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5613A - 안과용 수술현미경 - Google Patents

안과용 수술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5613A
KR20040105613A KR1020040041657A KR20040041657A KR20040105613A KR 20040105613 A KR20040105613 A KR 20040105613A KR 1020040041657 A KR1020040041657 A KR 1020040041657A KR 20040041657 A KR20040041657 A KR 20040041657A KR 20040105613 A KR20040105613 A KR 200401056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ystem
observation
lens
ey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1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476B1 (ko
Inventor
기타지마노부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프콘
Publication of KR20040105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5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4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3Ophthalmic microscopes
    • A61B3/132Ophthalmic microscopes in binocular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12Surgical microscop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0004Microscop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2B21/002Scanning microscopes
    • G02B21/0024Confocal scanning microscopes (CSOMs) or confocal "macroscopes"; Accessories which are not restricted to use with CSOMs, e.g. sample holders
    • G02B21/0032Optical details of illumination, e.g. light-sources, pinholes, beam splitters, slits, fi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18Arrangements with more than one light path, e.g. for comparing two specimens
    • G02B21/20Binocular arrangements
    • G02B21/22Stereoscop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 A61B3/15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with means for aligning, spacing or blocking spurious reflection ; with means for relaxing for bloc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광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바람직한 시야를 얻기 위해, 대물렌즈와, 대물렌즈를 통한 관찰광학계와, 피검안에 대한 조명광학계를 가지며, 더욱 피검안을 대물렌즈의 사이에 전치렌즈를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때, 상기 조명광이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의 반사로 생기는 2개의 반사상이 관찰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기울이는 것으로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수단으로 하거나, 또는 조명광학계의 반사상이 관찰되는 영역을 차광해 버리는 차광수단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안과용 수술현미경{OPHTHALMOLOGIC OPERATION MICROSCOPE}
본 발명은,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검안의 안구 밑을 관찰하기 위한 전치렌즈를 구비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안과분야의 수술은, 통상, 현미경관찰하에서 행하여진다. 하기(下記)의 특허문헌 1에는, 이러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해당 문헌에 나타내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은, 대물렌즈와 피검안과의 사이에 전치렌즈를 배치하고 눈안을 조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술자는 양손에 수술기구를 들고 수술, 특히 안구 밑 수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문헌의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치렌즈는 대물렌즈와 피검안과의 사이에 끼우고 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은, 동일 문헌의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찰광학계의 광축으로부터 편심하여 설치된 조명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을 피검안에 조사하도록 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350735호 공보(단락 [0016]-[0018], 도 6, 도 7, 도 9)
그러나,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조사하면, 전치렌즈의 굴절면의 반사작용에 의해서,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반사상이 2개 관찰되어 버린다. 요컨대, 전치렌즈는 2개의 굴절면을 갖고 있고, 관찰광학계의 광축방향으로부터 보면, 2개의 굴절면에서의 사출눈동자의 반사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2개의 반사상으로서 관찰된다.
이러한 반사상은, 수술자의 시야를 결손하는 동시에, 관찰상중의 광점으로서 그 주위의 관찰을 곤란한 것으로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비추어 봐 행해진 것으로서, 바람직한 시야를 얻는 것이 가능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전체구성의 개략을 나타내는 외관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수술자용 현미경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로서, 도 2(A)는 외관측면도이고, 도 2(B)는 외관정면도이고, 도 2(C)는 전치렌즈의 수납형태를 나타내는 투시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전치렌즈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로서, 도 3(A)은 투시측면도이고, 도 3 (B)은 배면도이고, 도 2(c)는 전치렌즈가 경사하여 배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광학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광학계의 일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의 차광부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종래의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의한 피검안의 관찰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은 본 발명에 관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에 의한 피검안의 관찰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1실시형태에 의한 피검안의 관찰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다른 실시형태의 일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10(A)는 측면도이고, 도 10(B)은 투시측면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주요부 구성설명도.
도 11(B)은 도 11(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작용효과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다른 실시형태의 차광부재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과용 수술현미경 11 : 대물렌즈
12 : 관찰광학계 16 : 차광부재
16a : 차광부재구동수단 40 : 전치렌즈
41 : 유지아암 41a : 유지판
E : 피검안 F : 초점
L : 조명축 O : 관찰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은,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와의 사이에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射出)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이 관찰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위치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기울이는 것에 의해, 상기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둔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관찰광학계는, 수술자의 좌우의 눈에 각각 관찰광을 이끌기 위한 좌우의 관찰광로를 갖고,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좌우의 관찰광로에 대응하는 좌우의 입사눈동자의 중심의 중점과 상기 전치렌즈에 의한 상기 관찰광의 초점을 연결한 선분과, 상기 조명광학계의 상기 사출눈동자의 중심과 상기 초점을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각을 대략 2등분하는 방향에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광축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와의 사이에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반사상이 관찰되는 영역에 도달하는, 상기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하기 위한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굴절면에 대하여, 상기 관찰광학계의 입사눈동자의 어떤 일점과 광학적으로 공역(共役)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청구항 7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끼우고 떼기에 따라서, 상기 조명광의 일부의 차광/투광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안과용 수술현미경으로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조명광의 광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광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와의 사이에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이 대략 포개져서 관찰되도록, 상기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위치변경수단과,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대략 포개져서 관찰되는 상기 반사상의 영역에 도달하는, 상기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하기 위한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의 형태]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전체구성]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의 안과용 수술현미경(1)의 전체구성이 나타나 있다. 이 안과용 수술현미경(1)은,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기둥(2)과, 지지기둥(2)의 상단에 그 일끝단이 접속된 제 1 아암(3)과, 제 1 아암(3)의 다른 끝단에 그 일끝단이 접속된 제 2 아암(4)과, 제 2 아암(4)의 다른 끝단에 접속된 구동장치(5)와, 구동장치(5)에 의해 매달린 수술자용 현미경(6)과, 수술자용 현미경(6)에 부설된 조수용 현미경(7)과, 각종 조작을 발로 하기 위한 풋스위치(8)를 구비하고 있다. 수술자용 현미경(6) 및 조수용 현미경(7)은, 구동장치(5)에 의해서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에 3차원적으로 구동되도록 되고 있다. 부호 E는 수술을 받는 환자의 눈(피검안)이다. 또한, 부호 40은, 수술자용 현미경(6)의 대물렌즈(후술)와 피검안(E)과의 사이에 배치된 전치렌즈를 나타내고 있다.
[수술자용 현미경의 구성]
도 2의 각 도면은 수술자용 현미경(6)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고,도 2(A)는 그 외관측면도를, 도 2(B)는 외관정면도를, 도 2(C)는 전치렌즈의 수납형태를 나타내는 투시측면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술자용 현미경(6)은, 본체부(6a)와, 경통부(10)와, 인버터부(20)와, 좌우 한 쌍의 접안렌즈(30)(30L,30R)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B)에서는, 접안렌즈 (30)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전치렌즈(40)는, 유지아암(41)등을 통해 경통부 (10)에 접속되어, 상술의 대물렌즈와 피검안(E)의 사이에서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상세함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체부(6a)에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수술자용 현미경(6)의 동작제어를 하는 제어회로나, 이 제어회로에 의해서 경통부(10)를 상하에 미동(微動)시키는 구동장치 등이 격납되어 있다. 경통부(10)에는, 대물렌즈(11)를 포함하는 피검안(E)을 조명·관찰하기 위한 후술의 광학계가 격납되어 있다. 인버터부(20)에는, 도상으로서 관찰되는 상을 정입상으로 전환하기 위한 공지의 광학유니트가 격납되어 있다.
[전치렌즈 및 그 주변부의 구성]
계속해서, 전치렌즈(40) 및 그 주변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치렌즈 (40)와 같이, 유지아암(41) 등을 통해 수술자용 현미경(6)에 접속되어 있다. 전치렌즈(40)는, 유지아암(41)의 앞끝단부에 형성된 유지판(41a)에 부착되어 있다.
유지아암(41)과 유지판(41a)은, 힌지축(41b)에 의해 회전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지판(41a)에는 경사부(41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지아암(41)에는, 유지아암(41)을 선회시키기 위한 전치렌즈조작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수술자용 현미경(6)에는, 또한 상부에 플랜지부(71a)를 구비한 승강아암(71)과, 승강아암(71)의 하부에 접속된 접속부(71b)와, 이 접속부(71b)에 접속된 상승규제부재(72)와, 접속부(71b)에 끼우고 통해져서 설치된 연결노브(73)와, 상승규제부재(72)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치렌즈(40) 및 유지아암(41)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74)를 포함하고 있다. 유지아암(41)에는, 힌지축(74a)에 의해 수납부(74)에 피봇부착되어 있다. 또한, 유지아암(41)의 상부에는, 코일스프링 (54)이 부착되어 있다. 또, 수납부(74)가 상승규제부재(72)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되고 있는 것은, 수술후에 전치렌즈(40)나 유지아암(41)을 멸균할 때에 떼어낼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 전치렌즈(40) 등을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도, 통상의 수술용 현미경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단락에 등장한 각 부재에 의한 구성을 정리하여 전치렌즈지지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수술자용 현미경(6)의 본체부(6a)에는, 승강아암(71)을 지지하는 승강아암지지부재(76)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아암 (71)은, 승강아암지지부재(76)를 끼워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아암(71)은, 플랜지부(71a)에 의해 승강아암지지부재(76)로부터의 낙하가 방지되어 있다. 결국, 구동부(75)에 의한 승강아암지지부재(76)의 상하이동에 따라서 전치렌즈(40)가 상하에 이동되어, 대물렌즈(11)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변위되는 것이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경통부(10)의 상하미동과는 독립하여, 전치렌즈(40)만을 상하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부(6a)의 하부에는, 상승규제부재(72)와 동시에 전치렌즈지지부의 위쪽에의 이동범위를 규제하는 상승규제부재(77)가 부착되어 있다. 이 상승규제부재(77)에는, 연결노브(73)를 조작하여 전치렌즈지지부를 본체부(6a)에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멍(7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전치렌즈지지부의 본체부(6a)에의 연결은, 구동부(75)에 의해 전치렌즈지지부를 가장 위의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이 때, 연결노브(73)의 볼록부(73a)와 연결구멍(77)과의 위치가 맞도록 되고 있다.}, 연결노브(73)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볼록부(73)를 연결구멍(77)에 끼워 넣음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는 수술자용 현미경(6)의 전치렌즈(40)는, 피검안(E)과 대물렌즈(11)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사용상태)가 나타나 있다. 수술자는, 전치렌즈(40)의 사용을 멈추고 이것을 퇴피시킬 때에는, 전치렌즈조작노브(42)를 꽉 쥐고 힌지축(74a)을 축으로 유지아암(41)을 위쪽으로 선회시킴으로써, 전치렌즈 (40) 및 유지아암(41)을 수납부(74)에 수납한다. 한편, 수납부(74)에 수납된 전치렌즈(40)를 사용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같은 요령으로 유지아암(41)을 아래쪽으로 선회시킨다.
여기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상태에 있어서의 전치렌즈(40)는, 그 광축이 대물렌즈(11)의 광축방향(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치렌즈(40)의 경사배치는,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3에 있어서의 전치렌즈(40)의 경사각도는,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3(A)은, 전치렌즈(40) 및 유지판(41a)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투시측면도, 또한, 도 3(B)은, 전치렌즈(40) 및 유지판(41a) 도 3(A)을 향하여 왼쪽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구성을 도시한 도면, 또한, 도 3(C)은, 전치렌즈(40)가 사용상태로 되었을 때에 경사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판(41a)은, 'ㄷ자형'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고, 이 부분에 둘러싸인 영역에 유지아암(4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피봇부착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이 영역의 ㄷ자부의 바닥면의 벽면(41d)은,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하여 형성되고 있다. 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이 경사한 측면(41d)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위치변경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지판(41a)을 사용하면,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에 배치된 유지아암(41)에 대한 유지판(41a)의 회전이동동작이 벽면(41d)에 규제되기 때문에, 전치렌즈(40)는 경사한 상태로 배치된다.
도 2(C)에는, 전치렌즈(40)가 수납부(74)(수납위치)에 넣어진 상태가 나타나 있다. 동 도면에 의하면, 힌지축(74a)을 축으로 하여 위쪽으로 선회된 전치렌즈 (40) 및 유지아암(41)은, 수납부(74)의 길이방향에 따라 수납되도록 되고 있다. 또한, 유지판(41a)은, 힌지축(41b)을 축으로 회전이동되어, 구부러진 것과 같은 상태로 수납된다. 이것은, 유지판(41a)의 경사부(41c)와, 수납부(74)의 끝단부에 부착된 접촉부재(74b)와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유지아암(41)이 위쪽에 선회되면 경사부(41c)가 접촉부재(74b)에 접촉하여, 경사부(41c)의 경사에 안내되어 유지판(41a)이 힌지축(41b)을 축으로 회전이동하여, 자동적으로 구부러져서 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에 의한다. 또한, 수납부(74)에는, 전치렌즈(40)가 수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65)가 설치되어 있고, 전치렌즈(40)가 수납부(74)에 수납되면, 유지판(41a)의 일부가 마이크로스위치(65)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상태가 되고, 수납이 해제되면 접촉상태도 해제되어 스위치 오프상태가 된다. 또, 이 마이크로스위치(65)의 작용에 있어서는, 후술의 변형예에서 들게 한다.
[광학계의 구성]
다음에, 수술자용 현미경(6)의 경통부(10)에 격납되어 있는 광학계에 관해서,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이 광학계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이 광학계의 일부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후술의 차광부재(16)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통부(10)내에는, 대물렌즈(11)와, 관찰광학계 (12)와, 광원(13)과, 라이트가이드(14)와, 차폐판(15)과, 차광부재(16)와, 렌즈군 (17)과, 조임부(17a)와, 편향미러(18a, 18b 및 18c)가 설치되어 있다. 또, 광원 (13), 라이트가이드(14), 차폐판(15), 차광부재(16),렌즈군(17), 조임부(17a) 및 편향미러(18a, 18b, 18c)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조명광학계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피검안(E)의 관찰상을 촬영하기 위한 CCD소자 등의 촬상수단도 경통부(10)에는 내장되고 있다. 이하, 이러한 촬상수단에 의한 '촬영'도 '관찰' 의 한 형태로서 생각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피검안(E)과 대물렌즈(11)와의 사이에는, 사용상태의 전치렌즈(40)가 소정의 각도방향에 경사지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 피검안(E)으로부터의 관찰광속은, 전치렌즈(40)와 대물렌즈(11)와의 사이에 초점(F)을 형성하게 되고 있다. 따라서, 피검안(E)은 도상(倒像)으로서 관찰되는 것이 되지만, 상술의 인버터부 (20)내의 광학유니트에 의해서 정입상(正立像)으로 전환되어 관찰되기 때문에, 수술중의 조작성은 담보되어 있다.
대물렌즈(11)의 광축의 연장상에는, 수술자가 피검안(E)을 관찰하기 위한 왼쪽눈용, 오른쪽눈용의 접안렌즈(30L,30R)(도 1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관찰광학계(12)는, 도 5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좌우 한 쌍의 관찰광학계(12L,12R)로 구성되어, 각 관찰광학계(12L,12R)는, 관찰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배율변경렌즈 등을 포함하는 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좌우의 각 접안렌즈부(30L,30R)로 각각 관찰광속을 안내하게 되고 있다. 도 4 중의 부호 12a는 관찰광학계(12)의 입사눈동자(入射瞳)를 나타내고 있다.
라이트가이드(14)는, 광원(13)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도광하는 광화이버속(束)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차폐판(15)은 라이트가이드(14)의 출사단(14a)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출사단(14a)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를 차폐하여, 원하는 단면형상의 조명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학부재이다. 차폐판(15)은, 스테핑모토 등으로 이루어지는 차폐판구동기구(15a)에 의해서, 조명광의 광로상에 각종 형상의 투광영역을 선택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이 차폐판(15)의 투광영역의 형상은, 사용하는 편향미러(18a,18b,18c)에 따라서 선택배치되게 되고 있다.
차광부재(16)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차광수단을 구성하는 것으로, 차폐판 (15)을 통과하여 온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한,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광학부재로 이루어진다. 이 차광부재(16)는, 솔레노이드 등의 차광부재구동수단(16a)에 의해서 조명광의 광로상에 끼우고 떼어지도록 되고 있다. 이러한 조작은, 예를 들면 풋스위치(8)에 의해 할 수 있게 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차광부재(16)는, 플라스틱소재 등에 의해 형성된 판형상의 광학부재로서, 조명광을 투과시키는 투광영역(16b)과, 조명광을 투과시키지 않고 차광하는 차광영역(16c)을 갖고 있다. 이 차광영역(16c)의 위치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차광부재(16)는 관찰광학계(12)의 입사눈동자(12a)의 한 점(예를 들면 그 중심) A를 물점(物点)으로 하고 전치렌즈(40)를 반사면으로 한 광학계에 있어서, 이 물점(物点)에 대하여 광학적으로 공역(共役)인 점 B의 위치에 삽입되게 되고 있다.
렌즈군(17)은, 차광부재(16)의 투광영역(16b)을 투과한 조명광을 관찰광학계 (12)의 광축(관찰광축)의 근방까지 안내한다. 또한, 조임부(17a)는, 피검안(E)을 조명하는 영역을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 초점(F)과 공역인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편향미러(18a, 18b 및 18c)는, 대물렌즈(11)의 상부 또한 관찰광축의 근방의 소정위치에 배치된 반사부재로 이루어지고, 렌즈군(17)에 의해서 안내된 조명광을 편향하여, 대물렌즈(11)를 통해 피검안(E)방향으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관찰광학계(12) 및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찰광학계(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왼쪽 관찰광학계(12L) 및 오른쪽 관찰광학계(12R)로 이루어지고, 왼쪽 관찰광학계(12L)는 관찰광속을 접안렌즈부의 왼쪽눈용의 접안렌즈(30L)에 안내하고, 오른쪽 관찰광학계(12R)는 관찰광속을 오른쪽눈용의 접안렌즈(30R)에 안내하게 되고 있다.
편향미러(18a,18b 및 18c)는, 각각 도 5에 나타내는 형상을 갖고 있다. 또, 차폐판(15)의 각 투광영역은, 편향미러(18a,18b,18c)의 형상에 각각 대응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편향미러(18a, 18b)는, 피검안(E)의 레드 리플렉스(Red Reflex, 徹照像)를 얻고 싶을 때에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차폐판(15)의 투광영역을 적절히 선택하여 편향미러(18a,18b)의 쌍방에 동시에 조명광을 이끄는 것에 의해, 관찰광축에 대하여 작은 높이 또한 양측에서 피검안(E)을 조명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피검안(E)의 망막의 관찰영역전체에 걸쳐서 레드리플렉스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편향미러(18c)를 통해 조사되는 조명광은, 편향미러(18a,18b)의 경우와 비교하여 큰 각도가 되기 때문에, 관찰상에 입체감을 갖게 하고 싶을 때에 사용된다.
이하,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광이 편향미러(18c)를 통해 조사되는 경우를 들어서 설명을 행한다. 또한, 그 밖의 편향미러가 선택사용되고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부호 AL 및 AR은, 각각, 왼쪽 관찰광학계(12L) 및 오른쪽관찰광학계(12R)의 입사눈동자의 중심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양 입사눈동자 (AL,AR)의 중점을 Amid로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동 도면 중 부호 C는, 편향미러(18C)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의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중심을 나타내고 있다.
좌우의 관찰광학계(12L,12R)의 입사눈동자(AL,AR)의 중점 Amid및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중심(C)의 배치상태를 옆쪽으로부터 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어 있다. 즉, 광원(13)으로부터의 조명광은, 조명광학계의 각 광학소자를 경유하여 사출눈동자의 중심(C)을 포함하는 편향미러(18c)의 영역에서 반사되어, 대물렌즈(11) 및 전치렌즈(40)를 통해 피검안(E)을 조명한다. 피검안(E)에서 반사된 조명광은, 관찰광속으로서 전치렌즈(40)를 통해 일단 초점(F)을 형성한다. 그리고, 대물렌즈(11)를 경유하여, 좌우의 관찰광학계(12L,12R)의 각각의 입사눈동자(AL,AR)를 통과하여 접안렌즈(30L,30R)에 이끌어진다.
여기서, 입사눈동자(AL,AR)의 중점(Amid)과 초점(F)을 통과하는 선분을 관찰축(O)라고 부르는 것으로 하고, 사출눈동자의 중심(C)에서 반사된 조명광이 초점(F)을 통과할 때의 각도방향의 선분을 조명축(L)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관찰축(O)와 조명축(L)이 이루는 각도를 α로 하고, 이 각도 α를 약 2등분하는 선분을 O'로 한다. 요컨대 α1≒ α2가 된다. 이 때, 전치렌즈(40)의 광축 (Of)의 관찰축(O)에 대한 경사각도 θ= α1로 설정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하,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1)의 작용·효과에 대해서, 도 7,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전치렌즈(40)의 광축(Of)을 관찰축(O)에 일치시켜서 경사각도를 갖게 하지 않은 종래의 경우에 있어서의 피검안(E)의 관찰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은, 전치렌즈(40)를 관찰축(O)에 대하여 경사배치시킨 본 발명의 경우에 있어서의 피검안(E)의 관찰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9는, 전치렌즈(40)를 경사배치시킨 도 8의 경우에 있어서, 차광부재(16)를 작용시키었을 때의 관찰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 이들 각 도면의 (A)는 왼쪽 관찰광학계(12L)를 통한 관찰상태를, 동 (B)는 오른쪽 관찰광학계(12R)를 통한 관찰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7에 나타내는 종래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치렌즈(40)의 광축(Of)이 관찰축(O)에 일치되어 있는 경우, 조명축(L)과 관찰축(O)이 이루는 각도 α에 의해,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는 전치렌즈(40)의 2개의 굴절면에 의해서 2개의 반사상을 좌우 각각 형성한다. 여기서, 왼쪽관찰광학계(12L)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2개의 반사상을 왼쪽 반사상(P1,P2)이라 칭하고, 오른쪽 관찰광학계(12R)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2개의 반사상을 오른쪽 반사상(Q1,Q2)이라 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왼쪽 반사상(P1,P2) 및 오른쪽 반사상(Q1,Q2)은, 통상 설정되는 각도 α의 크기에 있어서는 각각 분리하여 관찰된다. 따라서, 피검안(E)의 왼쪽의 관찰상은, 왼쪽 반사상(P1,P2)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광점에 의해서 침식되어, 관찰가능한 영역이 좁혀지는 것이 된다. 또한, 2개의 광점의 주변부는, 그들의 눈부심에 의해서 시인성이 저하된다. 피검안(E)의 오른쪽의 관찰상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관찰가능한 영역이 좁혀짐과 동시에, 광점주변부의 시인성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의 안과용 수술현미경(1)에 의하면, 전치렌즈(40)의 광축(Of)이 관찰축(O)에 대하여 상기의 θ만큼 경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왼쪽 반사상(P1,P2) 및 오른쪽 반사상(Q1,Q2)은, 도 8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거의 포개져서 관찰된다. 따라서, 이들에 침식되는 관찰상의 영역은 작아지고(거의 절반), 관찰 가능한 영역은 종래와 비교하여 커지기 때문에, 관찰상태는 향상되는 것이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반사상을 거의 일치시키는 것에 따라 관찰상태가 향상되더라도, 반사상 주변부의 시인성은 아직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악영향을 해소하기 위해서, 차광부재구동수단(16a)을 동작시켜 차광부재(16)를 조명광의 광로상에 삽입한다.
여기서, 차광부재(16)의 차광영역(16c)은, 거의 포개져서 관찰되는 왼쪽 반사상(P1,P2) 및 오른쪽 반사상(Q1,Q2)의 위치에 도달하는 조명광의 단면영역을 차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반사상을 형성해야 할 조명광의 일부영역이 차단되기 때문에, 도 9(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반사상의 위치는 조명광이 닿지 않는 암점(16c')으로서 관찰된다. 따라서, 암점(16c')의 주변부 (요컨대 반사상이 있어야 할 영역의 주변부)의 눈부심에 의한 시인성 저하는 해소되는 것이 된다.
또, 차광부재(16)의 차광영역(16c)은 거의 포개져서 관찰되는 2개의 반사상에 비교해서 간신히 큰 암점을 형성하는 것과 같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차광부재(16)상에 있어서의 차광영역(16c)의 위치는, 전치렌즈(40)의 경사각도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적당한 위치에 미리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명광이 편향미러(18c)에 의해 반사되어 피검안(E)을 조사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전치렌즈(40)의 경사각도를 단계적으로 변경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따라, 편향미러(18a,18b)를 사용하고 관찰할 때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의 조명축과 관찰축(O)이 이루는 각도를 β로 하면, 전치렌즈(40)는, 그 광축(Of)이 관찰축(O)에 대하여 거의 β/2의 각도를 이루도록 경사배치된다. 따라서, 전치렌즈(40)의 광축(Of)이 관찰축(O)에 대하여 α1또는 β/2의 각도에 단계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전치렌즈(40)의 광축(Of)의 경사방향은, 조명축(L)과 관찰축(O)이 이루는 각의 약 1/2일 필요는 없고, 장치의 스펙(Specification)나 기차(機差) 등의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변형예]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풋스위치(8)로부터의 조작에 의해서 차광부재(16)의 사용/미사용을 바꾸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전치렌즈(40)의 사용/미사용에 대응하여바뀌어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치렌즈(40)가 수납위치에 넣어져 있는지 없는지 검지하기 위한 마이크로스위치(65)가 설치되어 있다(전술(前述)). 수술자용 현미경(6)의 본체부(6a)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제어회로는, 수납위치로부터 전치렌즈(40)가 해제되어, 마이크로스위치(65)가 스위치 오프상태가 된 것에 대응하여, 차광부재구동수단(16a)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차광부재(16)를 조명광의 광로상에 삽입시킨다. 반대로, 전치렌즈 (40)가 수납위치에 넣어지고 마이크로스위치(65)가 스위치 온상태가 된 것에 대응하여, 제어회로는, 차광부재구동수단(16a)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차광부재(16)를 조명광의 광로상에서 퇴피시킨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전치렌즈(40)의 사용/미사용에 연동하여 차광부재(16)를 끼우고 뗄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전치렌즈를 경사배치시키기 위한 구성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하다. 제 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부분에 있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안과용 수술현미경의 일부구성의 개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A)에는, 사용상태에 배치된 전치렌즈(40)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안과용 수술현미경은, 수납부(74)와 코일스프링(54)과의 접속부분에 특징을 갖고 있다. 수납부(74)와 코일스프링(54)은 힌지축(74a)에 의해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고, 유지아암(41)을 선회시키는 것에 따라 전치렌즈(40)의 사용/수납을 바꾸게 되고 있다. 수납부(74)와 코일스프링(54)과의 접속부분은, 전치렌즈(40)를 사용상태로 하였을 때에, 유지아암(41)이 수직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각도를 갖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수납부(74)의 내부에 도 10(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경사한 벽면(74c)을 형성하여, 코일스프링(54)의 사용상태의 방향에의 회전이동이 이 벽면(74)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하면 좋다. 이 때, 벽면(74c)의 수직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를, 전치렌즈(40)의 적당한 경사각도에 맞춰서 형성함에 의해, 실시형태 1과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0(A),(B)에 있어서의 전치렌즈(40)의 경사각도는,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치렌즈(40)를 경사배치시키는 2 가지의 구체적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전치렌즈(40)를 관찰축(O)에 대하여 경사시키는 구성이면, 그 수단방법의 여하를 묻지 않고 양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치렌즈(40)를 경사배치하는 경우의 예로서, 전치렌즈(40)가 수평선에 대하여 위쪽에 배치되어 경사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지만,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선(ℓ)에 대하여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시키더라도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A)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기 실시형태에서의 전치렌즈(40)는, 힌지축(41b)을 기준으로 하는 수평선(ℓ)의 위쪽에 위치하도록[즉 유지아암(41)과 유지판(41a)이 이루는 각도 θ1가 예각이 되도록)되어 있지만, 본 형태에 있어서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전치렌즈(40')의 수평선(ℓ)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도록{즉 유지아암(41)과 유지판(41a')이 이루는 각도 θ2가 둔각이 되도록}, 화살표 Y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예각 θ1과 둔각 θ2과의 사이에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아암(41)과 전치렌즈용 유지판(41a')과의 연결부{힌지축(41b) 근방}에 복수(적어도 2개소)의 오목볼록부(41f)를 설치하여, 스프링 (41e)에 의해서 탄성 접촉하는 클릭구성으로 하는 것에 따라, 혹은, 유지아암(41)내에 와이어를 통해서, 그 와이어 하단부를 전치렌즈용 유지판(41a)에 고정하여, 와이어의 상단을 도르래 등을 통해 장치본체에 설치하여, 수동에 의해 조작하더라도 좋다. 이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위치(像位置)변경수단은 상기 클릭구성을 포함하는 구성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와 같이, 전치렌즈(40)를 수평선(ℓ)보다도 아래쪽으로 경사시킨 경우의 작용효과를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치렌즈(40)가 수평선(ℓ)보다도 아래쪽으로 향해서 경사지고 있기 때문에, 왼쪽 반사상(P1,P2) 및 오른쪽 반사상(Ql,Q2)은 도 12(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떨어진 위치에 관찰된다. 이 결과, 관찰에 필요한 중앙부영역이 확대되어, 관찰효율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고 하는 상기 제 1, 제 2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는 다른 차광부재를 갖고 있다. 도 13에는, 본 실시형태의 차광부재(160)의 일례의 개략구성이 나타나 있다. 차광부재(160)는, 조명광의 광로상에 설치된 액정디스플레이(LCD)이고, 아무것도 표시되어 있지 않을 때는 조명광은 그대로 투과하게 되고 있다. 또한, LCD(160)는, 상술의 제어회로에 의해 임의의 위치에 흑색의 차광영역(160c)을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차광영역(160c)을 형성하는 것이나,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리한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차광영역(160c)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LCD(160)를 차광부재로서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우선, 전치렌즈(40)를 경사배치하여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이 거의 일치하여 관찰되는 경우, 도 13(A)과 같이 그 반사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LCD(160)상의 위치에 1개의 차광영역(160c)을 표시하여 관찰상 중에 암점을 형성한다. 또한, 전치렌즈(40)가 경사배치되어 있지 않고 2개의 반사상이 관찰되는 경우, 이 2개의 반사상의 위치에 대응하는 LCD(160)상의 위치에 차광영역을 각각 표시하여 2개의 암점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조명광의 입사높이의 변화 등에 따라서 반사상의 위치가 변화한 경우이더라도, 차광영역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가 있다. 또한, 전치렌즈가 경사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더라도, 2개의 반사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암점으로 할 수 있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제어회로에 의해, 차광영역이 표시되는 LCD(160)상의 위치를, 반사상이 관찰되는 위치(반사상이 1개의 경우 및 /또는 2개의 경우)에 연동하여 변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하면, 반사상의 위치가 변화하더라도 자동적으로 그 위치에 암점이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상 편리하다.
이상에 있어서 상세히 설명한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일례이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의 각종의 구성의 변형이나 변경, 추가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치렌즈에 기인하는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의 위치를, 이것이 거의 포개져서 관찰되 도록 변경할 수가 있기 때문에, 관찰가능한 영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술자는 바람직한 시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반사상이 관찰되는 영역에 조사해야 할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상기 반사상의 눈부심에 의한 시인성의 저하를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바람직한 시야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0)

  1.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의 사이에서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고, 또한 관찰되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위치변경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기울여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전치렌즈를 관찰축에 대하여 둔각으로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광학계는, 수술자의 좌우의 눈에 각각 관찰광을 이끌기 위한 좌우의 관찰광로를 갖고,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은, 상기 좌우의 관찰광로에 대응하는 좌우의 입사눈동자의 중심의 중점과 상기 전치렌즈에 의한 상기 관찰광의 초점을 연결한 선분과, 상기 조명광학계의 상기 사출눈동자의 중심과 상기 초점을 연결한 선분이 이루는 각을 약 2등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광축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6.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의 사이에서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반사상이 관찰되는 영역에 도달하는, 상기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하기 위한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굴절면에 대하여, 상기 관찰광학계의 입사눈동자의 어느 한 점과 광학적으로 공역(共役)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전치렌즈의 상기 끼우고 떼기에 따라서, 상기 조명광의 일부의 차광/투광을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조명광의 광로상에 배치되어, 상기 조명광을 차광하는 차광영역을 원하는 위치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액정디스플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10. 피검안에 대치하여 배치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를 통해 상기 피검안을 관찰하기 위한 각종의 광학소자로 이루어지는 관찰광학계와,
    상기 관찰광학계의 광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방향으로부터 조명광을 상기 피검안에 조사하는 조명광학계와,
    상기 피검안과 상기 대물렌즈의 사이에서 끼우고 떼기 가능하게 설치된 전치렌즈를 갖는 안과용 수술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조명광이 상기 전치렌즈의 2개의 굴절면에서 반사되어 생기는 상기 조명광학계의 사출눈동자의 2개의 반사상이 대략 포개져서 관찰되도록, 상기 반사상의 위치를 변경하는 상위치변경수단과,
    상기 상위치변경수단에 의해서 대략 포개져서 관찰되는 상기 반사상의 영역에 도달하는, 상기 조명광의 일부를 차광하기 위한 차광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과용 수술현미경.
KR1020040041657A 2003-06-09 2004-06-08 안과용 수술현미경 KR100840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3931A JP4417036B2 (ja) 2003-06-09 2003-06-09 眼科用手術顕微鏡
JPJP-P-2003-00163931 2003-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5613A true KR20040105613A (ko) 2004-12-16
KR100840476B1 KR100840476B1 (ko) 2008-06-20

Family

ID=3329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657A KR100840476B1 (ko) 2003-06-09 2004-06-08 안과용 수술현미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7027220B2 (ko)
EP (1) EP1486159B1 (ko)
JP (1) JP4417036B2 (ko)
KR (1) KR100840476B1 (ko)
CN (1) CN100381858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476A (ko) 2018-12-04 2020-06-12 김선호 각막 접촉식 안과용 디지털 현미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8053B1 (ko) * 2005-10-25 2008-06-12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시토크롬 피450 85 에이 2 및 이의 이용
US7946706B2 (en) * 2006-02-10 2011-05-24 Volk Optical Inc. Lens assembly for vitreoretinal surgery
DE102006039137A1 (de) 2006-08-21 2008-02-28 Carl Zeiss Surgical Gmbh Optisches Gerät, Verwendung eines erfindungsgemäßen optischen Gerätes sowie Verfahren zum Blocken von Lichtreflexen im Beobachtungsstrahlengang eines optischen Gerätes
JP5043604B2 (ja) 2007-11-07 2012-10-10 株式会社トプコン 実体顕微鏡
JP2009118955A (ja) * 2007-11-13 2009-06-04 Topcon Corp 手術用顕微鏡装置
DE102008011608A1 (de) * 2008-02-28 2009-09-03 Carl Zeiss Surgical Gmbh Vorsatzeinrichtung für eine optische Beobachtungseinrichtung
JP2009297073A (ja) * 2008-06-10 2009-12-24 Topcon Corp 手術用顕微鏡
WO2012146708A1 (en) * 2011-04-27 2012-11-01 Carl Zeiss Meditec Ag Ultra wide-fiel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S20160183782A1 (en) * 2014-12-29 2016-06-30 Novartis Ag Oct surgical visualization system with macular contact lens
CN105807415B (zh) * 2016-05-13 2017-12-26 镇江市新天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口腔显微镜悬挂装置
JP6915968B2 (ja) * 2016-06-09 2021-08-11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用手術顕微鏡
US10901195B2 (en) * 2017-03-22 2021-01-26 Alcon Inc. Reconfigurable surgical microscope
CN107510433A (zh) * 2017-08-28 2017-12-26 杨文龙 一种眼科检眼镜用支撑装置
CN111759485B (zh) * 2020-06-18 2022-07-29 昌乐县妇幼保健院 一种平躺式眼科光学观察支架
JP7133660B2 (ja) * 2021-01-27 2022-09-08 株式会社トプコン 眼科用手術顕微鏡
CN113813147B (zh) * 2021-10-14 2023-08-15 蔡钟麟 一种视力恢复设备
CN115644795B (zh) * 2022-12-12 2024-04-09 图湃(北京)医疗科技有限公司 手术显微镜系统及手术显微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212885A (en) * 1912-06-01 1913-05-29 Lionel Laurance Improvements relating to Indirect Ophthalmoscopy and the like.
GB191312885A (en) 1912-12-26 1914-01-22 Ernest Jay Rosencrans Device for Securing Railroad-rails to Ties.
US2622473A (en) * 1949-09-03 1952-12-23 Zeiss Opton Optische Werke Slit lamp apparatus with front lens attachment
US3664730A (en) * 1970-10-15 1972-05-23 Hernando Cardona Ophthalmoscope
DE2932486A1 (de) * 1979-08-10 1981-02-26 Moeller J D Optik Operationsmikroskop
US4807989A (en) * 1986-01-14 1989-02-28 Olympus Optical Co., Ltd. Surgical microscope system
GB2268263A (en) * 1992-06-30 1994-01-05 Ibm Input device for a visual display unit
DE9217517U1 (de) 1992-12-22 1993-02-25 Fa. Carl Zeiss, 7920 Heidenheim Vorsatz für ein Operationsmikroskop
CH688304A5 (de) * 1993-01-28 1997-07-31 Yves Prof Dr Robert Ophthalmologisches Geraet.
DE9415219U1 (de) 1994-09-22 1994-11-24 Oculus Optikgeräte GmbH, 35582 Wetzlar Vorsatzeinrichtung für ein Mikroskop
US5793524A (en) * 1997-08-04 1998-08-11 Luloh; K. Peter Device for non-contact wide-angle viewing of fundus during vitrectomy
JPH11169383A (ja) * 1997-12-10 1999-06-29 Topcon Corp 手術用顕微鏡
DE20021955U1 (de) * 2000-12-23 2001-03-15 Oculus Optikgeraete Gmbh Mikroskop zur Weitwinkelbeobachtung, insbesondere für Augenoperationen
JP2002350735A (ja) * 2001-05-29 2002-12-04 Topcon Corp 手術用顕微鏡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7476A (ko) 2018-12-04 2020-06-12 김선호 각막 접촉식 안과용 디지털 현미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257645A1 (en) 2004-12-23
EP1486159B1 (en) 2012-08-15
US7027220B2 (en) 2006-04-11
EP1486159A1 (en) 2004-12-15
US20060098274A1 (en) 2006-05-11
CN1573409A (zh) 2005-02-02
JP4417036B2 (ja) 2010-02-17
CN100381858C (zh) 2008-04-16
US7081993B2 (en) 2006-07-25
KR100840476B1 (ko) 2008-06-20
JP2005000214A (ja)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476B1 (ko) 안과용 수술현미경
US8205988B2 (en) Stereomicroscope
EP1905349B1 (en) Slit lamp microscope and ophthalmic laser treatment apparatus with the microscope
US20020191280A1 (en) Microscope for operation
JP4439815B2 (ja) 手術用顕微鏡
KR101092108B1 (ko) 수술용 현미경
US7393103B2 (en) Operation microscope apparatus
JPH04244151A (ja) 眼科用レーザ手術装置
US6072623A (en) Slit lamp microscope
JP2009297073A (ja) 手術用顕微鏡
JP3028421B2 (ja) 手術用顕微鏡
JP5491142B2 (ja) 眼科手術用顕微鏡
JP2008049165A (ja) 光学機器、本発明による光学機器の使用法、ならびに光学機器の観察光路において迷光反射を遮断する方法。
JP2009118955A (ja) 手術用顕微鏡装置
JP2012152361A (ja) 乱視軸測定装置、及び眼科装置
JP3338717B2 (ja) 眼科装置
JP4717360B2 (ja) 手術用顕微鏡
KR20050009693A (ko) 수술용 현미경 및 관찰 프리즘
JP2001037726A (ja) 細隙灯顕微鏡
JPH1176166A (ja) 眼底撮影装置
JP2005006724A (ja) 眼科装置
JP2002102173A (ja) 細隙灯顕微鏡
JP2021023541A (ja) 眼科装置
JP2021023542A (ja) 眼科装置
JPH119553A (ja) 眼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