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6633A -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6633A
KR20040106633A KR1020030037415A KR20030037415A KR20040106633A KR 20040106633 A KR20040106633 A KR 20040106633A KR 1020030037415 A KR1020030037415 A KR 1020030037415A KR 20030037415 A KR20030037415 A KR 20030037415A KR 20040106633 A KR20040106633 A KR 200401066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cription
character
drug name
recognized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종백
Original Assignee
안종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백 filed Critical 안종백
Priority to KR102003003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6633A/ko
Publication of KR20040106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663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 발생한 처방전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약품명을 포함한 문자를 인식하여 처방전을 입력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수단;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 상기 인식된 문자를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처방전 양식의 문자와, 처방 약품명을 포함한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한 문자로 구분하는 문자구분수단; 상기 추가로 기재한 문자 중 처방 약품명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식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고,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료보험비에 의한 보상 청구오류를 예방, 신속한 처리로 고객 대기시간 단축, 업무부하 및 비용경감, 효율적인 처방전 보관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A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a Medical Prescription Sheet by Image Recognition}
본 발명은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병원에서 발생한 처방전을 스캔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고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처방전에 기재된 약품명을 포함한 문자를 인식하여 처방전을 입력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약 분업이 실시됨에 따라서 특정약품에 대해서는 병원에서 발행하는 처방전이 있는 경우에만 약국에서 약품을 구입하게 되었다. 약국에서 처방전이 필요한 약품을 판매한 경우에는 약가에 대한 의료보험비에 의한 보상을 청구하기 위해서 처방전을 입력하여야 하고, 또한 의약법의 규정에 의해서 처방전 원본을 특정 기간동안 보관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약국에서 판매한 약품에 대한 처방전을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수동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정기간 동안 처방전 원본을 보관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약품을 판매하는 대규모 약국 뿐만 아니라, 중소 규모의 약국의 경우에도 처방전 원본을 보관하기 위해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관리상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병원에서 발생한 처방전을 스캔하여 이미지 파일을 작성하고, 상기 이미지 파일로부터 약품명 및 숫자 등의 처방관련 데이터 및 환자의 인적사항 등의 데이터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약품명에 대한 인식오류를 체크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처방전의 입력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처방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문자 인식오류에 대한 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병원 2 : 처방전
3 : 약국 10 : 스캐닝수단
11 : 문자인식수단 12 : 문자구분수단
13 : 오류체크수단 14 : 제어수단
15 : 메모리 16 : 처방전 정보 DB
17 : 표시수단 18 : 처방전 양식 DB
19 : 약품명 D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장치는,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수단;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 상기 인식된 문자를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처방전 양식의 문자와, 처방 약품명을 포함한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한 문자로 구분하는 문자구분수단; 상기 추가로 기재한 문자 중 처방 약품명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식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고,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방법은,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처방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단계; 상기 인식된 문자를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의 양식에 관련된 문자와, 처방 약품명을 포함한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한 문자로 구분하는 문자구분단계; 상기 추가로 기재한 문자 중에서 처방 약품명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단계; 상기 처방전 이미지, 상기 처방전의 양식에 관련된 데이터, 상시 인식된 문자의 인식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를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인식오류가 없을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약품명 중에서 상기 인식오류가 발생한 처방 약품명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약품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약품명 중에서 하나의 약품명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처방 약품명에 대한 인식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에 대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한 약품명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병원에서 미리 작성된 처방전 양식에 기재된 문자를 그 해당 위치별로 저장하는 처방전 양식 데이터베이스; 및 약품명과 관련된 문자를 저장하는 약품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장치의 적용예를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장치는 약국(3)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1에서는 하나의 적용예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른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의약분업이 실시됨에 따라 환자는 병원(1)에서 발생한 처방전(2)을 가지고 약국(3)에 가서 상기 처방전(2)을 제출하고 약국(3)에서는 상기 처방전(2)에 기재된 내용, 즉 환자의 인적사항, 처방내용 등을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서와 같은 적용예에 따라 스캐너(20)를 이용하여 상기 처방전(2)을 스캐닝하고 상기 스캐닝된 처방전 내용을 컴퓨터(30)에 입력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처방전 입력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처방전 입력장치는 처방전(2)을 스캐닝하는 스캐닝수단(10), 스캐닝된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11), 상기 인식된 문자 중에서 병원에서 미리 설정된 처방전 양식에 관련된 문자와, 이후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를 구분하는 문자구분수단(12), 상기 인식된 문자 데이터의 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수단(13), 상기 처방전과 관련된 문자정보를 저장하는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한다)(16),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7),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 및 상기 오류체크결과에 따라 인식된 처방전을 표시하거나 저장하는 제어수단(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처방전 입력장치는 스캐닝수단(10)에 의해 스캐닝된 처방전(2)의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함으로써 처방전(2)의 내용을 텍스트 파일을 작성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문자 인식방식은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을 예를 들어 컴퓨터 내에서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의 스캐닝수단(10)은 고성능 스캐너를 포함하며 그 외의 구성을 예를 들어 컴퓨터 내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캐닝수단(10)은 병원에서 발생한 처방전(2)을 스캐닝하여 처방전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즉, 약국에서는 병원에서 발생한 처방전을 환자로부터 전달받아 스캐닝수단(10)을 통해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 데이터는 케이블 또는 무선을 통해 문자인식수단(11)으로 전송된다.
문자인식수단(11)은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전송된 처방전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인식한다. 현재 문자인식 기술은 통상적으로 숫자의 경우 100% 인식율을 보이고 있으며, 일반 글자의 경우도 약 98%의 인식율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글자의 인식율을 점차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처방전 정보 DB(1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방전 양식 DB(18) 및 약품명 DB(19)를 포함한다. 상기 처방전 양식 DB(18)는 병원에서 환자의 인적사항이나 처방과 관련된 내용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은 처방전 원본에 표시된 문자를 그 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즉,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후 처방전에 처방 약품명, 처방내용, 환자의 인적사항 등을 기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처방전에 이러한 내용들(처방 약품명, 처방내용, 환자의 인적사항 등)을 기재하기 전, 그 처방전의 원본에 기재된 문자를 그 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또한, 약품명 DB(19)는 실질적으로 모든 약품명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새로운 약품이 개발되면 그 약품명을 상기 약품명 DB(19)에서 갱신하여 저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약품명 DB(19)는 필요에 따라 업데이트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여 처방전 정보 DB(16)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처방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병원에서 환자에 대하여 처방전을 발행하기 전에 처방전 원본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의사가 환자를 진료한 후 처방전 원본에 관련된 내용이 기재된 처방전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즉, 환자는 도 4(b)와 같이 기재된 처방전을 가지고 약국에 가서 관련 약품을 받게 된다.
상기 처방전 양식 DB(18)는 도 4(a)에 도시된 처방전 원본에 미리 기재된 문자를 각 위치별로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처방전의 경우, 맨 상단 중앙에는 '처방전'이라는 문자를 미리 저장하고 있고, 맨 상단 우측에는 '00병원'이라는 문자를 미리 저장하고 있다.
약품명 DB(19)는 현재까지 개발된 약품명을 모두 저장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약품명 DB(19)에 약품명을 입력함으로써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약품명 DB(19)에 입력할 수도 있고 스캐닝수단(10)을 통해 입력할 수도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문자구분수단(12)은 상기 문자인식수단(11)에 의해 인식된 문자 중에서 도 4(a)와 같이 처방전 원본에 미리 기재된 문자와, 도 4(a)의 처방전 원본에 도 4(b)와 같이 병원에서 인적사항, 처방내용 등을 추가로 기재한 문자를 구분한다. 구체적으로는 '처방전', '00병원', '환자의 인적사항', '이름', '나이', '세', '주민번호' 등과 같이 처방전 원본에 기재된 글자와, '홍길동', '28', '76xxxx 10xxxxx', '서울시 xx구 xx동 xx번지', '아스피린', '10정' 등과 같이 의사의 진료종료 후 추가로 기재된 문자를 구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처방전 원본에 기재된 문자와, 이후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를 구분하는 이유는 하기와 같다. 즉, 처방전 원본에 기재된 내용은 그 처방전을 발행한 병원에서 그 양식을 바꾸지 않은 이상 계속해서 그대로 사용하며, 처방전에서 내용이 바뀌는 부분은 이후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이기 때문에 이들 문자에 대한 문자 인식이 정확하게 되었는지 체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이후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에 대해서만 오류체크를 실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분된 문자에 대하여 오류체크수단(13)에서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한다. 상기 오류체크수단(13)은 상기 문자인식수단(11)에서 인식된 모든 문자에 대하여 오류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변하지 않은 처방전 원본에 대해서는 미리 문자를 그 위치별로 설정해 놓기 때문에, 상기 인식된 모든문자에 대하여 오류체크를 한다면 시간 및 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병원에서 이후에 추가로 기재한 문자(즉, '홍길동', '28' 등)에 대해서만 오류체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특히, 상기 인식된 약품명과 상기 약품명 DB(19)에 저장된 약품명을 비교하여 약품명에 대한 인식 오류를 체크한다.
제어수단(14)은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식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수단(17)에 표시하고,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메모리(1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14)은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약품명 DB(19)에 저장된 약품명 중에서 상기 인식오류가 발생한 처방 약품명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약품명을 상기 표시수단(17)에 표시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17)에 표시된 약품명 중에서 정확한 약품명을 선택하여 처방전 정보에 입력하게 된다.
한편, 인식된 약품명이 상기 약품명 DB(19)에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문자 인식오류의 경우, 상기 제어수단(14)은 이에 상응하는 오류발생을 상기 표시수단(17)에 표시하게 되고 이로써 사용자는 정확한 약품명을 입력하고, 상기 약품명 DB(19)에 포함되도록 갱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처방전 입력방법을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캐닝수단(10)으로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2)을 스캐닝하여 처방전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S51). 문자인식수단(11)은 상기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인식한다. 이러한 문자 인식은 문자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어, 문자구분수단(12)은 병원에서 미리 설정한 처방전 원본인 처방전 양식에 관련된 문자, 예를 들어 도 4(a)에서와 같이 '처방전', '00병원', '환자의 인적사항' 등과 같은 문자와, 환자 진료 후 처방에 관하여 상기 처방전 원본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 예를 들어 도 4(b)에서와 같이 '홍길동', '세' 등과 같은 문자를 구분한다(S53). 이와 같은 문자구분은 처방전 양식에 관련된 문자를 미리 설정해 둠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즉, 처방전 양식에 관련된 문자를 처방전 양식 DB(18)에 그 위치별로 미리 저장해 두고 문자인식시 인식된 처방전 양식의 문자와 상기 처방전 양식 DB(18)에 저장된 문자와 비교함으로써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문자구분수단(13)에 의해 구분된 문자 중에서 환자 진료 후 처방전 원본에 추가로 기재된 문자의 인식오류를 체크한다.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품명에 대한 인식오류를 체크한다. 이때, 약품명 DB(19)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약품명과 상기 인식된 약품명을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한다.
상기 단계(S54)에서의 문자 인식오류 체크의 수행결과 오류가 발생하면(S55) 해당 문자에 대한 인식오류 발생을 표시하고(S56), 상기 오류에 대한 교정을 수행한다(S57). 문자 인식오류에 대한 교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문자 인식오류에 대한 교정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되면(S61) 처방전 정보 DB(16)를 검색하여(S62) 상기 인식오류를 발생한 처방 약품과 유사한 약품명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한다(S63). 이어, 사용자가 상기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사 약품명 중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한다(S64). 여기서, 상기 인식오류의 발생은 상기 이미지로부터 문자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인식된 문자가 상기 처방전 정보 DB(16)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처방 약품명일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신규한 약품명이 상기 처방전 정보 DB(16), 보다 정확하게는 약품명 DB(19)에 포함되도록 갱신된다.
문자 인식오류 교정의 경우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다른 방법으로는, 인식오류가 발생하면 해당 약품명에 대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단계(S55)에서의 판단결과 문자에 대한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가 표시되고(S58),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가 저장된다(S59).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처방전에 대한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서류를 관리하고 저장하는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서로 다른 병원에서 발생된 다른 양식의 처방전에 대해서도 그에 따른 처방전 DB를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가능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 의해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만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처방전 내용을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어 의료보험비에 의한 보상 청구오류를 예방할 수 있고, 신속한 처리로 고객 대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업무 부하를 경감하고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처방전 보관이 가능하다.

Claims (8)

  1.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캐닝수단;
    문자인식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생성된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수단;
    상기 인식된 문자를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기 설정된 처방전 양식의 문자와, 처방 약품명을 포함한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한 문자로 구분하는 문자구분수단;
    상기 추가로 기재한 문자 중 처방 약품명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수단; 및
    상기 문자 인식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인식오류가 있음을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고, 인식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병원에서 미리 작성된 처방전 양식에 기재된 문자를 그 해당 위치별로 저장하는 처방전 양식 데이터베이스; 및
    약품명과 관련된 문자를 저장하는 약품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된 문자는 환자 인적사항, 처방 약품명 및 처방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4. 병원에서 발행된 처방전을 스캐닝하여 처방전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처방전 이미지를 문자로 인식하는 문자인식단계;
    상기 인식된 문자를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상기 처방전의 양식에 관련된 문자와, 처방 약품명을 포함한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한 문자로 구분하는 문자구분단계;
    상기 추가로 기재한 문자 중에서 처방 약품명으로 인식된 문자를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하여 문자 인식오류를 체크하는 오류체크단계;
    상기 처방전 이미지, 상기 처방전의 양식에 관련된 데이터, 상시 인식된 문자의 인식오류가 있을 경우 오류를 나타내는 표식을 포함한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단계; 및
    상기 인식오류가 없을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약품명 중에서 상기 인식오류가발생한 처방 약품명과 유사한 적어도 하나의 약품명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약품명 중에서 하나의 약품명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지 않은 새로운 처방 약품명에 대한 인식오류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인식된 처방전 정보에 대하여 오류를 수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한 약품명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포함되도록 갱신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전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병원에서 미리 작성된 처방전 양식에 기재된 문자를 그 해당 위치별로 저장하는 처방전 양식 데이터베이스; 및
    약품명과 관련된 문자를 저장하는 약품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병원에서 추가로 기재된 문자는 환자 인적사항, 처방 약품명 및 처방 내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방법.
KR1020030037415A 2003-06-11 2003-06-11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KR200401066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415A KR20040106633A (ko) 2003-06-11 2003-06-11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7415A KR20040106633A (ko) 2003-06-11 2003-06-11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6633A true KR20040106633A (ko) 2004-12-18

Family

ID=37380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7415A KR20040106633A (ko) 2003-06-11 2003-06-11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663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89B1 (ko) * 2006-07-03 2007-10-05 김동선 바코드 시스템을 이용한 처방데이타 오류의 모니터링 방법
WO2009044940A1 (en) * 2007-09-29 2009-04-09 Edb Co., Ltd. A method for monitoring error in prescription data employing barcode system
KR100908405B1 (ko) * 2007-09-17 2009-07-20 주식회사 신한은행 서식 이미지 품질 검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50099961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금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70121952A (ko) * 2016-04-26 2017-11-03 (주)프리원 보험금 청구 장치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101852774B1 (ko) * 2017-01-16 2018-06-07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방법 및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76A (ko) * 1996-12-30 1998-09-25 이준 문자인식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JP2001043279A (ja) * 1999-05-24 2001-02-16 Ichi Rei Yon Kk 薬局システム
KR20020001128A (ko) * 2000-06-26 2002-01-09 이성연 의약 처방 전 공유를 통한 의약분업 서비스 방법
KR20020032516A (ko) * 2002-04-17 2002-05-03 강성래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7376A (ko) * 1996-12-30 1998-09-25 이준 문자인식기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축방법
JP2001043279A (ja) * 1999-05-24 2001-02-16 Ichi Rei Yon Kk 薬局システム
KR20020001128A (ko) * 2000-06-26 2002-01-09 이성연 의약 처방 전 공유를 통한 의약분업 서비스 방법
KR20020032516A (ko) * 2002-04-17 2002-05-03 강성래 처방전 자동 입력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3989B1 (ko) * 2006-07-03 2007-10-05 김동선 바코드 시스템을 이용한 처방데이타 오류의 모니터링 방법
KR100908405B1 (ko) * 2007-09-17 2009-07-20 주식회사 신한은행 서식 이미지 품질 검사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기록매체
WO2009044940A1 (en) * 2007-09-29 2009-04-09 Edb Co., Ltd. A method for monitoring error in prescription data employing barcode system
KR20150099961A (ko) * 2014-02-24 2015-09-02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금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101601635B1 (ko) * 2014-02-24 2016-03-09 삼성생명보험주식회사 보험금 요청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KR20170121952A (ko) * 2016-04-26 2017-11-03 (주)프리원 보험금 청구 장치 및 보험금 청구 방법
KR101852774B1 (ko) * 2017-01-16 2018-06-07 주식회사 유비케어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방법 및 처방전 인식 오류 보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91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ndling digitized electronic records
JP2017215996A (ja) 変更要求フォームの注釈
US20050160356A1 (en) Dealing with annotation versioning through multiple versioning policies and management thereof
US20050182656A1 (en) On-line prescription service system and method
US20020138476A1 (en) Document managing apparatus
US9854109B2 (en) Document output processing
DK2090121T3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USING IDENTIFICATORS ASSOCIATED WITH PICTURES
US8682042B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eption, analysis, and annotation of prescription data
JP2010140457A (ja) 電子レセプト変換システム、電子レセプト変換方法、および電子レセプト変換プログラム
KR20040106633A (ko) 이미지 인식에 의한 처방전 입력장치 및 방법
JP2004013813A (ja) 情報管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管理方法
US11593417B2 (en) Assigning documents to entities of a database
JP665574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07029625A1 (ja) 処方箋受付装置
US2012015937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uggesting potential inputs in a text-based report generation application
JP2016143099A (ja) 出力データ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480028B2 (ja) 処方箋受付装置
JP200818625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JP4641415B2 (ja) 情報転記システム及び情報転記方法
JP200810285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2066623A (ja) 医薬品等添付文書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4046393A (ja) データ処理の方法
JP200236632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22161210A (ja) 処方箋読み取りプログラム、処方箋読み取り装置、およびレセプト作成用コンピュータ
JP2004164457A (ja) イメージカルテパス連携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