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6774A - 푸시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6774A
KR20040096774A KR1020040032228A KR20040032228A KR20040096774A KR 20040096774 A KR20040096774 A KR 20040096774A KR 1020040032228 A KR1020040032228 A KR 1020040032228A KR 20040032228 A KR20040032228 A KR 20040032228A KR 20040096774 A KR20040096774 A KR 20040096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rame
stem
contact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5043B1 (ko
Inventor
이와쿠마하루미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5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50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 E01F9/559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76Traffic lines
    • E01F9/582Traffic line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내부에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포함하는 접점부(2)가 수용되는 하우징(1)과, 이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어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가압하는 가압부(7a), 및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7c)를 가지는 스템(7)과, 하우징(1)에 고정되어 스템(7)의 조작부(7c)를 돌출시키는 개구(8a)를 가지고, 이 스템(7)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8)을 구비하며,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b)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경사면(1a)을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구비하였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H}
본 발명은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푸시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종래기술로서, 박스형 케이스, 즉 하우징 내에 바깥 둘레 고정접점, 중앙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를 수용하고,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와,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하는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체, 즉 스템을 구비한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가동접점은 돔형상으로 형성되어, 항상 바깥 둘레 고정접점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이 푸시버튼 스위치는 스템의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중앙구멍, 즉 개구를 가지고, 하우징에 고정되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커버, 즉 프레임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은 고정부, 즉 코킹부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스템을 가압함으로써 가동접점이 중앙 고정접점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을 거쳐 중앙 고정접점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이 도통하여, 스위치 온이 된다. 또 스템에 대한 가압을 풀면, 가동접점이 중앙 고정접점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하여 중앙 고정접점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과의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 오프가 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코킹부는, 예를 들면 하우징에 형성한 볼록부를 프레임에 형성한 구멍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하여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이 코킹부는 프레임의 상면에 돌출된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스템의 조작부에는 수조작되는 키 톱에 의하여 가압력이 부여된다. 통상, 키 톱에 닿는 스템의 면부에 비하여 스템에 닿는 키 톱의 면부 쪽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11-67002호 공보
(단락번호0014, 도 1)
상기한 종래기술은 키 톱을 가압 조작할 때의 키 톱의 하면과, 프레임상의 코킹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코킹부의 높이치수를 예측하여,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되어, 이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가 높아지는 경향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종래기술은 전체의 높이치수가 높아지기 쉽고, 소형화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1-A1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1-B1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도 7의 A2-A2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2-B2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A3-A3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B3-B3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A4-A4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B4-B4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a : 경사면(소정의 배치영역)
1b : 코킹부(고정부) 1c : 볼록부
1d : 코킹부(고정부) 1e : 오목부(소정의 배치영역)
1f : 코킹부(고정부) 1g : 모서리부(소정의 배치영역)
2 : 접점부 3 : 바깥 둘레 고정접점
4 : 중앙 고정접점 5 : 가동접점
6 : 돔형상 반전스프링 6a : 바깥 둘레부
6b : 돌기부 7 : 스템
7a : 가압부 7b : 걸어맞춤부
7c : 조작부 8 : 프레임
8a : 개구 8b : 테이퍼부
8c : 구멍 8d : 단차부
8e : 쐐기부(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가 하우징의 소정의 배치영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고정부를 하우징의 외형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전체의 가로방향의 치수를 하우징의 외형에 의하여 규정되는 최소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세로방향의 치수는, 소정의 배치영역에 배치된 고정부가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템의 조작부를 가압하는 키 톱과 고정부와의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이에 따라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고정부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만큼 낮은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경사면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부를 하우징의 측면 및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테이퍼부를 하우징의 경사면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오목부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고정부를 하우징의 측면 및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단차부를 하우징의 오목부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을 하우징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상기 고정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네 모서리에 있어서 프레임을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볼록부를 변형시킨 코킹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코킹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코킹부가 하우징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구멍에 하우징의 볼록부가 삽입되도록 프레임을 하우징에 대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용이하게 코킹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박아 넣는 쐐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쐐기부에 의하여 프레임을 하우징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쐐기부가 프레임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하,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은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1-A1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l-B1 단면도이다. 또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도는 평면도, (b)도는 측면도, (c)도는 정면도이다.
이 제 1 실시형태는, 기체(基體)를 구성하고 평면으로 본 형상이 사각형으로이루어지는 하우징(1)을 구비하고, 도 4,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 내에 접점부(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는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1a)을 가진다. 상기한 접점부(2)는 바깥 둘레 고정접점(3), 중앙 고정접점(4), 가동접점(5) 및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포함하고 있다. 돔형상 반전스프링(6)은 고무로 이루어지고, 항상 바깥 둘레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5)의 바깥 둘레가 접촉하도록 끼워 넣는 바깥 둘레부(6a)와, 선택적으로 가동접점(5)에 접촉하는 돌기부(6b)를 구비하고 있다. 또 가동접점(5)은 중앙부근이 설편형상으로 잘라 세워진 금속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이 설편부가 중앙 고정접점(4)과 접촉·이탈 가능하게 대향하고 있다.
이 돔형상 반전스프링(6)상에는 스템(7)을 배치하고 있다. 도 4,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템(7)은 하우징(1)의 내부에 배치되고,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가압하는 가압부(7a)와, 둘레 측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7b)와,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7c)를 구비하고 있다.
또 하우징(1)의 상면에는, 하우징(1)에 고정되고, 스템(7)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8)을 배치하고 있다. 이 프레임(8)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으로 본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스템(7)의 조작부(7c)를 돌출시키는 개구(8a)와, 네 모서리의 각각에 형성한 테이퍼부(8b)와, 이들의 테이퍼부(8b)에 형성한 구멍(8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스템(7)의 걸어맞춤부(7b)가 프레임(7)의 하면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스템(7)은 빠짐 방지된다.
도 1, 도 3,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네 모서리에 형성한 테이퍼부(8b)의 각각이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형성한 경사면(1a)의 각각에 적합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네 모서리에 형성한 고정부, 예를 들면 코킹부(1b)에 의하여 프레임(8)이 하우징(1)에 고정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의 제작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도 7은 평면도, 도 8은 정면도, 도 9는 도 7의 A2-A2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2-B2 단면도이다.
이들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사면(1a)의 각각에는 볼록부(1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볼록부(1c)가 프레임(8)의 구멍(8c)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배치한 상태에서, 선단이 테이퍼형상인 펀치에 의하여 볼록부(1c)의 각각이 펀칭된다. 이에 의하여 도 1,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1c)의 각각이 변형되고, 상기한 고정부를 구성하는 코킹부(1b)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는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 즉 코킹부(1b)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 예를 들면 경사면(1a)을 하우징(1)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제 1 실시형태는 도시 생략한 키 톱을 수조작으로 가압하면, 도 4, 도 5 등에 나타내는 스템(7)의 조작부(7c)가 가압되어 스템(7)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돔형상 반전스프링(6)이 휘어져, 그 돌기부(6b)가 가동접점(5)의 설편부에 접촉한다. 이에 의하여 가동접점(5)을 거쳐 중앙 고정접점(4)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3)이 도통하여, 스위치 온이 된다. 또 스템(7)에 대한 가압을 풀면, 돔형상 반전스프링(6) 및 가동접점(5)의 설편부가 자신이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어, 가동접점(5)이 중앙 고정접점(4)으로부터 떨어진다. 이에 의하여 중앙 고정접점(4)과 바깥 둘레 고정접점(3)과의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 오프가 된다.
또한 돔형상 반전스프링(6)이 복귀할 때에, 윗쪽으로 되돌려진 스템(7)의 걸어맞춤부(7b)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어 있는 면부의 뒷면에 걸어 맞춰진다. 이에 의하여 스템(7)이 빠짐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b)가 하우징(1)에 형성한 경사면(1a)에, 즉 하우징(1)의 외형 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체의 가로방향의 치수를 하우징(1)의 외형에 따라 규정되는 최소치수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세로방향의 치수는 코킹부(1b)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위로 돌출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스템(7)의 조작부(7c)를 가압하는 도시 생략한 키 톱과, 고정부를 구성하는 코킹부(1b)와의 간섭을 일으킬 염려가 없다. 이에 의하여, 스템(7)의 조작부(7c)의 높이치수를 경사면(1a)과 직교하는 방향의 코킹부(1b)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만큼 낮은 치수로 설정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이 푸시버튼 스위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또한 코킹부(1b)의 배치영역인 경사면(1a)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코킹부(1b)를 하우징(1)의 측면 및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 프레임(8)의 테이퍼부(8b)를 하우징(1)의 경사면(1a)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프레임(8)을 하우징(1)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하우징(1)의 네 모서리에 있어서, 코킹부(1b)에 의하여 프레임(8)을 고정하였기 때문에 프레임(8)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도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 코킹부(1b)의 각각이 하우징(1)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어,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는 것에 공헌한다.
또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구멍(8c)에 하우징(1)에 형성한 볼록부(1c)가 삽입되도록 프레임(8)을 하우징(1) 상에 배치한 상태에서 볼록부(1c)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용이하게 코킹부(1b)를 형성할 수 있고, 이 코킹부(1b), 즉 고정부를 형성하는 작업이 간단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돔형상 반전스프링(6)과 고정접점(3, 4) 사이에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가동접점(5)을 배치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대신에 가동접점을 돔형상 반전스프링(6)에 일체로 형성하고, 중앙 고정접점(4)을 한 쌍 설치하여 접점부(2)를 구성하여도 좋다. 또 돔형상 반전스프링(6)을 도전성 고무로 형성하고, 바깥 둘레부(6a)를 바깥 둘레 고정접점(3)에 항상 접촉시켜, 돌기부(6b)를 중앙 고정접점(4)과 접촉·이탈시키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제 2 실시형태]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1은 평면도, 도 12는 정면도, 도 13은 도 11의 A3-A3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B3-b3 단면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하우징(1)에 일체로 형성한 볼록부를 선단이 평탄한 펀치로 변형시킨 코킹부(1d)로 이루어져 있다. 코킹부(1d)의 상면은, 예를 들면 개구(8a)가 형성되는 프레임(8)의 면부와 면 균일하게 설정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 2 실시형태도, 코킹부(1d)를 하우징(1)의 측면 및 개구(8a)가 형성되는 프레임(8)의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소정의 배치영역인 경사면(1a)에 배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제 3 실시형태]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5는 평면도, 도 16은 정면도, 도 17은 도 15의 A4-A4 단면도, 도 18은 도 15의 B4-B4 단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오목부(1e)를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프레임(8)이 네 모서리의 각각에 오목부(1e)에 배치되는 단차부(8d)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오목부(1e)의 각각에 프레임(8)의 단차부(8d)가 배치된 상태에서, 이들 단차부(8d)에 형성된 구멍에 하우징(1)과 일체로 형성한 볼록부가 각각 삽입되고, 이들 볼록부를 펀치로 펀칭함으로써 고정부, 즉 코킹부(1f)가 형성된다.
이 제 3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오목부(1e)가 코킹부(1f)의 소정의 배치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즉, 이 제 3 실시형태도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 즉 코킹부(1f)를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오목부(1e)에 의하여 구성시키고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예를 들면 동등하다.
이 제 3 실시형태도, 하우징(1)의 오목부(1e)의 형상치수를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코킹부(1f)를, 하우징(1)의 측면 및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배치할 수 있고,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프레임(8)의 단차부(8d)를 하우징(1)의 오목부(1e)에 배치함으로써, 프레임(8)을 하우징(1)에 밀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프레임(8)을 하우징(1)에 안정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구조상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a)도는 평면도, (b)도는 측면도, (c)도는 정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하우징(1)의 상면의 4개의 모서리부(1g)의 각각이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고정부의 소정의 배치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또 상기한 고정부가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8)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고, 하우징(1)의 모서리부(1g)의 각각에 박아 넣어지는 쐐기부(8e)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예를 들면 동등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제 4 실시형태도, 프레임(8)을 하우징(1)에 고정하는 쐐기부(8e)의 각각을 하우징(1)의 모서리부(1g)의 각각에 박아 넣은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쐐기부(8e)가 프레임(8)의 개구(8a)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되는 일 없이 상기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 쐐기부(8e)의 각각이 프레임(8)과 일체이기 때문에, 부품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일이 없다. 이에 의하여 제작비를 저렴하게 하는 것에 공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을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프레임의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하우징에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고정부의 높이치수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스템의 조작부의 높이치수를 낮게 설정할 수 있어, 종래에는 곤란하던 전체의 소형화를 용이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Claims (9)

  1. 내부에 가동접점을 포함하는 접점부가 수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접점부의 상기 가동접점을 가압하는 가압부, 및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 외력이 부여되는 조작부를 가지는 스템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스템의 상기 조작부를 돌출시키는 개구를 가지고, 이 스템을 빠짐 방지하는 프레임을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상기 프레임의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면부로부터 돌출시키지 않고 배치하는 소정의 배치영역을 상기 하우징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배치영역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에 배치되는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평면으로 보아 형상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 사각형의 네 모서리의 각각에 상기 고정부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하우징에 형성한 볼록부를 변형시킨 코킹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볼록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박아 넣는 쐐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KR1020040032228A 2003-05-09 2004-05-07 푸시버튼 스위치 KR1005950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31908A JP4189266B2 (ja) 2003-05-09 2003-05-09 押釦スイッチ
JPJP-P-2003-00131908 2003-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774A true KR20040096774A (ko) 2004-11-17
KR100595043B1 KR100595043B1 (ko) 2006-06-30

Family

ID=3350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228A KR100595043B1 (ko) 2003-05-09 2004-05-07 푸시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89266B2 (ko)
KR (1) KR100595043B1 (ko)
CN (1) CN1260754C (ko)
TW (1) TWI2347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402B2 (ja) * 2007-07-31 2012-1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メモリーコントローラ、及びこれを用いた不揮発性記憶装置並びに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
CN102931011A (zh) * 2011-08-09 2013-02-13 株式会社Magma 易于组装盖子的按钮开关装置
CN103745851B (zh) * 2013-11-25 2018-01-16 上海航空电器有限公司 一种方形转接圆形按钮的铆接连接机构
JP2017068991A (ja) * 2015-09-29 2017-04-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操作端末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7002A (ja) * 1997-08-27 1999-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0207996A (ja) * 1999-01-12 2000-07-28 Alps Electric Co Ltd 押釦スイッチと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5043B1 (ko) 2006-06-30
TWI234793B (en) 2005-06-21
CN1260754C (zh) 2006-06-21
JP2004335365A (ja) 2004-11-25
CN1574140A (zh) 2005-02-02
JP4189266B2 (ja) 2008-12-03
TW200509166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809B1 (en) Switch and keyboard provided therewith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KR100235154B1 (ko) 푸시온스위치
EP1670012A2 (en) Push-on switch
JP2009021155A (ja) 押釦スイッチ
KR100595043B1 (ko) 푸시버튼 스위치
US7999204B2 (en) Key frame and cover member for push button switch
US11462370B2 (en) Push switch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KR20050085248A (ko)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KR930009235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KR20040025747A (ko) 전자 단말기
JP2007200738A (ja) 押釦スイッチ
JP2007200737A (ja) 押釦スイッチ
JPH02195615A (ja) 押釦スイツチ
JP2002109999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JP2007080671A (ja) 押釦スイッチ
WO2019176405A1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4201682B2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2004103375A (ja) 押釦スイッチ
JP2022135624A (ja) スイッチ構造
JP2005190812A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H0492324A (ja) 押釦スイツチ
JP2005056724A (ja) 押釦スイッチ
JP2004227890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