Y1∼Yn및 X1∼Xn) 을 구비한다. 더욱 PDP (10) 은 행 전극 쌍에 직교하고, 도시되지 않은유전체층 및 방전 공간을 개재하여, 1 화면의 각 열 (제 1 열 내지 제 m 열) 에 대응하는 열 전극 (Z1~Zm) 이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행 전극 (X, Y) 와 1 개의 열 전극 (Z) 와의 교차부에 화소로 기능하는 방전 셀이 형성된다.
행 전극 구동회로 (30) 는, 벽 전하가 잔류하는 방전 셀을 반복적으로 방전시키는 유지 펄스를 생성하고, PDP (10) 의 행 전극 (X1~Xn) 에 유지 펄스를 인가한다. 행 전극 구동회로 (30) 은 모든 방전 셀의 상태를 초기화하는 리셋 펄스, 화소 데이터가 기록되는 디스플레이 라인을 순차 선택하는 주사 펄스, 및 벽 전하가 잔류하는 방전 셀을 반복적으로 방전시키는 유지 펄스를 생성하여 이러한 펄스들을 행 전극 (Y1∼Yn) 에 인가한다.
예를 들어, 구동 제어회로 (50) 는 입력 영상 신호를 각 화소에 대하여 8-비트의 화소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 화소 데이터는 각 비트 수마다 분할되어 화소 데이터 비트를 생성한다. 구동제어회로 (50) 는, 각 디스플레이 라인에 속하는 제 1 열∼제 m 열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비트 (DB1∼DBm) 를 열 전극 구동회로 (20) 에 공급한다. 또한, 이 기간에, 구동 제어회로 (50) 는 도 2 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위칭신호 (SW1∼SW3) 를 생성하여, 열 전극 구동회로 (20) 에 공급한다.
도 3 은 열 전극 구동회로 (20)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열 전극 구동 회로 (20) 은 소정 진폭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생성하여 전원 라인 (2) 상에 인가하는 전원 회로 (21); 및 공진펄스 전원 전압에 기초하여 화소 데이터 펄스를 발생하는 화소 데이터 펄스 발생 회로 (22) 를 구비한다.
전원 회로 (21) 의 커패시터 (C1) 는 PDP (10) 의 접지 전위로서의 접지 전위 (Vs) 에 접속되어 있는 하나의 전극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 (S1) 는 스위칭 신호 (SW1) 에 응답하여 온/오프(on/off) 가 제어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 (S1) 가 온 되면, 커패시터 (C1) 의 타방의 전극 상에서 발생된 전압이 코일 (L1) 및 다이오드 (D1) 를 통해 전원 라인 (2) 로 인가된다. 스위칭 소자 (S2) 는 스위칭 신호 (SW2) 에 응답하여 온/오프(on/off) 가 제어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 (S2) 가 온 되면, 전원 라인 (2) 상의 전압이 코일 (L2) 및 다이오드 (D2) 를 통해 커패시터 (C1) 의 타방의 전극에 인가되어 커패시터 (C1) 를 충전한다. 스위칭 소자 (S3) 는 스위칭 신호 (SW3) 에 응답하여 온/오프(on/off) 가 제어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 (S3) 가 온 되면, DC 전원 (B1) 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전압 (Va) 가 전원 라인 (2) 에 인가된다. DC 전원 (B1) 은 접지 전위 (Vs) 에 접지된 음 전극 단자를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전원 회로 (21)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전압 (Va) 과 동일한 최대 전압과 공진 진폭 (V1) 을 가지는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전원 라인 (2) 상에 생성되도록 한다.
화소 데이퍼 펄스 발생 회로 (22) 는 구동제어회로 (50) 으로부터 공급된 1 디스플레이 라인 (m 비트) 의 관련된 화소 데이터 비트 (DB1~DBm)에 응답하여 각각독립하여 온/오프가 제어된다. 스위칭 소자 (SWZ1~SWZm)각각은, 각각에 공급된 화소 데이터 비트 DB 가 논리 레벨 "1" 인 경우에 온 되어, 전원 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열 전극 (Z1~Zm) 에 인가한다.
여기서,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발생하기 위하여 스위칭되는 스위칭 소자 (S1~S3) 은 각각 실제로 FET (Field Effect Transistor) 로 구성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 (S2) 는 커패시터 (C1) 의 한 편의 전극의 전위를 기준 전위로서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기준 전위의 변동을 적게 하고, 스위칭 소자 (S2) 의 스위칭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 커패시터 (C1) 로서 큰 용량을 갖는 커패시터가 이용된다.
그러나, 큰 용량을 가지는 커패시터는 형상이 크고, 구동장치가 커지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소형화 할 수 있는 용량성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정 진폭으로 전압이 변동하는 구동펄스를 구동라인을 통하여 용량성 발광소자에 공급하는 용량성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구동장치는 커패시터, 온(ON) 상태일 때 커패시터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구동라인에 공급하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온 상태일 때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함으로써 용량성 발광소자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구동라인을통하여 커패시터의 다른쪽의 전극에 공급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공진 전류 경로를 구비한다.
도 1 은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탑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일반적으로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구동 제어회로 (50) 가 열 전극 구동회로 (20) 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SW1∼SW3) 와, 열 전극 구동회로 (20) 의 내부 동작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3 은 열 전극 구동회로 (20)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를 탑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는 1 서브필드 내에서 PDP (100) 에 인가되는 각종 구동 펄스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은 도 4 에 도시된 열 전극 구동회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은 도 4 에 도시한 구동 제어회로 (500) 가 전원회로 (210) 의 스위칭 소자 (S1~S3) 각각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SW1∼SW3) 를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8 은 열 구동회로 (200) 의 내부 동작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9 는 전원회로 (210) 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0 은 전원회로 (210) 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은 전원회로 (210) 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는 구동 제어회로 (500) 가 도 11 에 도시된 전원회로 (210) 의 스위칭 소자 (S1∼S4) 각각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SW1∼SW4) 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3 은 행 전극 구동회로 (300)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4 는 구동 제어회로 (500) 가 도 13 에 도시된 행 전극 구동회로 (300) 의 스위칭 소자 (S11∼S14) 에 공급하는 스위칭 신호 (SW11∼SW14) 와 행 구동회로 (300) 에서 생성되는 유지펄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5 는 행 전극 구동회로 (300) 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6 은 행 전극 구동회로 (300) 의 또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7 은 도 11 에 도시된 전원회로 (210) 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도시된 전원회로 (210) 내부의 구동 타이밍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9 는 도 17 에 도시된 전원회로 (210) 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도시된 열 전극 구동회로 (200) 의 내부 동작을 도시하는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DP 200 : 열 전극 구동회로
300, 400 : 행 전극 구동회로 500 : 구동 제어 회로
CF : 커패시터 Dl, D2 : 다이오드
S1∼S3 : 스위칭 소자
전하 회복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은 접지하고, 커패시터의 타방의 전극에 용량성 발광 소자에 축적된 전하에 따른 전류를 공급하여 전하를 회복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의 PDP (100) 는, 화면의 제 1 행 내지 제 n 행을 구성하는 행 전극 쌍 (X, Y) 을 각각 형성하는 행 전극 (Y1∼Yn및 X1∼Xn) 을 구비한다. PDP (100) 은 행 전극 쌍에 직교하고, 도시되지 않은 유전체층 및 방전 공간을 가로질러, 1 화면의 제 1 열 내지 제 m 열에 대응하는 열 전극 (D1~Dm) 이 더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행 전극 (X, Y) 와 1 개의 열 전극 (D) 와의 교차부에 화소로 기능하는 방전 셀이 형성된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서브 필드 방법에 기초하여 PDP (100) 을 계조 디스플레이 구동하여야 할 각종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여,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400) 에 생성된 타이밍 신호를 공급한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입력 영상 신호에 기초하는 각각의 화소에 대한 화소 데이터를 각각의 비트마다 분할하여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생성한다. 다음에,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1~SW3) 과 함께, 화소 데이터 비트 (DB1~DBm) 를 1 디스플레이 라인분씩 열전극 구동 회로 (200) 에 공급한다.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은 스위치 신호 (SW~SW3) 및 화소 데이터 비트 (DB1~DBm) 에 따라서, (후술할) 화소 데이터 펄스를 발생한다.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400) 는 구동 제어 회로 (500) 으로부터 공급된 각종 타이밍 신호에 응답하여 (후술할) 각종 구동 펄스를 생성하여, PDP (100) 의 열 전극 (X 및 Y) 에 구동 펄스를 인가한다. 서브 필드법에 기초하는 계조 구동 절차는, 입력 영상 신호에서의 하나의 필드 기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분할하여, 각 서브 필드마다 방전 셀 각각이 발광하도록 구동한다.
도 5 는 1 서브 필드 내에서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및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400) 에 의해 인가되는 예시적인 구동 펄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브 필드는 동시 리셋 단계 (Rc), 어드레싱 단계 (Wc), 및 유지 단계 (Ic) 로 구성된다.
동시 리셋 단계 (Rc) 에서,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는 도 5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리셋 펄스 (RPX) 를 발생하여, PDP (100) 의 행 전극 (X1~Xn) 의 각각에 인가한다. 또한, 동시 리셋 단계 (Rc) 에서, 행 전극 구동 회로 (400) 는 도 5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리셋 펄스 (RPY) 를 리셋 펄스 (RPX) 와 동시에 발생하여, 리셋 펄스 (RPY) 를 PDP (100) 의 열 전극 (Y1~Yn) 의 각각에 인가한다. 이러한 리셋 펄스 (RPX,RPY) 의 인가에 응답하여, 모든 방전 셀 내에서 리셋 방전이 일어나각각의 방전 셀 내에 벽 전하를 균일하게 형성한다.
어드레싱 단계 (Wc) 에서, 행 전극 구동 회로 (400) 는 도 5 에서 도시된 것과 같은 주사 펄스 (SP) 를 발생하여,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PDP (100) 의 행 전극 (Y1~Yn) 의 각각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또한, 어드레싱 단계 (Wc) 에서,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는,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가 각각의 주사 펄스 (SP) 를 인가하는 타이밍에 동기하여, 각각의 데이터 비트 (DB1~DBm) 의 논리 레벨에 대응하는 펄스 전압을 가지는 m 개의 화소 데이터 펄스 (DP) 를 생성하여, 생성된 화소 데이터 펄스 (DP) 를 열 전극 (D1~Dm) 각각에 인가한다. 예를 들어, 먼저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는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행 전극 (Y1) 에 인가된 주사 펄스 (SP) 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제 1 디스플레이 라인에 대응하는 m 개의 화소 데이터 펄스 (DP) 를 각각의 열 전극 (D1~Dm) 에 인가한다. 다음으로,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는 도 5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행 전극 (Y2) 에 인가된 주사 펄스 (SP) 의 타이밍에 동기하여, 제 2 디스플레이 라인에 대응하는 m 개의 화소 데이터 펄스 (DP) 를 각각 열 전극 (D1~Dm) 에 인가한다. 어드레싱 단계 (Wc) 에서, 주사펄스 (SP) 와 동시에 고 전압이 인가된 화소 데이터 펄스가 인가된 방전 셀에서 소거 방전이 선택적으로 발생하여, 그 발전 셀 내에 이전에 형성되었던 벽 전하가 소멸한다. 한편, 주사 펄스 (SP) 가 인가되었지만, 저전압의 화소 데이터 펄스가 또한 인가된 방전 셀에서는 소거 방전이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벽 전하는 잔류한다.
유지 단계 (Ic) 에서, 각각의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400) 은 행 전극 (X1~Xn 및 Y1~Yn) 에 인가되는 유지 펄스 (IPX, IPY) 를 교대로 생성한다. 이러한 유지 펄스 (IPX, IPY) 가 인가될 때마다, 벽 전하가 잔류하고 있는 방전 셀에서 유지 방전이 일어나고, 그 방전에 따르는 발광 상태가 유지된다.
도 6 은 상술한 것과 같은 화소 데이터 펄스를 발생하는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은 소정의 진폭을 가지는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생성하는 전원 회로 (210); 및 공진 펄스 전원 전압에 기초하여 화소 데이터 펄스를 생성하는 화소 데이터 펄스 발생 회로 (220) 을 구비한다.
전원 회로 (210) 에서의 스위칭 소자 (S1~S3) 은 FET (Field Effect Transistor) 이다. 스위칭 소자 (S3) 는 DC 전원 (B1) 의 양극 (positive electrode) 단자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구동 라인 (2) 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또한, 스위칭 소자 (S3) 은 게이트 전극에서 스위칭 신호 (SW3) 이 인가된다. 스위칭 신호 (SW3) 가 로직 레벨 "0" 일때, 스위칭 소자 (S3) 는 오프되고, 스위칭 신호 (SW3) 가 로직 레벨 "1" 일 때에는 온 되어, DC 전원 (B1) 에서 생성된 전원 전압 (Va) 을 구동 라인 (2) 에 인가한다.
스위칭 소자 (S1) 의 소스 전극은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되고, 드레인 전극은 다이오드 (D1) 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 (S1) 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신호 (SW1) 가 인가된다. 스위칭 소자 (S2) 의 소스 전극은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되고, 드레인 전극은 다이오드 (D2) 의 캐소드 전극에 접속된다. 또한, 스위칭 소자 (S2) 의 게이트 전극에는 스위칭 신호 (SW2) 가 인가된다. 다이오드 (D1) 의 캐소드 전극 및 다이오드 (D2) 의 애노드 전극은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에 공통으로 연결된다. 커패시터 (CF) 는 코일 (LF) 의 일방의 전극에 접속된 타방의 전극을 가진다. 코일 (LF) 은 구동 라인 (2) 에 접속된 타방 전극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 (S1) 및 다이오드 (D1) 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는 방전 전류 경로로서 역할을 하며, 스위칭 소자 (S2) 및 다이오드 (D2) 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는 충전 전류 경로로서 역할을 한다.
도 7 은 구동 제어 회로 (500) 가 전원 회로 (210) 의 스위칭 소자 (S1~S3) 각각에 인가하는 스위칭 신호 (SW1~SW3) 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7 에서, 먼저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로직 레벨 "1" 의 스위칭 신호 (SW1) 을 스위칭 소자 (S1) 에 인가하고, 로직 레벨 "0" 에 있는 스위칭 신호 (SW2, SW3) 둘을 각각 스위칭 소자 (S2, S3) 에 인가한다 (구동 단계 G1). 구동 단계 G1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 은 온 되어, 커패시터 (CF) 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하여, 방전과 관련된 전류가 코일 (LF) 을 통하여 구동 라인 (2) 로 흐르도록 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1) 을 로직 레벨 "0" 으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3) 을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G2). 구동 단계 G2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S3) 중의 (S3) 만이 온 되어 DC 전원 (B1) 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전압 (Va) 를 구동 라인 (2) 에 인가한다. 따라서, 이 기간 중에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전원 전압 (Va) 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2) 을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3) 을 로직 레벨 "0"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3). 구동 단계 G3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S3) 중의 (S2)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따라서, 구동 라인 (2) 로부터 코일 (LF) 를 통해 커패시터 (CF) 안으로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 (CF) 를 충전한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상기 단계 (G1~G3) 에서 도시된 구동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구동 단계 (G2) 에서, 스위칭 소자 (S1) 는 온 상태이어도 된다.
화소 데이터 펄스 발생 회로 (220) 은 구동 제어 회로 (500) 으로부터 인가된 화소 데이터 비트 (DB1~DBm) 에 응답하여 온/오프가 독립적으로 제어되는 스위칭 소자 (SWZ1~SWZm및 SWZ10~SWZm0) 를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 (SWZ1~SWZm) 각각은, 각각에 공급된 화소 데이터 비트 (DB) 가 로직 레벨 "1" 인 경우에만 온 되어, 구동 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PDP (100) 의 열 전극 (D1~Dm) 에 인가한다. 반면에, 스위칭 소자 (SWZ10~SWZm0) 각각은, 화소 데이터 비트 (DB) 가 로직레벨 "0" 인 경우에만 온 되어, 열 전극 (D) 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도 8 을 참고로, 도 6 에 도시된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8 의 (a)~(c) 부분은, PDP (100) 의 제 i 열 (i 는 1~m) 에 있어서의 제 1 디스플레이 라인 내지 제 2 디스플레이 라인까지의 화소 데이터 펄스 (DP) 를 생성하는데 포함되는 동작을 부분적으로 도시한다.
이 경우, 도 8 의 (a) 부분은, 제 1 내지 제 7 디스플레이 라인의 i 열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비트 (DB) 의 비트 시퀀스가 [1, 0, 1, 0, 1, 0, 1] 일 때, 구동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 의 (b) 부분은, 제 1 내지 제 7 디스플레이 라인의 i 열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비트 (DB) 의 비트 시퀀스가 [1, 1, 1, 1, 1, 1, 1] 일 때, 구동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 8 의 (c) 부분은, 제 1 내지 제 7 디스플레이 라인의 i 열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비트 (DB) 의 비트 시퀀스가 [0, 0, 0, 0, 0, 0, 0] 일 때, 구동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변화를 나타낸다.
먼저, 도 8 의 (a) 부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내지 제 7 라인의 i 열에 대응하는 화소 데이터 비트 (DB) 의 비트 시퀀스가 [1, 0, 1, 0, 1, 0, 1] 일때, 스위칭 소자 (SWZi, SWZi0) 는 온 오프를 반복한다. 이 경우, 도 6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단계 G1 에서, 스위칭 소자 (S1~S3) 중의 (S1) 만이 온되어 커패시터 (CF) 상에 축적된 전하를 방전한다. 이 경우, 스위칭 소자 (SWZi) 가 온 되는 경우, 커패시터 (CF) 의 방전과 관련된 방전 전류가, 스위칭 소자 (S1) 및 다이오드 (D1) 를 포함하는 방전 전류 경로, 커패시터 (CF), 코일 (LF), 구동 라인 (2), 및 스위칭 소자 (SWZi) 를 통하여 PDP (100) 의 열 전극 (Di) 로 흘러간다. 따라서, 열 전극 (Di) 에 기생하는 부하 용량 (Co) 는 충전되어 기생 용량 (Co) 내부에 전하를 충전한다. 이 경우, 코일 (LF) 와 부하 용량 (Co) 의 공진 작용으로 인해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이 서서히 상승하여, 이 전압 상승 부분이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프런트 에지 (front edge) 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단계 G2 가 실시되면, 스위칭 소자 (S1~S3) 중의 (S3) 만이 온 되어 DC 전원 (B1) 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전압 (Va) 을 스위칭 소자 (S3) 을 통해 구동 라인 (2) 로 인가한다. 이 인가된 전압에 의해, 열 전극 (Di) 에 기생하는 부하 용량 (Co) 는 전하를 축적한다. 다음으로, 구동 단계 G3 가 실시되면, 스위칭 소자 (S1~S3) 중의 (S2)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는 방전을 시작하고, 그 방전 전류가 열 전극 (Di), 스위칭 소자 (SWZi), 구동 라인 (2), 코일 (LF), 커패시터 (CF), 및 다이오드 (D2) 와 스위칭 소자 (S2) 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통해 흘러, 커패시터 (CF) 가 충전을 시작한다. 즉,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에 축적된 전하는 커패시터 (CF) 에서 회복된다. 이 경우,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코일 (LF) 및 부하 용량 (Co) 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점차 감소한다. 이 경우, 상술한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의 느린 하강 부분은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뒤 에지 (rear edge) 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단계 G3 를 완성한 후에, 구동 단계 (G1~G3) 의 동작이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여기서, 도 8 의 (a) 부분에서, 제 2 사이클 (CYC2), 제 4 사이클 (CYC4), 및 제 6 사이클 (CYC6) 의 각각에서, 스위칭 소자 (SWZi) 는 오프된다. 따라서, 열 전극 (Di) 에는 제 2 디스플레이 라인, 제 4 디스플레이 라인, 제 6 디스플레이 라인에 각각 대응하는 낮은 전압 (0 볼트) 에서 화소 데이터 펄스 (DP2i, DP4i, DP6i) 가 인가된다. 또한, 이 짝수 사이클 (CYC) 에서, 스위칭 소자 (SWZi0) 가 온 되기 때문에,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상에 잔류하는 전하는 열 전극 (Di) 및 스위칭 소자 (SWZi0) 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통해 회복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 2 사이클 (CYC2) 가 종료된 후 제 3 사이클 (CYC3) 가 시작된 직후, 스위칭 소자 (SWZi) 가 오프-상태에서 온-상태로 스위칭될 때, 도 8 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거의 0 볼트가 된다.
즉, 1 라인상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가 [1, 0, 1, 0, 1, 0, 1] 과 같이 각 디스플레이 라인마다 교대로 반전하고 있는 경우, 도 8 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 전압 (Va) 와 동일한 최대 전압으로 하고 공진 진폭 (V1) 을 가지는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이 구동 라인 (2) 에 인가된다.
한편, 비트 시퀀스가 1 라인 상에서 [1, 1, 1, 1, 1, 1, 1] 과 같이 각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연속으로 로직 레벨 "1"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가지는 경우, 도 8 의 (b) 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 (SWZi) 는 온으로, 스위칭 소자 (SWZi0) 는 오프로 유지된다. 즉, 이 기간에, 도 8 의 (a) 부분에서 도시한 상황과는 달리, 어떠한 전하도 열 전극 (Di) 및 스위칭 소자 (SWZi0) 을 포함하는 전류 경로에 의해 회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 단계 G3 에서 완전히 회수되지 않은 전하가 서서히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에서 축적된다. 따라서, 도 8 의 (b) 부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에 인가된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은 점차 하강하는 공진 진폭 (V1) 을 가지면서 전원 전압 (Va) 과 동일한 최대 전압을 유지한다. 이것은 그대로 고전압 화소 데이터 펄스 (DP1i~DP7i) 로서 열 전극 (Di) 에 인가된다.
달리 말하면, 비트 시퀀스가 1 라인 상에서 연속하여 로직 레벨 "1"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가지는 경우, 열 전극 (D) 에 인가된 전압은 펄스로 재형상 (reshape) 될 필요가 없어, 도 8 의 (b) 부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은 구동 라인 (2) 상의 최대 전압 (전원 전압 Va) 을 유지하면서 공진 진폭 (V1) 은 감소된다. 따라서,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공진 작용에 관한 방전의 제거 때문에 무효 전력은 줄어든다.
또한, 비트 시퀀스가 1 라인 상에서 [0, 0, 0, 0, 0, 0, 0] 과 같이 각 디스플레이 라인에서 연속으로 로직 레벨 "0"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가지는 경우, 도 8 의 (c) 부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 (SWZi) 는 오프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 어떠한 전하도 스위칭 소자 (SWZi0) 를 통해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커패시터 (CF) 에 의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전하가 서서히 부하 용량 (Co) 에 축적된다. 따라서, 도 8 의 (c) 부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은 점차 하강하는 공진 진폭 (V1) 을 가지면서 전원 전압 (Va) 과 동일한 최대 전압을 유지한다.
달리 말하면, 비트 시퀀스가 1 라인 상에서 연속하여 로직 레벨 "0"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가지는 경우, 열 전극 (D) 에 인가된 전압은 펄스로 재형상 (reshape) 될 필요가 없어, 도 8 의 (c)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에 인가된 공진 전원 전압은 DC 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진폭이 줄어든다. 따라서, 이 경우, 상술한 것과 같은 공진 작용에 관련한 방전의 제거 때문에 무효 전력은 줄어든다.
여기서, 도 6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에 따라서, 스위칭 소자 (S2) 는 접지 전위 (Vs) 에 기초하여 문턱값에서 모든 경우에 온/오프되고, 커패시터 (CF) 사이의 전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정확하게 동작한다. 따라서, 커패시터 (CF) 는 스위칭 소자 (S2) 의 확실한 스위칭 동작을 보장하기 위하여 큰 용량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동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도 6 에서 커패시터 (CF) 및 코일 (LF) 는 서로 접속위치를 교체하여도 좋다. 상세하게는, 코일 (LF) 의 일방의 전극은 커패시터 (CF) 의일방의 전극에 접속되고, 커패시터 (CF) 의 타방의 전극은 구동 라인 (2) 에 접속되며, 코일 (LF) 의 타방의 전극은 다이오드 D1 (D2) 에 각각 접속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 6 에서, 스위칭 소자 (S1) 및 다이오드 (D1) 는 서로 접속위치를 교체하여도 좋다.
도 6 에서 도시된 코일 (LF) 은 도 9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방전 전류 경로 상의 코일 (LF1) 및 충전 전류 경로 상의 코일 (LF2) 로 나누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9 에서, 스위칭 소자 (S1), 다이오드 (D1), 및 코일 (LF1) 은 서로 접속 위치를 교체할 수 있고, 유사하게, 다이오드 (D2) 및 코일 (LF2) 도 역시 접속 위치를 교체할 수도 있다.
전원 회로 (210) 은 도 6 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교체하여, 도 10 에 도시한 회로 구성일 수도 있다.
도 10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에서, 스위칭 소자 (S2) 는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된 소스 전극 및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에 연결된 드레인 전극을 가지고 있다. 커패시터 (CF) 의 타방의 전극은 스위칭 소자 (S1) 의 소스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 (S1) 은 코일 (LF) 의 일방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드레인 전극을 가지고 있다. 코일 (LF) 의 타방의 전극은 구동 라인 (2) 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 (S3) 은 DC 전원 (B1) 의 양 (positive) 전극 단자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구동 라인 (2) 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한편 도 10 에서, 코일 (LF), 스위칭 소자 (S1), 및 커패시터 (CF) 는 서로 접속 위치를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도 9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은 구동 라인 (2) 를 강제적으로 접지 전위로 설정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1 은 이러한 변형을 감안한 전원 회로 (210) 의 다른 구성을 도시한 다이어그램이다.
도 11 에서, 스위칭 소자 (S4) 를 제외한 다른 구성,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 (S1~S3), 커패시터 (CF), 코일 (LF) 및 다이오드 (D1, D2) 로 구성되는 회로 구성은 도 9 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스위칭 소자 (S4) 는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된 소스 전극 및 구동 라인 (2) 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4) 를 스위칭 소자 (S4) 의 게이트 전극으로 인가한다. 스위칭 소자 (S4) 에 로직 레벨 "0" 의 스위칭 신호 (SW4) 가 인가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 (S4) 는 오프가 된다. 반면에, 스위칭 소자 (S4) 에 로직 레벨 "1" 의 스위칭 신호 (SW4) 가 인가되는 경우, 스위칭 소자 (S4) 는 온 되어 구동 라인 (2) 는 접지 전위 (Vs) 로 설정된다.
도 12 는 구동 제어 회로 (500) 가 전원 회로 (210) 스위칭 소자 (S1~S4) 각각에 인가하는 스위칭 신호 (SW1~SW4) 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2 에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먼저 로직 레벨 "1" 의 스위칭 신호 (SW1) 을 스위칭 소자 (S1) 에 인가하고, 로직 레벨 "0" 의 스위칭 신호 (SW2~SW4) 를 스위칭 소자 (S2~S4) 에 인가한다 (구동 단계 G1). 구동 단계 G1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S4) 중의 스위칭 소자 (S1)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 상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이 경우, 방전에 관련된 전류가 코일 (LF)를 통해 구동 라인 (2) 으로 흘러가서 도 1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서서히 상승한다. 이러한 전압 상승 부분이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프론트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3) 을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2). 구동 단계 G2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3) 은 온 되어 구동 라인 (2) 에 DC 전원 (B1) 에 의해 생성된 전원 전압 (Va) 를 인가한다. 즉, 이 기간에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공진 진폭 (V1) 을 가지는 공진 펄스 전원 전압에 대한 최대 전압을 정의하는, 전원 전압 (Va) 로 고정된다.
다음,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1, SW3) 을 로직 레벨 "0" 으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2)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3). 구동 단계 G3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S4) 중의 S2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전류가 구동 라인 (2) 으로부터 코일 (LF) 를 통해 커패시터 (CF) 로 흘러 커패시터 (CF) 를 충전한다.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 (CF) 의 충전 동작은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이 점차로 감소하게 한다. 이러한 전압 하강 부분은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뒤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2) 을 로직 레벨 "0" 으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4)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4). 구동 단계 G4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S4) 중의 S4 만이온 되어 구동 라인 (2) 을 접지 전위 (Vs) (0 볼트) 로 설정한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상술한 구동 단계 G1~G4 에서 도시된 구동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이 기간에, 논리 레벨 "1"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i) 가 인가되면, 구동 라인 (2) 상의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은 그대로 고전압 데이터 펄스 (DP) 로서 열 전극 (Di) 에 인가된다. 한편, 논리 레벨 "0"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i) 가 인가되면, 접지 전위 (Vs) (0 볼트) 는 저전압 데이터 펄스 (DP) 로서 열 전극 (Di) 에 인가된다.
도 11 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 (S4) 는 도 10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2 에서, 구동 단계 G2 에서 스위칭 소자 (S1) 는 온 일 수도 있고, 구동 단계 G4 에서 스위칭 소자 (S2) 는 온 일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 전원 회로 (210) 과 같은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회로는 열 전극 구동 회로 (200) 에서 사용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을 발생하는 전원 회로는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또는 400) 에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3 은 상기 변형을 감안하여 설계된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3 에서, 스위칭 소자 (S11~S14) 은 FET (Field Effect Transistor) 이다. 스위칭 소자 (S11) 는 접지 전위에 설정된 소스 전극 및 다이오드 (D11) 의 애노드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 (S11) 의 게이트전극에는 구동 제어 회로 (500) 으로부터 전송된 스위칭 신호 (SW11) 가 인가된다. 스위칭 소자 (S12) 는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된 소스 전극 및 다이오드 (D12) 의 캐소드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 (S12) 의 게이트 전극에는 구동 제어 회로 (500) 으로부터 전송된 스위칭 신호 (SW12) 가 인가된다. 다이오드 (D11) 의 캐소드 전극 및 다이오드 (D12) 의 애노드 전극은 공통으로 커패시터 (CF0) 의 일방의 전극에 연결된다. 커패시터 (CF0) 의 타방의 전극은 코일 (LF0) 의 일방에 연결된다. 코일 (LF0) 의 타방의 전극은 PDP (100) 의 행 전극 (Xi) 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 (S13) 는 DC 전원 (B2) 의 양 전극 단자에 접속된 소스 전극 및 행 전극 (Xi) 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지고 있다. 스위칭 소자 (S13) 은 구동 제어 회로 (500) 로부터 전송된 스위칭 신호 (SW13) 이 게이트 전극에 인가된다. 스위칭 신호 (SW13) 이 로직 레벨 "0" 에 있을 때, 스위칭 소자 (S13) 는 오프되고, 스위칭 신호 (SW13) 이 로직 레벨 "1" 에 있을 때, 스위칭 소자 (S13) 는 온 되어, 행 전극 (Xi) 으로 DC 전원 (B2) 에서 발생되는 전원 전압 (Vh) 을 인가한다. 스위칭 소자 (S14) 는 접지 전위 (Vs) 로 설정된 소스 전극 및 행 전극 (Xi) 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지고 있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14) 를 스위칭 소자 (S14) 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한다. 로직 레벨 "0" 의 스위칭 신호 (SW14) 가 인가될 때, 스위칭 소자 (S14) 는 오프되고, 로직 레벨 "1" 의 스위칭 신호 (SW14) 가 인가될 때, 스위칭 소자 (S14) 는 온 되어, 행 전극 (Xi) 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도 14 는 도 13 에 도시된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를 구동하기 위하여 구동 제어 회로 (500) 로부터 인가된 스위칭 신호 (SW11~SW14) 의 시퀀스를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논리 레벨 "1" 의 스위칭 신호 (SW11) 를 스위칭 소자 (S11) 에 인가하고, 논리 레벨 "0" 의 스위칭 신호 (SW12~SW14) 각각을 스위칭 소자 (S12~S14) 에 각각 인가한다 (구동 단계 G11). 구동 단계 G11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1~S14) 중의 S11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0) 상에 충전된 전하를 방전한다. 이 경우, 방전과 관련된 전류가 커패시터 (CF0) 를 통해 행 전극 (Xi) 로 흘러, 도 14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행 전극 (Xi) 상의 전압이 점차로 증가하게 한다. 이러한 전압 상승 부분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지 펄스 (IPx) 의 프런트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13) 을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12). 구동 단계 G12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3) 은 온이 되어 DC 전원 (B2) 에 의해 발생된 전원 전압 (Vh) 을 행 전극 (Xi) 에 인가하여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를 충전한다. 이 기간 동안, 행 전극 (Xi) 상의 전압은 유지 펄스 (IPx) 의 펄스 전압을 정의하는 전원 전압 (Vh) 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11, SW13) 를 로직 레벨 "0" 으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12)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13). 구동 단계 G13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1~S14) 중의 S12 만이 온 되어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가 충전을 시작하도록 하게 한다.이 경우, 방전 전류가 행 전극 (Xi), 코일 (LF0), 커패시터 (CF0), 다이오드 (D12) 및 스위칭 소자 (S12) 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 안으로 흘러, 커패시터 (CF0) 가 충전하는 것을 시작하게 한다. 즉,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에 축적된 전하는 커패시터 (CF0) 에 의해 회복된다. 이 경우, 행 전극 (Xi) 상의 전압은 코일 (LF0) 및 부하 용량 (Co) 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감소한다. 이러한 느린 전압 하강 부분은 유지 펄스 (IPx) 의 뒤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12) 를 로직 레벨 "0" 으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14)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14). 구동 단계 G14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11~S14) 중의 S14 만이 온 되어 열 전극 (Xi) 을 접지 전위 (Vs) (0 볼트) 로 설정한다.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구동 단계 (G11~G14) 에 도시된 구동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실행하여 열 전극 (X) 상에 유지 펄스 (IPX) 를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3 에 도시된 코일 (LF0) 는 도 15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 전류 경로 상의 코일 (LF01) 및 충전 전류 경로 상의 코일 (LF02) 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또한,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은 도 13 에 도시된 회로 구성 대신에 도 16 에 도시된 회로 구성을 사용해도 좋다.
도 16 에 도시된 행 전극 구동 회로 (300) 에서, 스위칭 소자 (S11) 는 접지 전위 (Vs) 에 설정된 소스 전극 및 커패시터 (CF0) 의 일방의 전극에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커패시터 (CF0) 의 타방의 전극은 코일 (LF0) 의 일방의 전극에 접속된다. 스위칭 소자 (S12) 는 코일 (LF0) 의 타방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는 소스 전극 및, PDP (100) 의 행 전극 (Xi) 로 접속된 드레인 전극을 가진다. 스위칭 소자 (S3, S4) 의 구성은 도 13 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다른 방법으로는, 도 11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에 형성된 스위칭 소자 (S1), 다이오드 (D1, D2) 가 삭제되어, 전원 회로 (210) 을 도 17 에 도시된 회로 구성으로 변형해도 된다.
도 18 은 도 17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를 구동하는 구동 제어 회로 (500) 가 스위칭 소자 (S2~S4) 각각에 인가하는 스위칭 신호 (SW2~SW4) 및 논리 레벨 "1"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에 응답하여 온/오프되는 스위칭 소자 (SWZi, SWZi0) 각각에 대하여 온/오프 제어 타이밍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8 에서,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먼저 논리 레벨 "0" 의 스위칭 신호 (SW2~SW4) 를 인가하여 모든 스위칭 소자 (S2~S4) 를 모두 오프되게 한다 (구동 단계 G1). 이 기간에, 스위칭 소자 (SWZi) 는 온 되고, 반면에 스위칭 소자 ( SWZi0) 은 오프되고, 커패시터 (CF) 상에 충전된 전하는 방전되어, 방전과 관련된 전류가 구동 라인 (2) 로 흘러 도 18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을 점차로 상승시킨다. 그러한 전압 상승 부분은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프런트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스위칭 신호 (SW3) 를 로직 레벨 "1" 로스위칭하여 스위칭 소자 (S3) 을 온 한다 (구동 단계 G2). 구동 단계 G2 의 실행에 응답하여, 구동 라인 (2) 에 DC 전원 (B1) 에 의해 발생된 전원 전압 (Va) 가 인가된다. 즉,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은 이 기간동안 공진 진폭 (V1) 을 가지는 공진 펄스 전원 전압에 대한 최대 전압을 정의하는 전원 전압 (Va) 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3) 를 로직 레벨 "0" 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2)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또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소자 (SWZi) 를 온 상태에서부터 오프 상태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3). 구동 단계 G3 로의 천이에 응답하여, 단지 스위칭 소자 (S2)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 (CF) 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이것은 전류가 구동 라인 (2) 로부터 코일 (LF) 을 통하여 커패시터 (CF) 로 흘러 커패시터 (CF) 를 충전한다. 커패시터 (CF) 의 충전 동작은 구동 라인 (2) 상의 전압이 도 1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차 줄어들도록 한다. 이러한 전압 하강 부분은 공진 펄스 전원 전압의 뒤 에지를 정의한다.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신호 (SW2) 를 로직 레벨 "0" 로 스위칭하고 스위칭 신호 (SW4) 를 로직 레벨 "1" 로 스위칭한다. 또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스위칭 소자 (SWZi0) 를 온 상태로 스위칭한다 (구동 단계 G4). 구동 단계 G4 의 실행에 응답하여, 스위칭 소자 (S4 및 SWZi0) 가 온 되어 구동 라인 (2) 을 접지 전위 (Vs) (0 볼트) 로 설정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전원 회로 (210) 은 , 도 17 에 도시된 스위칭 소자 (S4) 를 제거한 도 19 에 도시된 회로 구조를 사용해도 좋다.
도 20 은 도 19 에 도시된 전원 회로 (210) 및 영상 데이터 펄스 발생 회로 (220) 의 예시적인 내부 동작을 도시하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20 에 도시된 예는, [1, 1, 1, 1, 0, 1] 과 같은 비트 시퀀스의 이미지 데이터 비트 (DB1) 에 응답하여 화소 데이터 펄스 발생 회로 (220) 에서의 스위칭 소자 (SWZ1, SWZ10) 에 의해 수행된 동작을 도시한다.
도 2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먼저 소정의 제 1 기간동안 전원 회로 (210) 에서의 스위칭 소자 (S2, S3) 를 오프한다 (구동 단계 G1).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소정의 제 2 기간동안 스위칭 소자 (S2, S3) 중 스위칭 소자 (S3) 만을 온 한다 (구동 단계 G2). 다음으로,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소정의 제 1 기간동안 스위칭 소자 (S2, S3) 중 스위칭 소자 (S2) 만을 온 한다 (구동 단계 G3). 구동 제어 회로 (500) 은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포함하는 비트 시퀀스에서 각각의 비트에 대응하는 구동 단계 (G1~G3) 를 포함하는 스위칭 시퀀스를 반복적으로 실행한다.
구동 단계 (G1~G3) 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에 화소 데이터 비트 (DB1) 이 로직 레벨 "1" 일 때, 스위칭 소자 (SWZ10) 은 오프로 설정되고, 화소 데이터 비트 (DB1) 가 로직 레벨 "0" 일 때, 온으로 설정된다. 구동 단계 (G1~G3) 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에 화소 데이터 비트 (DB1) 이 로직 레벨 "0" 일 때, 스위칭 소자 (SWZ1) 은 오프로 설정된다. 한편, 화소 데이터 비트 (DB1) 이 로직 레벨 "1" 일 때, 구동 단계 (G1, G2) 가 실행되는 기간동안 스위칭 소자 (SWZ1) 는 온으로 설정되고, 구동 단계 (G3) 가 실행되는 기간 동안에는 오프로 설정된다.
이 경우, 화소 데이터 비트 (DB1) 이 로직 레벨 "1" 일 때, 스위칭 소자 (S2, S3, SWZ1,SWZ10) 중 스위칭 소자 (SWZ1) 만이 구동 단계 (G1) 에서 온 된다. 이로 인해 커패시터 (CF) 상에 축적된 전하는 방전되고, 방전과 관련된 방전 전류는 구동 라인 (2) 및 스위칭 소자 (SWZ1) 을 통해 PDP (100) 의 열 전극 (D1) 으로 흐른다. 따라서, 열 전극 (D1) 에 기생하는 부하 용량 (Co) 는 충전되어 부하 용량 (Co) 에 전하를 축적한다. 이 경우, 도 20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 (LF) 과 부하 용량 (Co) 의 공진 작용은 열 전극 (D1) 상의 전압을 점차 증가하게 한다. 공진의 반 주기에 대응하는 기간의 흐름 직전에, 구동 제어 회로 (500) 는 구동 단계 (G2) 의 실행으로 천이한다. 구동 단계 G2 에서, 스위칭 소자 (S2, S3, SWZ1, SWZ10) 중 스위칭 소자 (S3, SWZ1) 만이 온 된다. 이 기간 동안에, DC 전원 (B1) 에 의해 발생된 전원 전압 (Va) 는 스위칭 소자 (S3, SWZ1) 를 통해 열 전극 (D1) 으로 직접 인가된다. 따라서, 전압이 인가되어, PDP (100) 의 열 전극 (D1) 에 기생하는 부하 용량 (Co) 는 연속적으로 충전된다. 따라서,구동 단계 (G3) 가 실행되어, 스위칭 소자 (S2, S3, SWZ1, SWZ10) 중 스위칭 소자 (S2) 만이 온 되어,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 전위 (Vs) 로 설정한다. 이로 인해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가 방전하기 시작하고, 열 전극 (D1), 스위칭 소자 (SWZ1), 구동 라인 (2), 코일 (LF), 커패시터 (CF) 및 스위칭 소자 (S2) 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를 통해 방전 전류가 흘러, 커패시터 (CF) 가 충전을 시작하게 한다. 즉,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안에 축적된 전하가 커패시터 (CF) 에 의해 회복된다. 이 경우에, 도 20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열 전극 (D1) 상의 전압은 코일 (LF) 과 부하 용량 (Co) 에 의해 결정되는 시정수에 따라서 점차로 감소한다.
반면에, 화소 데이터 비트 (DB1) 가 로직 레벨 "0" 일 때, 스위칭 소자 (SWZ10) 은 온 되어 열 전극 (D1) 을 접지하여, 도 20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기간동안 열 전극 (D1) 상의 전압은 0 볼트로 고정된다.
이 때, 도 19 에 도시한 전원 회로 (210) 에는 구동 라인 (2) 을 강제로 접지하는 스위칭 소자 (S4) 가 제공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어 비트 시퀀스가 하나의 라인 상에 연속하여 로직 "1" 의 화소 데이터 비트 (DB) 를 가질 때, 열 전극 (D1) 및 스위칭 소자 (SWZ10) 를 포함하는 전류 경로에 의해 어떠한 전하도 소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동 단계 (G3) 에서 커패시터 (CF) 안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전하는 PDP (100) 의 부하 용량 (Co) 에 점차 축적된다. 따라서,열 전극 (D) 에 인가된 고전압 화소 데이터 펄스는, 공진 진폭 (V1) 이 점차로 감소되면서, 전원 전압 (Va) 에서 최대 전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용량성 발광 소자의 구동 장치에서의 커패시터는 큰 용량을 가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동 장치는 소형화될 수 있다.

Claims (8)

  1. 소정 진폭으로 전압이 변동하는 구동펄스를 구동라인을 통하여 용량성 발광소자에 공급함으로써 용량성 발광소자를 구동하는 장치에 있어서,
    커패시터;
    온 (ON) 일 때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상기 구동라인에 공급하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온 일 때 상기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하여 상기 용량성 발광소자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상기 구동라인을 통하여 상기 커패시터의 타방의 전극에 공급하는 제 2 스위칭소자를 포함하는 공진 전류 경로를 구비한,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제 1 공진 전류 경로; 및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제 2 공진 전류 경로를 포함하는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온 일 때 상기 구동 라인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더 구비한, 용량성 발광 소자의 구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온 일 때 상기 구동 라인을 접지시키는 제 4 스위칭 소자를 더 구비한, 용량성 발광 소자의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가 온 상태일 때 상기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접지하여 상기 커패시터에 축적되어 있는 전하에 따른 전류를 상기 커패시터의 타방의 전극을 통하여 상기 구동 라인에 공급하는,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제 1 다이오드, 상기 커패시터, 및 코일을 구비한 직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 제 2 다이오드, 상기 커패시터, 및 상기 코일을 구비한 직렬 회로를 포함하는,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 제 1 다이오드, 제 1 코일, 및 상기 커패시터를 구비한 직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 제 2 다이오드, 제 2 코일, 및 상기 커패시터를 구비한 직렬 회로를 포함하는,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 전류 경로는,
    상기 구동 라인에 접속된 일방의 전극을 가지는 코일;
    상기 커패시터;
    제 1 스위칭 소자가 온 일때, 상기 커패시터의 일방의 전극을 상기 코일의 타방의 전극에 접속시키는 제 1 스위칭 소자; 및
    제 2 스위칭 소자가 온 일때, 상기 커패시터의 타방의 전극을 접지시키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1020040043129A 2003-06-12 2004-06-11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200401074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7627 2003-06-12
JPJP-P-2003-00167627 2003-06-12
JPJP-P-2003-00362229 2003-10-22
JP2003362229A JP4510422B2 (ja) 2003-06-12 2003-10-22 容量性発光素子の駆動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630A Division KR100709937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1020060081627A Division KR100709938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21A true KR20040107421A (ko) 2004-12-20

Family

ID=3330229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129A KR20040107421A (ko) 2003-06-12 2004-06-11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1020060081630A KR100709937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1020060081627A KR100709938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1630A KR100709937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KR1020060081627A KR100709938B1 (ko) 2003-06-12 2006-08-28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45662B2 (ko)
EP (1) EP1486940A3 (ko)
JP (1) JP4510422B2 (ko)
KR (3) KR20040107421A (ko)
CN (1) CN100359548C (ko)
TW (1) TW2005009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49B1 (ko) * 2005-01-24 2007-09-20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용량성 발광 소자 구동용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0423B2 (ja) * 2003-10-23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容量性発光素子の駆動装置
JP4696650B2 (ja) * 2005-04-04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8947014B2 (en) * 2010-08-12 2015-02-03 Huizhou Light Engine Ltd. LED switch circuitry for varying input voltage source
US9113523B2 (en) * 2013-05-15 2015-08-18 Iml International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having multiple driving stages
US9226354B2 (en) 2013-06-03 2015-12-29 Iml International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 having multiple driving stages
US11046844B2 (en) * 2016-09-28 2021-06-29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Modified polyolefin resin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1400A (en) * 1986-09-25 1992-01-14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Power efficient sustain drivers and address drivers for plasma panel
JP3241577B2 (ja) * 1995-11-24 2001-12-25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回路
US5642018A (en) * 1995-11-29 1997-06-24 Plasmaco, Inc. Display panel sustain circuit enabling precise control of energy recovery
JP2976923B2 (ja) * 1997-04-25 1999-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装置
JP3897896B2 (ja) * 1997-07-16 2007-03-28 三菱電機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315897B2 (ja) * 1997-08-01 2002-08-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装置
JP4240163B2 (ja) * 1998-05-21 2009-03-18 株式会社日立プラズマパテントライセンシング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568098B2 (ja) * 1998-06-03 2004-09-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US6150999A (en) * 1998-10-07 2000-11-21 Acer Display Technology, Inc. Energy recovery driving circuit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unit
JP3201603B1 (ja) * 1999-06-30 2001-08-27 富士通株式会社 駆動装置、駆動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回路
JP3678337B2 (ja) * 1999-07-02 2005-08-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US7053869B2 (en) * 2000-02-24 2006-05-30 Lg Electronics Inc. PDP energy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and high speed addressing method using the same
TW526459B (en) * 2000-06-23 2003-04-01 Au Optronics Corp Plasma display holding-stage driving circuit with discharging current compensation function
KR100697934B1 (ko) * 2000-09-04 2007-03-21 오리온피디피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에너지회수회로
JP4660026B2 (ja) 2000-09-08 2011-03-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JP3879392B2 (ja) * 2000-11-29 2007-02-14 スズ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
JP3415581B2 (ja) 2000-11-29 2003-06-09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0426187B1 (ko) * 2001-06-13 2004-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US6963174B2 (en) * 2001-08-06 2005-11-08 Samsung Sdi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TW580674B (en) * 2001-11-06 2004-03-21 Pioneer Corp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power loss
JP2003140602A (ja) * 2001-11-06 2003-05-16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パネル駆動装置
KR100488451B1 (ko) * 2002-10-31 2005-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너지 회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회수방법
KR100647580B1 (ko) * 2003-03-18 2006-1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력 회수 장치 및 이를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JP4403729B2 (ja) * 2003-06-12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749B1 (ko) * 2005-01-24 2007-09-20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용량성 발광 소자 구동용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09937B1 (ko) 2007-04-25
US20050012725A1 (en) 2005-01-20
JP2005025153A (ja) 2005-01-27
TW200500995A (en) 2005-01-01
KR100709938B1 (ko) 2007-04-25
CN1573859A (zh) 2005-02-02
KR20060098415A (ko) 2006-09-18
EP1486940A3 (en) 2005-06-01
JP4510422B2 (ja) 2010-07-21
US7345662B2 (en) 2008-03-18
KR20060098416A (ko) 2006-09-18
EP1486940A2 (en) 2004-12-15
CN100359548C (zh)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071B1 (ko) 표시 패널 구동용 구동 장치
KR100709937B1 (ko) 용량성 발광소자의 구동장치
JP3678337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US8111211B2 (en) Plasma display comprising at least first and second groups of electrode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815236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장치
EP1780691A1 (en)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 plasma display panel
US6975311B2 (en) Apparatus for driving display panel
JP2004317832A (ja) 表示パネル駆動方法
JP4510423B2 (ja) 容量性発光素子の駆動装置
JP4188618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KR100759749B1 (ko) 용량성 발광 소자 구동용 디바이스
JP2004272041A (ja) 容量性負荷駆動装置
US20080266280A1 (en) Plasma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15699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3753249B2 (ja) 表示パネルの駆動装置
US20080143642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apparatus thereof
US20090040209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1939845A2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143644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174587A1 (en) Plasma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441641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駆動装置
JP200919271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292177A (ja) 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EP1783730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driving a sustain-discharge circuit of a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828

Effective date: 2006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