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3835A -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 Google Patents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3835A
KR20040103835A KR1020040088644A KR20040088644A KR20040103835A KR 20040103835 A KR20040103835 A KR 20040103835A KR 1020040088644 A KR1020040088644 A KR 1020040088644A KR 20040088644 A KR20040088644 A KR 20040088644A KR 20040103835 A KR20040103835 A KR 200401038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aw
alcohol
chaga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Original Assignee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현철, 전원찬, 전병균 filed Critical 전현철
Priority to KR102004008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03835A/ko
Publication of KR20040103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83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163Liquid or semi-liquid tea extract preparations, e.g. gels, liquid extracts in solid capsu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16Tea extraction; Tea extracts; Treating tea extract; Making instant tea
    • A23F3/22Drying or concentrating tea ex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發明)은 마른 지구자(乾枝具子 korean raisin)/ 원두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 건 박하엽/ 차가버섯(Chaga mushroom)/ 계피(桂皮Cinnamon)를 파쇄(破碎)하여 조직을 분쇄(分碎)시키어 설탕/ 구연산(Citric Acid)/ 비타민C(Ascorbic acid)/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린(Alanine)의 수용액(水溶液)에 파쇄(破碎)된 원료를 침적 전이시키고 수삼(水蔘 Fresh insam)/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 양파/ 마늘/ 봉숭아 과육을 혼합 파쇄(混合 破碎)된 것과 침적 전이(沈積轉移)물질과 다시 혼합하여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하여 새로운 성질의 물질을 창조하고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되는 공정으로 표면경화(表面硬化)에 의한 부피를 압축(濃縮)시키고 가압(加壓)/ 발포(發泡)에 의한 공정으로 침적 즉시 침출되는 새로운 물질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가 탄생된다.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는 원료가 지지는 기능(技能)과 기호(嗜好)를 상승(上昇)시키어 운동 전후(運動 前後)/ 음주 전후(飮酒 前後)의 스스로 심신(心身)을 다스리는 웰빙(Well-being) 생활(生活)의 새로운 감동(感動)의 동반자(同伴者)가 되는 기능성(技能性) 상품을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생산된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는 침출(浸出)방식(方式)에 의한 냉/ 온 겸용(兼用)의 일회용(一回用) 티백으로 다양한 성분이 신속하게 추출(抽出)되게 하여 맛(味)과 향(香)을 새로이 창조(創造)하여 조화(調和)를 이루어 누구에게나 사랑 받는 뛰어난 기호(嗜好)에 편의(便宜 Convenience)와 간편(簡便)성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적(經濟的)인 새로운 침출(浸出)차를 발명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Bio juchui 815}
1. 발명의 목적
1>본 발명은 과다한 운동이나 음주 및 스트레스에 의한 피로를 빨리 회복시키어 업무 능력을 향상 시키고 생산성을 높이어 건강하고 즐거운 삶을 추구하는 웰-빙 생활의 동반적 상품으로 현대인들의 건강 증진(健康 增進)에 기여(寄與)하는 것을 목적(目的)으로 한다.
2>피로와 주취(酒醉)의 원인을 제거하고 회복을 촉진하기 위하여 항산화 물질(SOD 抗 酸化 物質)의 생성을 촉진시키는 기능(技能)과, 다뇨(多尿)를 촉진 시키는 기능(技能)과, 혈액순환(血液循環)을 촉진시키는 기능(技能)과, 유산소를 신속하게 배출(排出)시키는 기능(技能)과, 간(肝)에서 알코올(Alcohol)의 분해를 촉진시키는 기능(技能)과, 코와 입을 통하여 깊은 호흡을 촉진시키는 기능(技能)과, 정신적 안정감을 주는 심리적 기능(技能 Faculty) 등을 조화롭게 복합 상승시키고 기호(嗜好)성이 높은 새로운 상품 바이오 주취 팔일오를 발명하여 세계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발명의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전 기술
지금까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재를 사용한 복합 침출(浸出)차 및 유사품은 없고 단일 약재를 전통적인 방법에 의하여 40내지 50g의 액재(열매/ 가지/ 잎)에 물1.8 (1되) 부어 넣고 120℃ 고온에서 3시간 추출하고 농축(다려)하여 복용(復用)하여 왔고, 우리나라의 문헌(文獻)에는 세종대왕의 명으로 편찬(編纂)한 의방유취에 처음으로 지구자(枝具子)가 기록되어 있지만 복합 침출 차로 이용된 기록은 없다.
본 발명은 마른 지구자(枝具子 korean raisin)/ 원두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 건 박하엽(薄荷 Peppermint)/ 차가버섯(Chaga mushroom)/ 계피(桂皮Cinnamon)를 파쇄(破碎)하여 조직을 분쇄(分碎)시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에 사용 설탕(雪糖)/ 구연산(枸 酸 Citric Acid)/ 비타민C(Ascorbic acid)/ 스테비오사이드(天然甘味料 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린(Alanine)의 혼합 수용액(混合 水溶液)을 만드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파쇄(破碎)된 원료를 혼합 수용액(混合水溶液)에 침적(沈積)전이(轉移)시키고 연화(軟化 softening)시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수삼(水蔘 Fresh insam)/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이나 순/ 복숭아 과육/ 양파/ 마늘을 혼합 파쇄(混合 破碎)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혼합 파쇄(混合破碎)된 원료와 침적 전이(沈積轉移)된 원료를 다시 혼합하여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하여 새로운 성질(기능)의 물질<주취(酒醉)팔일오>을 창조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성형된 혼합물<주취(酒醉)팔일오>을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하는 공정으로 표면경화(表面硬化)에 의한 부피를 압축(濃縮)시키어 농축(濃縮)시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건조를 통하여 압축 농축된 주취(酒醉)팔일오를 가압(加壓)/ 발포(發泡)에 의하여 조직(組織) 속에 다공(多孔Porosity)을 형성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다공을 형성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순간(瞬間) 냉동(冷凍) 동파(凍破)로 향(香)과 성분(性分)의 발산(發散 Staling)을 억제시키고 미세(微細)한 다공(多孔Porosity)을 추가(追加)로 형성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냉동(冷凍) 동파凍破)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절단(切斷) 분쇄(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選別)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선별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천(布)이나 종(紙)이 주머니에 주입하여 일회용으로 만드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일회용으로 주입한 주취(酒醉)팔일오를 보존과 휴대에 편리한 방향 방습포장을 하는 기술적 과제.
도 1은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발명을 나타낸 것이다.
1. 발명의 구성
(1)수삼(水蔘 Fresh insam)을 선별하여 정수로 1차 세척하고 2차로 염화나트륨(鹽) 가온 수용액과 3차로 식초의 가온 수용액 세척하고 가온된 정수로 다시 세척한다.
(2)세척한 수삼을 100±5℃의 증기에 30내지 90분 찐(蒸蔘 Steaming)서 수삼의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시킨다.
(3)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을 정수에 침적 부유물을 제거하고 가압 파쇄(加壓 破碎)한다.
(4)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경화된 검은 표피를 제거하고 계피(桂皮Cinnamon)와 같이 일정한 크기의 입자로 파쇄기로 파쇄(破碎 Crush)한다.
(5)건 지구자 열매(枝具子 korean raisin)/ 찐삼(烝蔘)/ 생 커피콩/ 차가버섯/ 계피(桂皮Cinnamon)/ 건 박하엽(薄荷 Peppermint)을 혼합하여 파쇄(破碎 Crush)기로 일정 크기로 분쇄한다.
(6)설탕/ 구연산/ 비타민C/ 스테비오사이드(天然甘味料 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닌(Alanine)을 혼합 2내지 5배(중량)의 정수로 수용액을 만든다.
(7)일정 크기로 분쇄된 원료를 혼합 수용액에 일정 시간 침적(沈積)전이(轉移)시키고 연화(軟化 softening) 되도록 한다.
(8)양파와 마늘의 표피를 제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100±5℃의 증기로 10내지 20분간 찐다.
(9)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절단기(切斷機)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생 솔잎이나 순속에 있는 송유(松油)와 탈피한 봉숭아 과육을 잘 혼합하도록 가압/ 분쇄/ 혼합/ 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킨다.
(10) 찐 양파/ 찐 마늘/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혼합하여 가압/ 분쇄/ 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킨다.
(11)1차 혼합 수용액에 침전 전이시킨 혼합물과 2차 혼합가압/ 분쇄/성형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배합한다.
(12)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과 배합한 것을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되는 특수 기계를 통하여 일정 크기로 성형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킨다.
(13)성형된 혼합물을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시키어 새로운 물질인 주취(酒醉)팔일오를 탄생 시킨다.
(14)건조된 주취(酒醉)팔일오를 가압(加壓)/ 발포(發砲)시키어 주취(酒醉)팔일오의 조직 속에 다공(多孔Porosity)을 형성시키어 순간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15)발포로 다공을 형성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순간 냉동(瞬間 冷凍)실로 추락시키어 동파(凍破)에 의하여 세미(微細)한 다공(多孔Porosity)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향(香)과 성분(成分 Ingredient)의 발산(發散 Staling)을 억제(抑制)시키어 품질을 상승시키는 노하우.
(16)냉동 동파(冷凍凍破)로 세미한 다공을 추가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절단 분쇄/ 균질/ 살균하여 일정 크기로 선별이 일회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발생하는 주취(酒醉)팔일오의 가루(粉)는 주취(酒醉)팔일오의 캡슐과 캔디의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료(原料)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성(經濟性)을 높이는 노하우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17)선별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일회용 천이나 여과지에 주머니에 일정량을 주입하여 일회용 티백으로 완성되고, 냉 온수에 침적(沈積) 즉시(卽時) 기포(氣泡)를 발생하면서 부상(浮上)하면서 즉시 성분을 침출(浸出)시키면서 침적되는 본 발명의 노하우가 있다.
(18) 일회용 티백으로 주입된 주취(酒醉)팔일오의 보존과 운송 및 휴대(携帶)에 편리하게 방향 방습(Heat seal type)포장으로 발명을 완성한다.
이와 같이 발명 제조된 바이오 주취(酒醉) 팔일오(815)는 고유의 진한 맛과 향이 조화된 달콤하면서 새콤한 새로운 신선함을 간직하고 구연산과 비타민 C로 인하여 기호를 높이는 새로운 발명의 물질로 애주가(愛酒家) 들과 육체미 운동을 하는 사람에게 사랑 받는 새로운 휄빙(Wellbeing)의 동반자로 냉/ 온 수에 신속한 추출이 이루어지는 주취(酒臭) 팔일오가 된다.
2. 발명의 구체적인 공정
특정 원료의 정의.
본 발명에서 수삼이라 함은 주근(주근 지름10㎜이상)과 지근(지근 지름3내지 9㎜이하)과 세근(세근 3㎜이하)이 있는 4년근 이상으로 주근5%(중량)와 지근10%(중량)와 세근85%(중량)를 혼합 것을 수삼(水蔘 Fresh insam)이라 한다.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은 커피나무에서 잘 익은 생 열매를 채취하여 외피 및 두터운 펄프(果肉 Chaff)를 제거(除去)한 다음 속에 있는 열매를 볶지(焙煎 Roasting)않은 상태의 열매로 약10㎜정도의 길이이고 무게는 약 0.12g정도의 중량으로 처음에는 녹색을 띠고 희색에서 푸른색 또는 붉(赤)은 색에서 갈색(褐色)으로 변하는 열매(實)를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이라한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버섯은 균사체(菌絲體)로 자실체는 무 생식(無 生植) 형태의 헛꽃(Barren flower)의 열매라고 할 수 있고 박달나무(자작나무)의 즐기나 가지의 상처(傷處)를 통하여 균사체(菌絲體)가 침투하여 기생(寄生)하는 것으로 너비가 7내지 30㎝의 말발굽 모양의 다당균(多糖菌) 덩어리 모양을 한 버섯(Mushroom)으로 지름 5내지 8㎜크기로 절단한 것을 차가버섯(Chaga mushroom)이라 한다.
스테비오사이드(天然 甘味料 Stevioside)는 국화과(菊花科)의 스테비아 다년생(多年生) 초본의 잎을 추출(抽出) 정제한 분말의 천연 감미료(天然 甘味料)를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라 한다.
솔잎(松葉) 순은 솔잎과 순(어린 가지)을 말하는 것으로 새 순이 나는 4월과 5월의 새 솔잎과 새 순은 품질이 제일 좋은 것으로 사용하기에도 적당하나 순이 없는 시기에는 솔잎이 붙은 연한 거지를 사용해도 된다.
원료의 배합비율(% 중량)
1. 생 수삼 : 5내지 15
2. 생 커피콩 : 6내지 18
3. 차가버섯 : 4내지 12
4. 계피 : 2내지 6
5. 건 지구자 열매 : 6내지 18
6. 건 박하 엽 : 6내지 18
7. 설탕 : 5내지 15
8. 구연산 : 3내지 9
9. 비타민 C : 2내지 8
10. 스테비오사이드 : 2내지 6
11. 글루타민 : 2내지 5
12. 알라닌 : 2내지 5
13. 양파 : 2내지 6
14. 마늘 : 1내지 3
15. 생 오리나무 수피 : 6내지 18
16. 생 솔 순/ 잎 : 2내지 8
17. 복숭아 과육 : 2내지 8
제1공정 : 선별(選別)/ 세척(洗滌) 공정.
수삼(水蔘 Fresh insam)을 선별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나무 원통의 생 수삼을 넣고 회전하면서 정수된 물을 중앙에서 고압 분무(高壓 噴霧)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여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콘베이어(Conveyer belt)에 주머니가 있는 자동 세척기(自動洗滌器)를 이용하여 1번 탱크 속에 2내지 20%(중량)염화나트륨 25내지 40℃의 수용액(水溶液)에서 기포(氣泡)가 발생하여 상하 교류(上下 交流 Turning upside down)가 이루어지는 탱크 속으로 3내지 10분간 통과 세척한다.
2차로 2내지 10%(중량)의 식초 탱크 속에 27내지 42℃의 가온 액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 교류를 통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고 3차로 29내지 44℃의 정수 탱크 속에서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로 교류하는 탱크 속에서 3내지 10분간염화나트륨과 식초를 세척하고 흐르는 상온(常溫)수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 교류하는 탱크의 2내지 6번 탱크를 차례로 Conveyer belt로 이동 세척하여 표피(表皮)의 이물질(異物質)과 잔유 농약(殘油農藥) 및 박테리아(Bacteria)를 제거(除去)한다.
제2공정 : 증삼(蒸蔘 Steaming)
세척한 수삼을 100±5℃의 증기(蒸氣)에 30내지 90분간 쪄(烝蔘 Steaming)서 수삼의 색깔이 연한 미색을 될 때까지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시킨다.
제3공정 : 생 커피콩 선별/ 파쇄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을 정수에 2내지 6시간 침적 부유물을 제거하고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調節)되는 롤(Roller) 파쇄기로 가압 파쇄(加壓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4공정 : 차가버섯/ 계피 선별/ 파쇄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경화된 검은 표피를 제거하고 계피(桂皮Cinnamon)와 같이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5공정 : 건 지구자 열매/ 건 박하 혼합/ 파쇄
건 지구자 열매(枝具子 korean raisin)/ 찐삼(烝蔘)/ 생 커피콩/ 차가버섯/ 계피(桂皮Cinnamon)/ 건 박하엽(薄荷 Peppermint)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6공정 : 분말 원료 혼합 수용액
설탕(雪糖)/ 구연산(枸 酸 Citric Acid)/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스테비오사이드(天然甘味料 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린(Alanine)을 혼합 2내지 5배(중량)의 정수로 25내지 35 수용액을 만든다.
제7공정 : 침적/ 전이
혼합 수용액 온도를 25내지 35℃로 유지하면서 일정 크기로 분쇄된 원료를 혼합 수용액에 3내지 10시간 침적(沈積)전이(轉移)시키어 혼합 분쇄(粉碎)물의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 되도록 한다.
제8공정 : 탈피/ 선별
양파와 마늘의 표피를 에이와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100±5℃의 증기로 10내지 20분간 쪄(蒸)서 강한 냄새(香)를 제거한다.
제9공정 : 절단/ 가압/ 분쇄/ 혼합/ 성형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3상 3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절단기(切斷機)를 이용하여 5내지 10㎜의 크기로 절단하고 생 솔잎이나 순 속에 있는 송유(松油)와 탈피한 봉숭아 과육을 5내지 10㎜로 절단한 다음에 잘 혼합하도록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 분쇄/ 혼합/ 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0공정 : 혼합/ 가압/ 분쇄/ 혼합/ 전이/ 성형
찐 양파/ 찐 마늘/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特秀機械)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1공정 : 배합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배합기로 1차 혼합 수용액에 침전 전이시킨 혼합물과 2차 혼합 가압/ 분쇄/ 전이/ 성형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5내지 10분간 배합한다.
제12공정 :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 전이(轉移)/ 성형
배합한 것을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시키고 1내지 2㎜의 크기로 성형(成形)을 1회 공정(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는 특수기계를 통하여 성형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고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3공정 :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
혼합 성형(混合成形)이 된 혼합물(混合物)을 30내지 50℃의 열풍이 교류(交流)하는 다단 건조실(多段乾燥室)에서 가로90/ 세로120/ 높이5(㎝)의 철 구조물 밑면에 지름이 3㎜크기의 구멍(孔)이 사방으로 연결된 철망 위에 천을 깔고 혼합물을 넣고 자외선(紫外線 Ultraviolet rays, 메탈 할라이드 U. V) 등(燈 Lamp)을 10내지 30시간 조사하여 숙성(熟省)/ 갈변(褐變)/ 건조(乾燥)시키면 표면경화(表面 硬化)에 의하여 혼합물은 더욱 부피의 농축(濃縮)이 이루어지고 혼합물 중 찐 수삼(烝蔘)이 홍삼(紅蔘)으로 변화되고 8내지 12%의 수분을 유지하는 바이오 주취(酒醉) 팔일오의 발명이 이루어지게 하는 공정이 노하우다.
제14공정 : 가압(加壓)/ 발포(發砲
건조된 주취(酒醉)팔일오를 2내지 8kg/㎠의 가압(加壓)시키고 발포(發砲)되는 특수 기계를 이용하여 생성된 주취(酒醉)팔일오의 조직 속에 다공(多孔Porosity)을 형성시키어 순간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공정 (單一工程 Progress of work)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5공정 : 순간 냉동(瞬間冷凍)/ 동파(凍破)
발포로 다공을 형성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영하30내지 50℃의 냉동실로 발포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순간 추락시키어 동파(凍破)에 의하여 세미(微細)한 다공(多孔Porosity)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향(香)과 성분(成分 Ingredient)의 발산(發散 Staling)을 억제(抑制)시키어 품질을 상승시키는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6공정 : 절단 분쇄(切斷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
동파(凍破)로 다공(多孔)을 형성한 혼합물을 무균실(無菌室)에서 3상 10마력 60내지 250rpm으로 절단 분쇄(切斷 分碎)하고 250rpm으로 회전되는 동력 축을 이용하여 3단 철망(網)에 의하여 자동 균질(自動 均質)하면서 균질 망(網)위에 살균 등(燈 Lamp)을 장취하여 자동 살균하면서 1내지 2㎜의 크기로 자동 선별(選別)하여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라는 새로운 물질의 절단 분쇄(切斷 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選別)이 단일 공정(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노하우다.
이때 발생하는 주취(酒醉)팔일오의 가루(粉)는 주취(酒醉)팔일오의 100내지 200㎎의 캡슐과 설탕과 과당류 30내지 50%(중량)에 주취(酒醉)팔일오 분말 70내지 50%(중량)의 캔디의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료(原料)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성(經濟性)을 높이는 노하우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제17공정 : 주입(注入)
선별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일회용 천이나 여과지에 주머니에 일정량 1내지 2g를 주입(注入)하여 일회용 티백으로 완성되고, 냉 온수에 침적(沈積) 즉시(卽時) 기포(氣泡)를 발생하면서 부상(浮上)하면서 즉시 성분을 침출(浸出)시키면서 침적되는 본 발명의 노하우가 있다.
제18공정 : 검사(檢査)/ 포장(包裝)
일회용 티백으로 주입된 주취(酒醉)팔일오의 검사에 합격한 것을 보존(保存)과 운송(運送) 및 휴대(携帶)에 편리하게 PP/ PE를 사용하여 방향 방습(Heat seal type)포장으로 발명을 완성한다.
본 발명은 생활의 다변으로 발생하는 욕구(慾求)의 증가에 의한 스트레스(Stress)로 현실을 탈피하기 위하여 알코올(Alcohol)에 의존 술(酒)의 소비가 나날이 증가 하여 습관적 술 소비의 상위 국가로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우리의 현실에 생활의 동반자로 주취(酒醉)팔일오의 효과는 원료의 기능에서 구체적으로 설명 하고자 한다.
늘어나는 알코올(Alcohol)의 소비에 대하여 국민의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키기 위하여 알코올의 분해(分解)를 촉진시키는 기능이 있는 약재를 사용하여 주취(酒醉)의 회복(回復)을 촉진 시키고, 과다한 업무와 피로(疲勞)에 의한 스트레스(Stress)에서 회복을 촉진 시키는 약재를 사용하고 정신적 안정이 이루어지는 약재를 사용하고 신속하게 흡수시키는 효과로 웰-빙(Well-being) 생활을 도모하는 발명으로 그 효과는 원료의 기능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과 동일하다.
주취(酒醉)를 회복(回復)하기 위하여서는 4대 대사(代謝 Metabolism)가 필수(必需)의 조건으로 알코올(Alcohol)의 해독을 위하여 간(肝)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기능이 있는 약재가 필요하고, 몸속에 있는 알코올(Alcohol)을 신속하게 배설시키므로 알코올(Alcohol)에서 해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는 기능의 약재가 필요하고, 폐(肺)에서 피와 공기(酸素)가 접촉할 때 알코올(Alcohol)을 코와 입을 통하여 체외(體外)로 발산 촉진시키는 기능의 약재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전체의 기능을 촉진 시키는 것은 혈액순환(血液循環)으로 혈액순환을 촉진(促進)시키는 기능의 약재(藥材)가 필요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재는 상기 4대 대사(代謝 Metabolism)의 4가지 기능이 우수한 약재를 사용하여 기능적 조화를 이루는 구성적 배합에 의하여 상승효과(上昇效果)가 이루어진 발명(發明)이다.
1. 원료의 기능적 특성
1>지구자(枝具子 학명 Hovenia Dulis Thunb) 영명 Korean raisin(호깨나무)
①성분 및 특성 : 성분은 호둘로사이드 1,2,3,4 호베닌A, O 호베노락톤, 호베노사이드 D, G 포닌, 사포닌(Saponin), 맨노노갈락토스, 다당체(Polysaccharide 분자량 114,500), 카탈라제, 칼슘, 칼륨, 철, 등이 있다.
나무의 특성으로는 지구자(枝具子)는 헛개나무/ 호깨나무라 하는 감탕나무(갈매나무과)로 잎은 넓고 키는10-20m까지 자라며 지름은 40내지 80㎝로 산뽕나무 잎을 닮았고 7월에 흰 꽃이 피고 10-11월에 열매가 익는다. 열매의 생김새가 특이하며 산호나 닭 발톱을 닮았다.
맛이 달콤하다 해서 나무에서 나는 꿀이라고 목밀(木蜜)이라고 했고 중국에서는 신선의 정원에 나는 배(梨)라는 뜻으로 현포리(玄葡梨) 라고 했으며 돌과 같이 나무는 단단하고 희다고 하여 백석목(白石木)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지구자(호깨) 열매는 갈색으로 익으며 3개의 방에 씨앗이 각각 한 개씩 들어있다. 씨앗은 겉껍질이 단단하고 윤이 나며 약간 납작하다.
우리나라 설악산 지리산 한라산 소백산 오대산 등의 해발 700m이상 청정(淸淨)지역의 일교차가 15℃ 이상의 기후에서 야생(野生)으로 자라고 있고 야산에서 인공(人工)으로 재배(栽培) 생산(生産)이 증가(增加)하고 있다.
②지구자(枝具子)의 효능(效能)적 특성 : 옛 한방에서는 잎은 진하게 달여서 고약처럼 만들어 구토하는 자에게 쓰고 즐기는 몸이 쇠약하여 뼈와 근육이 약할 때 쓰고 껍질은 쇠나 창에 의하여 생긴 상처에 쓰고 열매는 갈증 해소와 주독 해소(酒毒解消)에 사용했다.
탕제원에서는 지구자 열매 40-50g에 물1되(1.8 )를 부어서 120℃의 고온에서 3시간 이상 달여서 차(茶)로 사용했다.
지구자의 역사적 자료는 세종대왕의 명에 의하여 편찬한 의방유취에 있고, 북한의 자료인 동의학전에 갈증과 번혈 비위 및 허한 사람에게 쓴다고 했고 중국 자료는 본초 최요에는 주취(酒醉) 번열 구갈에 사용한다고 했고, 도경본초(소송)에는 지구자(枝具子 호깨) 나무를 기둥이나 서까래로 사용한 집에는 술이 물이 된다고 하였다.
현대 과학에 의하여 지구자의 물질 구조를 구명 한 것에 의하면 간(肝) 보호 약리작용(藥理作用)이 지구자(枝具子) 열매자루(果莖)에 있는 다당체(Polysaccharide 분자량 114,000)임을 규명하고 간염 증상(症狀)에 나타나는 L, D, H나 G, P, T의 효소수치를 떨어뜨려 간(肝) 보호 작용의 기능이 우수함을 규명했다.
안동대 이 종하 교수의 발표에 의하며 알코올을 투여한 대상에게 증유수(대조균)를 먹게 하고 한 시간 후 혈중(血中) 알코올(Alcohol) 수치를 조사한 결과0.062로 나타나고 3시간 후에 다시 조사한 결과 0.033으로 나타난 것과 지구자 추출물을 먹게 한 후 1시간 후 혈중 알코올 수치를 조사한 결과 0.041(34%감소)로 나타나고 3시간 후에 다시 조사한 결과 0.027(18%)로 나타나 지구자(枝具子) 추출물은 알코올 분해 기능(分解 技能)이 크다고 했다.
대구대학 생명공학 문혜연 교수는 G, P, T수치가 123인 감염 환자에게 지구자 추출액을 복용시킨 후 G, P, T수치가 24로 나타난 것을 발표하면서 지구자(枝具子)는 간(肝) 보호 기능과 알코올 분해 기능이 크다고 했다.
2>구연산(枸 酸 Citric acid)
구연산(枸祁酸)의 특성 : 구연산은 과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酸)으로 함유되어 있고 레몬/ 매실(梅實)/ 감귤 등의 미성숙 과일종류에 많다.
1953년 영국의 한스 클렙스 박사는 구연산이 인체 젖산(乳酸) 축적을 막아 피로회복과 노화를 방지한다는 구연산(枸 酸 Citric acid) 사이클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구연산(Citric acid)은 체내(體內)에 들어온 음식물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T, C, A Cycle)에서 젖산(乳酸)의 과잉생산을 억제하고 탄산가스를 물로 분해시켜 체외로 배설(排泄)하여 조기에 피로(疲勞)를 회복(回復)하고, 정신 안정 작용을 하는 칼슘의 체내 흡수율(吸收率)을 높여 준다.
구연산은 세포 속에서 낡은 것을 밀어내고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는 신진대사(代謝)를 촉진시키고 체액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산과 알칼리의 균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항체(抗體) 능력이 증가되는 알칼리성 혈액을 갖게 한다. 구연산은 직접 에너지대사에 관여하여 피로 회복이나 신체에 활력을 주게 된다. 또 구연산은 철분과 결합하여 철분이 잘 흡수될 수 있도록 비타민C와 함께 상승 기능(上昇 技能)이 있다.
3>비타민C(Ascorbic acid)
비타민C(Ascorbic acid)는 17세기경 오렌지와 레몬이 괴혈병 예방 치료에 필수적인 것으로 확인(確認)하고 오렌지와 레몬 속에 있는 성분 중에서 비타민C를 발견(發見)했다.
①비타민C의 화학적 특성 : 먼저 비타민C(Ascorbic acid)의 화학(化學)적 성격을 살펴보면 L-ascorbic acid는 Dehydro-L-ascorbic acid로 쉽게 산화(酸化)된다.
또 Dehydro-L-ascorbic acid는 2, 3-diketo-L-gulonic acid로 산화된다. L- ascorbic acid와 Dehydro-L-ascorbic acid 사이의 변환은 가역적 산화(酸化), 환원 변환(變換)이지만 Dehydro-L-ascorbic acid가 2, 3-diketo-L-gulonic acid로 산화되는 것은 비가역적 반응이다. 즉 비타민C는 Dehydro ascorbic acid로 산화되면서 다른 물질을 환원시키는 환원제로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이다.
비타민C는 동물의 Collagen을 합성하는데 필수적(必需的)이다. 비타민C가 부족하면 Collagen합성 과정이 차단되어 괴혈병의 전형적 증상인 출혈, 감염 및 뼈의 연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Collagen은 혈액 응고에도 관여하는 물질이다.
Collagen을 합성하는 효소는 2가 상태의 철분(Fe2+)과 느슨하게 결합하고 있어야 활성형 효소로 작용하며, 철분이 산화되어 3이 상태(Fe3+)로 변하면 활성이 없어진다.
비타민C(Ascorbic acid)는 3이 상태(Fe3+)의 철분을 2가 상태(Fe2+)로 환원시켜 주며 효소의 성분인 S H기를 환원 상태로 유지시켜 주는 기능(技能)이 있기 때문에 Collagen합성을 도와주는 조효소(Coenzyme) 구실을 한다.
이와 같이 비타민C가 강력한 환원력을 지닌 물질이기 때문에 Collagen합성을 도와줄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산화/ 환원 반응이 개입된 중요한 생명현상이 있다면 비타민C가 필요할 것이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②비타민C(Vitamin)의 작용 : 비타민C가 왜 필수 영양소이며 얼마나 공급되어야 하는 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산소와 생명현상과의 관계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식물과 동물은 에너지를 이용하면서 그 부산물인 전자를 산소라는 쓰레기통에 버린다. 그 결과 산소는 물로 변한다. 산소가 생명현상의 유지에 필수적이기는 하지만, 언제나 유익한 것은 아니다. 완전히 환원되지 않고 부분적 환원 상태로 존재하는 산소를 활성산소(Reactive oxygen, oxygen free radical)라 하고, 이 활성산소는 반응성이 높아서 반감기가 아주 짧은 물질이며, 체내에 존재하는 산소의 1내지 5%정도가 활성산소로 존재한다.
이 활성산소에 의한 피해를 Oxidative stress라 한다. 고등 생명체는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산소(酸素)를 전자 처리용 하수구로 유익(有益)하게 이용하지만, 그 부작용인Oxidative stress를 감수해야 한다.
활성산소(活性酸素 Super oxide anion/ 과산화수소(過酸化水素)/ Hydroxy/ Radical/ Hypochlorite/ Singletoxygen 등)는 세포 각 성분을 손상시키고 그 손상의 형태도 매우 다양하다. 예를 들면 활성산소는 세포막 지질을 과산화 시키는데 이 반응은 연쇄적으로 진행되어서 세포막 전체에 손상(損傷)을 주며 과산화 지방질(脂肪質)을 생성한다. 과산화 지방질(Lipid peroxide)은 그 자체가 radical로서 각종 질병을 일으키며 상피 세포막의 주성분인 Hyaluronic acid를 파괴시켜 상피조직에 장애를 주기도 한다.
또한 각종 단백질(蛋白質)에 손상(損傷)을 줘 효소(酵素)의 활성을 무력화시키며, DNA에도 직접적인 손상을 준다.
활성산소는 이와 같이 세포(細胞) 전반에 걸쳐 손상을 줄 수 있는 물질이다. 따라서 고등 생물체는 이런 Oxidant를 처리할 방어 기전을 갖추지 않으면 살아갈 수가 없다. 그런데 비타민C가 바로 Oxidative stress를 방어하는 물질인 것이다.
비타민C(Vitamin) 이외에도 비타민(Vitamin)A, beta-carotene, 비타민E (Tocopherol)등이 Oxidative stress를 방어하는 물질들이다.
③비타민C 권장량 : 우리나라의 음식 문화 관행상 일일 Vitamin C의 섭취량 40-60㎎이지만 22% 가 40㎎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흡연자 및 수유와 임산부에게는 비타민C가 부족할 가능성이 크다.
담배 한 개를 피우면 비타민C의 25-30㎎이 파괴(破壞)된다.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30내지 50%가 비타민C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비타민C는 사람 몸의 노화의 원인이 되는 과산화질의 원인 형성을 방지하며 간장의 해독을 증진시키고 피부의 멜라민 색소의 형성을 억제하고 피부를 희게 하는 작용을 한다.
비타민C는 1954년 화학상(노벨) 1962년 평화상(노벨)을 받은 미국의 라이너스 풀링(Linus pauling)에 의하여 비타민C의 건강 요법으로 유명한 복용(復用)제가 되었다.
비타민C(Ascorbic acid)는 치유 능력 저항력을 증가시킨다. 치아의 형성을 촉진시키고 혈관의 벽을 형성하는 단백질(蛋白質)의 생산을 돕는다. 우리 몸에서는 1,500㎎의 비타민C를 유지 하고자 한다. 350㎎이하의 결핍은 괴혈병이 나타나다. 괴혈병은 생명에 위험하다 비타민C는 항산화 기능을 가진 비타민 중 수용성비타민으로 그 생리적 기능은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 인체 면역력 강화, 철분 및 칼슘 흡수 촉진, 멜라닌색소 합성 억제, 유해 산소 포착 제거, 콜라겐(피부/ 뼈/ 인대 등의 연결 조직 형성 물질)의 생성 및 유지, 상처 회복 촉진/ 스트레스(Stress) 해소(아드레날린 생성)등이 있으며 결핍(缺乏)되면 괴혈병/ 갑상선 기능 부진/ 치아 및 상아 질 약화 등이 나타난다.
한국 성인의 일일 비타민C 권장량 60내지 80㎎으로 임산부는 +15㎎, 젖먹이는 어머니는 +30㎎, 소모성 질환이 있는 자는 200㎎까지 증가하도록 권한다.
4>스테비오사이드 (Stevioside)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의 특성 : 남미 지역이 원산지로 국화과 스테비아 다년생 초본의 잎을 추출 정제한 천연 감미료(天然 甘味料) 이다.
용해성/ 내열성/ 내 산성/ 내 알칼리성/ 비 착색/ 비 발효성/ 저 칼로리다. 스테비오사이드는 설탕의 200내지 300배의 감미(甘味)효과는 있으나 비 당질의 천연 감미료로 생체 내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그대로 배설됨으로 칼로리가 없다.
스테비오사이드는 그 자체가 보통 미생물의 영양(營養)이 되지 못하므로 구강 세균의 번식(繁殖)을 억제하는 충치 예방에 이용되고 저 칼로리를 목적으로 하는 다이어트 식품과 당뇨(糖尿)/ 비만(肥滿) 환자(患者)가 사용하면 좋다.
5>글루타민(Glutamine).
글루타민(Glutamine)특성 :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Glu(NH2)라 표기하고 1883년 E.슐체와 E 보스하르트가 사탕무의 즙에서 발견하였다. 분자식으로 C6O3H10N2, 녹는점 184-185 의 바늘 모양의 결정으로 되어있다.
식물의 발아 종자(호박, 해바라기 등)내에 축적되어 있다. 포유류 혈액 속의 아미노산의 주성분으로 동식물의 단백질 속에 존재한다.
우리의 몸에 하루5-20g의 글루타민이 필요하고 운동/ 과로/ 스트레스 상태에 따라 필요량이 증가된다. 지구력 증진과 면역력(免疫力)증진 및 운동 수행 능력 향상과 근육 발달에 사용하면 좋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살을 빼려는 사람은 체중 감소와 함께 나타날 수 있는 근육(筋肉)손실을 막기 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글루타민은 세포조직(細胞組織) 특히 뇌 세포의 암모니아를 제거해 준다. 방사선(放射線) 치료로 망가진 세포조직의 복구(復舊)에 기여하고 특히 독성(毒性)에 의하여 손상(損傷)된 간(肝)세포(細胞)의 복구(復舊)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6>알라닌(Alanine)
알라닌(Alanine)의 특성 : -알라닌과 -알라닌의 두 종류가 있다. 단백질 속에 들어 있으며 특히 명주의 피브로인 속에는 전체 아미노산의 27%를 차지한다. 콩과식물의 뿌리 흑 또는 개/ 돼지/ 소의 대뇌 속에 유리 존재하고 생물 학상(生物 學狀) 중요한 아미노산으로 좋은 단맛을 가지고 있다.
알라닌(Alanine)은 좋은 맛을 살리면서 상호 복합 균형(複合 均衡) 잡흰 맛을 상승시킨다. 알라닌(Alanine)은 오래된 피부의 각질 세포를 벗겨지게 하는 작용과 피부 개선 효과의 기능이 발견되어 기초화 장품(基礎化粧品)의 성분(成分)으로 이용하고 알코올 분해 과정에 관계하여 주취(酒臭)를 제거(除去)하고 손상된 간세포의 기능을 부활시키는 기능과 음주(飮酒)에 의한 알코올 대사(大事)로 간 글리코겐이 부족해지면 알라닌 등이 글리코겐으로 전환되어 산화 과정(酸化 過程)을 활성화시킨다. 알라닌과 글루타민의 혼합물(混合物)을 경구 투입하면 혈중(血中) 알코올의 농도(濃度)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7>설탕(雪糖 Sugar)
설탕은 인류가 발견해 낸 최초의 천연감미식품으로서 열대지방에서 자라나는 사탕수수(Cane)와 온대지방에서 자라나는 사탕무(Beet)에서 추출한 천연 그대로의 "당즙"을 불순물을 걸러내고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편리하도록 상품화한 순수한 자연식품을 말한다.
설탕의 화학적 성분은 자당(蔗糖, Sucrose)이며, 분자식은 C12H22O11이다. 이 자당은 달콤한 맛을 내며 결정시킬 수 있는 물질로서 순수하게 정제되었을 때는 순백색을 띠는 태양광합성의 일차 산물로서 순순한 자연건강식품이다. 또한 인체의 성장이나 에너지에 필수적인 3대 영양소중 하나인 탄수화물의 원천으로 영양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식품이며, 감미료 또는 타 식품을 보존하는 보존재로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8>차가버섯(Chaga mushroom).
차가(Chaga mushroom)버섯의 학명(學名)은 Inonotus obliquus 흑은 Fuscoporia obliquus라고 하고 북한에서는 박달나무 버섯(Polyporus betulinus fries)이러고 하고 러시아에서는 차가(Chaga mushroom)라고 하기도 하고 불소시게 버섯 또는 자작 나무버섯 혹은 부등변 다당균(多糖菌)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는 러시아의「B.두흐네비치」박사가 붙인 이름이다.
버섯은 균사체로 자실체는 무생식(無生植) 형태의 헛꽃(Barren flower)의 열매라고 할 수 있고, 박달나무(자작나무)의 즐기나 가지의 상처(傷處)를 통하여 균사체(菌絲體)가 침투하여 기생(寄生)하는 것으로 너비가 7내지 30㎝의 말발굽 모양의 다당균(多糖菌) 덩어리 모양을 한 버섯(Mushroom)이다.
①차가버섯의 성분(性分)과 효능(效能) : 차가버섯의 성분은 건조버섯으로 12%의 수분과 다량의 식물성 섬유질과 산화알미늄/ 철/ 규소/ 칼슘/ 마그네슘/ 산화제2동/ 망간/ 나트륨/ 수산/ 의산/ 식초/ 낙산/ 바닐라산/ 파라옥시향산/ 페놀/ 다당류/ 폴리페놀/ 옥시페놀카로본산/ 호로마도겐/ 휘노친/ 차가산(60%)/ 6-8폴리당/ 유산/ 에스토르테롤/ 트리체페놀산/ 리그닌프닌프테린 등이 함유한 기능성 식품이다.
버섯의 생물학적 성분으로는 화학페놀/ 알데히드/ 다량의 페놀/ 옥시페놀탄산/ 키니네 등이 있고 크로모겐 집합체로 유사/ 부식 산/ 성분의 포도당/ 갈락토스/ 크실로스 등이 분비되고 유전학적(遺傳學的)으로 자작나무 껍질과 나무링거닌의 탄닌성분의 생합성(生合性)의 산화 향 물질과 관련이 있다. (자료 : 러시아 르봅프스키 의학연구소)
②차가버섯의 효능 : 최근에 핀란드 헬싱키 대학의 칼로스박사(Dr. Kristi Kahlos)의 연구 결과(硏究結果)에 따르면 차가버섯내의 다당류(多糖類 Polysaccarideds)/ 이노토디올(Inotodiol)을 포함(包含)한 이소프레노이드(Isoprenoid)계 트리터핀(Triterpene) 성분의 존재(存在) 및 여러 가지 의학적(醫學的) 효능(效能)에 대해 입증(立證)하고 의학적으로 차가버섯은 트리터핀(Triterpenes)/ 오블리콜(Obliquol)/ 라노스테롤(Lanosterol)/ 이노토디올(Inotodiol) 및 다른 스테롤(Sterol)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분들이 인체의 면역력(免疫力) 증진(增進) 등의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성분(性分)에는 면역증진(免疫增進) 물질(HostDefense Potentitators)인, Polysaccarides/ Polysaccaride-peptides/ Nucleosides/ Triterpenoids 등이 다량 함유되어 이러한 물질들이 신체의 면역을 담당하는 T-세포를 증대시켜 체내의 면역 세포(免疫細胞)가 암세포를 죽이는 효능을 발휘하도록 유도 인체의 면역력을 증진시켜 질병에 대한 치유력(治癒力)을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러시아내 차가버섯(Chaga mushroom)이 발견되는 일부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평소에 차가버섯을 차(茶)로 음용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지역에 비해 위장병 환자가 현저히 적다는 의학청(醫學廳) 통계 자료가 있고 오래 전부터 민간요법으로 차가버섯을 각종 질환(疾患)의 치료(治療)와 예방(豫防)을 위해 섭취하였다.
③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특징 : 차가버섯은 약이 아니라 신체의 건강을 증진하여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를 도와주는 식품으로서, 러시아 캄차카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위암은 물론 위장병 환자가 다른 지역에 비교하여 없다고 한다. 이것은 차가버섯을 평소 차로 끓여 마셨기 때문이라고 한다.
④활성산소(活性酸素) : 산소는 인체가 살아가는데 필수적인 원소(元素)입니다. 공기 중의 21%는 산소(酸素)이며 몸속의 산소의 90%는 생명현상(生命現狀)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대사(代謝)작용에 이용되고 나머지 7%는 활성산소(活性酸素)로 변화한다. 활성산소는 인체에 파고들어 갖가지 부작용을 일으키며 세포와유전자를 공격하고 파괴하여 노화 현상(老化 現狀)을 일으키고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어떤 물질이건 산소와 접촉하면 산화작용을 일으켜 녹이 생기는 것과 같은 원리다.
우리의 몸에는 항산화 효소(SOD 活性 酸素 分解 酵素)가 있어 활성산소의 연속적인 발생을 막아 병을 미연(事前)에 예방하고 있고 SOD는 체내에서 필요에 따라 만들어져 활성산소(活性酸素)를 없애는 역할을 한다. SOD(抗酸化酵素)가 충분히 잘 만들어져 십분 활동(活動)하고 있는 한 활성산소가 나쁜 본색을 드러낼 수는 없다.
그러나 40세가 지나면 SOD(抗酸化酵素)가 급격히 저하되어 연속적(連續的)으로 발생하는 활성산소에 대한 억제력(抑制力)이 약해진다. 뿐만 아니라 현대 사회는 농약/ 살충제/ 배기가스/ 유해한 화학물질(化學物質)로 인하여 파괴된 오존층을 통과한 자외선/ 수질오염 등 활성산소를 대량으로 발생시키고 있는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원인들 때문에 항산화 효소(SOD 抗酸化酵素)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되면 과잉된 활성산소는 체내의 조직과 세포를 공격해 노화시켜 암(癌)을 비롯한 중병을 발생하게 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SOD(抗酸化酵素)가 충분히 공급되어 제대로 역할을 발휘하게 되면 인체가지니고 있는 자연 면역력을 회복시키고 강화시켜, 인체 스스로 질병을 치유할 수 있는 힘을 갖게 된다. 이런 힘을 차가(Chaga)버섯이 직/ 간접으로 우리 몸(體)에 제공(提供)한다.
⑤차가버섯과 활성산소 : 충분한 양의 SOD(抗酸化酵素)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외로부터 SOD와 동일한 성질(性質)의 물질을 공급(供給)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SOD와 동일한 활동(活動)을 하는 물질(物質)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차가(Chaga)버섯에는 베타-글루칸( -glucan)이 매우 강력(强力)한 SOD와 유사한 활동을 한다.
상황버섯과 아가리쿠스 버섯을 비롯하여 모든 버섯은 다른 식물(植物)이나 식품(食品)에 비해 SOD 활동(活動)이 활발(活潑)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지만 차가(Chaga)버섯은 베타-글루칸( -glucan)의 함량(含量)이 기타 버섯의 수십 배 혹은 수백 배 많이 함유(含有)되어 다른 버섯보다 비교(比較)할 수 없을 만큼 강력한 항산화 작용(SOD)을 발휘합니다.
베타-글루칸( -glucan)은 항(抗)종양성(腫瘍性) 물질(物質)과 면역력 강화성분(强化性分)으로 알려진 Polysaccharide로부터 추출(抽出)되며 베타-글루칸( -glucan)은 혈액의 당(糖)수치와 콜레스테롤(Cholesterol)수치를 감소(減少)시키고 사람의 면역력을 강화시켜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은 물론 암/ 당뇨 등 이미 발생한 성인병도 활성산소 제거를 통한 면역력 강화로 자연치유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⑥차가버섯의 멜라닌 색소 : 멜라닌(Melanin)색소는 피부(皮膚)를 검게 하는 인자로 기피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최근에 이르러 SOD(抗 酸化 酵素)와 같은 역할을 하는 항산화 물질이며 유전자 보호 작용과 질병 억제(疾病 抑制)작용을 하는 귀중한 물질임이 과학적(科學的)으로 밝혀지고 있다.
멜라닌(Melanin)색소는 차가버섯이 생성하는 페올系의 고분자 색소다. 차가버섯의 가루를 내어 물에 담그면 황토색의 차가버섯 가루에서 검고 검은 버섯 액이 순식간에 추출(抽出)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보통 200g의 차가버섯 가루를 2리터의 물에 침적(沈積) 버섯 액을 추출하게 되는데 하루만 지나도 진하게 달인 한약처럼 검은 버섯 액이 나오고 수차례 반복(反復)해서 추출해도 검은색의 농도(濃度)가 크게 줄어들지 않습니다. 이것을 통해 차가버섯이 멜라닌(Melanin)색소를 얼마나 많이 함유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대로 베타-글루칸( -glucan)과 멜라닌(Melanin)색소의 작용에 의한 활성산소 제거와 면역력 강화가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며 이와 같은 면역력 강화 기능을 통해 암/ 당뇨병/ 고혈압/ 알레르기 질환/ 아토피성 피부염/ C형간염/ O-157등의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를 도와준다.
<출처 : " 암을 없애 주는 환상의 차가버섯" 일본 세이호우도 출판사>
⑦차가버섯의 항암작용 : 인체(人體)에는 NK세포(細胞 Natural Killer) T-임파구(淋巴球) 등 자연적인 면역 기능을 통해 암세포의 발생과 성장을 억제(抑制)하고 암세포가 스스로 사멸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암(癌)의 발생은 인체의 자연 면역 기능 즉 자연 치유력(抗酸化能力)이 현저하게 약화되어 암의 생장(生長)을 스스로 억제하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는데 기인하며 이러한 접근 방식을 통해 암을 치료(治療)하는 「면역요법」이 현대 의학의 화두로 등장하고 있습니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강력한 면역력강화 기능을 통해 암(癌)의 치료를 도와주며, 아울러 항암 치료와 병행할 때 화학요법/ 수술 등으로 발생하는 부작용(副作用)과 고통을 크게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오래 전부터 러시아 및 동유럽에서 항암 치료제로 사용되어 왔다. 러시아에서는 항암 치료제(抗癌 治療劑) 뿐만 아니라 피를 맑게 해주는 강장제 및 진통제로도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차가버섯 약효에 대한 그냥 막연한 "신비스럽고 기적적인" 개념이 과학적이고 의학적인 문헌으로 바뀌고 있다.
1955년 러시아 의약청(The Russian Medical Academy of Science In Moscow)에서 차가버섯 추출물을 항암용 물질로 승인하여 국민들에게 복용을 권장하였다.(Reid 1976)
폴란드의 임상 실험에 의하면 48명의 생식기(生殖器) 및 유방암(乳房癌) 환자에게 차가버섯 (Chaga mushroom)추출물을 주사로 투여한 결과 10명의 환자에게서 종양의 크기가 작아졌으며 출혈이 덜 발생했고 고통이 줄어들었으며 식욕을 돋우고 수면을 편하게 해줌으로 회복을 빠르게 하였다.(Piaskowski, 1957)
1960년 미국 국립 암협회에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차가버섯 추출물로 암 치료에 성공하였다는 사례가 보고되었다.(Hartwell, 1971) 특히 차가버섯은 초기의 위암 및 폐암 치료에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으며 각종 위장 질환의 치료에도 효과가 뛰어나다(Reid, 1976)
차가버섯(Chaga mushroom)약제는 위염/ 위궤양/ 폴립 종/ 전암(前癌)질환 및 4기암을 포함한 일부 형태의 악성종양의 치료를 위한 일반 의약품으로 사용된다. 차가 약제는 적은 양으로 체내에서 대사 과정의 흐름을 향상시키는 바이오 촉진제로 작용한다.
<"소련의 약용식물자원 분포 및 도해서" 소련 보건부, 모스크바 의학 서적 출판사 (1983년)>
대장암 세포인 HT-29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첨가하였더니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세포 수가 감소(減少)하였으며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세포 증식이 더 억제(抑制)되었다. 차가버섯의 첨가 후 배양 시간에 따른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살펴보았더니 24/ 48/ 72/ 96시간으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HT-29증식이 유의적으로 억제됨을 볼 수 있다.
Caspase-3 활성은 1.5mg/ml 첨가에서 대조군의 1.5배, 12.0mg/ml 첨가에서 21배로 증가하였으므로 소량의 버섯 첨가에서도 Caspase-3 활성이 증가함을 보였으나 첨가량이 많아져도 증가 속도는 완만함을 나타냈다.
위암 세포인 SNU484의 경우에서도 차가버섯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반비례 하여 SNU484의 증식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HT-29에 비해 세포(細胞) 증식 억제 효과가 더 뚜렷하였다.
Caspase-3 활성의 경우에서도 차가버섯(Chaga mushroom). 추출물 1.5mg/ml 첨가에서 활성이 2배, 12.0mg/ml 첨가에서 4배, 18.0mg/ml 첨가에서 약 5배로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차가버섯은 소화기 계통의 암세포 특히 위암 세포의 증식을 매우 억제 할 뿐만 아니라 자기 사멸을 유도하므로 위암에 대한 항암 물질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차가버섯 추출물이 소화 기관 암세포의 증식 및 Caspase-3 활성에 미치는 영향"황 용주(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등. 한국 영양 학회지 36(1); 18~23, 2003>
⑧차가버섯 당뇨병(糖尿病) 개선 : 당뇨병(糖尿病)은 그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은 대표적인 성인병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당뇨병도 활성산소의 폐해(弊害)로 발생하며 면역 체계의 파괴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당뇨병 환자의 혈청(血淸)을 분석해 보면 인체 스스로 활성산소를 제거하고 방어하는 SOD(抗酸化酵素)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며 활성산소와 혈액 속에 불포화지방산이 결합하여 발생하는 과산화지질(過酸化脂質)의 함량이 매우 높다는 것을 발견한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대표적인 성분인 베타-글루칸( -glucan)은 급속하게 혈당치를 강하(降下)시키는 작용을 함과 동시에 면역 체계의 복원(復原)을 통해 췌장에서의 인슐린(Insulin) 분비(分泌) 인슐린의 정상적인 활동 인슐린에 의해 에너지(Energy)가 세포(細胞)로 전달되는 과정을 정상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자작나무의 차가버섯 추출액을 1 : 5의 비율로 희석하여 당뇨병 환자에게 투여 저혈당(Hypoglycemia)작용을 하는 것을 시험한 결과 추출액을 내복한 지 1.5내지 3시간 후에 혈청 속의 포도당(葡萄糖) 수치가 최고로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당(糖)수치를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부분은 자작나무의 차가버섯의 안쪽 노란(黃)색이 있는 부분(部分)으로 이 부분을 달인 탕약(湯藥)으로 복용(復用)할 때 15.8내지 29.9%까지 조절(調節)이 되는 저혈당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버섯 껍질로 만든 탕약(湯藥)은 이런 작용을 하지 않는다. <러시아 약용 식물 "러시아 의학 학술원 (Russian Medical Academy of Science) 1988>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균핵(菌核) 및 균사체에서 다당류를 추출 시험 결과는 항종양 활성 및 혈당 강하 작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발표되었다.
차가 수용성 다당 및 불수용성 다당에는 항종양활성과 정상 쥐의 혈당치를 강하(降下)시키는 효과가 인정되었다. 이의 본체는 베타-글루칸( -glucan) 및 이들의 단백 복합체였다. 균사체에서 조제된 다당에는 현저한 항 종양성은 인정되지 않았으나 주사에 의해서 3내지 48시간 지속되는 혈당 강하 작용이 확인되었다. [「'카바노아나타케'의 가능성」일본 주간지 출판사]
차가버섯에는 면역력을 증강시켜주는 베타-글루칸( -glucan)/ 키틴질/ 이종(異種)다당류/ 펙틴질 등에 속해 있는 식물섬유 등의 다당류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혈당 강하작용 면역 부활 작용을 한다.
또 다른 특징은 별다른 부작용 없이 혈당을 유지시켜 준다는 점이다. 이는 궁극적으로 췌장 기능을 활성화시켜 인체 스스로 인슐린(Insulin)의 분비를 하도록 도와주어 당뇨병의 근본 원인에 대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버섯은 인체의 면역 기능을 강화하여 혈압과 혈당치 등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생체 항상성(恒常性)을 조절하는 동시에 생체리듬을 조절/ 빠른 질병 회복/ 기타 성인병을 방지하는 효과들을 보여주고 있다.
북해도에 사는 61세의 여성은 20여 년간 당뇨병으로 고생한 사람이다. 인슐린(Insulin) 주사를 맞아도 혈당치는 200내지 230mg/dl로 높아지고 혈압도 수축기 혈압이 180내지 160mmHg으로 높아져서 매우 고통스러운 상황이었다.
합병증으로 심장 주변의 혈관이 막혀 파이프 수술을 받아 괴로운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때 차가의 효능을 전해 듣고 차가茶를 응용(飮用)하기 시작하여 상태를 관찰하며 서서히 차(茶)의 농도를 진하게 하여 1일 3회 음용을 계속했다.
눈에 띄게 변화가 나타난 것은 3개월 후였고, 그때는 하루에 4내지 5잔 정도의 차(茶)를 마시게 됐다. 혈액검사를 한 결과 혈당치가 230mg/dl에서 170내지 180mg/dl로 내려갔다. 혈액 건강 도의 지표인 글리코 헤모그로빈은 12% 내외에서 정상치(6.5내지 7.5%)에 근접한 수치로 변화하였다.
6개월이 지난 후의 검사(檢査)에서는 더욱더 개선되어 혈당치(血糖値)가 140내지 150mg/dl로 내려왔고 늘 피로하던 몸(體)의 상태도 매우 좋아졌다. 또한 혈압(血壓)도 180내지 160/ 90mmHg의 상태에서 120/ 80mmHg으로 안정됐다. 차가를 복용한 후 인슐린(Insulin) 주사의 양을 줄일 수 있었다.
이것이 차가의 효과인지 아닌지를 시험하는 뜻으로 이 여성은 일시적으로 차가의 음용을 중지하고 혈액검사(血液檢査)를 받아 보았다. 그 결과 글리코 헤모그로빈 수치는 8.1%로 상승했다.
⑨차가버섯의 아토피성 피부 개선 : 아토피성 피부염은 그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라 마땅한 치료법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난치병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아토피 피부염 또한 활성산소의 폐해와 깊은 관련이 있으며 면역 체계의 파괴가 매우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지고 있다.
활성산소는 인체의 면역 체계를 파괴함은 물론 혈액 속의 불포화지방산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하고 과산화지질이 피부에 침착하여 피부의 자연적인 보습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시킨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활성산소의 폐해를 방지하여 아토피 피부염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거하고 면역력을 회복하여 스테로이드를 비롯하여 피부염 치료를 위해 투입된 유해 성분으로 인해 왜곡되어 있는 피부 세포의 기능을 회복시킨다.
활성산소는 불포화지방산과 결합하여 과산화지질을 형성하고 장기 그리고 피부 조직에 부착되어 서서히 생체에 피해를 끼치는 것이지만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경우 과산화지질이 피부 최상층의 각질층에 부착되어 피부의 수분 보습 기능을 빼앗아 버린다. <"아토피성 피부염을 빨리 낫게 하는 책" 나와 유끼에(1999)>
알레르기성의 병에는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비염 결막염 등 많은 병이 있다. 이러한 병은 면역 시스템의 이상에 의한 것이며 급/ 만성 신염도 영향을 주고 있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면역력을 강하시키며 호메오스타시스(인체 항상성-인체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자신의 생태를 유지하는 능력)를 건전하게 해줌으로써 알레르기 질환이나 간염/ 신염 등을 예방/ 개선해 준다.
이러한 면역 시스템의 이상에 인해서 여러 가지 현대병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미국을 비롯해서 세계의 의학은 대체 의료를 추구하는 흐름으로 바뀌어 가고 있다. 즉 동양의학이나 서양 의학/ 한방의학/ 면역 요법을 조합한 종합 의학을 말한다.
부작용이 적은 치료를 천연물이나 자연 약(藥)에서 찾고자 하는 추세에 있다는 점에서도 차가버섯은 이 흐름 대체 의료의 흐름에 딱 맞는 자연 약이라고 할 수 있다. <"카바노아나타케(차가)" 호시자키 도오메(1998)>
9> 소나무순/ 잎(松葉 Pine needles)
소나무(松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는 해발 1000m 아래이 산에서 자란다. 신선한 잎을 따서 사용하는 것으로 겨울철에 따는 것이 좋고 어린 싹은 봄철에 나오는 것으로 따서 말린 것을 사용하고 마디(松節)은 어린 가지를 말하는 것으로 잘라서 생이나 말린 것을 사용한다.
신선한 잎에는 0.1내지 0.3의 아스코르브산(비타민C)/ 카르틴/ 비타민K/ 비타민B/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안 7내지 12%/ 수지 5%/ 탄수화물인 P-노나코산/ 유니페르산이 주성분으로 되어있다.
소나무 기름은 정유시기에 따라 다르나 잎에는 0.13내지 1.3% 싹(순)에는 0.36% 일년생 가지에는 0.2내지 0.9%r 있다. 정유 속에는 -피넨/ -피넨/ 캄펜/ 펠란드렌/ 리모넨/ 카디넨/ 보르네올(6.8%)/ 보르닐아세타트(3.8%)/ 실베스트렌 등이 있다.
생 송진과 데레빈유는 살균작용/ 항 염증 작용이 있고 피부를 통하여 잘 흡수되므로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바르면 아픔이 사라지고 염증이 치유된다. 꿩은 상처가 생기면 주둥이로 송진을 묻혀서 상처에 문질러 바른다고 한다.
잎/ 싹의 추출(抽出)약은 기침을 다스리기가 머위보다 세다고 하고 괴혈병 및 어린아이 영양 보충에 사용하고 겨울철 잎이 좋다.
소나무의 어린순에서 얻는 기름을 차가버섯과 혼합하여 복용하면 성인병인 고혈압과 당뇨를 예방/ 치료한다고 최근에 러시아에서 발표했다. (차가버벗의 실체와 응용 이 병화공저)
10> 홍삼(紅蔘 Red In sam )
고려 홍삼은 고려 수삼(人蔘)을 가공(加工 Processing)한 것으로 학명은 Panax ginseng C. A. Meyer라고 한다. 홍삼의 효능은 배당체(配糖體 Glycosides) 속에 있는 사포닌(Saponin)이라는 물질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사포닌이 들어 있는 부위를 8가지로 분류하면 세근과 지근 몸통이 있는 대형 통삼(統蔘)을 10이라 할 때, 소형 인삼은 12, 피부 백삼은 16, 뇌두 28, 삼업30, 삼피 35, 삼꽃 50, 미삼(세근) 55로 비교되고, 본 발명(發明 Invention)의 주원료는 미삼(細根 毛根)으로 사포닌 함량을 높이는 좋은 결과가 된다. 우리의 홍삼은 기능별 사포닌의 종류는 32종류로 확인되었고 다른 나라의 홍삼에서의 사포닌(Saponin)의 종류는 우리 홍삼의 절반 정도라고 한다.
러시아 과학자 브레이크만은 사포닌(Saponin)의 기능으로는 온화(Mild)한 약리(藥理) 활성화(活性化) 기능(技能)으로 신체(身體)의 조절 기구(調節器具)에 작용 신체의 기능 항상(恒常 Homeostasis)을 유지(維持) 개선(改善)하는 것으로 홍삼(紅蔘)의 기능(技能)을 아답토겐(Adaptogen) 이라 했다.
홍삼(紅蔘) 사포닌(Saponin)의 중요 기능(重要技能)은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유해 작용(有害作用)인 누병(淚病)과 각종 스트레스(Stress)등에 대하여 방어 능력(防禦能力)을 증가(增加) 각종 기능을 조절 가감(加減)하는 길항작용(拮抗作用 Antagonism)에 관계(關契)하여 생체(生體)가보다 쉽게 적응(適應)하도록 하는 능력이 홍삼(紅蔘)의 사포닌(Saponin)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홍삼(紅蔘)의 사포닌(Saponin)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 작용과 흥분 작용이 있으며,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 효과가 있다. 그러면서도 조혈 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내분 비계에 작용하여 성 행동(性 行動)이나 생식기의 기능을 증가시키는 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며/ 항염(抗炎) 및 항 종양작용(抗 腫瘍作用)이 있고/ 방사선(放射線)에 대한 방어 효과(防禦效果)와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기능을 구체적으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①당뇨병(糖尿病)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당뇨병 환자에게 홍삼을 투여하면 환자의 혈당량(血糖量)이 저하되고 인슐린(Insulin)으로치료(治療)하는 환자에게는 인슐린(Insulin)투여(投與)량 감소 조절(減少調節)이 가능했으며 자각 증상(自覺症狀)으로 현기증/ 어깨 결림/ 흉부 압박감/ 갈증/ 전신 권태감/ 머리가 무거운 증상 등이 크게 개선(改善)되었다는 임상 연구(臨床硏究) 결과가 경북대학교 의학대학 조 준승 교수/ 일본 에히메 의학대학 오꾸다 교수/ 일본 오사카 닛세이 병원 야마모도 박사/ 일본 시립 야와따하마 종합병원 요시다 박사 등에 의하여 발표(發表)되었다.
일본 에히메 의학대학 오꾸다 교수는 고려 홍삼에 포함된 아테노산과 파이로 글루타민산이 당뇨병 치료에 필요한 인슐린(Insulin) 분비를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기능을 있다고 발표하면서 고려홍삼은 당뇨병의 특효(確認)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했다.
고려 홍삼이 모세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당뇨병 환자가 흔히 걸리기 쉬운 동맥경화를 예방하는 기능이 있는 고려 홍삼은 당뇨병 치료의 「천혜의 약」이라고 일본 에히메 의학대학 오꾸다 교수는 주장하고 있다.
고려 홍삼에서 추출한 사포닌 성분을 이용해 동물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고혈당 감소 효과와 각종 대사 관련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진세노사이드 Rb2는 당뇨병 동물의 고혈당을 억제하고 고지혈증의 개선 및 간(肝)의 단백 대사(蛋白 代謝)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핀란드 오우루(Oulu)내과 소타니에미 교수는 인슐린을 투여 중인 당뇨병 환자에게 홍삼 분말을 1일 2.7g씩 3개월간 투여한 임상 실험(臨床實驗) 결과 21명 중 12명의 환자가 인슐린 투여 량 감소 및 당뇨 병성 망막 혈관 병변 개선 등이 인정되었다고 발표하고 고려 홍삼 복용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감소와 혈당 조절(血糖調節)에 효과가 있으며 운동력과 정신적 증상 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건강 혁명의 저자 이 부경 박사는 고려 홍삼은 인슐린(Insulin)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혈당 조절에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당뇨병 보조 치료제(補助 治療劑)로 홍삼을 이용해 볼만 하다고 강조했다.
캐나다 토론토대 블라드미르 벅산(Vladmir Vuksan) 교수팀은 농림부의 연구비 지원으로 고려홍삼/ 인삼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성인 당뇨병 개선에 홍삼/ 인삼의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입증됐다고 최근에 밝혔다.
벅산(Vuksan) 교수의 연구진은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루 6g씩의 홍삼/ 인삼분말을 3개월간 섭취시킨 결과 공복에 포도당 섭취 후 혈중 인슐린(Insulin) 농도를 크게 낮추었으나 혈당 수준은 높이지 않은 효과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문제가 되는 혈당의 인슐린(Insulin)에 대한 내성을 개선시켜 인슐린의 과분비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대사 장애를 억제할 수있는 기능(技能)이 홍삼/ 인삼의 효능으로 입증된 것이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홍삼/ 인삼 성분 중 다당 4종류가 발견 이것을 Panacea A, B, C, D,라 명명하고 혈당 강하 작용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홍삼/ 인삼 추출물의 동물 시험 결과 알록산(Allox)으로 유발시킨 과혈당 개(狗)에게 경구 투여한 결과 혈당(血糖)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보고와 아드레날린(Adrenalin)으로 유발한 과혈당 토끼에게 인삼 엑기스를 경구 투여 혈당 감소와 정상상태 유지(有志)가 지속되는 아답토겐(Adaptogen) 기능을 브레크만(Brekhman 러시아)박사는 보고하였다.
에퍼네프린(Epinephrine) 및 디니트로페놀(2,4-Dinitropenel)로 유발시킨 과 혈당의 토끼에 인삼 엑기스를 경구 투여한 결과 혈당을 정상상태로 감소 시켰으며 인슐린을 대용할 수 있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페겔(Pegel)박사가 밝혔으며 이때 혈당 강하 성분은 배당체라는 사실을 밝혀 사포닌을 간접적으로 시사했다.
알록산(Alloxan)으로 유발시킨 과혈당의 흰쥐와 생쥐의 실험에서 홍삼/ 인삼 엑기스는 유익성(有益性) 있게 혈당(血糖)을 감소시키고 있음을 성(Sung) 츄아오(Tsuao)박사는 주장했다.
화학적 약품으로 유발시킨 실험적 과당에 대하여 홍삼/ 인삼의 추출물은 당 생성(糖生成)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인슐린과 병행하면 상승효과가 있다고 페트코프(Petkov)박사는 주장했다.
②암(癌)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1995년 한일 고려인삼(韓日高麗人蔘) 학술 대회(學術大會)에서 원자력병원의 윤 택구박사는 1987년부터 1997년 까지 10년 동안 원자력병원(原子力病院)의 암(癌)센타를 찾아온 암 환자 905명들과 인삼 주산지 강화 지방의 40세 이상 주민 4533명을 대상으로 인삼/ 홍삼을 복용한 사람과 인삼과 홍삼을 한번도 복용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 암 발생 빈도를 역학적(力學的)으로 조사한 결과 인삼/ 홍삼을 복용한 사람은 암(癌) 발생 빈도가 절반 이하로 낮았고 밝혔다.
이 조사에 따르면 인삼/ 홍삼을 복용한 사람들은 암발생 율이 전체의 48%에 그쳤고 특히 위암은 34% 폐암은 27%에 불과 했다. 흡연자에 경우 폐암/ 후두암/ 구강암/ 간암 등에 걸린 확률도 현저히 낮았다고 했고 고려인삼/ 홍삼은 역학적 조사 결과 항 발암 작용과 암 예방 효과의 기능이 있는 기능 식품이 증명된 것으로 발표했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서 성옥 교수는 항암제를 투여(投與) 중인 위암 수술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홍삼/ 인삼 분말 4.5g을 매일 복용시킨 그룹(22명)과 비 투여 그룹(20명)을 나눠 조사한 결과 연간(年間) 생존율(生存率)이 홍삼 비 투여 군은 38.5%인데 비해 홍삼 투여 군은 76.4%로 생존율이 급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1987년 9월 아시아 태평양 암(癌) 학회(學會)학술대회에서 한국 원자력 병원장인 윤 택구 박사는 「홍삼이 항암세포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연구 논문 발표(硏究論文發表)를 통하여 폐암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1년간 고려 홍삼을 투여 연구 실험을 실시한 결과 고려 홍삼이 암세포(癌細胞)를 죽일 수 있는 생 체내(生 體內) 자연 살해 세포(自然 殺害細胞 Natural killer cell)의 활성 증진(活性 增進)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고 발표했다.
한국 인삼 연초 연구소(韓國 人蔘 煙草 硏究所)의 김 신일 박사와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안 병준 교수는 공동연구를 통해 인삼의 지용성 성분(脂溶性 成分)이 쥐의 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成長 抑制 效果)를 나타낸다고 발표했다.
1988년 제5차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는 파낙시트리올(Panaxytriol)은 홍삼 제조로 생기는 것으로 Katano 등은 인체의 암세포(癌細胞)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기능(機能)이 있다고 발표되었다.
홍삼 성분을 쥐와 토끼들에게 장기간(25내지 28주)투여(投與)한 결과 각종 화학적(화학적) 발암물질에 의한 종양 발생과 증식이 크게 억제됨을 병리 조직학적 (病理組織學的)검색을 토하여 확인한 바를 제3인삼 심포지엄에서 발표하였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 진복 교수는 홍삼/ 인삼이 수술 후 환자의 조기 체력 회복 및 면역 기능을 향진 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대한의 과학 회지에 발표하였다.
서울대학교 생약 연구소의 한 병훈 박사는 고려 홍삼/ 인삼이 항 피로 효과에 작용하는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20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수영 시간을 비교 시험한 결과 홍삼/ 인삼 중의 페놀성 성분이 뚜렷한 항 피로 효과를 낸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③피로 회복(疲勞 回復)촉진과 지구력 증진에 대한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러시아 의 세계적인 약리학자(약리학자)인 브레크만 박사는 흰쥐를 일정 기간 동안 수영 훈련을 시킨 다음 훈련된 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에 만 홍삼 엑기스를 투여(投與)한 다음 흰쥐들의 수영 능력을 시험했다. 그 결과 홍삼을 투여 하지 않은 그룹에서는 수영 시간이 47내지 67분 수영을 했고 20마리 중 8마리가 익사를 한 것에 비하여 홍삼 엑기스를 투여한 그룹은 96내지 111분의 수영을 했고 20마디 중 4마리가 익사(溺死)한 시험의 결과를 발표했다. (Brekhman. 인삼 문헌 특집.1974년)
스페인 Leon대학의 Prieto 교수는 고려홍삼 분말을 흰쥐에 투여 지칠 때까지 운동(運動)을 시킨 다음 피로 회복과 근육(筋肉) 손상에 미치는 홍삼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홍삼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운동 시간이 많이 연장되었으며 적혈구(赤血球)의 삼투 저항성(渗透 抵抗性)과 망상 적혈구가 증가 되었다. 또 운동으로 인한 간의 글리코켄 함량의 감소가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촉진시켰으며 탈진 상태(脫盡狀態)에서 운동을 하였을 때 야기될 수 있는 근육조직의 손상(損傷)을 방지 해 주었다. 이는 홍삼이 피로 회복을 촉진시키는 유용한 효과가 있음을 시험적으로 증명한 결과 이다. (제6회 국제 인삼심포지엄 1993년)
일본의 교린대학의 카쿠 박사가 1975년에 발표한 시험(試驗)결과에 의하면 홍삼 사포닌(Saponin) 중 7종(Rb1/ Rb2/ Rc/ Rd/ Re/ Rf/ Rg)은 항(抗) 피로 효과(疲勞效果)가 있다고 발표했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홍 성일 교수는 홍삼을 투여하게 되면 심한 운동 다음에 근육이 통증을 느끼게 하는 유산(乳酸)생성을 억제(抑制)함으로 운동 능력 증진 효과를 나타낸다고 하였으며 이탈리아 봄바텔리(Bombardelli)박사도 1980년 서울에서 개최된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 이와 비슷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최근 서울대학교 생약 연구소의 한 병훈 박사는 고려 홍삼의 항 피로 효과에 작용하는 성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20마리의 쥐를 대상으로 수영 시간을 비교 실험한 결과 홍삼의 페놀 성분이 뚜렷한 항 피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1955년 일본의 오사와 실험 치료학 연구소의 야마다 박사는 간호사 및 수영 선수를대상으로 홍삼의 피로 방지 효과를 관찰하여 홍삼의 항 피로 효과는 중추기관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보고하였다.
야간 근무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간호원들에게 홍삼/ 인삼을 투여한 결과, 스트레스로 야기되는 혈당치 상승 회복 효과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있다고 영국의 생물 의학 연구소 폴더(S.J. Fulder)박사가 제3차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 발표하였다.
④남성(男性)의 정력(精力) 증강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연세대학교 영동세브란스 병원 최 형기 교수는 홍삼이 남성의 발기 부전증(勃起不全症)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일본의 고베의대 비뇨기과의 아시카미 교수는 「정자 결핍증」의 남자 환자29명(5명의 무정자증)을 대상으로 고려 홍삼에서 추출한 사포닌(Saponin)을 투여한 결과 부정자증 5명의 환자를 제외한 24명 모두가 정자 수(精子 數)가 현저히 증가하고 정자운동(精子運動)이 70%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이시카미 교수는 남성이 1회 사정하는 정자의 수는 보통 약 4천5백만 이상으로 정자의 운동60%이상일 때 수정(姙娠)이 가능하고 이하일 때는 정자 결핍증(精子 缺乏症)으로 분류 치료를 요하는 환자라고 하고 정자 결핍증 환자에게 고려 홍삼을 투여하면 고환(睾丸)에서 세포분열(細胞分裂)을 촉진시키고 정자 생산력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가진다고 밝혔다.
홍삼 추출물(紅蔘 抽出物)을 흰쥐에게 투여하여 고환에서 DNA 및 단백질(蛋白質) 합성(合成) 증진 효과를 확인하고 이와 같은 사실은 홍삼이 정자형성을 증진시킨다는 증거라고 일본의 아마모토 박사는 발표했다.
만성스트레스로 야기되는 성주기(性週期)이상을 홍삼 투여로 방지할 수 있었고, 성행위 감소 현상도 현저히 방지되었다고 중국의학 과학원 약물 연구소 티안통바오 박사와 일본의 동경대학 사이또 교수가 공동 연구를 통해 발표하였다.
⑤노화(老化) 방지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서울대학교 생약 연구소(生藥硏 究所)의 한 병훈 교수는 홍삼에서 수종의 페놀성 화합물과 말톨 성분의 존재를 밝혀내고 이들 성분은 노화 방지 및 노화 억제(老化抑制) 효능뿐만 아니라 한 피로(疲勞) 효과도 있다고 발표했다. (중국 동양 의학 심포지엄 1985년)
영국 런던의 첼시아(Chelsea)대학 비틀즈(Bittles)교수는 체내에 홍삼을 투여하게 되면 인체 내부 기관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켜 주며 혐기적(嫌氣的)대사에 견딜 수 있도록 기능을 회복시켜 주기 때문에 노화(老化)를 막아 준다고 했다. (Gerontology 1981년)
캐나다 토론토대학 쥬다홍(Zhuo da hong)교수는 홍삼이 세포의 퇴화(退化)를 지연시키고 세포의 기능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노인들의 건강을 개선하며 노화를 지연시킨다고 발표했다.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10. 1984년)
연세대학교 조영동 교수는 홍삼 추출물이 노화 억제(老化抑制)관련 효소(酵素)의 활성(活性)을 촉진(促進)시켜 노화(老化)를 지연(遲延)시킨다고 발표했다. (제4회 국제 인삼 심포지엄 1984년)
대전 한방병원(韓方病院) 강 석균 박사는 인삼/ 홍삼이 어떻게 좋은가? 에서 홍삼/ 인삼에는 미량의 원소로써 구리/ 코발트/ 비소/ 게르마늄/ 인/ 알루미늄 등이 포함되어 세포의 독성을 통하여 노화되는 세포가 신생 세포로 바뀌는 것을 촉진(促進)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으며 항암작용(抗癌作用)에 특효가 있고 스트레스(Stress)성 자극에 대한 홍삼은 부신 피질 기능을 흥분(興奮)시켜 생체의 저항력(抵抗力)을 높여 이를 해소시키고 있다고 발표했다.
⑥두뇌(두뇌)활동 및 뇌 세포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유명한 홍삼 연구 학자인 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생리 연구소의 페트코프 박사는 30년간 홍삼 연구 결과 고려 홍삼이 기억력 증징과 학습 능력 촉진에 매우 현저한효과를 나타내고 약물이나 전기 충격(電氣衝擊) 스트레스(Stress)로 일어나는 기억력 감퇴(減退)를 방어해 주는 항 건망증 효과가 있으며 뇌기능 개선 약물과 홍삼을 병용(倂用)했을 때 그 효과는 더욱 상승(上昇)된다고 하였다.
1975년 스위스 루가노 국제 장수 학회에 발표된 것은 홍삼은 두뇌 활동을 강화하면서 학습활동 및 기억력뿐만 아니라 행동 능력(行動能力)을 개선한다고 함으로 고려 홍삼은 머리를 좋게 해주는 약(藥)이라 발표(發表)했다. (1087.도쿄 국제 인삼 세미나/ 1989년 American Journal of chinese medicine)
이탈리아 파비아 대학 약리학(藥理學)교실의 L, Dangelo 교수 등은 20내지 24세의 대학생 32명을 대상으로 정신운동(全身運動)에 미치는 홍삼의 효과를 측정했다. 대학생들은 고려 홍삼 투여군 16명과 유당을 투여한 대조군 16명으로 나누어 3개월 동안 투여한 결과 홍삼 투여군은 단위 시간당 올바른 선택 수의 증가 주의력 및 암산 능력(暗算能力)의 호전을 보여 홍삼 성분이 정신운동 수행 능력 개선 효과(改善 效果)가 있음을 보고했다. (Journa of ehtnopharmacoiogy 1986)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김 영중 교수 등은 홍삼의 사포닌 성분이 신경 섬유(神經纖維)의 생성을 촉진/ 강화시키며 그 생존 기간(生存期間)을 연장(延長)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 홍삼에서 추출한 사포닌 성분은 비정상적으로 자라난 뇌(腦)세포에 투여한 결과 뇌세포 및 척수 세포의 성장 장애를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고 뇌(腦)의 에너지 대사(代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酵素)가 활성화(活性化) 되는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약학회지 13권3호 1980/ 약학회지 3권 1호 1989)
인도 중앙 약물 연구소의 싱(Singh)박사는 한국 인삼 연초 연구소에서 개최된 제4회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 고려홍삼이 바이러스 감염 예방 및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바이러스 감염 및 암 치료에 매우 유효한 인터페론 생성을 촉진한다고 발표하였다. 즉 홍삼/ 인삼을 투여하지 않은 경우에는 실험동물이 100%가 죽는 반면에 인삼을 투여한 경우의 20일째 생존율은 34내지 40%증가되었으며 홍삼/ 인삼을 인터페론 생성 유도 물질과 함께 투여했을 때는 인터페론 생성 유도 물질만을 투여한 그룹(62내지 78%)보다 훨씬 높은 82내지 100%의 감염 방지 효과를 나타냈다고 함으로써, 그 동안 홍삼 연구에 별로 관심이 없었던 인도에서도 홍삼/ 인삼의 효과를 재인식하게 되었다.
일본 도쿄대학 약학부 노부요시 니시야마 교수는 홍삼 사포닌 진세노사이드 Rg1과 Rb2 성분이 배양 신경 세포(培養 神經 細胞)의 생장(生長)을 촉진(促進)시키는 효과를 관찰하였다고 발표했다. (Journa of ehtnopharmacoiogy 22권1988)
⑦고혈압에 대한 홍삼사포닌의 기능에 대하여 1988년 제5차 국제인삼심포지엄에 보고된 것으로 일본의 이마무라 박사는 고혈압(高血壓)으로 고생하는환자19명에게 고혈압 치료제 외에 홍삼을 3개월간 매일 투여한 결과 수축기 혈압이 현저히 감소되고 불면/ 갈증/ 피로감 등이 사라지고 성생활에 지장을 받고 있는 환자 89%가 호전되고 생활상태가 개선되었다고 했다.
일본 동경 대학 약학부의 다카기 교수는 고려 홍삼 중에는 혈압(血壓)을 상승시키는 성분과 강하(降下)시키는 성분이 함께 들어 있고 환자에 따라 필요한 기능이 작용하여 균형(均衡)을 이루도록 한다고 1974년 제1회 국제 인삼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
중앙대학교 의과대학의 이광수 교수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의 강 두희 교수는 홍삼/ 인삼 사포닌이 혈관의 평활근(平滑筋)을 이완시키므로 혈압 강하 효과를 나타낸다고 주장하였다. (Yonsei medical J 19(2) 1978)
본태성 고혈압(高血壓)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홍삼 엑기스를 1일 1g씩 12주간 투여(투여)한 결과 80%정도가 혈압 저하(血壓低下) 효과를 나타낸다고 한양대학교 손 의석 박사가 발표했다.
일본 日生병원 山本 박사팀은 홍삼이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向)을 알아보기 위하여 고혈압/ 정상 혈압/ 저혈압 환자 등 316명을 대상으로 고려 홍삼 분말을 1일 3내지 6g씩 장기간 (평균10개월) 투여한 결과 고혈압 환자 74명은 혈압 저하52%혈압 불변 43%로 나타났고 정상 혈압 207명은 혈압 저하 0.2%로 혈압 불변95% 혈압 상승 0.3%로 나타났고 저혈압 환자 35명은 혈압 저하 63% 혈압 불변 63% 혈압 상승(定常血壓) 31%로 나타나고 경미한 부작용이 3%정도 나타났다는 임상보고(臨床報告)와 투여(投與)를 정지(停止)하므로 정상이 되었다는 시험 결과는 홍삼은 저혈압을 정상으로 고혈압을 정상으로 조절(調節)하고 정상 혈압에는 혈압 변동이 없다는 임상 연구(臨床硏究) 결과(結果 Result)를 발표했다.
상기 외에도 동맥경화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 고지혈증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 혈액순환 개선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 노인성 치매증(Imbecility)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 위장병에 대한 홍삼 사포닌 기능/ 간장 보호에 대한 홍삼 사포닌의 기능/ 숙취제거에 대한 홍삼사포닌의 기능/ 면역 기능 증강(免疫 技能 增强)에 대한 홍삼 사포닌(Red in sam saponin)의 기능(技能 Faculty) 등에 대한 다수의 발표 논문이 있고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 결과(硏究 結果)를 종합하면 홍삼과 인삼에 대한 상식적 3대 오류가 있는 것을 발견(發見)하게 된다.
인삼은 혈압이 높은 사람과 열이 많은 사람은 좋지 않다는 오류와 당뇨가 있는 사람은 인삼보다 홍삼이 좋다는 오류와 인삼보다 홍삼이 항암 효과가 뛰어 난다는 오류가 3대 오류로 전매품으로 관리될 때 홍삼의 독점 권리자가 주장한 오류로 고려 홍삼의 종주국(宗主國)의 위상과 성장에 필요한 지난날 필요(必要)의 악(惡)이었다.
11> 커피(Coffee)
커피(Coffee)는 커피나무에서 생산된 열매(實)로 익으면 붉고 달콤하다. 씨는 두터운 펄프로 싸여 있으며 이것이 약2밀리미터 두께의 젤리 같은 펄프 층으로 감싸고 있고 그 속에 파치먼트라는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다.
파치먼트 밑에는 개개의 씨앗을 감싸고 있는 얇은 은색의 껍질이 있는데 이것을 실버스킨 이라고 한다. 커피 열매는 한 외과피 속에 2개의 씨앗이 들어 있다. 그러나 때로는 수정이 충분하지 못하거나 영양 상태가 좋지 못할 때 한개만 있는 것도 있고 나무의 상층 부분에서 수확한 씨가 한개만 있는 것으로 모양이 둥글 것을 「피베리」라고 한다.
커피(Coffee)는 해발 500내지 2,500미터의 고산지대에서 생산되는 맛이 풍부하고 향이 깊은 고급 품종인 아라비카(Arabica 학명 : Coffea arabica L)는 브라질에 생산되는 브라질커피와 콜롬비아를 중심으로 한 마일드 커피로 나누고 전 세계 생산량의 70%를 차지한다.
중앙아프리카와 콩고 지방이 원산지로 아라비카(Arabica)에 비해 어려운 환경에서 생산하는 커피로 쓴 맛이 강한 것이 특징으로 한 저렴한 가격의 로부스타(Robusta 학명 : Coffea canephora L)가 있다. 로부스타(Robusta)는 인스턴트 커피 제조에필수 원료로 전 세계 생산량은 30%를 차지한다.
커피는 생두(生豆 Fresh Green bean) 상태에서 2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해도 성분의 큰 변화는 없지만 볶은(焙煎)커피는 3일내지 3주가 지나면 신선한 맛과 향은 상실하는 것으로 원두를 포장할 때는 알루미늄호일/ 라미네이팅/ PP/ OPP/ PE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것은 배전한 다음 맛과 향을 보존하는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커피는 맛과 향을 중요시 하는 음료로 생산지의 위치와 기후에 따라 맛과 향의 차이가 심하여 생산지의 지명이 상품의 브랜드로 제품의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①커피(Coffee)의 역사(歷史)에 대하여 커피(Coffee)는 언제 어디서부터 발견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인류의 사랑을 받기 시작한 것은 약 6내지 7세기경으로 지금부터 수천 년 전으로 추정된다.
그 유래(由來)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지만 정확한 것은 없다. 그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비시니아(이디오피아)의 양치기 목동(牧童) 「칼디아」의 전설과 아라비아국 모카(북예멘)의 한 수도승 「세크오마」의 전설(傳說)이다.
「칼디아」의 전설에 의하면 서기 600년 경 양치기 「칼디아」는 어느 날 야생 나무의 열매를 먹은 양(羊)들이 평소와 다르게 껑충거리고 들떠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상하게 생각한 나머지 「칼디아」 자신도 그 열매를 직접 먹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끼고 홍분상태에 빠지는 것을 체험하고 그 기분을 널리 퍼지게 하여 커피의 기원이 되었다는 「칼디아」설이 있다.
또 하나는 로맨틱한 사랑에 얽힌 세크오마의 설로 서기 1200년 경 아라비아국 모카에 존경받던 수도사 세크오마는 공주를 사랑한 죄로 오쟈브라는 지방으로 유배를 당하게 되었다. 유배지(流配地)에서 새의 지저기는 소리를 따라 가다가 아름다운 열매를 발견하게 되었고 그 열매로 스프를 만들어 마셨더니 원기가 솟는 것을 느꼈는데 이것이 커피의 발견의 시초가 되었다고 한다. 커피는 감미로운 향(香)을 닮아서인지 그 유래(由來)에 관한 이야기마다 감미롭게 느껴진다.
이와 같은 감미로운 커피를 아랍에 처음으로 원두(原豆)를 전한 사람은 다바니라 라는 학자(學者)로 커피 열매를 의약용(醫藥用)으로 사용하는 이디오피아에서 들여왔다고 한다. 그 후 이슬람교의 신비주의(神秘主義)자들인 수피 교도(敎徒 Believer)들이 긴 밤 기도 시간(祈禱時間)에 잠들지 않게 하는 약(藥)으로 널리 쓰이기 시작 했다고 한다.
유럽에 커피를 전파시킨 사람들은 순례자(巡禮者)와 무역상(貿易商)들에 의하여 전파(傳播)되었다. 당시 아랍이 커피 묘목의 밀반출(密搬出)을 엄격히 금지했기 때문에 메카로 가는 순례자(巡禮者)들이 몰래 원두를 가지고 나오면서 비로소 커피의 보급(普及)이 이루어졌다.
사라센제국이 분열될 무렵 유럽인들은 십자군을 조직하여 이슬람 세계로 원정을 보냅니다. 이때 십자군(十字軍) 병사들은 처음으로 이슬람교 지역에서 자유롭게 커피를 향유(享有)하게 되지만 유럽에서는 이교도의 음료(飮料)라고 하여 자유롭게 마실 수 없었다.
십자군(十字軍)원정 이후 르네상스 시대로 접어들면서 근대정신에 눈을 뜬 유럽인들은 종교적 교리로 인하여 이교도의 음료로 낙인찍은 커피에 대하여 관대하여 진다. 문예부흥(文藝復興)으로 근대정신에 눈뜨게 되었고 종교 교리에 의하여 묶여 있던 커피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는 동기가 되었다. 더욱이 시인/ 화가 등 예술인들에게 영감과 악상을 제공하는 사색(思索)의 동기가 되기도 했고 철학자에게는 진리(眞理)를 정치가에게는 평화를 전한다고 찬미할 정도가 되었다.
예술인(藝術人)과 상류층(上流層)에 사랑을 받는 커피는 교황 클레멘트 8세의 마음을 움직여 교황은 커피에 세례(洗禮)를 내렸고 이것은 커피가 전 유럽으로 퍼지는 큰 힘을 발휘하게 되었다.
1616년 네덜란드의 한 상인이 인도의 순례자(巡禮者)로부터 커피 원두를 입수(入手)해 유럽으로 밀반출(密搬出)이 이루어져 유럽에 또 다른 커피의 시초가 되었고 1714년 암스테르담 시장이 루이 14세에게 커피나무를 선물(膳物)함으로 프랑스에 커피가 전래되기 시작하였다. 이외도 베네치아 상인(商人)들에 의해 이탈리아 그리고 프랑스/ 영국을 경유 18세기 말에는 유럽 전역(全域)에 커피 하우스가 번성(繁盛)할 정도였다.
미국에서 본격적(本格的)으로 커피를 마시기 시작한 것은 1767년 미국인이 즐겨 마시는 차(茶)에 영국에서 높은 세금(稅金)을 징수(徵收)하는 타운젠트법이 통과되면서부터 즐겨마시던 차(茶)의 나라에서 단숨에 커피 음용 국가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고 오늘날 하루 5천만 잔의 커피를 마시는 대량 소비국(大量消費國)이 되었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커피를 마신 사람은 고종 황제로 1895년 아관파천으로 러시아 공사관에 머물면서 마신 것을 시작으로 하여 정동구락부라는 최초의 커피 점이 생기여 우리나라 최초 다방이 되었고 명동/ 소공동/ 충무로 등에 커피 점이 생기여 상류층과 문인들이 즐길 수 있었다. 그 후 민족의 전쟁인 6.25를 통하여 미군 부대(美軍 部隊)를 통하여 일반인에게 보급(普及)되면서부터 대중(大衆) 속으로 깊이 침투한 커피는 1970년 인스턴트커피를 국내에서 생산하는 기호의 발전적 변화로 현대인의 필수품(必需品)으로 자리 잡아 현재에 이러고 있다.
지구촌의 커피를 사랑하는 모든 애호가는 정열(情熱)에 불타는 한번의 키스보다 더사랑스럽고/ 잘 익은 한 잔의 포주보다 더 감미로움이 있다고 애찬을 받으며 커피는 오늘날까지 감동(感動)의 연속으로 지구촌의 사랑을 독점(獨占)했다.
②커피(Coffee)의 성분(成分)에 대하여 커피의 생두(生豆 Fresh Green bean)에는 수분/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무기질/ 유기질/ 카페인(Caffeine) 등이 있다.
커피는 취급 방법에 따라 향과 맛이 달라지며 볶는 동안 열에 의하여 향과 맛을 내는 알코올/ 알데히드/ 케톤/ 에스테르/ 질소화합물/ 카페올 등의 휘발성 물질로 변하게 된다.
건조된 생두(生豆 Fresh Green bean)에 가장 많은 성분(成分)은 탄수화물(炭水化物)로 당류/ 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으로 구성(構成)되어 있고 당(糖)은 캐러멜(Caramel)화 반응을 일으켜 물에 잘 녹는 갈색의 물질로 변하며 쓴맛은 반응하지 않고 수용성(水溶性)인 당(糖)이 단맛(甘味)을 내게 된다.
성 분 명 생 두(生豆) 배 전(Roast) 성 분 명 생 두(生豆) 배 전(Roast)
카페인 1.5 1.5 지방 11.5 13.0
탄닌 6.0 4.0 단백질 13.0 14.0
광물질 4.0 5.0 섬유질 28.0 29.0
당분 8.0 1.5 농축 분 17.0 29.5
수분 11.0 2,5
커피(Coffee)의 성분 비교(㎎/100g)
③커피(Coffee)의 품종(品種)과 맛(味)의 특성(特性) : 모카커피는 예멘과 이디오피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과 단맛이 강하고 향이 강하여 감칠맛이 있다.
블루마운틴는 자마이카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단맛이 강하고 향이 강하다.
킬리만자로는 탄자니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이 강하고 향이 강하다.
콜롬비아는 콜롬비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과 단맛이 강하고 향이 강하다.
과테말라는 과테말라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과 단맛이 강하고 향이 강하다.
멕시코는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과 단맛이 강하다.
온두라스는 온두라스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중성의 맛이 있다.
만데린는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쓴맛이 강하고 감칠맛이 있다.
지바 로브스타는 인도네시아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쓴맛이 강하다.
브라질은 브라질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중성의 맛이 있다.
코스타리카는 코스타리카에서 생산되는 커피로 신맛이 있다.
④커피(Coffee)의 효능(效能)에 대하여 커피가 인간에게 상용될 때는 특이한 맛과 향 그리고 각성제(覺醒劑)로서 약으로 인정받았으나 세계 각국의 사람들에게 사랑받으므로 기호음료(Beverage)인 식품으로 발전하여 최고의 정상(頂上)을 누리는 상품이 되었다.
이와 같은 효능(效能)은 커피(Coffee) 속에 있는 카페인(Caffeine)의 기능인 각성 효과(覺醒 Stimulating effect)에 의한 것으로 중추신경의 흥분으로 생체의 기능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커피를 마시면 제2의 성인 당뇨병(成人 糖尿病)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재확인한 임상 시험(臨床試驗) 보고서가 발표되었다. 핀란드 국립 건강원의 자코 투오밀레토 박사는 미국 의학 협회지(JAMA)최신호(2004,3,10)에 발표한 연구 보고서에서 커피를 많이 마실수록 그에 비례해 성인 당뇨병의 위함은 줄어든다고 밝힌 것으로 미국 의학 뉴스 전문 통신 휄스테이 뉴스가 보도했다.
투오밀레토 박사는 35내지 64세의 핀란드 남성6천974명과 여성 7천655명을 대상으로 1982년 1987년 1992년 3차례에 걸쳐 실시한 조사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확인 되었다고 밝혔다.
여성은 하루 3내지 4잔 커피를 마시면 당뇨병 위험에 29% 10잔 이상을 마시면 당뇨병 위험에 79% 남성은 하루 3내지 4잔을 마시면 27% 10잔 이상을 마시면 55%가 성인 당뇨병이 줄어드는 것을 밝혔다.
투오밀레토 박사는 끊인 커피보다 필터를 이용한 추출 커피가 더욱 좋은 것으로 발표하면서 끊이는 커피는 고온에서 오래 동안 노출된 상태라 커피 속에 들어 있는 생물학적(生物學的) 활성 성분들이 고온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기능의 손실이 있다고 했다.
핀란드 사람은 1인당 연간 커피를 10.8kg(하루 평균9잔) 소비하는 세계 최고의 소비 국민이다.
커피 속에 있는 카페인이 취장에서 인슐린(Insulin)을 분비하는 베타세포를 자극함으로 성인 당뇨병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지난 1월(2004년)미국 하바드 의학대학 연구팀은 12만 5천명을 대상으로 12내지 18년에 걸쳐 실시한 조사 결과 하루 커피 6잔을 마시는 사람은 당뇨병 위험이 절반으로 줄어든다는 연구 보고서를 발표했다.
커피의 성분들은 혈당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는 것은 위장의 펩타이드 분비를 자극 촉진하면 커피에는 포도당 내성에 긍정적인 영양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마그네슘이 들어 있다고 투오밀레토 박사는 발표했다.
커피를 마시면 카페인은 원두커피에는 1내지 2%로 인스턴트커피에는 3내지5%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인체에 흡수되면서 특이하게 알칼리성 작용을 하므로 지능을 고무시키고 흥분(興奮)과 쾌감(快感)을 준다.
커피는 우리 생체 속에 있는 콜레스테롤을 분해 동맥 혈관 내부에 침착되는 것을 막아 주는 동맥경화 예방의 효능이 있다.
커피를 마시면 혈액순환(血液循環) 촉진 저혈압 해소 치매 예방 담배의 니코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고 일부 학자들은 암을 예방하는 효능도 있다고 한다.
커피를 마시면 간장(肝臟)과 신장(腎臟)의 기능을 상승시키며 숙취 해소(宿醉 解消)에 효능을 나타내고 소변의 양을 늘린다.
커피를 마시면 중추신경을 자극하여 정신을 맑게 하므로 공부하는 수험생과 오래 앉아서 일하는 사람에게 기분 전환(氣分悛換)에 도움을 주지만 과다 복용은 불면(不眠)을 초래한다.
커피를 마시면 심장이 자극되며 칼슘 이온의 농도가 증가하여 심박 수와 심박출량이 증가하여 지나치면 흥분하고 불안해지며 나아가서 고혈압 심장 질환을 일으킬 염려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커피를 마시면 위를 자극하여 위산의 분비를 촉진시키므로 소화를 도우고 배앓이에 효력이 있고 가스(Gas) 찬 배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지만 지나치면 위궤양이 생긴다.
커피를 마시면 독특한 향에 의하여 마늘/ 김치의 냄새를 감소시키고 입안에 있는 기름기를 깨끗이 제거해 준다.
⑤카페인(Caffeine)의 기능(機能 Faculty)에 대하여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Caffeine)은 냄새가 없고 쓴맛을 내는 흰색을 가진 수용성질 있는 각성제로 강심/ 이뇨 작용을 촉진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과다 지방 및 칼로리 소비를 촉진시키는 다이어트(Diet)기능이 있다.
카페인(Caffeine)을 과다 섭취하면 카페니즘을 행성하고 불안/ 초조/ 불면/ 두통/ 설사를 유발하기도 한다.
카페인(Caffeine)은 천식(喘息)에 효과가 있는데 카페인이 기관의 점막성(粘膜性) 분비물(分泌物)을 마르게 하고 혈관을 수축시키기도 한다.
카페인(Caffeine) 건강한 사람에게는 6시간이 지나면 섭취한 카페인(Caffeine)은 절반으로 분해되지만 담배를 피우거나 다른 약을 복용하는 경우에는 카페인이 몸(體) 안에 머무는 시간이 더욱 길어지며 어린이 간에 손상이 있는 사람의 경우 3내지 4일 몸에 남아 있는 특이한 사람도 있다.
카페인(Caffeine)은 세계 보건 가구의 국제 질병 분류(國際疾病分類)에서 중독(中毒) 물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장기 음용(長期 飮用)에 따른 의존성(依存性)이나 남용(濫用)으로 오는 중독성(中毒性)을 염려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12>박하(薄荷 학명 : Marrubium vugare Horehound)
박하(薄荷)는 꿀 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 키는 60내지 100㎝이며 즐기는 단면은 사각형이고 표면에 털이 있다. 잎은 홑잎으로 마주나고 가정자라에 톱니가 있고 특이한 냄새(香 -Menthol)가 나고 맛(味)은 입에 넣을 때 시원한 느낌을 준다.
잎의 표면에는 샘이 있어서 정유를 분비하고 저장한다, 7내지 8월에 담자색 또는 흰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수과로 타원형이며 연한 갈색을 띠고 채취 시기는 5월/ 9월에 각각 한 번씩 베어 그늘에 말리거나 햇볕에 말리는데 토막으로 베어 쓰거나 신선한 것을 그대로 쓴다.
일반적으로 멘톨이라고 부르는 박하뇌/ 박하 유/ 박하 수/ 박하 정 등은 박하에 들이 있는 정유를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치약/ 잼/ 사탕/ 화장품/ 담배 등의 청량제로 향료로 쓰고 약재로도 사용한다.
박하(薄荷)에는 서양종과 동양종이 있는데 서양종은 정유의 성질에 따라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페니로열민트로 구분한다.
박하(薄荷)의 대표적인 성분은 Menthol산으로 박하 잎에 들어 있는 정유의 77내지 78%를 차지하고 초산/ 수지/ 소량의 탄닌 등이 있다.
박하(薄荷)는 위액과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고 거담 작용과 복부 공기 및 폐의 공기 순환을 도우며 팽만감을 다스리고 혈액 순환과 이뇨 작용을 도우며 취(醉)기를 해소하는 기능이 있으나 부작용이 없다.
박하는 적은 량으로도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흥분작용을 하고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며 해열 작용하고 설태(舌苔)에 바르면 효과가 있고 기분 전환제로 진통/ 살균/ 구충제로도 사용된다.
박하(박하)효능은 박하의 잎이나 줄기에서 추출한 박하뇌는 백색의 결정체로 향기가 있고 시원한 맛이 있고 건위/ 결핵/ 기관지염/ 거담 제거/ 류머티스/ 관절염과 신경통에 먹고 고약으로 만들어 붙이기도 하고 구취 거제로 사용하기도 하고 한다.
13>오리나무의 수피(五里木樹皮 Alnus japonica steud)
오리나무(Alnus japonica, 赤楊)는 자작나무에 속하는 낙엽 교목이다. 오리나무는 뿌리에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수(근류균)할 수 있는 나무로 메마른 땅에서 잘 자라고 땅을 기름지게 하는 나무로 이정표를 나타내는 이정 목으로 5리마다 심는 나무라 하여 오리나무(五里木)라 한다.
수피는 담자갈색이며 봄철에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쓰는데 육혈/ 혈변/ 장염/ 설사/ 급성 염증 치료/ 소염 작용/ 간장 치료 및 오상 출혈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오리나무(Alnus japonica, 赤楊)의 주성분은 Lupenone/ -amylin/ Glutenil/ Taraxeril/ Betulinic acid/ Triterpenoil 및 -sitosterol/ Heptacosane/ 지방족 Alcohol/ Pyrocatechol계 Tannindl 함유되어 있다.
오리나무의 특성 중에는 오리나무를 술에 오랫동안 담가두면 술이 묽어진다. 술에 화기(火氣)를 많이 품고 있는 반면에 오리나무는 화기를 진정시키는 작용을 한다.
14>계피(桂皮 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
계피(桂皮 Cinnamomi cortex, Cinnamon bark)는 계수나무의 뿌리/ 즐기/ 가지 등의 껍질을 벗겨서 말리거나 껍질을 벗기지 않고 건조시킨 가지를 계피라고 한다.
성분은 정유/ 알테히드/ 알코올초산/ 탄닌/ 점액질/ 탄수화물 등이 있고 기능으로는 말초혈관 확장작용(혈압강화)혈소판/ 응집억제작용/ 신경을 흥분시켜서 혈액순환/ 촉진/ 감기/ 진통/ 진경을 위해서 사용한다.
계피는 기원전 2700년경에 중국에서 펴져나간 것으로 추정하고 구약성경에서도 향신료로 사용한 것으로 대단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5>복숭아 [桃子 peach]
복숭아는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재배하였으나 상품용으로는 1906년 원예모범(園藝模範)장을 설립한 뒤부터 개량종을 위주로 재배하였다. 전 세계에 약 3,000종의 품종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주로 창방조생·백도·천홍·대구보·백봉 등을 재배한다. 주요 생산지는 영덕·영천·청도·경산·김해·장호원·음성 등지이다.
한문에서는 도자(桃子)라고도 하고,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다. 과육이 흰 백도와 노란 황도로 나뉘는데, 생과일로는 수분이 많고 부드러운 백도를 쓰고, 통조림 등 가공용으로는 단단한 황도를 쓴다. 중국 원산으로 실크로드를 통하여 서양으로 전해졌으며, 17세기에는 아메리카 대륙까지 퍼져나갔다. 세계 총생산량은 1997년 현재 10,923천으로 전체 과실 생산량의 2.6%이고 주요 생산국은 중국·미국·이탈리아·에스파냐 등이다.
<1>주성분
주성분은 수분과 당분이며 주석산/ 사과산/ 시트르산 등의 유기산이 1% 가량 들어 있고, 비타민 A와 개미산/ 초산/ 바레리안산 등의 에스테르와 알코올류/ 알데히드류/ 펙틴 등도 풍부하다. 과육에는 유리 아미노산이 많이 들어 있는데, 특히 아스파라긴산이 많다. 특유의 향은 에스테르/ 알코올류/ 알데히드가 어울려서 낸다.
<2>복숭아의 영양성분 분석
복숭아는 비타민 A와 C가 무척 많이 들어있고 [펙틴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입니다. 단맛이 강하게 느껴지나 실제 당분은 10% 정도입니다. 복숭아의 새콤한 맛은 [유기산]으로 사과산, 구연산이 0.5%정도 들어있습니다. 특히 황도에는 1%정도로 많이 들어있습니다.
복숭아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다량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좋습니다.
복숭아 등 과실은 당분/ 유기산/ 비타민/ 섬유소/ 무기질 등 인체 영양상 요구되는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하나의 종합영양제라 할 수 있습니다.
복숭아에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배변을 촉진하여 변비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대장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3>복숭아의 주요기능성 성분과 작용
①폴리페놀류
항산화 작용/ 악취제거 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 강하/ 발암 방지/ 항균작용
②아마그달린
한방약재의 유효성분으로 기침 그침/ 신경 안정 작용
③캠페롤
소변을 촉진시키는 이뇨작용을 한다.
④베타 카로틴
여러 가지 발암방지/ 신장병 예방하는 기능이 있다.
⑤소르비톨
변비예방/ 장내 유해균 억제/ 비타민/ 미네랄 흡수 촉진
⑥비타민 C
창상치유/ 항종양 작용/ 해독작용/ 발암성분 억제작용/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항 피로작용/ 철 흡수 이용률 향상작용/ 항히스타민 작용/ 면역기능 증강작용 등
<4>복숭아의 일반적 효능
수분을 공급해 줌으로 피부미용에 효능이 있습니다.
밤에 식은땀을 흘릴 때 효과가 있습니다. 간(肝)기능을 활발하게 하며 대장암 예방에 효과도 있습니다. 담배의 니코틴을 제거하는 효능도 있습니다. 피를 맑게 하고 위장기능 개선 효과가 있습니다.
<5>복숭아의 각 부위별 한방효능
①열매
한 약명 도자/ 진액생성/ 장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함/ 어혈/ 덩어리를 풀어줌.
②씨
한약명 도인/ 어혈치료/ 타박상 치료/ 변비치료
③잎
한 약명 도엽/ 신경성 두통/ 습진/ 종창/ 선창
④꽃
한 약명 도화, 이수, 통변, 수종, 각기
⑤가지
한 약명 도지/ 심복부의 통증제거/ 역병치료
⑥뿌리
한 약명 도근/ 코피/ 토혈을 치료
<6>복숭아의 영양성분 분석
복숭아는 비타민 A와 C가 무척 많이 들어있고 [펙틴질]이 풍부한 알카리성 식품입니다. 단맛이 강하게 느껴지나 실제 당분은 10% 정도입니다. 복숭아의 새콤한 맛은 [유기산]으로 사과산, 구연산이 0.5%정도 들어있습니다. 특히 황도에는 1%정도로 많이 들어있습니다.
복숭아는 알카리성 식품으로 다량의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건강식품으로 좋습니다.
복숭아 등 과실은 당분, 유기산, 비타민, 섬유소, 무기질 등 인체 영양상 요구되는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하나의 종합영양제라 할 수 있습니다.
복숭아에는 식이섬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배변을 촉진하여 변비치료에 효과가 있으며 대장암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면역력을 키워 주고 식욕을 돋군다. 발육 불량과 야맹증에 좋으며 장을 부드럽게 하여 변비를 없애고 어혈을 풀어 준다. 껍질은 해독작용을 하고 유기산은 니코틴을 제거하며 독성을 없애 주기도 한다.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의 생성을 억제하는 성분도 들어 있다. "단"장어와 같이 먹으면 설사를 하고, 자라와 먹으면 가슴통증을 일으키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전해지고 있다.
16>양파(洋- onion/ Allium cepa)
백합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 주먹파라고도 한다. 지하부의 비대한 비늘줄기를 식용으로 하는 채소의 하나이다. 잎은 속이 비어 있는 원통모양이고 길이 30∼50㎝이며, 여러 개가 곧게 어긋난다.
비늘줄기는 봄부터 비대하기 시작하여 여름에 성숙한다. 여름이 되면 지상 잎은 마르고 비늘줄기는 휴면하는데, 가을이 되면 다시 눈이 돋아 잎이 뻗어 나온다. 보통 종자를 뿌려서 2년째의 초여름에 기부가 약간 비대한 굵은 꽃줄기가 뻗어 나와 50∼100㎝가 되고, 그 끝에 흰색 또는 자주색의 수많은 작은 꽃으로 이루어지는 공 모양의 꽃이삭이 달린다. 종자는 흑색이고 길이 2∼3㎜이다. 비늘줄기는 공 모양 또는 납작한 공 모양이고, 지름 10㎝ 정도이다.
양파 기능
양파는 혈액 속의 불필요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녹여 없앤다. 그 결과 동맥 경화와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양파는 혈관을 막는 혈전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혈전을 분해해서 없애버린다. 그 결과 혈전이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순환기장애(협심증, 심근경색, 뇌연화증, 뇌졸중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 한다.
양파는 혈액을 묽게 하는 작용(섬유소 용해 활성 작용과 지질 저하작용)으로 혈액의 점도(粘度)를 낮춰 끈적거리지 않고 흐르기 쉬우며 맑고 깨끗한 혈액으로 만든다. 그 결과 혈액 순환이 좋아 산소와 영양의 신체 공급이 잘 이루어
진다.
양파는 혈압을 내리는 작용도 현저하다. 그 결과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하다.
양파는 아주 미세한 모세혈관까지 강화한다.
양파는 말초조직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HDL(고밀도단백)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준다. 특히 이것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심장병 환자는 자극 이 강한 스트롱 계열의 생 양파를 먹어야 효과가 있다. HDL콜레스테롤과 관련된 것 외 에는 양파를 어떻게 요리하든지 괜찮다.
양파는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도 뛰어나 당뇨병을 예방한다.
양파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을 치료한다.
양파는 당뇨병에 의해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인 동맥경화, 고혈압은 물론, 심근경색이나 신장병, 백내장 등을 예방, 치료한다.
양파는 콩팥의 기능을 증진시켜 신장병을 예방, 치료한다.
양파는 정상적인 혈당을 내리는 작용은 없고, 이상이 있는 높은 혈당치에만 작용하며 정상 혈당이 되면 신기하게도 작용을 멈춘다. 그 결과 합성 약처럼 저혈당이나 신장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전혀 없다.
양파는 간장의 해독작용을 강화시키는 그루타치온이 많다.
양파는 간장의 해독기능을 강화하기 때문에 임신중독, 약물중독, 알레르기에도 좋다.
양파는 간장 속의 지질도 저하시켜 간장을 건강하고 강하게 하며, 신체의 노곤함을 없애주어 변비통이나 피로회복에도 좋다.
양파는 간장의 조혈기능에도 관여한다.
양파는 알코올 때문에 많이 소모되는 비타민B1의 흡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주독(酒毒)을 중화하여 간장을 보호해 준다.
양파는 눈의 피로로 두통이 생겨 책을 오래 읽지 못하는 상태를 예방하고 치료한다.
양파는 눈의 각막이나 수정체가 흐려지는 백내장을 예방한다.
양파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투명도가 나빠져 발생하는 각종 각막질환의 장애 회복에 매우 좋다.
양파는 세균 속의 단백질에 침투하여 살균,살충효과를 낸다.
양파는 대장균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을 비롯한 병원균을 죽인다. 그 때문에 소화 불량에도 좋다.
양파는 살균력이 뛰어나 항 패혈증약이라고도 불리는데, 습진이나 무좀 등에도 아주 좋다. 또 양파의 살균작용은 익혀도 변함없다.
양파는 충치로 이가 아플 때, 갈아서 충치 안으로 넣어 두면 통증이 멎는다.
양파는 생것을 3-8분간 씹으면 입 안이 완전한 멸균상태가 된다.
양파는 결핵이나 콜레라 등의 전염병을 예방, 치료에도 사용된다.
양파는 살균력과 해독력으로 육류의 부패를 막는다.
양파는 현대의학도 해결하지 못하는 체내의 중금속을 해독, 분해시켜 체외로 배출시킨다.
양파는 칼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도 성장호르몬과 같은 작용을 하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에 게 아주 좋다.
양파는 지방의 함량이 적으며 채소로서는 단백질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다이어트에도 좋다.
양파는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많아 강장효과를 돋우는 역할을 한다.
17>마늘(大蒜 garlic/ Allium sativumvar. pekinense).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수염뿌리는 얕게 뻗고 줄기 끝에 비늘줄기를 형성한다. 비늘줄기는 연한 갈색의 껍질 같은 잎으로 싸여 있으며, 안쪽에 5∼6개의 작은 비늘줄기가 들어 있다. 꽃줄기는 높이 60㎝로 3∼4개의 잎이 어긋나며 잎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서로 감싼다. 7월에 잎 속에서 꽃줄기가 나와 그 끝에 1개의 큰 꽃이 산형꽃차례로 달린다. 꽃은 흰 보라색이며 꽃 사이에 많은 무성아(無性芽)가 달린다. 한자어로는 산(蒜)이라 하는데, 《명물기략(名物紀略)》에는 어원에 대해 <맛이 매우 날(辣:몹시 매울 날)하므로 맹랄(猛辣)이라 했으며, 이것이 변해 마늘이 되었다>고 풀이하고 있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나 이집트로 추정된다. 한국에는 중국을 거쳐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단군신화와 《삼국사기》에 기록된 것으로 보아 재배의 역사가 긴 것으로 짐작된다.
<1>품종
크게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구분된다. 한지형은 한국 내륙 및 고위도지방에서 가꾸는 품종으로 난지형보다 싹이 늦게 난다. 가을에 심으면 뿌리는내리나 싹이 나지 않고, 겨울을 넘긴 뒤부터 생장한다. 저장성이 난지형보다 좋고 크기가 굵으며 비늘조각 수가 적어 우수하다. 남해안 근처에서 가꾸는 난지형은 가을에 심어 뿌리와 싹이 어느 정도 자라서 겨울을 넘기고 봄에는 한지형보다 일찍 수확한다. 난지형은 꽃대가 길어 마늘종으로도 이용된다. 한국에서의 한지형 품종으로는 서산·의성·삼척의 재래종이 있고, 난지형으로는 남해백과 고흥백 등이 있다. 시장에서 유통되는 마늘의 종류로는 올마늘·벌마늘·육쪽마늘·백마늘·통마늘·쪽마늘·깐마늘·암마늘·수마늘·장손마늘 등이 있다.
<2>재배
일반적으로는 크고 병이 없는 종자마늘을 준비하여 남쪽은 8∼9월, 내륙은 9∼10월에 심는다. 8월 상순 이후에 둥근 종자를 15 에서 2∼3일 예비처리한 뒤 0∼5 로 60일 동안 냉장하여 10월에 심고 12월부터 비닐터널에 재배하여 냉장에 의해 조기에 출하하는 조숙재배, 일반재배기에 파종하여 1월 말부터 비닐을 덮어 가꾸는 조숙재배, 봄에 해동과 함께 마늘을 심어서 가꾸는 봄 마늘재배 등의 방법이 있다. 종자의 필요량은 10a당 50∼75접이며, 심는 넓이는 30×9∼30×12(㎠)이다.
거름의 양은 10a당 질소 20㎏, 인산 15∼25㎏, 칼륨 15㎏이 적당하다. 관리할 때 유의할 점은 질소와 칼륨은 가을에 1/3만 주고 2/3는 해동 전부터 크기가 비대해지기 시작하는 4월까지 2∼3회에 걸쳐 나누어 주어야 하는 점이다. 또 봄에는 매우가물기 때문에 충분한 물을 주어야 한다. 병으로는 잎에 발생하는 탄저병·노균병 등이 있는데 지네브나 마네브 400배액을 뿌려준다.
해충으로는 고자리파리의 피해가 심하므로 다이아지논 등을 뿌려 예방한다. 수확은 품종이나 지역에 따라 다르나 제주도와 남부에서는 5월 상순 무렵부터 실시하고 내륙 및 고위도지역에서는 6월 중순이나 하순에 실시한다. 마늘은 통풍이 잘 되고 습도가 일정한 곳에 100개씩 묶어 저장한다.
마늘은 저장 중에 싹이 나는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확 10∼20일 전에 MH-30을 0.15∼0.25%의 액으로 만들어 10a당 90 가량 뿌려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냉장 보관은 0∼2 에서 습도를 65∼70% 유지하면 6∼8개월 저장이 가능하다.
<3>성분 및 효능
마늘에는 탄수화물이 20% 가량 들어 있는데 그 대부분은 스크로토스이다. 또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인이라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생마늘을 그대로 씹거나 썰면 세포가 파괴되면서 효소 분해로 이 알리인이 알리신이나 디알리디설파이드 등이 되어 강한 냄새를 내게 된다.
마늘의 이 냄새 성분은 고기 비린내를 없애고 고기의 맛을 돋우어주며 소화를 돕는다. 마늘의 냄새 성분 가운데 하나인 알리신은 비타민 B₁(티아민)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이 되는데, 비타민 B₁과 같은 작용을 하면서도 보다 흡수가 잘된다.
따라서 마늘은 각기병을 막는 데 큰 효과가 있다. 현재 백미 위주의 식생활을 하는 한국인에게 각기병이 드문 것은 한국인이 마늘을 많이 먹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알리신에는 강력한 살균효과가 있어 결핵균·콜레라균·이질균·임질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뛰어나다. 최근에는 마늘을 가루로 가공하여 약용으로도 판매한다.
이 밖에 마늘에는 비타민 C나 유지의 산화를 막으며 몸 안의 과산화지방생성을 방지하는 노화방지의 효능도 있음이 실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마늘은 한국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식품으로 거의 모든 음식의 양념으로 쓰이고 있다.
꽃이 달리는 기다란 줄기를 속대 또는 마늘종이라 하는데, 이것을 데쳐 나물로 만들어 먹거나 마늘을 간장에 절여 마늘 장아찌를 만들기도 한다. 마늘은 가열하여 효소가 파괴되면 매운 맛이나 냄새·살균작용이 없어지지만 창자 속에서 분해되어 그 효능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강한 냄새가 싫으면 익혀서 먹으면 된다.
2. 발명의 효과
원료(原料)의 기능(技能)적 특성(特性)이 상호 보안(相互 保安) 복합상승(복합 상승)하여 본 발명(發明)의 목적(目的)을 충족(充足)시키고 있는 것이 또 하나의 특성(特性)으로 특히 알라닌/ 글루타민/ 비타민C/ 구연산/ 차가버섯/ 솔잎/ 홍삼/ 커피의 기능(技能)이 상호 보안 복합(保安 複合) 상승시키는 효과(效果)가 있다.
1.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바이오 주취(酒醉) 팔일오는 난폭한 음주 문화 속에서 알코울에 의한 간장 장애와 주취(酒臭)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신속한 피로 회복을 위하여 구연산과 비타민C와 알코올 분해(分解) 기능이 있는 지구자(枝具子) 농축액과 알라린(Alanine) 그리고 글루다민/ 솔잎 농축액/ 오리나무 수피 농축액/ 박하를 수삼/ 차가버섯/ 커피/ 녹두 조직 속으로 전이 시키고 기호를 높이는 스테비오사이드를 첨가하여 기능(技能)의 상승(上昇)으로 주취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빠른 시간에 주취(酒臭)에서 탈출(脫出)시키어 인류(人類)의 건강 증진(健康 增進)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2. 만성 간(肝) 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이 부담 없이 즐기는 웰빙 생활에 동반자(同伴者)가 되는 효과를 더하고자 한다.
3.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와 박하/ 구연산/ 비타민C/ 커피 등은 입속 깊은 곳에서 오래 동안 지속되는 향과 맛이 후각 신경을 자극(刺戟)하여 기관지(氣管支)와 폐(肺)의 기공(氣孔)을 확대시키어 공기(酸素)의 순환을 촉진시키고 전신적 안정과피로(疲勞) 및 주취(酒醉)와 스트레스(Stress)에서 해방(解放)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 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재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 예로 제한되는 것이 아님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실시 예 1
원료배합비율(% 중량)
1. 생 수삼 : 9
2. 생 커피콩 : 9
3. 차가버섯 : 7
4. 계피 : 4
5. 건 지구자 열매 : 9
6. 건 박하 엽 : 9
7. 설탕 : 8
8. 구연산(순도99%) : 6
9. 비타민 C(순도97%) : 5
10. 스테비오사이드(순도 75%) : 4
11. 글루타민(순도99%) : 3
12. 알라닌(순도 98.5%) : 3
13. 양파 : 3
14. 마늘 : 2
15. 생 오리나무 수피 : 9
16. 생 솔 순/ 잎 : 5
17. 봉숭아과육 : 5
합 계 : 100
제1공정 : 선별(選別)/ 세척(洗滌) 공정.
수삼(水蔘 Fresh insam)을 선별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나무 원통의 생 수삼을 넣고 회전하면서 정수된 물을 중앙에서 고압 분무(高壓 噴霧)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여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콘베이어(Conveyer belt)에 주머니가 있는 자동 세척기(自動 洗滌器)를 이용하여 1번 탱크 속에 2내지 20%(중량)염화나트륨 25내지 40℃의 수용액(水溶液)에서 기포(氣泡)가 발생하여 상하 교류(上下 交流 Turning upside down)가 이루어지는 탱크 속으로 3내지 10분간 통과 세척한다.
2차로 2내지 10%(중량)의 식초 탱크 속에 27내지 42℃의 가온 액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 교류를 통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고 3차로 29내지 44℃의 정수탱크 속에서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로 교류하는 탱크 속에서 3내지 10분간염화나트륨과 식초를 세척하고 흐르는 상온(常溫)수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 교류하는 탱크의 2내지 6번 탱크를 차례로 Conveyer belt로 이동 세척하여 표피(表皮)의 이물질(異物質)과 잔유 농약(殘油農藥) 및 박테리아(Bacteria)를 제거(除去)한다.
제2공정 : 증삼(蒸蔘 Steaming)
세척한 수삼을 100±5℃의 증기(蒸氣)에 30내지 90분간 쪄(烝蔘 Steaming)서 수삼의 색깔이 연한 미색을 될 때까지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시킨다.
제3공정 : 생 커피콩 선별/ 파쇄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을 정수에 2내지 6시간 침적 부유물을 제거하고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調節)되는 롤(Roller) 파쇄기로 가압 파쇄(加壓 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4공정 : 차가버섯/ 계피 선별/ 파쇄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경화된 검은 표피를 제거하고 계피(桂皮Cinnamon)와 같이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5공정 : 건 지구자 열매/ 건 박하 혼합/ 파쇄
건 지구자 열매(枝具子 korean raisin)/ 찐삼(烝蔘)/ 생 커피콩/ 차가버섯/ 계피(桂皮Cinnamon)/ 건 박하엽(薄荷 Peppermint)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6공정 : 분말 원료 혼합 수용액
설탕(雪糖)/ 구연산(枸 酸 Citric Acid)/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스테비오사이드(天然甘味料 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린(Alanine)을 혼합 2내지 5배(중량)의 정수로 25내지 35℃의 수용액을 만든다.
제7공정 : 침적/ 전이
혼합 수용액 온도를 25내지 35℃로 유지하면서 일정 크기로 분쇄된 원료를 혼합 수용액에 3내지 10시간 침적(沈積)전이(轉移)시키어 혼합 분쇄물의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 되도록 한다.
제8공정 : 탈피/ 선별
양파와 마늘의 표피를 에이와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100±5℃의 증기로 10내지 20분간 쪄(蒸)서 강한 냄새(香)를 제거한다.
제9공정 : 절단/ 가압/ 분쇄/ 혼합/ 성형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3상 3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절단기(切斷機)를 이용하여 5내지 10㎜의 크기로 절단하고 생 솔잎이나 순 속에 있는 송유(松油)와 탈피한 봉숭아 과육을 5내지 10㎜로 절단한 다음에 잘 혼합하도록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 분쇄/ 혼합/ 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0공정 : 혼합/ 가압/ 분쇄/ 혼합/ 전이/ 성형
찐 양파/ 찐 마늘/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特秀 機械)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1공정 : 배합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배합기로 1차 혼합 수용액에 침전 전이시킨 혼합물과 2차 혼합 가압/ 분쇄/ 전이/ 성형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5내지 10분간 배합한다.
제12공정 :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 전이(轉移)/ 성형(成形)
배합한 것을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시키고 1내지 2㎜의 크기로 성형(成形)을 1회 공정(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는 특수 기계를 통하여 성형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고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3공정 :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
혼합 성형(混合成形)이 된 혼합물(混合物)을 30내지 50℃의 열풍이 교류(交流)하는 다단 건조실(多段 乾燥室)에서 가로90/ 세로120/ 높이5(㎝)의 철 구조물 밑면에 지름이 3㎜크기의 구멍(孔)이 사방으로 연결된 철망 위에 천을 깔고 혼합물을 넣고 자외선(紫外線 Ultraviolet rays, 메탈 할라이드 U. V) 등(燈 Lamp)을 10내지 30시간 조사하여 숙성(熟省)/ 갈변(褐變)/ 건조(乾燥)시키면 표면경화(表面硬化)에 의하여 혼합물은 더욱 부피의 농축(濃縮)이 이루어지고 혼합물 중 찐 수삼(烝蔘)이 홍삼(紅蔘)으로 변화되고 8내지 12%의 수분을 유지하는 바이오 주취(酒醉) 팔일오의 발명이 이루어지게 하는 공정이 노하우다.
제14공정 : 가압(加壓)/ 발포(發砲
건조된 주취(酒醉)팔일오를 2내지 8kg/㎠의 가압(加壓)시키고 발포(發砲)되는 특수기계를 이용하여 생성된 주취(酒醉)팔일오의 조직 속에 다공(多孔Porosity)을 형성시키어 순간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공정 (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5공정 : 순간 냉동(瞬間冷凍)/ 동파(凍破)
발포로 다공을 형성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영하30내지 50℃의 냉동실로 발포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순간 추락시키어 동파(凍破)에 의하여 세미(微細)한 다공(多孔Porosity)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향(香)과 성분(成分 Ingredient)의 발산(發散 Staling)을 억제(抑制)시키어 품질을 상승시키는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6공정 : 절단 분쇄(切斷 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選別)
동파(凍破)로 다공(多孔)을 형성한 혼합물을 무균실(無菌室)에서 3상 10마력 60내지 250rpm으로 절단 분쇄(切斷 分碎)하고 250rpm으로 회전되는 동력 축을 이용하여 3단 철망(網)에 의하여 자동 균질(自動 均質)하면서 균질 망(網)위에 살균 등(燈 Lamp)을 장취하여 자동 살균하면서 1내지 2㎜의 크기로 자동 선별(選別)하여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라는 새로운 물질의 절단 분쇄(切斷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選別)이 단일 공정(單一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노하우다.
이때 발생하는 주취(酒醉)팔일오의 가루(粉)는 주취(酒醉)팔일오의 100내지 200㎎의 캡슐과 설탕과 과당류 30내지 50%(중량)에 주취(酒醉)팔일오 분말 70내지 50%(중량)의 캔디의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료(原料)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성(經濟性)을 높이는 노하우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제17공정 : 주입(注入)
선별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일회용 천이나 여과지에 주머니에 일정량1내지 2g를 주입(注入)하여 일회용 티백으로 완성되고, 냉 온수에 침적(沈積) 즉시(卽時) 기포(氣泡)를 발생하면서 부상(浮上)하면서 즉시 성분을 침출(浸出)시키면서 침적되는 본 발명의 노하우가 있다.
제18공정 : 검사(檢査)/ 포장(包裝)
일회용 티백으로 주입된 주취(酒醉)팔일오의 검사에 합격한 것을 보존(保存)과 운송(運送) 및 휴대(携帶)에 편리하게 PP/ PE를 사용하여 방향 방습(Heat seal type)포장으로 발명을 완성한다.
주취(酒醉) 팔일오의 효과
1. 술(酒 Alcohol)과 인체
1>술(酒 Alcohol)의 이용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방법으로 환경의 변화를 추구하기 위하여 술이라는 알코올을 이용하여 자존을 나타내고자 했다. 환경의 개념은 물리적 환경과 사회적 환경 규범적 환경으로 크게 3가지 차원에서 구분하여 볼될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차이는 있지만 술과 신앙에 의하여 자존을 유지하여 왔다.
우리의 속담에는 경사(慶事)에도 한잔 애사(哀事)에도 한잔이라는 말이 환경에 대응하는 자존을 유지하는 외력(外力)으로 술을 이용한 것을 잘 나타내고 있다.
2>술(酒 Alcohol)의 대사(代謝 Metabolism)
인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대사라고 하면 알코올의 대사는 인체 내에서 알코올이 다른 물질로 변화되는 화학반응을 알코올의 대사가 된다.
술(酒 Alcohol)은 물에 잘 녹아 입을 통하여 흡수한 술은 위장관에서 흡수를 시작하여 혈류를 통하여 뇌와 간 그리고 신체 각 조직으로 이동된다.
혈류(血流)를 통하여 간(肝)에 이동된 술(酒 Alcohol)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라는 효소에 의하여 산화되어 아세트알테히드(Acetaldehyde)가 되고 또 알데이드 탈수소효소(Aldehyde dehydrogenase, ALDH)에의하여 다시 산화(代謝 Metabolism)되어 식초산으로 변한다.
식초산으로 변한 술(酒 Alcohol)은 각 조직으로 운반되어 아세틸 CoA를 거쳐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변화여 배출된다.
알코올은 간(肝)에서 분해되는 대사가 이루어지고 카본디옥사이드와 물을 남기고 한 시간당 7g정도 분해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간(간)에서 대사를 받지 못한 술(酒 Alcohol)은 혈류에 남아 있다가 숨(허파)/ 피부/ 뇨(Urine)로 되지만 미량으로 이루어지고 대사때 발생하는 아세트알데이드는 독성이 강하므로 주취의 원인이 되고 머리를 아프게 하고 스트레스(Stress)를 유발한다.
평상시 우리의 인체는 술(酒 Alcohol)이 섭취량이나 혈중농도에 관계없이 매시간당 일정량(7g)만 대사(代謝 Metabolism)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술(酒 Alcohol)이 우리 몸에서 대사(代謝 Metabolism)작용이 이루어지는 동안 우리는 술(酒 Alcohol)의 량과 체질에 따라 약하게 또는 심하게 고통을 받는다. 이것을 우리는 주취하고 한다.,
우리의 몸이 주취에서 신속하게 해방되기 위하여서는 외적요소로 몸속에 있는 술(酒 Alcohol)의 대사(代謝 Metabolism)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요약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간의 기능을 상승시키고/ 피와 공기의 접촉의 량을 증가시키고/ 다요를 촉진시키고 혈류의 흐름을 촉진 시키어 땀으로 피부를 통하여 배출시키는 4가지 기능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3>혈중 알코올의 농도(BAC)
<1>순수 알코올의 량
우리가 마시는 용기의 소주 한잔 맥주 한 캔 양주 한잔의 알코올의 량은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우리의 몸에 주는 영양도 같다고 보면 된다.
보통 시중에서 이용되는 용기를 개량하여 보면 소주1병은 7잔/ 양주한 병은18잔/ 와인 한 병은 6잔정도 나온다.
주종별 순 알코올의 계산하면 맥주 355㎖는 3내지 6% (보통 4%)로 순 알코올은 14㎖(한 캔에 14㎖)이고, 소주 360㎖는 20내지 25%(보통25%)로 순 알코올은 90㎖소주 한잔에 13㎖)이고, 위스키(양주)750㎖는 40내지 50%(보통40%)로 순 알코올은 300㎖(양주 한잔에 15㎖)이고, 와인 750㎖는 10내지 12%(보통12%)로 순 알코올은 90㎖(와인 한 잔에 15㎖)이다.
<2>혈중 알코올 의 농도
혈중 알코올농도(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은 혈액 100㎖당 알코올의 %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BAC라고 한다.
보통 사람이 양주 한잔을 마시면 1시간 이내에 0.02내지 0.03%에 도달한다. 두잔 마시면 0.04내지 0.06%를 나타내고 약간의 홍분 상태로 호기를 부리기 시작하는 상태다.
인간은 혈중 알코올농도(Blood alcohol concentration, BAC)가 0.10내지 0.12%가 되면 몸의 균형을 잃고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없고 횡설수설하게 된다.
계속하여 술(酒 Alcohol)을 마시면 0.2%가 되면 몸을 가누지 못하고 0.3%가 되면 의식이 없어지고 0.4%가 되면 사망하게 된다.
2. 주취(酒醉) 팔일오 효과
1>혈중 알코올농도 표준 대조군(65내지 70kg의 성인 남자)
구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1잔 0.013 0 0 0 0 0 0 0
2잔 0.042 0.026 0 0 0 0 0 0
3잔 0,071 0.055 0.039 0.023 0.007 0 0 0
4잔 0.099 0.083 0.067 0.051 0.035 0.019 0.033 0.
5잔 0.128 0.112 0.096 0.080 0.064 0.048 0.032 0.016
6잔 0.157 0.141 0.125 0.109 0.093 0.077 0.061 0.045
7잔 0.186 0.170 0.154 0.138 0.122 0.106 0.090 0.074
표 1(주종 : 양주/ 단위 %)
2>주취(酒醉)팔일오 1.5g티백 6개를 사용한 후 1시간 노래방에서 30 분간 노래를 부른 대조군(65내지 70kg의 성인 남자)
주취 팔일오 사용 방법 : 250㏄온수에 티백 2개를 추출 음주 20분전 음용하고 30분내 250㏄온수에 티백 2개를 사용 음용하고 30분후 250 ㏄온수에 티백 2개를 사용하여 음용하는 음주 시간 1시간 소요.
구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6시간 7시간 8시간
1잔 0.003 0 0 0 0 0 0 0
2잔 0.034 0.020 0 0 0 0 0 0
3잔 0,056 0.041 0.027 0.002 0 0 0 0
4잔 0.079 0.062 0.047 0.031 0.018 0.009 0.006 0.
5잔 0.096 0.089 0.065 0.048 0.032 0.024 0.016 0.006
6잔 0.118 0.099 0.081 0.065 0.046 0.035 0.024 0.015
7잔 0.139 0.124 0.108 0.083 0.059 0.048 0.036 0.025
표 1(주종 : 양주/ 단위 %)
평균 30%이상 신속한 알코올 분해가 이루어지고 있음.
알코올 측정기 : Business man 알코올 측정기 카오스(주)
CA-2000 후막센스 내장 9V 알카라인 건전지 사용
주취(酒醉)팔일오의 효과는 원료의 기능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알코올 (Alcohol)의 분해를 촉진시키어 주취에서 신속하게 해방시키고 스트레스 (Stress)에서 해방되는 기능이 확인되므로 무심코 마시는 한잔의 차도선별 하여 마시므로 생활에 유익하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주취(酒醉)를 회복(回復)하기 위하여서는 4대 대사(代謝 Metabolism)가 필수 (必需)의 조건으로 알코올(Alcohol)의 해독을 위하여 간(肝)의 기능을 촉진 시키는 기능이 있는 약재가 필요하고, 몸속에 있는 알코올(Alcohol)을 신속 하게 배설시키므로 알코올(Alcohol)에서 해독될 수 있기 때문에 이뇨 작용을 촉진시키는 기능의약재가 필요하고, 폐(肺)에서 피와 공기(酸素)가 접촉할 알코올(Alcohol)을 코와 입을 통하여 체외(體外)로 발산 촉진시키는 기능의 약재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전체의 기능을 촉진 시키는 것은 혈액순환(血液循環)으로 혈액순환을 촉진(促進)시키는 기능의 약재(藥材)와 운동 즉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이 좋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재는 상기 4대 대사(代謝 Metabolism)의 4가지 기능이 우수한 약재를 사용하여 기능적 조화를 이루는 구성적 배합에 의하여 상승효과(上昇效果)가 이루어진 발명(發明)이다.
(참고 문)
食品工業 (世文社) 梁 漢喆
藥과人間 (삶과 꿈) 沈 相龍
비타민C가 보이면 건강이 보인다. 이 왕재
인삼의 신비 (교문사) 최 진호
21세기 고려인삼 세계화 (인삼 협동조합 중앙회)
인삼 산업의 세계화 전략 (해남) 박 상원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홍 원식추천
외국 기자가 본 한국 인삼 (전매청)
알코올 상식 백과(대한 주류 공업 협회)
식품 가공학 (신광출판사) 장 학길 이 영택

Claims (2)

  1. 발명의 구체적인 공정
    특정 원료의 정의.
    본 발명에서 수삼이라 함은 주근(주근 지름10㎜이상)과 지근(지근 지름3내지 9㎜이하)과 세근(세근 3㎜이하)이 있는 4년근 이상으로 주근5%(중량)와 지근10%(중량)와 세근85%(중량)를 혼합 것을 수삼(水蔘 Fresh insam)이라 한다.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은 커피나무에서 잘 익은 생 열매를 채취하여 외피 및 두터운 펄프(果肉 Chaff)를 제거(除去)한 다음 속에 있는 열매를 볶지(焙煎 Roasting)않은 상태의 열매로 약10㎜정도의 길이이고 무게는 약 0.12g정도의 중량으로 처음에는 녹색을 띠고 희색에서 푸른색 또는 붉(赤)은 색에서 갈색(褐色)으로 변하는 열매(實)를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이라한다.
    차가버섯(Chaga mushroom)은 버섯은 균사체(菌絲體)로 자실체는 무 생식(無 生植) 형태의 헛꽃(Barren flower)의 열매라고 할 수 있고 박달나무(자작나무)의 즐기나 가지의 상처(傷處)를 통하여 균사체(菌絲體)가 침투하여 기생(寄生)하는 것으로 너비가 7내지 30㎝의 말발굽 모양의 다당균(多糖菌) 덩어리 모양을 한 버섯(Mushroom)으로 지름 5내지 8㎜크기로 절단한 것을 차가버섯(Chaga mushroom)이라 한다.
    스테비오사이드(天然 甘味料 Stevioside)는 국화과(菊花科)의 스테비아 다년생(多年生) 초본의 잎을 추출(抽出) 정제한 분말의 천연 감미료(天然 甘味料)를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라 한다.
    솔잎(松葉) 순은 솔잎과 순(어린 가지)을 말하는 것으로 새 순이 나는 4월과 5월의 새 솔잎과 새순은 품질이 제일 좋은 것으로 사용하기에도 적당하나 순이 없는 시기에는 솔잎이 붙은 연한 거지를 사용해도 된다.
    제1공정 : 선별(選別)/ 세척(洗滌) 공정.
    수삼(水蔘 Fresh insam)을 선별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나무 원통의 생 수삼을 넣고 회전하면서 정수된 물을 중앙에서 고압 분무(高壓 噴霧)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여 이물질을 1차로 제거하고 콘베이어(Conveyer belt)에 주머니가 있는 자동 세척기(自動 洗滌器)를 이용하여 1번 탱크 속에 2내지 20%(중량)염화나트륨 25내지 40℃의 수용액(水溶液)에서 기포(氣泡)가 발생하여 상하 교류(上下 交流 Turning upside down)가 이루어지는 탱크 속으로 3내지 10분간 통과 세척한다.
    2차로 2내지 10%(중량)의 식초 탱크 속에 27내지 42℃의 가온 액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 교류를 통하여 3내지 10분간 세척하고 3차로 29내지 44℃의 정수 탱크 속에서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 좌우로 교류하는 탱크 속에서 3내지 10분간 염화나트륨과 식초를 세척하고 흐르는 상온(常溫)수 속에 기포를 발생시키어 상하좌우 교류하는 탱크의 2내지 6번 탱크를 차례로 Conveyer belt로 이동 세척하여 표피(表皮)의 이물질(異物質)과 잔유 농약(殘油 農藥) 및 박테리아(Bacteria)를 제거(除去)한다.
    제2공정 : 증삼(蒸蔘 Steaming)
    세척한 수삼을 100±5℃의 증기(蒸氣)에 30내지 90분간 쪄(烝蔘 Steaming)서 수삼의 색깔이 연한 미색을 될 때까지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시킨다.
    제3공정 : 생 커피콩 선별/ 파쇄
    생 커피콩(Fresh green coffer bean)을 정수에 2내지 6시간 침적 부유물을 제거하고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調節)되는 롤(Roller) 파쇄기로 가압 파쇄(加壓 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4공정 : 차가버섯/ 계피 선별/ 파쇄
    차가버섯(Chaga mushroom)의 경화된 검은 표피를 제거하고 계피(桂皮Cinnamon)와 같이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5공정 : 건 지구자 열매/ 건 박하 혼합/ 파쇄
    건 지구자 열매(枝具子 korean raisin)/ 찐삼(烝蔘)/ 생 커피콩/ 차가버섯/ 계피(桂皮Cinnamon)/ 건 박하엽(薄荷 Peppermint)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핀 파쇄기의 망을 제거하고 파쇄(破碎)하여 2내지 4㎜ 크기의 입자로 파쇄(破碎 Crush)한다.
    제6공정 : 분말 원료 혼합 수용액
    설탕(雪糖)/ 구연산(枸 酸 Citric Acid)/ 비타민C(아스코르빈산 Ascorbic acid)/ 스테비오사이드(天然甘味料 Stevioside)/ 글루타민(Glutamine)/ 알라린(Alanine)을 혼합 2내지 5배(중량)의 정수로 25내지 35℃ 수용액을 만든다.
    제7공정 : 침적/ 전이
    혼합 수용액 온도를 25내지 35℃로 유지하면서 일정 크기로 분쇄된 원료를 혼합 수용액에 3내지 10시간 침적(沈積)전이(轉移)시키어 혼합 분쇄물의 조직을 연화(軟化 Softening) 되도록 한다.
    제8공정 : 탈피/ 선별
    양파와 마늘의 표피를 에이와 물을 이용하여 제거하고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100±5℃의 증기로 10내지 20분간 쪄(蒸)서 강한 냄새(香)를 제거한다.
    제9공정 : 절단/ 가압/ 분쇄/ 혼합/ 성형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3상 3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절단기(切斷機)를 이용하여 5내지 10㎜의 크기로 절단하고 생 솔잎이나 순 속에 있는 송유(松油)와 탈피한 봉숭아 과육을 5내지 10㎜로 절단한 다음에 잘 혼합하도록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 분쇄/ 혼합/성형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0공정 : 혼합/ 가압/ 분쇄/ 혼합/ 전이/ 성형
    찐 양파/ 찐 마늘/ 생 오리나무 수피/ 생 솔잎을 혼합하여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特秀 機械)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성형(成形)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어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1공정 : 배합
    3상 5마력 60내지 120rpm으로 조절되는 배합기로 1차 혼합 수용액에 침전 전이시킨 혼합물과 2차 혼합 가압/ 분쇄/ 전이/ 성형된 혼합물을 균일하게 5내지 10분간 배합한다.
    제12공정 :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 전이(轉移)/ 성형
    배합한 것을 3상 5마력 150내지 250rpm으로 조절되는 특수 기계로 가압(加壓)/ 파쇄(破碎)/ 혼합(混合)/ 전이(轉移)/ 시키고 1내지 2㎜의 크기로 성형(成形)을 1회 공정(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는 특수 기계를 통하여 성형하고 이때 발생하는 열은 혼합 수용액을 고압(高壓) 분무(噴霧)하여 냉각시키고 순도를 증가시킨다.
    제13공정 : 숙성(熟成)/ 갈변(褐變)/ 건조(乾燥)
    혼합 성형(混合成形)이 된 혼합물(混合物)을 30내지 50℃의 열풍이 교류(交流)하는 다단 건조실(多段 乾燥室)에서 가로90/ 세로120/ 높이5(㎝)의 철 구조물 밑면에 지름이 3㎜크기의 구멍(孔)이 사방으로 연결된 철망 위에 천을 깔고 혼합물을 넣고 자외선(紫外線 Ultraviolet rays, 메탈 할라이드 U. V) 등(燈 Lamp)을 10내지 30시간 조사하여 숙성(熟省)/ 갈변(褐變)/ 건조(乾燥)시키면 표면경화(表面 硬化)에 의하여 혼합물은 더욱 부피의 농축(濃縮)이 이루어지고 혼합물 중 찐 수삼(烝蔘)이 홍삼(紅蔘)으로 변화되고 8내지 12%의 수분을 유지하는 바이오 주취(酒醉) 팔일오의 발명이 이루어지게 하는 공정이 노하우다.
    제14공정 : 가압(加壓)/ 발포(發砲
    건조된 주취(酒醉)팔일오를 2내지 8kg/㎠의 가압(加壓)시키고 발포(發砲)되는 특수 기계를 이용하여 생성된 주취(酒醉)팔일오의 조직 속에 다공(多孔Porosity)을 형성시키어 순간 추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일 공정 (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5공정 : 순간 냉동(瞬間冷凍)/ 동파(凍破)
    발포로 다공을 형성한 주취(酒醉)팔일오를 영하30내지 50℃의 냉동실로 발포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순간 추락시키어 동파(凍破)에 의하여 세미(微細)한 다공(多孔Porosity)을 추가로 증가시키고 향(香)과 성분(成分 Ingredient)의 발산(發散 Staling)을 억제(抑制)시키어 품질을 상승시키는 노하우가 여기에 있다.
    제16공정 : 절단 분쇄(切斷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
    동파(凍破)로 다공(多孔)을 형성한 혼합물을 무균실(無菌室)에서 3상 10마력 60내지 250rpm으로 절단 분쇄(切斷 分碎)하고 250rpm으로 회전되는 동력 축을 이용하여 3단 철망(網)에 의하여 자동 균질(自動 均質)하면서 균질 망(網)위에 살균 등(燈 Lamp)을 장취하여 자동 살균하면서 1내지 2㎜의 크기로 자동 선별(選別)하여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라는 새로운 물질의 절단 분쇄(切斷 分碎)/ 균질(均質)/ 살균(殺菌)/ 선별(選別)이 단일 공정(單一 工程 Progress of work)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또 다른 노하우다.
    이때 발생하는 주취(酒醉)팔일오의 가루(粉)는 주취(酒醉)팔일오의 100내지 200㎎의 캡슐과 설탕과 과당류 30내지 50%(중량)에 주취(酒醉)팔일오 분말 70내지 50%(중량)의 캔디의 주원료로 사용하여 원료(原料)의 손실을 방지하여 경제성(經濟性)을 높이는 노하우가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제17공정 : 주입(注入)
    선별된 주취(酒醉)팔일오를 일회용 천이나 여과지에 주머니에 일정량1내지 2g를 주입(注入)하여 일회용 티백으로 완성되고, 냉 온수에 침적(沈積) 즉시(卽時) 기포(氣泡)를 발생하면서 부상(浮上)하면서 즉시 성분을 침출(浸出)시키면서 침적되는 본 발명의 노하우가 있다.
    제18공정 : 검사(檢査)/ 포장(包裝)
    일회용 티백으로 주입된 주취(酒醉)팔일오의 검사에 합격한 것을 보존(保存)과 운송(運送) 및 휴대(携帶)에 편리하게 PP/ PE를 사용하여 방향 방습(Heat seal type)포장으로 발명을 완성한다.
  2. 원료의 배합 비율(% 중량)
    1. 생 수삼 : 5내지 15
    2. 생 커피콩 : 6내지 18
    3. 차가버섯 : 4내지 12
    4. 계피 : 2내지 6
    5. 건 지구자 열매 : 6내지 18
    6. 건 박하 엽 : 6내지 18
    7. 설탕 : 5내지 15
    8. 구연산 : 3내지 9
    9. 비타민 C : 2내지 8
    10. 스테비오사이드 : 2내지 6
    11. 글루타민 : 2내지 5
    12. 알라닌 : 2내지 5
    13. 양파 : 2내지 6
    14. 마늘 : 1내지 3
    15. 생 오리나무 수피 : 6내지 18
    16. 생 솔 순/ 잎 : 2내지 8
    17. 봉숭아과육 : 2내지 8
KR1020040088644A 2004-11-03 2004-11-03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KR200401038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44A KR20040103835A (ko) 2004-11-03 2004-11-03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8644A KR20040103835A (ko) 2004-11-03 2004-11-03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835A true KR20040103835A (ko) 2004-12-09

Family

ID=3737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8644A KR20040103835A (ko) 2004-11-03 2004-11-03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038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801B1 (ko) * 2004-12-09 2006-10-19 전용진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및 제조방법
WO2017081503A1 (en) * 2015-11-12 2017-05-18 Ocskay László Filter bag containing a porous frozen filler medium and frozen filler embedded in i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filter ba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801B1 (ko) * 2004-12-09 2006-10-19 전용진 차가버섯을 이용한 음료수 첨가제 및 제조방법
WO2017081503A1 (en) * 2015-11-12 2017-05-18 Ocskay László Filter bag containing a porous frozen filler medium and frozen filler embedded in i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filter ba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052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20150040392A (ko) 스테비아 음료원액제조방법
KR20090032158A (ko) 가압전이(加壓轉移)에 의한 과일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483255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20131337A (ko) 인진쑥, 헛개나무, 민들레, 대추, 갈근 및 오가피의 각각의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1452884B1 (ko) 총백을 이용한 기능성 한방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253B1 (ko) 고량강, 풀솜대 및 흑마늘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0900279B1 (ko) 옥수수수염, 메밀, 녹차 및 스테비오사이드를 함유하는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KR102452902B1 (ko) 한약재 토종 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675B1 (ko) 관상동맥성 심장질환의 예방과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090050136A (ko) 대추버섯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36053B1 (ko)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KR101491732B1 (ko) 홍시를 이용한 아이스크림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홍시 아이스크림 제조방법
KR20220063978A (ko) 파인애플을 이용한 엉겅퀴와 솔잎, 마늘, 양파, 머위, 모과, 석류, 백하수오, 민들레, 은행 발효물의 제조방법
Bakhru Indian spices & condiments as natural healers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40103835A (ko) 바이오 주취(酒醉)팔일오(815)
KR20090021410A (ko) 피로할 때 마시는 대추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94284B1 (ko) 머위, 매실 및 함초를 함유하는 침출차와 액상추출차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한 침출차와 액상추출차
KR20090014254A (ko) 달콤한 미나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40078076A (ko) 발포(發砲)에 의한 바이오한약탕제 침출(浸出)탕
KR10085225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36322B1 (ko) 고추장 굴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추장 굴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