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218A -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218A
KR20040098218A KR1020030030517A KR20030030517A KR20040098218A KR 20040098218 A KR20040098218 A KR 20040098218A KR 1020030030517 A KR1020030030517 A KR 1020030030517A KR 20030030517 A KR20030030517 A KR 20030030517A KR 20040098218 A KR20040098218 A KR 20040098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information
fault
telephone network
failu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호
조위덕
김기철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주)미디어포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주)미디어포드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30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98218A/ko
Publication of KR2004009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21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소정의 기계에서 발생되는 고장을 검출하고, 검출한 고장 발생위치 등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작업자에게 알려 해당 작업자가 미리 고장정보를 확인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바로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은, 복수의 카메라 및 센서로 고장발생을 검출하고, 검출한 고장에 대한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유선전화망과 무선전화망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통지하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은, 상기 통지 받은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작업자를 검색하고, 그 검색한 작업자에게 전자메일과 전화망을 통해 고장정보를 통보하여 고장수리를 요청함으로써 작업자는 미리 고장정보를 확인하여 현장에 방문하는 즉시 고장에 따른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System for sending and repairing failure information}
본 발명은 소정의 제품을 생산하는 무인 자동화 기계 등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그 발생한 고장을 검출하고, 검출한 고장정보를 유선전화망 및 무선전화망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통지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과,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이 통지하는 고장정보를 해당 작업자에게 알려 고장수리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발전과 더불어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하지 않고, 소정의 제품을 생산하는 여러 가지의 무인 자동화 기계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무인 자동화 기계는 작업자가 직접 작업을 하지 않아 인건비가 절감되고, 24시간을 계속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높음은 물론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등의 장점이 있어 그 사용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자동화 기계 등에는 고장 여부를 검출할 복수의 위치에 각기 소정의 센서를 설치하고, 그 센서들의 출력신호를 직원이 모니터링하면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며, 고장 발생이 검출될 경우에 모니터링하는 직원이 구내전화로 고장 수리를 하는 작업자에게 고장의 발생을 알리거나 또는 구내 방송설비 등으로 고장의 발생을 알려 작업자가 무인 자동화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을 방문 및 고장수리를 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작업자에게 고장이 발생되었음을 알릴 뿐이고, 기계의 어느 부위에서 어떠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는 알릴 수 없으므로 작업자가 일일이 현장을 방문하여 어떠한 고장이 발생하였는 지를 확인한 후 고장 조치를 취해야 되어 고장의 발생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또한 별도로 직원이 고장 발생의 여부를 계속 모니터링해야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의 촬영 영상 및 복수의 센서로 소정의 기계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고장 발생이 검출될 경우에 그 고장이 발생된 부위 등을 포함하는 고장정보를 생성한 후 유선전화망 및 무선전화망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통지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이 통지하는 고장정보를 판단하여 고장수리를 할 수 있는 작업자를 선정하고, 선정한 작업자에게 고장정보를 전자메일로 전송하여 해당 작업자가 미리 고장정보를 확인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바로 소정의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가지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은, 소정의 기계에서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과, 상기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이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경우에 발생한 고장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통지하는 고장정보 통지제어부과,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선전화망을 통해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접속하고 고장정보 통지제어부가 제공하는 고장정보를 그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과,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할 고장정보를 무선전화망으로 전송하는 무선전화망 접속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은, 고장을 검출할 소정 기계의 복수의 고장검출 부위를 각기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 및 고장을 검출한 소정 기계의 복수의 부위에 각기 설치되어 고장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로 구성되고,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들 각각은, 고장을 검출할 무인 자동화 기계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와, 고장 여부를 판단할 기준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영상 메모리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상기 영상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비교함과 아울러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로 출력하는 고장발생 판단부로 구성되며, 상기 무선전화망으로 전송하는 고장정보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의 문자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은, 유선전화망에 접속하여 고장정보의 패킷 및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와,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응답하면서 작업자에게 고장정보를 통보하고,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부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고장정보를 입력받는 고장정보 입력부와, 고장을 수리할 작업자 및 그 작업자의 메일 등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가 미리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고장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상기 고장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조치완료 정보가 없는 고장정보와 그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해당 작업자의 정보를 메모리에서 독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ARS부를 통해 해당 작업자에게 고장수리를 요청하는 고장정보 판단/수리요청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에서 고장정보 검출제어부의 동작을 보인 신호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이 유선전화망을 통해 고장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생성하는 패킷을 예로 들어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장정보 통지시스템 110 : 고장정보 처리시스템
120 : 유선전화망 130 : 무선전화망
140 : 메시지 처리부 150 :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
160 : 인터넷 망 200 :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
201 : 복수의 카메라 203 : 복수의 영상신호 처리부
205 : 복수의 메모리 207 : 복수의 고장발생 판단부
210 :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 220 : 고장정보 통지제어부
230, 560 : 고장정보 메모리 240, 500 : 유선전화망 접속부
250 : 무선전화망 접속부 510 : 제 1 고장정보 입력부
520 :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부
530 : 인터페이스부 540 : 제 2 고장정보 입력부
550 : 메모리 560 : 고장정보 판단/수리요청 제어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부호 100은 소정의 무인 자동화 기계 등에 설치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으로서 무인 자동화 기계 등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검출하고, 고장의 발생이 검출될 경우에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외부로 통지한다. 부호 110은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통지하는 고장정보를 접수받고 그 접수받은 고장정보를 판단하여 고장수리를 할 수 있는 작업자를 선정하며, 그 선정한 작업자에게 고장정보를 알려 고장수리를 요청한다.
부호 120은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과 상기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망 등의 유선전화망으로서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통지하는 고장정보의 패킷(packet)을 상기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으로 전달하고, 또한 작업자가 발생된 고장에 대한 조치가 완료될 경우에 그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상기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작업완료 정보를 전달한다.
부호 130은 이동통신 사업자에서 운영하는 무선전화망이고, 부호 140은 상기 무선전화망(130)에 연결되어 그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수신되는 소정의 메시지를 메시지 처리부로서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송신하는 고장정보의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 데이터를 입력받아 처리한다.
부호 150은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검출하여 통지하는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복수의 작업자가 각기 사용하는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이다.
부호 160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인 인터넷 망으로서 상기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 메시지 처리부(140) 및 복수의 작업자 단말기(150)가 상기 인터넷망(160)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무인 자동화 기계의 각 부위에서 고장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 고장의 발생이 검출될 경우에 그 검출된 고장의 발생에 따른 소정의 고장정보를 생성한다. 고장정보가 생성의 완료되면, 그 고장정보를 소정의 패킷으로 형성하고,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유선전화망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을 호출하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이 착신될 경우에 상기 고장정보의 패킷을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으로 전송하여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통지한다.
또한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은 상기 고장정보를 MMS 또는 SMS 데이터로 변환하고,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무선전화망(13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상기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송신하며, 송신한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는 무선전화망(130)이 수신하여 메시지 처리부(140)로 입력된다.
상기 메시지 처리부(140)는 상기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으로부터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에 그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다이얼링한 전화번호로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으로 전달할 MMS 또는 SMS 데이터임을 판단하고, 인터넷 망(16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에 접속하여 상기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를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선전화망(120) 또는인터넷 망(160)을 통해 고장정보가 접수될 경우에 그 고장정보를 확인하고, 고장을 수리할 해당 작업자를 검색하여 인터넷 망(160)을 통해 전자메일로 고장정보를 전송하며, 또한 유선전화망(120) 또는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해당 작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작업자가 착신할 경우에 고장정보를 음성신호로 통보하여 고장조치를 요청한다.
작업자는 자신의 작업자 단말기(150)로 자신의 전자메일을 확인하여 상기 고장정보를 접수하거나 유선전화망(120) 또는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고장정보를 접수한다. 그리고 상기 접수한 고장정보로 무인 자동화 기계의 고장상태를 미리 판단하고, 해당 무인 자동화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에 방문하여 고장수리를 수행하며, 고장 수리가 완료되었을 경우에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접속하여 고장수리가 완료되었음을 통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을 검출할 무인 자동화 기계의 소정의 부위를 각기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제 1 고장검출수단인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200)와, 상기 무인 자동화 기계의 소정의 부위에 각기 설치되어 그 무인 자동화 기계의 작동상태로 고장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고장검출수단인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210)와, 상기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200) 또는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210)가 고장 발생을 검출할 경우에 발생한 고장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에 통지하는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와,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장정보를 저장하는 고장정보 메모리(230)와,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에 접속하고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가 출력하는 고장정보의 패킷을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로 전송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240)와,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으로 전송할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상기 무선전화망(130)으로 전송하는 무선전화망 접속부(250)로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200)들 각각은, 고장을 검출할 무인 자동화 기계의 소정의 부위를 각기 촬영하는 카메라(201)와, 상기 카메라(201)의 촬영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203)와, 고장 여부를 판단할 소정의 기준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영상 메모리(205)와,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03)에서 처리된 영상을 상기 영상 메모리(205)에 저장된 영상과 비교함과 아울러 영상신호 처리부(203)에서 처리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로 출력하는 고장발생 판단부(20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은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200)의 카메라(201)가 고장을 감시할 소정 기계의 복수의 위치를 각기 촬영하고, 카메라(201)의 촬영신호를 영상신호 처리부(203)가 각기 처리하여 고장발생 판단부(205)로 출력한다.
그러면, 고장발생 판단부(205)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203)가 출력하는 영상신호와 영상 메모리(207)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기준 영상신호를 비교함과 아울러 영상신호 처리부(203)가 출력하는 이전 영상신호와 현재 영상신호를 상호간에 비교하여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로 출력한다.
그리고 고장을 감시할 소정 기계의 복수의 위치에 각기 설치되는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210)가 고장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신호를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로 출력한다.
상기 고장발생 통지제어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300)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200) 및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210)가 각기 출력하는 검출신호를 입력하고, 단계(302)에서 상기 입력한 검출신호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02)에서 고장의 발생이 판단될 경우에 고장발생 통지제어부(220)는 단계(304)에서 판단한 고장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 예를 들면, 고장 발생시간 및 고장 발생위치 등의 고장정보를 생성하고, 그 생성한 고장정보를 고장정보 메모리(230)에 저장한 후 유선전화망(120)과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동시에 상기 고장정보를 고장정보 처리 시스템(110)에 통지한다.
상기 유선전화망(120)을 통한 고장정보의 통지는, 단계(306)에서 고장정보를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통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패킷으로 형성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신호, 고장정보 통지제어부(220)에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발신 ID(Identification),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에 고유하게 부여되어 있는 수신 ID, 고장 발생시간, 고장발생 내역 및 패킷의 끝을 알리는 종료신호가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패킷을 생성한다. 패킷이 생성되면, 고장정보 통지시스템(220)은 단계(308)에서 유선전화망 접속부(240)를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유선전화망(12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여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을 호출하고, 단계(310)에서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이 착신될 때까지 소요되는 소정의 시간을 대기한 후 단계(312)에서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착신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312)의 판단 결과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이 착신하지 않았을 경우에 단계(308)로 복귀하여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유선전화망(120)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착신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312)의 판단 결과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이 착신할 경우에 단계(314)에서 상기 생성한 고장정보의 패킷을 유선전화망 접속부(240)로 출력하여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고장정보의 통지는, 단계(316)에서 고장정보를 통지할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생성 즉, 발신 ID, 수신 ID, 고장 발생시간 및 고장발생 내역 등의 고장정보를 포함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계(318)에서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의 무선전화망(130)의 전화번호를 판단한 후 단계(320)에서 그 판단한 무선전화망(130)의 전화번호로 상기 생성한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으로서 그 전송하는 MMS 또는 SMS 데이터는 무선전화망(130)을 통해 메시지 처리부(140)가 입력받은 후 인터넷 망(16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으로 전송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선전화망(120)에 접속하여 고장정보의 패킷 및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500)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500)를 통해 고장정보의 패킷을 입력받는 제 1 고장정보 입력부(510)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500)를 통해 음성신호로 응답하면서 작업자에게 고장정보를 전달하고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부(520)와, 인터넷 망(15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53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 2 고장정보 입력부(540)와, 고장을 수리할 작업자 및 그 작업자의 메일 등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가 미리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고장정보 입력부(510)(540)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520)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550)와, 상기 제 1 및 제 2 고장정보 입력부(510)(540)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520)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550)에 저장하고 조치완료 정보가 없는 고장정보와 그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해당 작업자의 정보를 메모리(550)에서 독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530) 및 ARS부(520)를 통해 해당 작업자에게 고장수리를 요청하는 고장정보 판단/수리요청 제어부(56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이 고장정보 통지시스템(100)이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고장정보 처리시스템(110)을 호출할 경우에 유선전화망 접속부(500)가 착신하고, 고장정보 통지 시스템(100)이 패킷으로 전송하는 고장정보를 유선전화망(120) 및 유선전화망 접속부(500)를 통해 제 1 과정정보 입력부(510)가 입력받아 고장정보 판단/수리통지 제어부(56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 2 고장정보 입력부(540)가 인터페이스부(530) 및 인터넷 망(160)을 통해 메시지 처리부(140)에 접속되어 그 메시지 처리부(140)로부터 고장정보의 MMS 또는 SMS 데이터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고장정보를 고장정보 판단/수리통지 제어부(560)로 출력한다.
그러면, 고장정보 판단/수리통지 제어부(560)는 상기 제 1 및 제 2 고장정보 입력부(520)(540)가 출력하는 고장정보를 입력받아 메모리(550)에 저장한다. 그리고 고장정보 판단/수리통지 제어부(560)는 주기적으로 메모리(560)에서 고장조치 완료가 되지 않은 고장정보를 하나씩 검색하여 고장수리를 요청하지 않았거나 고장수리를 요청하였어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시간 예를 들면, 약 1시간 이전에 고장수리를 요청한 고장정보를 독출하여 판단하고, 판단한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수 있는 작업자와, 작업자의 메일 등을 비롯한 작업자 정보를 메모리(550)에서 독출한 후 인터페이스부(530)를 통해 인터넷 망(160)에 접속하여 해당 작업자의 전자메일로 고장정보를 전송 및 고장수리를 요청하고, 또한 ARS부(520)를 제어하여 ARS부(520)가 유선 전화망 접속부(500)를 통해 작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고, 작업자가 착신할 경우에 상기 독출한 고장정보를 음성신호로 전달하여 고장수리를 요청한다.
상기 전자메일로 전송한 고장수리의 요청은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자단말기(150)를 통해 확인하고, 또한 작업자가 자신의 전화기를 통해 고장정보의 음성신호를 청취하여 소정의 기계에서 발생된 고장상태를 미리 판단하고, 기계가 설치되어 있는 현장을 방문하여 고장수리를 수행하며, 고장 수리가 완료될 경우에 고장수리의 완료를 통보하기 위하여 전화기 등으로 유선전화망(120)을 통해 유선전화망 접속부(500)에 접속한다. 그러면, ARS부(520)가 응답하면서 고장수리의 완료정보를 입력받고, 그 입력받은 고장수리의 완료정보를 고장정보 판단/수리통지 제어부(560)로 전달하여 메모리(550)에 저장한다.
여기서, 고장수리의 완료정보는 예를 들면,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다이얼링 키를 이용하여 입력받는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인 자동화 기계 등을 비롯한 소정의 기계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그 발생한 고장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유선전화망과 무선전화망을 통해 통지하고, 고장 통지에 따라 해당 작업자에게 고장수리를 요청하여 고장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고장의 발생시 작업자에게 빠른 시간 내에 알려 고장수리를 할 수 있고, 또한 무인 자동화 기계를 감시할 별도의 직원이 필요 없어 인력 절감의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소정의 기계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
    상기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이 고장의 발생을 검출할 경우에 발생한 고장에 따른 고장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통지하는 고장정보 통지제어부;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유선전화망을 통해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에 접속하고 고장정보 통지제어부가 제공하는 고장정보를 그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 및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고장정보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할 고장정보를 무선전화망으로 전송하는 무선전화망 접속부로 구성된 고장정보 통지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장 검출수단은;
    고장을 검출할 소정 기계의 복수의 고장검출 부위를 각기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
    고장을 검출한 소정 기계의 복수의 부위에 각기 설치되어 고장발생 여부를 검출하는 복수의 고장발생 검출용 센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상 고장 검출부들 각각은;
    고장을 검출할 무인 자동화 기계의 소정의 부위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고장 여부를 판단할 기준 영상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영상 메모리; 및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을 상기 영상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과 비교함과 아울러 영상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이전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로 고장의 발생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고장정보 통지제어부로 출력하는 고장발생 판단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화망으로 전송하는 고장정보는;
    MMS(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또는 SMS(Short Messaging Service)의 문자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정보 통지시스템.
  5. 유선전화망에 접속하여 고장정보의 패킷 및 음성신호를 인터페이스하는 유선전화망 접속부;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를 통해 음성신호로 응답하면서 작업자에게 고장정보를 통보하고,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입력받는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부;
    상기 유선전화망 접속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고장정보를 입력받는 고장정보 입력부;
    고장을 수리할 작업자 및 그 작업자의 메일 등을 포함하는 작업자 정보가 미리 저장됨과 아울러 상기 고장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및
    상기 고장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정보와 상기 ARS부를 통해 입력받은 고장의 조치완료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조치완료 정보가 없는 고장정보와 그 고장정보의 고장을 수리할 해당 작업자의 정보를 메모리에서 독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 및 ARS부를 통해 해당 작업자에게 고장수리를 요청하는 고장정보 판단/수리요청 제어부로 구성된 고장정보 처리시스템.
KR1020030030517A 2003-05-14 2003-05-14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KR200400982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517A KR20040098218A (ko) 2003-05-14 2003-05-14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517A KR20040098218A (ko) 2003-05-14 2003-05-14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218A true KR20040098218A (ko) 2004-11-20

Family

ID=3737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517A KR20040098218A (ko) 2003-05-14 2003-05-14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982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419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지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143B1 (ko) * 2020-06-15 2020-11-09 주식회사 아지즈 보일러 안전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419A (ko) * 2016-12-26 2018-07-04 주식회사 티오이십일 지식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176143B1 (ko) * 2020-06-15 2020-11-09 주식회사 아지즈 보일러 안전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보일러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4542B2 (en)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status of equipment and apparatus used therein
KR20040098218A (ko) 고장정보 통지 및 처리 시스템
KR100904089B1 (ko) 자동회선 절체 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4240218B2 (ja) 監視システム、監視通報装置および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JPH0514576A (ja) フアクシミリリモートサービスシステム
KR101500299B1 (ko) 원격 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4310644B2 (ja) Pbx内線電話機の履歴発信方式
KR20020024295A (ko) 영상 경보장치 및 경보방법
JP4810252B2 (ja) 通信端末装置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2828446B2 (ja) フアクシミリ装置
KR200227343Y1 (ko) 유/무선자동호출시스템
JP2003077082A (ja) 緊急情報伝達システムと緊急情報伝達方法
JP3341054B2 (ja) 自動通報装置
JP2003259022A (ja) 監視システム
JPH11164037A (ja) 監視システム
JPH03159453A (ja) 構内交換装置
JPS63245356A (ja) 工作機械の故障通報装置
JP2003198754A (ja) 端末網制御装置
JP2917946B2 (ja) ファクシミリメール装置
KR100191198B1 (ko) 팩시밀리를 이용한 비상메세지 통보방법
JP2003219042A (ja) プロセス監視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JPH0847053A (ja) 遠隔監視装置
JPH0637956A (ja) コードレスファクシミリ装置
JPH10241084A (ja) 通報装置
JPH02205167A (ja) 画像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