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452B1 -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452B1
KR100636452B1 KR1020030040933A KR20030040933A KR100636452B1 KR 100636452 B1 KR100636452 B1 KR 100636452B1 KR 1020030040933 A KR1020030040933 A KR 1020030040933A KR 20030040933 A KR20030040933 A KR 20030040933A KR 100636452 B1 KR100636452 B1 KR 10063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unit
notification sound
camera mode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2649A (ko
Inventor
우지이쥰이치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2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2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1Encoding the ringing signal, i.e. providing distinctive or selective ringing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의 조작자가 카메라 모드로 하고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단지 휴대 단말을 조작하고 있을 뿐인지, 주위의 사람(카메라가 향하고 있는 사람)이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촬상부를 이용해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 착신 통지용 스피커 등을 이용해서 통지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PORTABLE TERMINAL AND ANNOUNCEMENT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통지용 스피커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휴대 전화기 본체 2, 11 : 안테나
3, 21 : 조작부 4, 15 : 마이크로폰
5, 23 : 카메라부 6 : 착신용 LED
7 : 착신 통지용 스피커 8, 17 : 수화 스피커
9, 20 : 표시부 12 : 무선부
13 : DSP 14 : A/D 컨버터
16 : D/A 컨버터 18 : 제어부
19 : 메모리 22 : 버스
24 : 이미지 프로세서 25 : 버퍼 메모리
26 : 유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 27 : 조도 센서
28 : 타이머
본 발명은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람이나 풍경 등을 촬영할 수 있는 휴대 단말(휴대 전화기, 정보 단말(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보이스 리코더, 노트북 PC(Personal Computer) 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휴대 단말의 카메라 모드에 관한 동작 상태를 통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 특히 휴대 전화기는 기술 진보와 시장 요구에 따라,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최근의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는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10만 화소 정도)로부터 VGA(Video Graphics Array)(35만 화소 정도)로의 고화소화가 도모되고 있다.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는 비교적 저해상도의 화상을 취급하는 것(원래 조작자 자신의 얼굴이나 가까운 위치의 다른 사람의 얼굴이 촬영되는 것을 전제로 함)으로부터, 원거리에서 다른 사람의 화상을 촬영하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취급하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이에 따라,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배치는 종래의 표시부와 거의 동일한 방향(면)으로 배치하는 것보다도, 표시부와 반대의 방향(면), 예컨대 표시부가 있는 면을 정면으로 한 경우, 유닛의 배면에 배치하는 것이나, 카메라를 회전 이동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방향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증가하고, 다양한 각도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많다. 또한, 이러한 시장 요구에 대응하여 줌과 오토 포커싱 기능도 추가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카메라가 휴대 전화기의 배면에 배치되거나 카메라가 조작자 이외의 곳을 향하고 있는 경우, 조작자가 촬영할 의지가 없더라도 카메라부(lens)가 사람을 향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작자 주위의 사람은, 조작자가 그 휴대 전화기를 카메라 모드로 하고 있는지, 아니면 단지 휴대 전화기를 조작하고 있을 뿐인지, 시각적으로는 판단할 수 없으므로,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부(lens)가 주변 사람을 향하고 있을 때, 촬영되고 있는지 여부를 알 수 없었다.
타인에게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한 배려로서, 촬영될 때, 그 순간에 소리나 LED(Light Emitting Diode)의 광으로 통지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 있지만, 이것은 단지 촬영된 것만을 알려주고, 촬영될 것에 대하여 알려주는 것은 아니었다. 또한, 광에 의한 통지는, 상대가 등을 보이고 있는 경우에는 촬영되는 것을 전혀 알아차릴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항상 휴대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에 카메라를 구비하는 것은, 이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카메라로 촬영할 수 있게 된다는 간편함을 장점으로 하고 있지만, 카메라 모드의 사용 금지는 이용자의 자기 규제에 맡기고 있으므로, 종종 사용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카메라 모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의해 사회적인 문제로 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촬상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촬상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했을 때에, 소정의 통지음을 출력하도록 한다.
이것은, 카메라가 향해지고 있는 사람이 휴대 전화기의 조작자가 휴대 전화기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가 시야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그들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휴대 전화기의 존재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드란 정지 화상 및/또는 동화상을 촬영하는 모드이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상기 소정의 통지음은 상기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일정 시간마다 출력하도록 한다.
이것은 휴대 전화기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는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드 상태에 있는 것을 주위 사람들에게 통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르면, 상기 통지음은 착신 통지용 스피커 또는 수 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착신 통지용 스피커나 수화 스피커를 겸용으로 함으로써 회로 공간의 문제나 비용 삭감도 된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르면, 상기 카메라 모드에 있어서, 촬상부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기록하는 동안에는 상기 통지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동화상(음성 포함) 촬영 동안에, 마이크가 그 통지음을 포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르면, 휴대 단말 주변의 조도가 소정의 밝기를 만족하지 않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만, 상기 통지음을 출력한다.
이것은, 촬영자가 식별할 수 없는 어두운 장소에서도,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되는 휴대 전화기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관점은 촬상부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용 통지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휴대 단말이 상기 촬상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후에 촬영 버튼이 눌려질 때, 소정의 통지음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촬영 직전의 타이밍을 촬영 상대에게 주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관점에 따르면, 소정 통지음의 출력 레벨은 고정된 출력 레벨로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통지음의 출력 레벨을 마음대로 변경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의도적으로나 또는 본의 아니게 통지음을 들을 수 없을 정도의 아주 작은 레벨로 출력 레벨을 낮출 우려는 없다.
본 발명의 제 8 관점에 따르면, 소정 통지음이나, 촬영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음은 촬영 버튼이 반 누름(half-pressed)된 직후에 전 누름(fully pressed)된 경우에 출력된다.
이것은, 촬영 버튼이 반 누름된 직후에 전 누름된 경우에, 촬영 직전의 타이밍을 나타내는 소정 통지음과, 촬영되는 것을 가리키는 셔터음이 겹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익 등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는 이하의 상세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참조 부호 1은 휴대 전화기 본체를 나타낸다. 이 휴대 전화기 본체(1)는 안테나(2), 조작부(3), 마이크로폰(4), 카메라부(5), 착신용 LED(6), 착신 통지용 스피커(7), 수화 스피커(8) 및 표시부(9)로 구성되고, 휴대 전화기 본체(1)의 배면(표시부가 있는 면을 정면으로 한 경우)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는 휴대 전화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작부(3)는 각종 조작 지시를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조작부(3)는 숫자 키, 전원 버튼, 착신 버튼, 셔터 버튼, 기능 선택 키(기능키) 등의 각종 버튼 및 조작키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로 이루어지고, 전화 번호나 카메라 모드 등의 메뉴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그 카메라부(5)에 의해 촬영되고, 기록되는 화상은 표시부(9)에 표시된다. 카메라부(5)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영 소자가 이용되고, 표시부(9)의 면과는 반대의 면(예컨대, 배면)에 마련되고 있다.
착신용 LED(6)는 착신이 있었을 때에 점등이나 점멸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을 통지하는 것이다. 또한, 표시부(9)가 점등이나 점멸에 의해 착신을 사용자에게 통지하여도, 표시부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숨겨진 경우, 표시부(9)에 의한 통지를 인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착신용 LED(6)는 표시부(9)가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숨겨진 경우에도, 가능한 한 휴대 전화기의 어떤 면을 보아도 사용자가 알아차리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착신용 LED(6)과 카메라부(5)는 가까이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신 통지용 스피커(7)는, 통상, 착신을 받았을 때에 멜로디 등에 의해 착신을 사용자에 통지하는 스피커이지만, 이 스피커는 착신 통지 이외에도 알람 기능의 통지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화기가 사용자의 포켓이나 사용자의 가방 속에서 착신 등을 통지하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7)는 수화 스피커(8)에 비하여 출력 레벨이 큰 스피커가 이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7)는 수화 스피커(8)를 배치하고 있는 면과는 반대의 면(배면)에 마련되고 있다.
통상, 휴대 단말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메일, 인터넷 브라우저, 카메라 모드 등)을 갖고, 상술한 구성의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1) 통상 전 화기(데이터 통신, 메일, 인터넷 브라우저의 사용도 포함함)로서 사용하는 경우와, (2)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경우(카메라 모드)의 두 개의 사용 형태(동작 상태)가 있다. 이 두 가지의 사용 상태간의 차이는, 통상의 전화기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화기 조작자 자신 또는 통화 상대와의 사이에만 휴대 단말이 사용되는 것으로, 그 휴대 단말 주변의 제삼자는 관여하지 않지만, 카메라부를 사용하여 촬상하는 경우에는, 휴대 전화기 주변의 제삼자도 조작에 관여한다고 하는 점이다.
또한, 이들 사용 모드를 나타내는 동작 상태 이외에도,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부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드 동안, 촬영 준비 중(촬영 직전)이나 촬영 직후와 같은 처리 상황을 나타내는 다른 형태의 동작 상태가 있다.
(카메라 모드)
카메라 모드란 (통상의 전화기로서 휴대 단말을 사용하는 모드로부터 변경된) 카메라부를 사용하는 모드이다. 사용자가 메뉴 화면을 조작함으로써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다. 또는, 기구적으로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는 방식도 있다.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도 수신 등은 가능하다.
(촬영 준비 중(촬영 직전))
셔터 버튼(촬영 버튼)을 반(半)누름하는 것으로 자동 초점 조절(오토 포커싱)이 시작되고, 자동 초점 조절이 완료되면 포커스가 록(lock)된다. 그리고, 셔터 버튼을 더 누르는 것에 의해, 화면 상의 화상이 촬영된다. 즉, 이것은 셔터 버튼을 누르고 나서 화상을 기록을 개시하기까지의 기간이다. 셔터 버튼의 반 누름 없이, 완전 누름(fully pressed)했을 때에는, 우선, 자동 초점 조절을 행하여, 포커싱이 완료했을 때에 화상을 촬영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셔터 버튼을 누른 직후로부터 화상을 기록하기 시작하기까지의 기간이다.
(촬영 직후)
이것은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기 시작하여, 표시부 상에 표시되기까지의 기간이다. 또는, 기록 및 표시 개시 후, 수초의 기간이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내장 휴대 전화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휴대 전화기는 휴대 전화기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CPU ; Central Processing Unit)(18)에 여러 형태의 기능 블럭이 접속된 구성을 갖는다.
안테나(11)는 통신에 사용되는 전파의 송신/수신을 행한다. 메모리(19)는, 예컨대, ROM(Read Only Memory)이나 비휘발성의 RAM(Read Only Memory)으로 구성되고, 제어부(18)와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13)가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각종 설정값과 같은 데이터, 송수신 메일, 착신음 데이터, 어드레스 북 데이터(address book data), 화상 데이터, 착신용 LED의 발광(점등) 패턴 및 소정의 통지음 등을 기억한다. 무선부(12)는 DSP(13)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 음성 신호 등을 소정의 변조 방식으로 변조하여 안테나(11)로 출력하고, 또한 안테나(11)로부터의 수신 신호를 복조하여 그 복조 신호를 DSP(13)로 입력한다.
D/A(Digital/Analog) 컨버터(16)는 DSP(13)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신호나 착신음 등을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7)로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A/D(Analog/Digital) 컨버터(14)는 마이크로폰(15)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DSP(13)로 공급한다.
조작부(선택 수단)(21)는, 예컨대, 숫자 키(0∼9), *키, #키 등의 심벌 키 및 온 훅 버튼, 오프 훅 버튼, 전원 버튼, 셔터 버튼, 기능 선택 버튼(기능 키) 등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와 휴대 전화기간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표시부(20)는, 예컨대, 액정 모니터나 액정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조작 내용, 조작 메뉴, 어드레스 북, 휴대 전화기의 상태, 시간 등을 표시한다.
카메라부(23)는, 예컨대, CCD 등의 촬상 소자와 렌즈 등의 광학계로 구성된다. 이미지 프로세서(24)는 화상 데이터의 처리, 가공, 압축, 신장을 한다. 버퍼 메모리(25)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며,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카드에 대한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속도의 차이나, CPU(18)나 DSP(13) 등의 처리 속도의 차이를 완화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또한, 버퍼 메모리(25)는, 예컨대, 휴대 전화기가 화상 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
조도 센서(27)는 표시부 등에 사용되는 백 라이트나 LED 등의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주위의 조도를 계측한다. 이 조도 센서(27)의 계측 결과에 따라 백 라이트나 LED 등의 ON/OFF가 제어된다. 타이머(28)는 후술하는 일정 시간을 계측한다.
유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6)는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것으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비교적 단거리(약 10m)의 통신을 하는 인터페이스이며,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등의 적외선 통신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등의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제어부(CPU)(18)는, 예컨대, 마이크로 프로세서(MPU) 등을 갖고, 휴대 전화기 전체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카메라부(23), 이미지 프로세서(24), 버퍼 메모리(25), 메모리(19), 유선/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6) 등이 버스(22)를 거쳐서 각각 제어부(18)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착신 통지용 스피커의 동작은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계 S1에서, 휴대 전화기의 제어부(18)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는 타이밍의 체크 처리를 하고 있다. 카메라 모드란, 카메라부가 촬영한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는 모드이며, 이 화상은 셔터를 누르는 것에 의해 어느 때나 촬영될 수 있다. 또한, 이것은 정지 화상의 촬영뿐만 아니라, 동화상을 촬영하고, 통신 상대에게 그 촬영 화상을 전송하는 화상 전화 모드도 포함한다.
다음에 상술한 체크 처리에 의해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이 검출되면, 제어부는 처리를 단계 S1로부터 단계 S2로 진행시켜, 착신 통지용 스피커(7)를 통해 카메라 모드로 바뀐 것을 음성 A(예컨대, 「카메라 모드입니다.」)로 통지한다. 계속해서, 단계 S3에서, 제어부(18)는 셔터 버튼이 반 눌림(half pressed)되는 타이밍을 체크한다. 제어부(18)가 단계 S3의 체크 처리에 의해 셔터 버튼이 반 눌림된 것을 검출하면, CPU(18)는 처리를 단계 S3으로부터 단계 S4로 진행시키고, 착신용 스피커를 통해 촬영 직전인 것을 음성 B(예컨대, 「촬영합니다.」나 「네, 치즈」)로 통지한다. 이 셔터 버튼의 반 누름은, 예컨대, 자동 초점 조절(오토 포커싱)을 나타내고, 그 처리 시에 상기 음성 B를 통지하는 것으로, 촬영 직전에 촬영을 할 것을 주위에 알릴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5에서, 셔터 버튼을 완전 누름(fully pressing)하는 타이밍을 체크한다. 단계 S5에서의 체크 처리에 의해 셔터 버튼이 완전 누름된 것을 제어부(18)가 검출하면, 제어부의 처리는 단계 S5로부터 단계 S6으로 진행되고, 착신 통지용 스피커를 통해 화상이 촬영된 것을 셔터음으로서 통지한다. 또한, 단계 S5에서 실행된 처리는 셔터 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되었는지 여부의 체크 처리도 실행하여, 셔터 버튼의 반 누름이 해제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 S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 셔터 버튼의 반 누름 후 곧 완전 누름을 행한 경우에는, 음성 B와 셔터음이 동시에 통지되기 때문에, 어느 한쪽만을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계 S3에서, 셔터 버튼의 반 누름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에서, 카메라 모드의 해제 지시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카메라 모드의 해제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단계 S7로부터 단계 S8로 처리가 진행되고,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고 나서 일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는, 단계 S2에 되돌아가 음성 A를 통지한다. 또한, 일정 시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3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7에서, 카메라 모드의 해제 지시가 검출된 경우에는, 카메라 모드를 종료한다.
또, 도 4의 흐름도에 나타내고 있지는 않지만, 동화상을 촬영하는 경우에는, 상기 단계 S8의 처리를 실행하지 않음으로써,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통지되는 음성 A를 멈출 수 있어, 음성도 기록하는 동화상을 망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부(렌즈)가 향해지고 있는 상대는, 음성 통지에 의해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한 것, 또한 촬영하려고 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그 상대는 카메라부가 향해지고 있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한 경우에도(예컨대, 카메라에 대하여 뒤돌아 있음), 이와 같은 음성 통지에 의해 카메라 모드임을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도 이 음성통지에 의해 카메라부를 부주의하게 다른 사람을 향하지 않도록 주의할 수 있다.
조도 센서는 휴대 전화기의 주위가 어두운 경우에만 휴대 전화기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을 음성 통지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것은 어두운 곳 등의 촬영자의 식별이 곤란한 상황에서는, 특히, 휴대 전화기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되고 있는 것을 적극적으로 주위에 알릴 수 있다. 또, 휴대 전화기 주위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소정의 밝기에 만족하지 않는 경우)란, 예컨대, 백라이트 없이 표시부의 문자를 분명하게 읽을 수 없는, 즉, 겸용 조도 센서에 의해 주위의 조도를 계측한 결과, 백 라이트나 LED를 점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상태 등을 나타낸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 모드 및 촬영 직전의 통지를 음성으로 실행하도록 기재하고 있지만, 음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음으로 통지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좋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지음의 형태는 음성 통지를 하거나, 일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통지하는 형태를 기재하고 있지만, 소리를 단음(예컨대, 「빕(beep)」 등), 소리 패턴, 멜로디, 연속음 등을 발생시키는 형태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피커로부터의 출력 레벨은 바람직하게 일정하며,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없도록 제어되어 있는 편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리를 통지하는 발음체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수화 스피커, 링거 등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메라부는 표시부의 면에 대하여 반대의 면(배면)에 마련하여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조작자가 촬영할 의지가 없더라도 카메라(렌즈)가 사람을 향하는 것과 같은 휴대 단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메라부는 착탈 가능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휴대형 전화 장치를 이용하면, 다음 효과가 얻어진다.
(1) 카메라를 향하고 있는 사람은 휴대 전화기의 사용자가 휴대 전화기를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2) 휴대 전화기의 카메라가 사람의 시야에 들어오지 않더라도, 주변 사람이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휴대 전화기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3) 일정 시간마다 반복하여 카메라 모드인 것을 통지함으로써, 휴대 전화기가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뿐만 아니라, 카메라 모드 중인 것을 주위 사람들에게 통지할 수 있다.
(4) 또한, 동화상(음성을 포함함)의 촬영 중에는 소리에 의한 통지를 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음성도 기록하는) 동화상에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5) 조도 센서에 의한 측정값은, 휴대 전화기 주위의 밝기가 어두운 것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소리에 의한 통지를 함으로써, 주위가 어둡고, 촬영자의 식별이 곤란한 상황에서도, 카메라 모드로 전환하여 사용하고 있는 휴대 전화기의 존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6) 촬영 직전의 타이밍을 촬영 상대에게 알릴 수 있다.
(7) 착신 통지용 스피커나 수화 스피커를 겸용함으로써 회로 공간이나 비용을 감소시킨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6)

  1.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의 모드가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휴대 단말의 모드가 상기 카메라 모드로 전환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 시에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상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이 출력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음은 착신 통지용 스피커 또는 수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드 시, 상기 카메라부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기록하는 동안에는 상기 통지음을 출력하지 않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의 주변의 조도가 사전 결정된 밝기 미만인 경우에만, 상기 통지음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6. 카메라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 시에, 촬영 버튼이 반 누름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카메라 모드 시에 상기 촬영 버튼이 반 누름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촬영을 행하는 것을 통지하는 통지음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의 통지 방법.
  7. 휴대 단말에 있어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는 발음체와,
    상기 선택부가 상기 카메라 모드를 선택한 것을 검출한 경우, 상기 발음체로부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시간을 계측하는 계시부(timing section)를 더 구비하며,
    상기 계시부는 상기 선택부가 상기 카메라 모드를 선택한 것을 검출한 후에, 일정 시간 간격마다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시부로부터 신호가 출력될 때마다, 상기 발음체가 상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체는, 착신 통지용 스피커나 수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휴대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록부가 화상을 기록 중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기록부가 기록 중인 동안에는, 상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지 않도록 상기 발음체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
  11. 제 7 항에 있어서,
    주위의 조도를 계측하는 계측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측부가 사전 결정된 조도 미만인 광을 계측한 경우에만, 상기 발음체가 상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
  12. 휴대 단말에 있어서,
    화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는 카메라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사전 결정된 통지음을 출력하는 발음체와,
    촬영을 조작하기 위한 촬영 버튼과,
    상기 선택부가 상기 카메라 모드를 선택한 것이 검출된 후에, 촬영 버튼이 반 누름된 것을 검출한 경우, 촬영을 행하는지를 통지하는 통지음을 상기 발음체로부터 출력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 버튼이 반 누름된 직후 완전 누름되는 경우에 상기 발음체로부터 상기 사전 결정된 통지음이나, 화상이 촬영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음을 출력하는 휴대 단말.
KR1020030040933A 2002-06-26 2003-06-24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KR10063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6848 2002-06-26
JP2002186848A JP2004032442A (ja) 2002-06-26 2002-06-26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2649A KR20040002649A (ko) 2004-01-07
KR100636452B1 true KR100636452B1 (ko) 2006-10-18

Family

ID=29996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933A KR100636452B1 (ko) 2002-06-26 2003-06-24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40097261A1 (ko)
JP (1) JP2004032442A (ko)
KR (1) KR100636452B1 (ko)
CN (1) CN1005057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5922A1 (en) * 2003-02-06 2004-09-23 Thomas Sutton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WO2004075428A2 (en) * 2003-02-19 2004-09-02 Flextronics Sales & Marketing (A-P) Ltd. Personal entertainment device (ped) with double-opening flap
US7113811B2 (en) * 2003-06-17 2006-09-26 Age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serving battery power in a mobile station
US7443404B2 (en) * 2003-10-17 2008-10-28 Casio Computer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controlling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JP2005167909A (ja) 2003-12-05 2005-06-23 Sanyo Electric Co Ltd 携帯型電話装置
WO2005114965A1 (en) * 2004-05-13 2005-12-01 Flextronics International Usa, Inc. Smartphone with novel opening mechanism
KR20060019363A (ko) * 2004-08-27 2006-03-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디지털 촬영 장치
US7373174B2 (en) * 2004-12-31 2008-05-1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effect of EMI on receiver sensitivity in a camera phone
US7970439B2 (en) * 2005-03-01 2011-06-28 Kyocera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 alerting mechanisms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W200726199A (en) * 2005-12-30 2007-07-01 Altek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power saving function
JP4985062B2 (ja) * 2006-04-14 2012-07-25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
JP2010044277A (ja) * 2008-08-15 2010-02-25 Sharp Corp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20140055633A1 (en) * 2012-08-27 2014-02-27 Richard E. MARLIN Device and method for photo and video capture
JP2014175993A (ja) * 2013-03-12 2014-09-22 Sony Corp 通知制御装置、通知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39065B2 (ja) * 2014-03-19 2016-01-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3398B2 (en) * 2014-03-20 2016-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rning system for sub-optimal sensor settings
GB2546249A (en) * 2016-01-05 2017-07-19 Oclu Ltd Video recording device
US10425578B1 (en) 2017-09-07 2019-09-24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capturing assistant
JP7309346B2 (ja) * 2018-11-29 2023-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6782B2 (ja) * 1994-08-18 2002-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補助自転車
US5530432A (en) * 1995-02-03 1996-06-25 Chen; Mark P. C. Photo monitoring apparatus with visual/audio alarm
US5726627A (en) * 1995-05-16 1998-03-10 Roger A. Kane Security system with intermittent alarm location detection
JP3695878B2 (ja) * 1996-02-16 2005-09-14 株式会社東芝 X線診断装置
CN1279748C (zh) * 1997-01-27 2006-10-11 富士写真胶片株式会社 记录全球定位系统装置的测位信息的摄像机
JPH11168646A (ja) * 1997-12-04 1999-06-22 Canon Inc 撮影装置
JP4281182B2 (ja) * 1998-11-19 2009-06-17 株式会社ニコン 通信機能付きカメラ
US6950126B1 (en) * 1998-11-19 2005-09-27 Nikon Corporation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
US7587337B1 (en) * 2000-03-24 2009-09-08 Eastman Kodak Company Leasing configured camera system
JP2001186381A (ja) * 1999-12-24 2001-07-06 Fuji Photo Film Co Ltd 電子機器
JP3574110B2 (ja) * 2001-12-28 2004-10-06 三洋電機株式会社 開閉式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05795C (zh) 2009-06-24
KR20040002649A (ko) 2004-01-07
CN1469677A (zh) 2004-01-21
JP2004032442A (ja) 2004-01-29
US20040097261A1 (en)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452B1 (ko)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JP3392831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撮影制御方法
KR10066347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663455B1 (ko) 주변 조도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624883B1 (ko) 휴대 전화 장치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2290818A (ja) 携帯端末
JP4237010B2 (ja) 携帯通信端末
JP2003289368A (ja) 移動端末及び照明方法
JP4416783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KR100604520B1 (ko) 카메라 폰
JP2007306589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2010258753A (ja) 携帯端末および投影プログラム
KR20060067249A (ko) 카메라를 이용한 알람 해제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JP2008104220A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2004040313A (ja) 携帯通信端末
JP2006186685A (ja) 撮像装置
JP2006108982A (ja) 撮像装置
JP2004214797A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子機器及び視線誘導方法
KR10067817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촬영알림방법
JP2005210282A (ja) 自動音量調整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1129563B1 (ko) 영상 촬영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219243A (ja) 画像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3791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촬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