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957A - 전동스테이플러 - Google Patents

전동스테이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957A
KR20040103957A KR10-2004-7016569A KR20047016569A KR20040103957A KR 20040103957 A KR20040103957 A KR 20040103957A KR 20047016569 A KR20047016569 A KR 20047016569A KR 20040103957 A KR20040103957 A KR 200401039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electric stapler
rotating member
punching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1305B1 (ko
Inventor
모토노야스타카
코바코타로
Original Assignee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178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774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142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1086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마크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3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19Stapl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bending the ends of the staples on to the w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58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urrent collector for indicating condition thereof, e.g. for indicating brush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0Driving means
    • B27F7/36Driving means operated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FDOVETAILED WORK; TENONS; SLOTTING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 B27F7/00Nailing or stapling; Nailed or stapled work
    • B27F7/17Stapling machines
    • B27F7/38Staple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전동스테이플러는 다수의 스테이플이 장전된 매거진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순차로 공급하는 공급기구와,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타출기구와,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와,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공급기구, 상기 타출기구 및 상기 클린처긱를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에 마련된 회전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검출하는 검출기구와, 상기 검출기구가 검출한 소모량을 표시하는 표시기구를 구비하여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동스테이플러{MOTOR STAPLER}
복사기나 팩시밀리 등의 기기내에 복사된 용지나 팩시밀리 수신한 용지를 자동적으로 철해지도록 하기 위한 전동스테이플러가 내장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내장형의 전동스테이플러는 카트리지내에 수납한 스테이플을 카트리지로부터 타출부로 내 보내는 공급기구와,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타출부로부터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타출기구와, 타출기구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각부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전동스테이플러는 한개 내지 복수개의 전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공급기구, 타출기구 및 클린처기구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기구가 마련되고 있으며 이들의 전동모터와 구동기구는 전동스테이플러의 소정의 내구수명의 한계치를 만족하도록 설계되고 있다.
상기 전동스테이플를 내장하고 있는 복사기 등에는 누계의 복사매수가 적산카운트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누계복사매수에 의해 복사기의 주요부품의 내구수명을 판단하여 이들의 부품교환을 행하도록 복사기 보수의 기준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복사기 등에 내장된 전동스테이플러에 있어서는 철하는 복사용지의 매수가 일정치 않고 또한 자동철함을 행하는 경우와, 철함을 행하지 않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상기 복사매수와 전동스테이플러의 작동회수가 반드시 비례하지 않고 누계의 복사매수에 의해서는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을 판단할 수 없다.
종래의 기기에 내장된 전동스테이플러의 통산의 작동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보수점검시에 복사기로부터 전동스테이플러를 분리하여 분해한 후에 회전축이나 전동모터 그외 부분의 마모정도를 목시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복사기에 의해 서비스맨이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을 검지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통상에서는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의 한계치보다 상당히 전에 교환해 버리는 경우가 많아 자원절약 관점에서는 바람직하지 않았다.
또 종래에서는 모터의 회전축을 보수점검시에 서비스맨이 거래처로 가서 실기기를 확인해도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이 한계치에 어느 정도 다가갔는 지를 판단하는 것이 곤란하여 한계치로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는 경우에도 교환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들어 복사기에 탑재된 전동호치키스에서는 표시수단을 갖지 않으므로 한계치를 절반 사용한 경우라도 교환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복사된 용지 또는 팩시밀리수신한 용지를 자동적으로 철해지도록 복사기나 팩시밀리기 등의 기기내에 내장된 전동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산구동표시기구를 구비한 전동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을 표시하는 회전수 적산량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동스테이플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회전수 적산량 표시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
도 3은 회전수 적산량을 표시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도 2에 상당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전동스테이플러의 외관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전동스테이플러의 평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전동스테이플러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하는 전동스테이플러의 좌측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하는 전동스테이플러의 단면도.
도10은 구동기구를 도시한 설명도.
도11은 캠구동축에 부착한 캠을 도시한 설명도.
도12는 포밍플레이트에 의한 ㄷ자형의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13은 이송플레이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이송플레이트체의 단면도.
도15(a)는 스테이플이 ㄷ자모양으로 성형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5(b)는 스테이플이 타출되어 철하는 시트를 관통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의 적산구동표시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의 사시도.
도17은 도16의 전동모터에 형성된 적산구동표시기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18은 적산구동표시기구를 도시하는 도17에서의 XVIII-XVIII선상의 종단측면도.
도19는 도18에서의 XIX-XIX선상의 단면도.
도20은 도18에서의 XX-XX선상의 단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적산구동 표시기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22는 도21과 같은 적산구동기구의 도21에서의 XXII-XXII선상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동스테이플러 60: 회전축
60A: 절개부 61: 프레임
65: 로드 67: 게이지레버
72: 스프링 74: 눈금
801: 전동스테이플러 814: 전동모터
820: 출력축 821: 정류자
823: 브러시 824: 탄력편
825: 모터케이스 826: 단자
827,837: 적산구동 표시기구 828,838: 액튜에이터
829,839: 지시단 830,840: 개구
831,841: 한계마크 836,842: 눈금선
본 발명의 과제는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이 한계치에 어느 정도 다가갔는 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회전수 적산량 표시장치 및 그 자이를 구비한 전동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사기 등에 내장된 전동스테이플러의 적산구동시간을 복사기로부터 전동스테이플러를 분리하지 않고 전동스테이플러의 외측으로부터 내구수명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복사기로부터 분리된 경우나 전동스테이플러 단체에서도 내구수명을 검지할 수 있는 전동스테이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스테이플러는 다수의 스테이플러가 장전된 매거진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기구와,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타출기구와,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와, 최소한 한개의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공급기구, 상기 타출기구 및 상기 클린처기구 등을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에 마련된 회전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검출하는 검출기구와, 상기 검출기구가 검출한 소모량을 표시하는 표시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가압해도 된다.
또 상기 표시기구는 상기 검출기구와 접촉하고, 전동스테이플러 사용개시시에서의 상기 검출기구의 초기위치로부터의 변위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마련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회전축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축의 외표면에 상기 로드를 접촉시키는 가압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의 외표면 및 상기 로드의 최소한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연질의 재료로 형성하며, 그 연질의 재료의 마모량으로부터 상기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을 검출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로드는 가압수단에 의해 회전축측으로 가압되고 있으며, 장시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연질의 재료가 마모하는 것으로 로드의 위치가 회전축측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량을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이 한계치에 어느 정도 다가가고 있는 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로드는 회전축과의 접촉부 및 그 근방이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으면 충분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로드만이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을 때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드와 접촉하는 외주면의 일부에 절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회전축에 로드가 접촉하고 있는 것 만으로는 마모가 좀처럼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회전축 외표면에 절개부를 마련해 두면 절개부가 통과할 때 마다 로드에 충격이 가해져 로드의 마모량을 촉진할 수 있어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이 한계치에 다가가는 지 여부의 판단히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스테이플을 적층수납한 카트리지와, 상기 시트스테이플을 카트리지로부터 타출부로 내 보내는 공급기구와, 상기 공급기구에 의해 내 보내진 시트스테이플의 스테이플을 왕복이동하여 상기 타출부로부터 타출하는 타출기구와, 상기 타출기구에 의해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을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를 구비한 전동스테이플에 있어서 상기 각 기구를 구동하는 구동기구의 회전축의 적산량을 표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수 적산량 표시수단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동스테이플러의 적산구동 표시기구는 다수의 스테이플이 장전된 매거진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기구,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타출기구,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 및 상기 공급기구, 타출기구 및 클린처기구를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구를 구비한 전동스테이플러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브러시의 마모에 따라 변위되는 지시단이 형성된 액튜에이터를 전동모터내에 마련하고, 이 액튜에이터의 지시단을 전동모터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인가능하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이 지시단의 변위방향을 따라 브러시가 내구한계 까지 변위했을 때의 상기 지시단의 위치에 대응시켜 한계마크를 전동모터의 외측면에 표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동스테이플러에 이용되는 회전수 적산량 표시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회전축(회전부재)(60)이 프레임(61)에 회전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있다. 회전축(60)의 선단부는 프레임(61)보다 외측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그 선단부 외주면의 일부는 평면모양으로 커트되어 절개부(60A)가 형성되고 있다. 프레임(61)상에는 회전축(60)의 선단부 근방에 가이드핀(63)(64)이 고정되고 이들 가이드핀(63)(64)사이에 로드(65)가 배치되고 있다. 로드(65)는 회전축(60)에 가까운 측이 가이드핀(63)(64)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축(60)으로부터 떨어진 반대측이 로드(65)에 고정된 연결핀(66)에 의해 게이지레버(67)에 연결되고 있다.
로드(65)의 중간부에는 장공(68)이 형성되고 이 장공(68)에는 프레임(61)에 고정된 가이드핀(69)이 결합하고 있다. 또 프레임(61)에는 장공(70)이 형성되고 이 장공(70)에는 상기 연결핀(66)의 선단부가 결합하고 있다. 연결핀(66)은 장공(70)내를 이동가능하고 로드(65)는 장공(68)이 가이드핀(69)으로 안내되며, 양측단이 가이드핀(63)(64)에 안내되어 도면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가이드핀(63)(64)의 선단부에는 플랜지(도 2의 부호(64A))가 마련되고 로드(65)가 가이드핀(63)(64)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있다.
로드(65)에는 회전축(60)에 가까운 측에 핀(71)이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로드(65)의 주위에는 가이드핀(69)의 선단부와 핀(71) 사이에 스프링(72)이 마련되고 있다. 가이드핀(69)은 프레임(61)에 고정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72)은 핀(71)을 압압하고 이에 따라 로드(65)는 회전축(60)측으로 가압되며 그 선단부는 늘 회전축(60)의 외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72) 대신에 고무 또는 탄성을갖는 수지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65)는 회전축(60)과의 접촉부 및 그 근방이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다. 즉 로드(65)는 강제(鋼製)이지만 회전축(60)과의 접촉부 및 그 근방만은 예를들어 알루미늄 또는 황동 등의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다. 또한 로드(65) 전체를 알루미늄 또는 황동 등의 연질의 재료로 형성할 수도 있다.
게이지레버(67)에는 연결핀(66)이 삽입되는 장공(75)이 형성되고 또한 게이지레버(67)의 일단측에 기부(67A)가 타단측에 지시바늘부(67B)(지시부)가 각각 형성되고 있다. 기부(67A)는 핀(73)에 의해 프레임(61)에 부착되고, 게이지레버(67)는 핀(73)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다. 지시바늘부(67B)는 선단이 뾰족하고 그 뾰족한 부분에 대응하여 프레임(61)상에는 회전수 적산량을 도시하는 눈금(74)(눈금부)이 표기되고 있다. 지시바늘부(67B)의 선단과 연결핀(66)과의 거리(L1)는 연결핀(66)과 핀(73)과의 거리(L2)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회전축(60)을 장기간 회전시키는 로드(65) 선단이 마모된다. 즉 로드(65)는 회전축(60)과의 접촉부 및 그 근방이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으며 또한 스프링(72)에 의해 회전축(60)으로 밀어붙여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6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질의 재료가 마모된다. 이 때 회전축(60)에 홈(60A)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이 홈(60A)이 통과할 때 마다 로드(65)에 충격이 가해지고 연질의 재료의 마모가 촉진된다.
로드(65)는 스프링(72)에 의해 늘 회전축(60)측으로 가압되고 있기 때문에 연질의 재료가 마모하면 로드(65)는 가이드핀(63)(64) 및 가이드핀(69)에 안내되어회전축(60)에 다가가도록 이동한다. 그러면 연결핀(66)이 장공(70)(75)을 따라 변위하고 이 변위에 끌려 게이지레버(67)가 핀(73)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B방향으로 회동하며 예를들어 도 3과 같이 되므로 눈금(74)상의 지시바늘부(67B)의 위치를 판독함으로써 회전축(60)의 회전수 적산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 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 경우 거리(L1)가 거리(L2)보다도 충분히 크게 설정되고 있기 때문에 연질 재료의 마모량이 약간으로 로드(65)가 그다지 이동하지 않아도 지시바늘부(67B)는 크게 변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60)에 절개부(60A)를 마련했지만 상당히 마모되기 쉬운 연질의 재료를 사용하면 절개부(60A)는 없어도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축(회전부재)(60)측에 연질의 재료가 마련되고 있다. 즉 회전축(60)의 선단에는 연질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확경부(60B)가 마련되고 로드(65)는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지 않으며 예를들어 전체가 강제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회전축(60)을 장기간 회전시키면 확경부(60B)가 마모되고 로드(65)가 회전축(60)에 다가가도록 이동하며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눈금(74)(눈금부)상의 지시바늘부(67B)(지시부)의 위치를 판독함으로써 회전축(60)의 회전수 적산량이 어느 정도에 이르렀는 지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로드(65) 및 회전축(60)의 쌍방에 연질의 재료를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3)
다음에 상기 회전수 적산량 표시장치를 전동스테이플러에 탑재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 도 9에 있어서 부호 1은 예를들어 복사기 등에 부착되는 전동스테이플러이고, 이 전동스테이플러(1)는 스테이플러 본체(10)와, 스테이플러 본체(10)내에 형성한 카트리지실(25)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카트리지(700)로 구성되고 있다.
스테이플러 본체(10)에는 왕복이동하는 테이블(100)과, 테이블(100)을 왕복이동시키는 테이블기구(150)와, 카트리지(700)내에 적층된 시트스테이플(S)을 타출부(720)로 내보내기 위한 공급기구(도시하지 않음)와, 타출부(720)로부터 스테이플(S)을 타출해 가는 타출기구(300)와, 타출된 스테이플의 선단부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도시하지 않음)와, 테이블기구(150), 공급기구 및 타출기구(300)를 구동하는 구동기구(500)와, 테이블(100)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기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고 있다.
〔구동기구 500〕
구동기구(500)는 도10과 같이 본체(10)에 마련된 모터(M)와, 이 모터(M)의 구동축(Ma)에 부착된 기어(501)와, 기어(501)에 맞물린 중간기어(502)와, 중간기어(502)에 연결된 중간기어(503)와, 중간기어(503)에 맞물린 구동기어(504)와, 이 구동기어(504)와 함께 회전하는 캠구동축(510)으로 구성되고 있다.
캠구동축(510)은 모터(M)의 구동에 의해 각 기어(501~504)를 통해 시계방향(도 8에 있어서)으로 회동해 가도록 되어있다(도 7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캠구동축(510)에는 도1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한쌍의 테이블캠(511)과, 한쌍의 이송캠(512)과, 한쌍의 드라이버캠(513)과, 클린처캠(514)이 부착되고 있다.
캠구동축(510)은 그 양단부가 프레임(14)의 측판(12)(13)에 형성된 구멍(17)에 삽입되어 회전이 자유롭도록 보지되고 있다. 중간기어(502)(503)는 프레임(14)의 측판(13)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되고 있다(도 8참조).
테이블(100)은 스테이플러본체(10)에 왕복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있으며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테이블기구(150)에 의해 왕복이동(도 및 도 8에 있어서 상하이동)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캠구동축(510)에 실시예 1에서 도시한 로드(65)가 접촉하여 마련되고 있다. 캠구동축(510)은 평탄모양의 부분(510A)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로드(65)의 연질 재료의 마모량을 촉진시키는 데 적합하다. 또한 캠구동축(510)에 실시예 2에서 도시한 확경부(60B)를 마련할 수도 있다.
〔테이블기구(150)〕
테이블기구(150)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프레임(14)의 측판(12)(13)의 장공(18)에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링크축(151)과, 이 링크축(151)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조작하는 링크부재(152)와, 테이블캠(511)과, 이 테이블캠(511)의 주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링크부재(152)의 상부(도 7 및 도 8에 있어서)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 롤러(153)를 구비하고 있다. 링크부재(152)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도 7에 있어서)으로 가압되고 있어 늘 롤러(153)가 테이블캠(51)의 주면에 닿도록 되어있다.
테이블캠(511)은 도 7과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해 갈 때 지름이 증가해 가는 증가부(511A)와, 지름이 증대가 되어 일정하게 되는 대경부(511B)와, 지름이 감소해 가는 감소부(511C)와, 지름이 최소가 되는 소경부(511D)를 갖고 있다.
링크부재(152)는 링크축(151)의 양단을 고정보지한 측판부(152A)(152B)와, 이 측판부(152A)(152B)의 하단을 연결한 연결판부(152C)로 형성되고, 링크축(51)에서 하측의 측판부(152A)(152B)는 기울기 앞쪽의 테이블(100)측으로 뻗은 암부(152a)(152b)를 형성하고 있으며, 암부(152a)(152b)에는 암부를 따라 뻗은 장공(154)이 마련되고 있다. 장공(154)에는 테이블(100)에 마련된 축(101)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링크부재(152)가 링크축(151)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도 7에 있어서)으로 회동함으로써 테이블(100)이 화살표 방향으로 상승해 가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테이블(100)은 롤러(153)가 테이블캠(511)의 소경부(511D)의 주면에 접촉하고 있을 때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홈포지션(초기위치)에 위치하여 롤러(153)가 테이블캠(511)의 증가부(511A)의 주면에 접촉해 갈 때 상승해 가고, 롤러(153)가 대경부(511B)의 주면에 접촉해 갈 때 타출부(720)의 하면(720A)에 닿으며, 롤러(153)가 감소부(511C)의 주면에 접촉해 갈 때 하강해 간다.
또한 링크축(151)은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고 있어 철하는 시트(T)가 두꺼운 경우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테이블캠(511)의 회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테이블(100)에는 클린처(401)(402)가 마련되고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클린처기구에 의해 클린처(401)(402)가 회동하여 시트스테이플의 선단부를 클린치하도록 되어있다.
〔타출기구(300)〕
타출기구(300)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타출링크(310)와, 캠구동축(510)에 마련한 드라이버캠(513)(도11참조)으로 구성되고 있다.
타출링크(310)는 드라이버캠(513)과 이 드라이버캠(513)에 닿은 도시하지 않은 롤러에 의해 축(314)을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되어있으며, 타출링크(310)의 회동에 의해 드라이버축(317)이 장공(37)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것이다.
드라이버축(317)에는 도12와 같이 포밍플레이트(320)가 부착되고 있으며, 포밍플레이트(320)에는 드라이버 플레이트(321)가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포밍플레이트(320) 및 드라이버 플레이트(321)는 드라이버축(317)과 함께 왕복이동한다.
포밍플레이트(320)는 후술하는 스테이플가이드(712)의 앞단에 마련된 돌출부(714)를 걸치도록 하강하는 것으로 이 포밍플레이트(320)의 하강에 의해 그 돌출부(714)로 내 보내진 스테이플을 ㄷ자모양으로 성형하는 것이다. 드라이버 플레이트(321)는 ㄷ자모양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타출해 가는 것이다.
〔공급기구〕
공급기구는 도11에 도시하는 캠구동축(510)에 마련된 이송캠(512)과,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이송플레이트체(220)와, 고무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이송캠(5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이송플레이트체(2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레버(도시하지 않음)등으로 구성되고 있다.
이송플레이트체(220)는 도13 및 도14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스테이플러 본체(10)의 매거진(30)에 마련한 안내플레이트(39)가 삽입되는 관통공(221)을 형성한 광체부(222)와, 이 광체부(222)의 측벽(222A)(222B)으로부터 매거진(30)의 측벽(34)(34)방향으로 뻗은 암부(223)(224)를 갖고 있다. 광체부(222)의 상벽(222C)에는 2개의 절개부(225)가 마련되고 있으며 이 2개의 절개부(225)에 의해 탄성편(226)이 형성되고, 탄성편(226)에는 안내플레이트(39)의 안내홈(39A)에 결합하는 돌기(226a)가 마련되고 있다. 또 광체부(222)의 저벽인 이송플레이트(222D)에는 시트스테이플(S)의 후단부(Sa)에 접촉하는 단부(접촉부)(222d)가 형성되고 있다.
암부(223)(224)에는 도시하지 않은 이송레버에 연결되는 축(223A)(224A)이 마련되고 있으며, 이송캠(512) 및 이송레버에 의해 이송플레이트체(2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송플레이트체(220)의 앞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송플레이트(222D)의 단부(222d)가 카트리지(500)내에 적층되는 최상층부의 시트스테이플(S)의 후단(Sa)에 닿아 시트스테이플(S)을 앞쪽으로 내보내는 것이다.
〔전동스테이플러의 동작〕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스테이플러(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시트스테이플(S)을 적층한 카트리지(700)를, 스테이플러본체(10)의 카트리지실(25)로 후부로부터 삽입하여 장착한다. 이 장착은 후부로부터 삽입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장착은 극히 간단한 것이다.
모터(M)가 구동하지 않을 때에는 테이블(100)은 도 7에 도시하는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테이블캠(511)도 도 7에 도시하는 초기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테이블캠(511)의 소경부(511D)에 롤러(153)가 닿고 있다.
복사기로부터의 철하는 신호에 의해 모터(M)가 구동되면 기어(501)~기어(504)를 통해 캠구동축(510)이 반시계 방향(도 7에 있어서)으로 회전해 가고, 캠구동축(510)과 함께 각 캠(511)~(514)도 회전해 간다.
테이블캠(511)의 회전에 의해 롤러(153)는 테이블캠(511)의 소경부(511D)의 주면으로부터 증가부(511A)의 주면에 닿기 시작하면 링크부재(152)가 축(151)을 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해 가고, 테이블(100)은 상승해 간다.
테이블(100)이 상승해 가면 이송캠(512)이나 이송레버에 의해 이송플레이트체(220)가 앞쪽으로 이동하고, 이 이동에 의해 이송플레이트(222D)의 단부(222d)가 카트리지(700)내에 적층되고 있는 최상층부의 시트스테이플(S)의 후단(Sa)에 닿아 시트스테이플(S)을 앞쪽으로 내 보낸다. 즉 카트리지(700)를 장착한 초기일 때 시트스테이플(S)은 이송플레이트(222D)에 의해 카트리지(700)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내 보내짐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고무롤러의 회전에 의해 더욱 앞쪽으로 보내지게 된다.
그리고 롤러(153)가 테이블캠(511)의 대경부(511B)의 주면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즉 캠구동축(510)이 거의 90도 회전하면 테이블(100)은 타출부(720)의 하면(720A)위치(상사점)까지 상승하고, 철하는 시트(T)를 협지한다.
롤러(153)가 테이블캠(511)의 대경부(511B)의 주면에 접촉하는 기간은 테이블(100)은 상사점에 계속하여 정지하고, 철하는 시트(T)는 협지된 상태 그대로가 된다. 철하는 시트(T)가 협지되는 동안 포밍플레이트(320) 및 드라이버 플레이트(321)가 드라이버축(317)과 함께 다시 하강하여 포밍플레이트(320) 및 드라이버플레이트(321)가 타출부(720)의 간극(725)으로 진입해 간다. 간극(725)에 스테이플(S1)(S2)이 있는 경우, 도15(A) 및 도15(B)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포밍플레이트(320)가 스테이플(S2)을 ㄷ자 모양으로 성형하고, 드라이브플레이트(321)가 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S1)을 타출부(720)의 타출구(725B)로부터 철하는 시트(T)로 타출해 간다.
스테이플(S1)이 타출되면 도시하지 않은 클린처기구에 의해 클린처(401)(402)가 회동하여 시트스테이플(S1)의 선단부(Sc)를 클린치한다. 이 후 테이블캠(511)의 감속부(511C)의 주면에 롤러(153)가 접촉하고 테이블(100)이 하강해 가 홈포지션으로 복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캠구동축(510)의 외주면에 접촉하여 로드(65)가 마련되고 있지만 이 로드(65)는 선단부가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로드(65)의 선단부가 마모된다. 특히 캠구동축(510)에는 평탄모양의 부분(510A)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로드(65)의 선단부에 충격이 가해지고 연질의 재료의 마모량은 촉진된다. 그리고 로드(65) 선단부의 연질의 재료가 마모되면 로드(65)가 캠구동축(510)에 접근하도록 이동하고 이에 따라 게이지레버(67)(도 1참조)가 회동하므로 그 때의 게이지레버(67)의 선단이 도시하는 눈금(74)의 위치를 판독함으로써 캠구동축(510)의 회전수 적산량을 알 수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로드(65)가 가압됨으로써 구동기구에 마련된 회전부재(캠구동축(510))와 접촉하여 회전수 적산량을 계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로드(65)는 전동스테이플러의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실시예 4)
다음에 도16 내지 도22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한다. 도16은 본 발명의 적산구동표시기구를 실시한 전동스테이플러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전동스테이플러(801)에서는 프레임(802)에 의해 후부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있는 매거진부(803)가 마련되고 있으며, 이 매거진부(803)의 내측에는 다수의 시트스테이플이 장전된 스테이플 카트리지(804)가 장착되고 있다. 상기 매거진부(803)의 하부에는 스테이플 카트리지(804)내에 적층하여 수납되고 있기 때문에 진직상의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기구가 형성되고 있다. 타출부에는 직진상의 스테이플을 ㄷ자형으로 성형하는 포밍플레이트(805)와 ㄷ자형으로 성형된 스테이플을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드라이버 플레이트(806) 및 포밍플레이트(805)와 드라이버 플레이트(806)를 중합한 상태에서 보지하고 있는 작동부재(807)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타출기구가 배치되고 있다. 상기 프레임(802)의 하부에는 철하는 용지를 올려놓는 테이블(808)이 형성되고 있고, 이 테이블(808)의 앞쪽에는 상기 드라이버 플레이트(806)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의 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성형하는 클린처기구(809)가 형성되고 있다.
상기 포밍플레이트(805)와 드라이버 플레이트(806)를 보지하고 있는 작동부재(807)는 중앙부가 상기 프레임(802)의 측벽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작동암(810)의 일단에 연결편(811)을 통해 연결되고 있으며, 작동암(810)의 타단측에 형성된 캠기구에 의해 작동암(810)이 회동작동됨으로써 작동부재(07)를 통해 드라이버 플레이트(806)와 포밍플레이트(805)를 작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작동암(810)을 작동시키는 캠기구는 상기 프레임(802)의 측벽(802a)에 지지되고 있는 구동축(813)에 장착되고 있으며, 이 구동축(813)에 의해 상기 캠기구가 회전구동되어 상기 작동부재(807)를 통해 드라이버 플레이트(806)와 포밍플레이트(805)가 작동된다.
상기 구동축(813)을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802)의 측벽(802a)에는 구동축(813)을 회전구동시키는 전동모터(814)가 부착되고 있으며, 측벽(802a)을 관통하고 있는 구동축(813)과 전동모터(814)의 출력축의 단부에는 각각 작동기어(815)와 구동기어(816)사이에는 전동모터(814)의 회전을 감속하여 구동축(813)에 전달시키기 위한 감속기어(817)가 배치되고 있다. 감속기어(817)는 전동모터(814)의 출력축에 부착한 구동기어(816)와 맞물려진 제 1감속기어(817a)와, 구동축(813)에 부착한 작동기어(815)와 맞물려진 제 2감속기어(817b)와의 2개의 기어로 구성되고 있다.
도17 내지 도20과 같이 상기 전동모터(814)내에는 구동축(8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있는 정류자(821)의 외주면(즉 전동모터의 회전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한쌍의 브러시(823)가 마련되고 있다. 브러시(823)는 도전성의 탄력편(824)에보지되고 있으며, 모터(814)의 구동축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또 도전성의 탄력편(824)의 단부는 모터케이스(825)의 측면측의 외부에 배치되고 있는 단자(826)와 접합되고 있다. 상기 전동모터(814)내에는 전동모터(814)의 통산의 구동상태를 상기 브러시(823)의 마모량에 의해 표시하는 적산구동표시기구(827)가 형성되고 있다.
적산구동표시기구(827)는 전동모터(814)의 브러시(823)의 마모량에 따라 변위되는 액튜에이터(828)와 이 액튜에이터(828)의 일단(제 2단)에 형성된 지시단(829)(지시부)을 전동모터(814)의 외측을 향하게 하기 위한 모터케이스(825)에 형성된 개구(830) 및 개구(830)의 주위에 표시된 브러시(823)의 마모한계를 도시하는 한계마크(831)(눈금부)에 의해 구성되고 있다. 액튜에이터(828)는 플라스틱재 등의 절연재에 의해 성형되고 있으며 중앙부가 모터케이스(825)에 일체로 형성된 지축(832)에 회전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있다. 액튜에이터(828)의 일단측에 형성된 지시단(829)이 상기 모터케이스(825)의 원통상부의 주면에 형성되고 있는 개구(830)내에 배치되고 있다. 액튜에이터(828)의 타단(제 1단)에 형성된 접촉편(833)이 상기 브러시(823)를 보지하고 있는 탄력편(824)의 배면과 접촉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있으며 스프링(834)에 의해 상기 접촉편(833)이 브러시(823)의 탄력편(824)의 배면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가압되고 있다.
도17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개구(830)내에 배치되고 있는 액튜에이터(828)의 지시단(829)의 단면에는 화살표 등의 마크(835)가 형성되고 있고, 개구(830)의 주연부에는 상기 마크(835)와 대응하도록 눈금선(836)과 내구한계를 도시하는 한계마크(831)가 표시 형성되고 있다. 전동모터(814)의 정류자(821)에 압접되고 있는 브러시(823)의 마모에 동반하여 탄력편(824)이 정류자(821)의 외주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 탄력편(824)의 배면에 접촉되고 있는 액튜에이터(828)의 접촉편(833)이 상기 탄력편(824)의 변위에 추종하여 변위함으로써 액튜에이터(828)가 지축(8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액튜에이터(828)의 지시단(829)이 개구(830)내를 변위하고, 이 변위위치를 개구(830) 주위에 표시되고 있는 눈금선(836) 및 한계마크(831)에 의해 브러시(823)의 마모량이 파악가능하다. 브러시(823)의 마모량이 한계에 이렀을 때 상기 지시단(829)의 마크(835)가 한계마크(831)의 위치까지 변위하도록 설정되고 있다. 눈금선(836)과 한계마크(831)는 예를들어 내구한계가 가까운 것을 나타내는 경고표시를 황색으로, 미리 내구수명에 이르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한계마크(831)를 적색으로 표시하는 등, 색 나눔에 의해 표시하면 명확하게 표시를 인식할 수 있다.
도21 및 도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이 실시예에서의 적산구동표시기구(827)에서는 액튜에이터(838)의 일단이 브러시(823)를 보지하고 있는 탄력편(824)에 고정되어 부착되고 있으며 액튜에이터(838)의 타단에 형성된 지시단(839)이 모터케이스(825)의 옆쪽 단면에서 전동모터(814)의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모터케이스(825)의 측단면에는 상기 지시단(839)의 변위방향을 따라 개구(840)가 형성되고 있고 개구(840)의 주연에는 상기 지시단(839)의 변위방향을 따라 눈금선(842)과 한계마크(841)가 표시되고 있다. 브러시(823)의 마모에 추종하여 브러시(823)를 보지하고 있는 탄력편(824)이 변위하고, 이 탄력편(824)에 부착된 액튜에이터(838)의 지시단(839)이 개구(840)내를 변위하며, 이 지시단(839)의 변위위치를 개구(840)의 주위에 표시되고 있는 눈금선(842) 및 한계마크(841)와 대응시킴으로써 브러시(823)의 마모량에 의해 전동모터의 적산구동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브러시(823)가 구동기구에 마련된 회전부재(구동축(8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정류자(821))와 접촉하여 적산구동상태를 계측하고 있다. 이에 따라 브러시(823)가 전동스테이플러의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검출하는 검출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동스테이플러를 복사기에 부착하여 사용할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어 인쇄기나 팩시밀리 등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의 개변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그것들의 개변된 것에 미치는 것은 당연하다.
본 출원은 2002년 4월19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2-117831) 미 2002년 7월 23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2-214263)을 기초로 한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넣어둔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회전축이 회전하면 연질의재료가 마모하여 로드가 이동하므로 이 이동량을 검출하여 표시함으로써 회전축의 회전수 적산량이 한계치에 어느 정도 다가갔는 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모터의 브러시의 마모량에 따라 변위되는 액튜에이터를 구비하고, 이 액튜에이터의 지시단을 전동모터의 외측으로부터 시인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지시단의 변위방향을 따라 한계마크를 표시하도록 한 적산구동표시기구를 전동스테이플러를 구동하는 전동모터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동스테이플러를 내장한 기기에서의 전동스테이플러의 구동상태를 전동스테이플러를 기기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정확하게 검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복사기로부터 떼어낸 경우나 전동스테이플러 단체에서도 내구수명을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이 파악가능하여 적절한 시기에 교환이 행해지게 되며, 기기의 사용중에 전동스테이플러의 내구수명에 의해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아직 내구수명에 이르지 않은 전동스테이플러를 폐기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자원화 절약에 공헌할 수 있다.

Claims (11)

  1. 다수의 스테이플러가 장전된 매거진부로부터 스테이플을 타출부로 순차 공급하는 공급기구와,
    타출부에 공급된 스테이플을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철하는 용지를 향해 타출하는 타출기구와,
    드라이버 플레이트에 의해 타출되어 철하는 용지를 관통한 스테이플다리를 철하는 용지의 이면을 따라 절곡하는 클린처기구와,
    최소한 한개의 전동모터에 의해 상기 공급기구, 상기 타출기구 및 상기 클린처기구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기구와,
    상기 구동기구에 마련된 회전부재와 접촉하고, 상기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검출하는 검출기구와,
    상기 검출기구가 검출한 소모량을 표시하는 표시기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구는,
    또한 상기 검출기구와 접촉하고, 전동스테이플러 사용개시시에서의 상기 검출기구의 초기접촉위치로부터의 변위를 나타내는 지시부와,
    상기 지시부와 협동하여 상기 구동기구의 소모량을 표시하는 눈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전동스테이플러의 외부로부터 목시가능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마련된 로드와,
    상기 로드를 상기 회전부재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회전부재의 외표면에 상기 로드를 접촉시키는 가압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부재의 외표면 및 상기 로드의 최소한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연질의 재료로 형성하며,
    연질의 재료의 마모량을 상기 표시기구에 의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회전부재와의 접촉부 및 그 근방이 상기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는 상기 회전부재의 외표면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은 상기 로드와 접촉하는 외주면의 일부에 절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선단에 마련되고 상기 로드보다도 연질의 재료로 형성되는 확경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부이고,
    상기 검출기구는 상기 전동모터의 브러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표시기구는 제 1단이 상기 브러시의 마모에 동반하여 변위되고 제 2단이 그 변위를 지시하는 지시단이 되는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구는 또한,
    상기 지시단을 상기 전동모터의 외측면으로부터 시인가능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지시단의 변위방향을 따라 상기 브러시가 내구한계까지 변위했을 때의 상기 지시단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하여 한계마크를 전동모터의 외측면에 표시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구는 또한 상기 브러시를 상기 모터의 구동방향으로 가압하는 탄력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기구는 또한 상기 액튜에이터의 제 1단을 상기 탄력편의 배면과 접촉하는 방향으로 회전가압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스테이플러.
KR1020047016569A 2002-04-19 2003-04-18 전동스테이플러 KR1009913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17831 2002-04-19
JP2002117831A JP4277478B2 (ja) 2002-04-19 2002-04-19 電動ステープラー
JPJP-P-2002-00214263 2002-07-23
JP2002214263A JP4110868B2 (ja) 2002-07-23 2002-07-23 電動ステープラーの積算駆動表示機構
PCT/JP2003/005004 WO2003089206A1 (fr) 2002-04-19 2003-04-18 Agrafeuse motoris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957A true KR20040103957A (ko) 2004-12-09
KR100991305B1 KR100991305B1 (ko) 2010-11-01

Family

ID=2925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569A KR100991305B1 (ko) 2002-04-19 2003-04-18 전동스테이플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65708B2 (ko)
EP (1) EP1498240A4 (ko)
KR (1) KR100991305B1 (ko)
CN (1) CN100371148C (ko)
AU (1) AU2003235271A1 (ko)
WO (1) WO2003089206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9934A (ko) 2009-11-28 2018-09-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3606A (ko) 2010-01-22 2019-06-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90110080A (ko) 2009-03-05 2019-09-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90130672A (ko) 2009-12-04 2019-11-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008051A (ko) 2009-03-12 2020-01-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13933B2 (ja) * 2006-04-18 2012-08-29 ホリゾン・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針金綴機
US8740032B2 (en) * 2011-01-13 2014-06-03 Lee Tack Stationary Manufactory Limited Electric stapler
DE102011088500B4 (de) * 2011-12-14 2013-06-27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Maschine für ein Kraftfahrzeug
US9751713B2 (en) * 2014-12-18 2017-09-05 Lexmark International, Inc. Multiple edge media stapling system
US10125625B2 (en) 2015-08-03 2018-11-13 Siemens Energy, Inc. Gas turbine engine component with performance feature
EP3193410A1 (de) * 2016-01-14 2017-07-19 LTN Servotechnik GmbH Schleifringeinhei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20659A (en) * 1932-06-29 1933-08-01 Elton T Naylon Device for indicating wear of brushes
JPS589552A (ja) * 1981-07-10 1983-01-19 Fuji Xerox Co Ltd ブラシ摩耗表示装置
JPS6192135A (ja) * 1984-10-08 1986-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使用時間表示装置
US5230457A (en) * 1987-11-16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pler
US4978045A (en) * 1987-11-16 1990-12-1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pler
GB2212433B (en) * 1987-11-16 1992-07-29 Canon Kk A sheet stapler
JPH0333077U (ko) * 1989-08-09 1991-04-02
JPH04128648A (ja) 1990-09-19 1992-04-30 Hitachi Ltd メカニカルシールの寿命測定装置
JPH05330268A (ja) * 1992-06-03 1993-12-14 Canon Inc シート綴じ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5354042A (en) * 1993-02-11 1994-10-11 Gradco (Japan) Ltd. In-bin stapling sorter with variable power stapler
JP3256726B2 (ja) 1993-02-19 2002-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ニタリング付メカニカルシールを備えた容器
US5522252A (en) * 1995-07-24 1996-06-04 Tsai; Jinn-Huei Device detecting excessive wear of a carbon wiper of an autotransformer
US5584471A (en) * 1995-10-27 1996-12-17 Xerox Corporation Reproduction machine having a user clearable convenience stapler assembly
JP3476298B2 (ja) * 1995-12-28 2003-12-10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用カートリッジ
US5708317A (en) * 1996-03-25 1998-01-13 Xerox Corporation DC motor designed for asset recovery
JPH09322483A (ja) 1996-05-27 1997-12-12 Honda Motor Co Ltd 回転電機におけるブラシ摩耗限度検知装置
JP3508496B2 (ja) * 1996-11-13 2004-03-22 マックス株式会社 電動ホッチキス
EP0845337B1 (en) * 1996-11-27 2003-04-23 Max Co., Ltd. Clipping device
US6216935B1 (en) * 1999-03-02 2001-04-17 The Staplex Company, Inc. Adjustable force powerized stapler
US6474633B1 (en) * 1999-10-04 2002-11-05 Canon Kabushiki Kaisha Stapler with interchangeable cartridges
JP4350289B2 (ja) * 1999-10-04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2002104722A (ja) 2000-09-28 2002-04-10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EP1424169B1 (en) * 2001-08-09 2009-11-25 Max Co., Ltd. Cartridge
US6918580B2 (en) * 2003-04-22 2005-07-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taple estimation device and method
US6948224B2 (en) * 2003-05-02 2005-09-27 Gradco (Japan) Ltd Automatic stapling method and stapler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956A (ko) 2009-03-05 2021-11-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10064145A (ko) 2009-03-05 2021-06-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90110080A (ko) 2009-03-05 2019-09-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20066015A (ko) 2009-03-05 2022-05-2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145842A (ko) 2009-03-12 2020-12-3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110817A (ko) 2009-03-12 2020-09-2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008051A (ko) 2009-03-12 2020-01-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KR20210157428A (ko) 2009-03-12 2021-12-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80099934A (ko) 2009-11-28 2018-09-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24774A (ko) 2009-11-28 2020-11-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07336A (ko) 2009-11-28 2022-08-0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16711A (ko) 2009-11-28 2021-09-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30672A (ko) 2009-12-04 2019-11-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10054603A (ko) 2009-12-04 2021-05-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20136513A (ko) 2009-12-04 2022-10-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028507A (ko) 2010-01-22 2020-03-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10124507A (ko) 2010-01-22 2021-10-1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트랜지스터
KR20210046849A (ko) 2010-01-22 2021-04-2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200128187A (ko) 2010-01-22 2020-11-1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KR20190073606A (ko) 2010-01-22 2019-06-2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35271A1 (en) 2003-11-03
CN1646277A (zh) 2005-07-27
CN100371148C (zh) 2008-02-27
WO2003089206A1 (fr) 2003-10-30
EP1498240A4 (en) 2008-09-17
EP1498240A1 (en) 2005-01-19
KR100991305B1 (ko) 2010-11-01
US20050161487A1 (en) 2005-07-28
US7165708B2 (en) 2007-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305B1 (ko) 전동스테이플러
US7823494B2 (en) Sheet hole punching apparatus and sheet hole punching method
US7048165B2 (en) Staple detecting mechanism of electric stapler
US5791543A (en) Electric stapler
US5195671A (en) Stapler
US5330086A (en) Electromotive stapler
JP4375160B2 (ja) 用紙後処理装置
TWI432374B (zh) 紙張厚度偵測裝置
JP4277417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
WO1996011112A1 (en) Spiral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JP4277478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
US6896167B2 (en) Driver unit and electric stapler
US7059506B2 (en) Stapler apparatus
JP2004050757A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の積算駆動表示機構
US10870215B2 (en) Staple cartridge and stapler
JP3094881B2 (ja) 電動ホッチキス
JP4103700B2 (ja) 電動ステープラーのステープル検出機構
US20210016462A1 (en) Cutting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performing cutting operations even when one of first and second detecting portions does not normally operate
JPH047903Y2 (ko)
JP3489304B2 (ja) 電動ホッチキス
KR820001838B1 (ko) 자동인증 복합기(自動認證複合機)
JPH082789A (ja) 記録紙後処理装置
WO2014175822A1 (en) Booklet making machine with thickness sensor
JP2000153469A (ja) 電動ステープラー
JPH08337352A (ja) ステイプ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