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01543A - 휴대 전화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01543A
KR20040101543A KR10-2004-7016831A KR20047016831A KR20040101543A KR 20040101543 A KR20040101543 A KR 20040101543A KR 20047016831 A KR20047016831 A KR 20047016831A KR 20040101543 A KR20040101543 A KR 2004010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hotographing
subject
display
information necess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6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883B1 (ko
Inventor
니시모토유키오
칸자키에이지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돗도리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돗도리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피사체를 촬영하는 CCD 카메라(8)와, 서브 LCD(9)와,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미도시)와, CCD 카메라(8)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서브 LCD(9)에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미도시)을 구비하고, 케이스(1)와 케이스(2)가 90도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도 CCD 카메라(8)의 촬영 범위로부터 서브 LCD(9)의 표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CCD 카메라(8)와 서브 LCD(9)가 케이스(1)의 동일면에 설치된 휴대 전화 장치.

Description

휴대 전화 장치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근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그리고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는, 일반적으로 셀프타이머 기능을 갖고 있다. 셀프타이머 기능을 갖는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A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5B는 배면 사시도이다.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500)는 케이스(501)와 케이스(502)가 힌지(503)에 의하여 서로 절첩(折疊; 접어서 포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피커(504)와 메인 LCD(Liquid Crystal Display)(505)가 케이스(501)의 정면에 설치되고, 키 입력부(506)와 마이크로폰(507)이 케이스(502)의 정면에 설치된다.
케이스(501)의 배면에는 케이스(501)와 케이스(502)가 절첩된 상태일 때, 안테나 상황, 배터리 잔량, 착신의 유무 등을 유저에게 알려주는 서브 LCD(509)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502)의 배면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카메라(508)의 입상(入像)용 렌즈(5081), 안테나(510)와 표시용 LED(Light Emitting Diode)(511)가 설치된다. 표시용 LED(511)는 CCD 카메라(508)의 피사체(인물)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위치에 설치된다.
유저의 키 조작에 의해 셀프타이머 모드가 선택되면, 내부 타이머가 기동하고, 표시용 LED(511)가 점멸하기 시작한다. 그 후,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단계적으로 표시용 LED(5l1)의 점멸 주기가 짧아진다. 그리고 소정의 기간 경과 후에, 자동적으로 정지 화상이 촬영된다. 촬영이 종료되면 표시용 LED(511)는 소등한다.
이와 같이 표시용 LED(511)의 점멸 주기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사체(인물)에게 셔터 타이밍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또, 셀프타이머 모드에서의 셔터 타이밍을 소리에 의해 피사체(인물)에 알려주는 휴대 전화 장치도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휴대 전화 장치에 의하면 빛이나 소리에 의해 알려주기 때문에, 피사체(인물)에게 셀프타이머 모드에서의 셔터 타이밍을 대략적으로 전하는 것은 가능해도 정확한 셔터 타이밍을 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빛이나 소리에 의한 알림으로는 셔터 타이밍 등의 단순한 정보밖에 피사체(인물)에게 전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를 설치한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 도 1b는 본 발명에 관계된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된 휴대 전화 장치가 90도 절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휴대 전화 장치의 카메라 기능에 관한 회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CPU의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A, 도 5B는 셀프타이머 기능을 갖는 종래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카메라 촬영시 상세한 정보를 피사체에게 알려줄 수 있는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카메라 촬영시, 상세한 정보를 피사체에 알려주는 동작을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가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 수단과,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촬영할 때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범위로부터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한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표시 수단은 피사체의 상(像)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제 1 표시부의 배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갖는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제 2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제 1 표시부에도 표시하였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셔터 버튼과, 당해 셔터 버튼의 제 1 눌림 위치와 제 2 눌림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당해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눌림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 2 눌림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는, 피사체에 대한 메시지, 셀프타이머의 남은 시간, 또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 맞춤 상태로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2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케이스가 서로 절첩 가능한 절첩 구조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표시 수단을 동일 케이스의 동일 면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된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의 외관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배면 사시도이다.
휴대 전화 장치(100)는 케이스(1)와 케이스(2)가 힌지(3)에 의하여 서로 절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스피커(4)와 메인 LCD(5)가 케이스(1)의 정면에 설치되고, 키 입력부(6)와 마이크로폰(7)이 케이스(2)의 정면에 설치된다. 또, CCD 카메라(8)의 입상용 렌즈(81)와 서브 LCD(9)가 케이스(1)의 배면에 설치되고, 안테나(10)가 케이스(2)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CCD 카메라(8)의 렌즈(81)와 서브 LCD(9)가 케이스(1)의 동일면에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와 케이스(2)를 90도로 절첩하고 케이스(2)의 배면을 받침(臺)으로 하여 촬영을 행한 경우에도 피사체(인물)가 서브 LCD(9)의 화면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 CCD 카메라(8)의 렌즈(81)와 서브 LCD(9)가 케이스(1)의 동일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LCD(9)를 CCD 카메라(8)의 렌즈(81) 근방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 촬영시 피사체(인물)가 서브 LCD(9)의 화면을 보는 경우에도 피사체(인물)의 시선이 CCD 카메라(8)의 렌즈(81)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휴대 전화 장치(100)는 외부 스트로보 장치(미도시)가 장착 가능하다.
도 3은 휴대 전화 장치(100)의 회로 블록도이다. 덧붙여 말하면, 도 3에 있어서 전화기능에 관한 회로 블록은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지만, 당연히 휴대 전화 장치(100)는 안테나, 무선부, 스피커, 마이크로폰, 음성 처리부 및 음성 부호화부 등의 전화기능에 관한 회로 블록도 구비하고 있다. 또, 도 3에 있어서 도 1a, 도 1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CPU(Central Processor Unit)(11)는 키 입력부(6) 및 서브 LCD(9)에 접속되고, 또한 버스(16)를 이용하여 CCD 카메라(8), 플래시 메모리(12), R0M(Read Only Memory)(13) 및 화상 처리 회로(14)에 접속된다. 또, CCD 카메라(8)가 화상 처리 회로(14)에 접속되고, 화상 처리 회로(14)가 메인 LCD(5)에 접속된다.
CPU(11)는, 키 입력부(6)의 출력 신호 및 ROM(13) 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CCD 카메라(8), 서브 LCD(9), 플래시 메모리(12) 및 화상 처리 회로(14)의 동작을 제어한다. CPU(11)는 전화기능의 제어도 행하지만,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촬영이 행해질 때 휴대 전화 장치(100)의 동작에 관하여 도 3의 회로 블록도 및 도 4의 플로우차트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촬영이 행해질 때, 유저의 키 조작에 의해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면, 키 입력부(6)는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CPU(11)에 출력한다.
CPU(11)는, 키 입력부(6)로부터 송출된, 카메라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입력하면, CCD 카메라(8)를 기동시킨다. CCD 카메라(8)는 렌즈(81)를 이용하여 상이 맺힌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그 전기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 후, 화상 처리 회로(14)에 출력한다. 또한, CCD 카메라(8)는, 렌즈(81)를 이용하여 입력한 광량에 따라 전기 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기 위해 게인(gain)을 결정하고 있다.
화상 처리 회로(14)는 아날로그 신호인 CCD 카메라(8)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소정의 화상 처리를 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이 화상 신호가 메인 LCD(5)에 송출된다. 이것에 의해, 메인 LCD(5)가 CCD 카메라(8)로 받아들여진 화상(동(動)화상)을 표시한다.
그리고 도 4의 플로우차트에 있어서, CPU(11)는 CCD 카메라(8)로부터 CCD 카메라(8)가 입력하고 있는 광량의 정보를 수취하여, 그 광량이 소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 그 광량이 소정치 이상이라면(단계 S10이 Yes), 단계 S30으로 이행한다.
한편, 그 광량이 소정치 이상이 아니면(단계 S10이 No), CPU(11)는 플래시 메모리(12)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플래시를 사용하여 주세요」등의 경고 메시지를 읽어내어 그 경고 메시지를 서브 LCD(9)에 표시시키고(단계 S20), 그 후 단계 S30으로 이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CPU(11)가 키 입력부(6)의 출력 신호에 기하여 셀프타이머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유저의 키 조작에 의해 셀프타이머 모드가 선택되면, 키 입력부(6)는 셀프타이머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CPU(11)에 출력한다.
셀프타이머 모드라면(단계 S30이 Yes), CPU(11)는 내부 타이머를 기동하고(단계 S40), 촬영까지의 남은 시간을 산출하여 촬영까지의 남은 시간을 1초마다 서브 LCD(9)에 표시 시킨다(단계 S50). 그리고 CPU(11)는 촬영까지의 남은 시간이 제로인지 아닌지를 판정하여(단계 S60), 촬영까지의 남은 시간이 제로의 경우는 단계 S100으로 이행하고, 촬영까지의 남은 시간이 제로가 아닌 경우는 단계 S50으로 이행한다.
한편, 셀프타이머 모드가 아니면(단계 S30이 No), CPU(11)는 키 입력부(6)의 출력 신호에 기하여 메시지 표시 모드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70). 또한, 유저의 키 조작에 의해 메시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면, 키 입력부(6)는 메시지 표시 모드가 선택되었다는 취지의 신호를 CPU(11)에 출력한다.
메시지 표시 모드라면(단계 S70이 Yes), CPU(11)는 플래시 메모리(12)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네, 웃고!」등의 메시지를 읽어내어 그 메시지를 서브 LCD(9)에 표시시키고(단계 S80), 그 후 단계 S90으로 이행한다.
덧붙여, 메시지의 문자수가 서브 LCD(9)의 표시 문자수보다도 많은 경우는,서브 LCD(9)가 스크롤 표시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플래시 메모리(12)가 미리 기억하고 있는 메시지에는, JIS(Japanese Industrial Standard)에 포함되는 문자뿐만 아니라 그림 문자 등의 JIS에 포함되지 않는 문자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시지 표시 모드가 아니라면(단계 S70이 No), 단계 S90으로 이행한다. 단계 S90에서는 CPU(11)가 키 입력부(6)의 출력 신호에 기하여 셔터 버튼을 정의하는 키가 눌렸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셔터 버튼을 정의하는 키가 눌린 것이면(단계 S90이 Yes), 단계 S100으로 이행한다.
단계 S100에서는, CPU(11)의 제어에 의해 CCD 카메라(8)가 정지 화상을 촬영한다. 단계 S110에서 CPU(11)는 서브 LCD(9)의 표시를 정지하고, 단계 S120에서는 촬영한 정지 화상을 메인 LCD(5)에 표시한다. 아날로그 신호인 CCD 카메라(8)의 출력 신호는 CPU(11)의 제어에 의하여 화상 처리 회로(14)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소정의 화상 처리를 하여 화상 신호를 생성한다.
화상 처리 회로(14)는 이 화상 신호에 압축 처리를 하고 압축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S130에서, CPU(11)의 제어에 의하여 플래시 메모리(12)에 압축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단계 S130의 처리를 행한 후, CPU(11)는 카메라 모드의 처리를 종료한다.
휴대 전화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 거리는 통상 50cm 정도이기 때문에, 피사체(인물)는 단계 S20, 단계 S50 및 단계 S80에 있어 서브 LCD(9)에 표시된 문자열을 충분히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전화 장치(100)는 카메라 촬영시 다양한 상세한 정보를 피사체(인물)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촬영시의 메시지나 셀프타이머의 남은 시간뿐만 아니라, 단계 S50에 있어서 피사체의 초점 맞춤 상태를 표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초점이 맞춰져 있지 않는 경우에 피사체는 초점이 맞춰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지나친 접근에 의한 촬영의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서브 LCD(9)에 더하여 메인 LCD(5)에도 동일한 메시지나 초점 맞춤 상태 등을 표시하면, 서브 LCD(9)의 표시 상태를 촬영자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CCD 카메라(8)의 촬영 범위로부터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LED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단계 S20, 단계 S50 및 단계 S80에 있어서 서브 LCD(9)의 표시에 수반하여 LED를 점멸시켜도 좋다. 또, 상기 단계 S20, 단계 S50 및 단계 S80에 있어서 서브 LCD(9)의 표시에 수반하여 소리를 발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단계 S70부터 단계 S100에 있어서, 키 입력부(6)의 셔터 버튼을 정의하는 키에 2단식의 키를 사용하여, 제 1 단째의 키의 눌림에 의하여 카메라부(8)가 초점을 맞춤과 함께 서브 LCD(9)에 상술한 메시지를 표시시키고, 제 2 단째의 키의 눌림으로 촬영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피사체(인물)는 곧 촬영되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셔터 타이밍에 맞추어 포즈를 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CCD 카메라(8)의 렌즈(81)와 서브 LCD(9)를 케이스(1)의 동일면에 설치한 구성의 휴대 전화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서로 절첩 가능한2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고, 일측 케이스의 배면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타측 케이스의 배면에 표시 수단을 설치한 휴대 전화 장치이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2개의 케이스가 서로 절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 범위로부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전화 장치가,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 수단과, 소정의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소정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의 촬영 범위로부터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피사체(인물)가, 카메라 촬영 때,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메시지 등의 소정의 정보를 볼 수 있다.
그리고 휴대 전화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의 촬영 거리는 통상 50cm 정도이기 때문에, 피사체(인물)는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메시지 등의 소정의 정보를 충분 판독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카메라 촬영 때 상세한 정보를 피사체에 알려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성에 더하여 2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케이스가 서로 절첩 가능한 절첩 구조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표시 수단을 동일 케이스의 동일면에 설치하기 때문에, 카메라 촬영시 피사체(인물)가 상기 표시 수단의 화면을 보는 경우에도 피사체(인물)의 시선이 상기 카메라로부터 크게는 빗나가지 않게 된다.
또, 2개의 케이스를 도중까지 절첩한 상태(예를 들면 90도 절첩한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 및 상기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케이스의 외측면(배면)을 받침으로 하여 사용하여 카메라 촬영을 할 수 있다.

Claims (8)

  1.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표시 수단과,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카메라가 상기 피사체를 촬영할 때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휴대 전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촬영 범위로부터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한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피사체의 상(像)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와, 제 1 표시부의 배면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 2 표시부의 표시 내용을 제 1 표시부에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셔터 버튼과, 당해 셔터 버튼의 제 1 눌림 위치와 제 2 눌림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구비하여,
    당해 검출 수단이 상기 제 1 눌림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제 2 눌림 위치를 검출하면 상기 카메라는 상기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는 피사체에 대한 메시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는 셀프타이머의 남은 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에 필요한 정보는 상기 카메라의 초점 맞춤 상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케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2개의 케이스가 서로 절첩 가능한 절첩 구조의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장치로서, 상기 카메라의 입상부와 상기 표시 수단을 동일 케이스의 동일면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 장치.
KR1020047016831A 2002-05-15 2003-02-24 휴대 전화 장치 KR1006248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40382A JP4313545B2 (ja) 2002-05-15 2002-05-15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JP-P-2002-00140382 2002-05-15
PCT/JP2003/002012 WO2003098921A1 (fr) 2002-05-15 2003-02-24 Telephone por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1543A true KR20040101543A (ko) 2004-12-02
KR100624883B1 KR100624883B1 (ko) 2006-09-19

Family

ID=2954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6831A KR100624883B1 (ko) 2002-05-15 2003-02-24 휴대 전화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40242263A1 (ko)
JP (1) JP4313545B2 (ko)
KR (1) KR100624883B1 (ko)
CN (1) CN100512378C (ko)
WO (1) WO20030989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164B1 (ko) * 2003-06-16 2005-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장치
US20050014527A1 (en) * 2003-07-18 2005-01-20 Agere Systems Incorporated Retractable rotatable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20050168592A1 (en) * 2004-01-30 2005-08-04 Demoor Robert G. Apparatus and method for capturing an informal image with a digital camera
JP4152978B2 (ja) * 2004-09-18 2008-09-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移動通信端末機の撮影音認証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663422B1 (ko) * 2004-12-21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통신 장치
JP4062739B2 (ja) * 2005-05-16 2008-03-19 船井電機株式会社 クライアント端末装置
WO2008044270A1 (fr) 2006-10-05 2008-04-17 Panasonic Corporation Dispositif d'affichage électroluminescent
CN102905066B (zh) * 2011-07-27 2015-12-0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实现自动拍照的方法及其系统
CN107770312A (zh) * 2017-11-07 2018-03-06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8994A (ja) * 1994-02-04 1995-08-18 Nikon Corp 赤目軽減機能を有するセルフタイマカメラ
EP0824820B1 (de) * 1995-05-03 2003-11-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Tragbares funkkommunikations gerät mit integrierter kamera und bildanzeigevorrichtung
JP2000253113A (ja) * 1999-02-26 2000-09-14 Hitachi Ltd 情報通信端末装置
JP4201443B2 (ja) * 1999-11-05 2008-12-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3546997B2 (ja) * 1999-12-24 2004-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カメラ付き携帯情報端末装置
US7046287B2 (en) * 1999-12-24 2006-05-16 Nec Corporatio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ped with camera
CN1302152A (zh) * 1999-12-24 2001-07-04 日本电气株式会社 带有照相机的便携式信息终端
US7075572B2 (en) * 2000-03-16 2006-07-11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hotographing/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ed in the image photographing/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as well as image reproducing method
GB2362305B (en) * 2000-05-08 2004-04-14 Ericsson Telefon Ab L M Portable electronic devices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JP2002016685A (ja) * 2000-06-30 2002-01-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端末機
JP3644388B2 (ja) * 2001-01-17 2005-04-27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20020173344A1 (en) * 2001-03-16 2002-11-21 Cupps Bryan T. Novel personal electronics device
JP2002290793A (ja) * 2001-03-28 2002-10-04 Mitsubishi Electric Corp 撮像装置付携帯電話器
JP3778807B2 (ja) * 2001-03-30 2006-05-24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173665B2 (en) * 2001-03-30 2007-02-06 Sanyo Electric Co., Ltd. Fol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574084B2 (ja) * 2001-04-03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US6516154B1 (en) * 2001-07-17 2003-02-04 Eastman Kodak Company Image revising camera and method
US7450977B2 (en) * 2003-07-31 2008-11-11 Vodafone K.K.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98921A1 (fr) 2003-11-27
KR100624883B1 (ko) 2006-09-19
CN1615639A (zh) 2005-05-11
US20040242263A1 (en) 2004-12-02
JP4313545B2 (ja) 2009-08-12
CN100512378C (zh) 2009-07-08
JP2003333382A (ja)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7178B1 (ko) 듀얼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792100B1 (ko) 촬영 제어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부착 절첩식 휴대 통신단말 및 해당 단말의 촬영 기능 제어 방법
US8723979B2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utomatic control to keep display turned on and method
JP3799365B1 (ja) 携帯端末装置及び撮影画像認識方法
WO2004070469A1 (ja) 合焦状態表示装置及び合焦状態表示方法
KR100636452B1 (ko)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KR100624883B1 (ko) 휴대 전화 장치
US20050128315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6081113A (ja) 携帯端末装置
JP2014045404A (ja) 携帯端末
JP200915308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2290818A (ja) 携帯端末
JP2003188953A (ja) 携帯電話装置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KR100576038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촬영모드 제어방법
JP4515807B2 (ja) 携帯端末装置
JP2007208627A (ja) カメラつき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撮影方法
JP2010161704A (ja) 携帯端末、その撮影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0531162B1 (ko) 디스플레이부의 방향에 따른 화면 표시 제어 기능을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10252238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4242208A (ja) 移動体通信端末装置および画像補正処理プログラム
KR100504822B1 (ko) 카메라가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 방법
KR100566977B1 (ko) 아날로그 이득을 이용한 카메라의 오토 플래쉬 장치 및 방법
JP2006186685A (ja) 撮像装置
KR2006003791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촬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