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5248A -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5248A
KR20050085248A KR1020057009865A KR20057009865A KR20050085248A KR 20050085248 A KR20050085248 A KR 20050085248A KR 1020057009865 A KR1020057009865 A KR 1020057009865A KR 20057009865 A KR20057009865 A KR 20057009865A KR 20050085248 A KR20050085248 A KR 20050085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cap
housing
flexible carrier
fast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9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베른하르트 파우스트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085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524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34Positioning of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디바이스 특히, 이동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및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모듈의 제조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이동 전화 및 하우징에 및/또는 하우징 내부에 입력 디바이스의 개선된 영구 고정을 제고할 수 있는 이동 전화 및 제조 방법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캡(9)으로 구성된 제 1 평면(B)과 캡(9)에 연결된 가요성 캐리어(7)의 제 2 평면(1) 사에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4)이 위치하여, 캡(9)과 가요성 캐리어(7)가 고정 수단(4)의 평면과 고정 수단(4)을 통해 실질적으로 시간에 맞추는 방식으로 힘을 전달하며, 적어도 하나의 단자 에지(15)의 하나의 영역에서 하우징내 또는 하우징상에 입력 디바이스(1)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INPUT DEVICE, ESPECIALLY FOR A MOBILE TELEPHONE, MODULE COMPRISING A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입력 디바이스, 특히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이동 전화 및 입력 디바이스, 모듈 및/또는 이동 전화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자인 트랜드가 점차적으로 전면에 부각되고 있다. 디바이스의 시각적 인상뿐만 아니라, 디바이스를 취급하는데 있어서의 용이함을 개선하는 것에 중요성이 부가된다. 동시에, 입력 설비를 가진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소형화는 더 작은 표면적 및 부피를 가진 디바이스를 이끌고, 그 결과 기술 개발 특히, 이동 전화에서의 기술 개발의 진보가 전체적으로 더 작은 디바이스를 이끈다. 다른 것들 중에서 키패드에 사용 가능한 설계 공간은 점점 더 작아지고 있고, 이는 이러한 디바이스의 사용자-친화에 매우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최소 부피의 키패드는 이하의 기준에 의해 결정된다: 키패드 영역, 키패드 공간 및 하우징과 관련된 키들의 돌출, 이러한 돌출은 키 높이에 영향을 준다. 키패드의 부피는 개별 키 캡이 가능한 한 평평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최소값을 가진다. 키패드 영역은 PC 키패드에서 알려진 바와 같이, 키 공간이 0에 도달하는 즉, 키들이 하우징 지지 프레임에 의해 서로에 대해 더이상 분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내 형태-맞물림(form-locking)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유지되도록 최소값을 가질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를 이러한 응용 분야에 한정하지 않고, 작은 구조상 크기, 다이얼링 동작과 특히 SMS 메시지의 단문 메시지를 전송함으로 인한 과중한 기계적 하중뿐만 아니라 매우 고가의 비용 압력하에서의 제조로 인해, 오로지 이동 전화 및 그 입력 디바이스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키를 가진 입력 디바이스가 공지되어 있으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외부 접속 가능 캡은 프린지로 적어도 일 측면상에 각각 조립된다. 캡은 떨어지거나 또는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지지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프린지로 안착된다. 모든 키들 사이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하우징 지지 프레임없이, 이러한 고정은 키패드와 하우징 또는 키패드와 상부 하우징 셀 사이의 접속 영역내에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특히, 통상적인 이동 전화 키패드내 다이얼 번호 5와 8의 키가 임의의 지지 프레임없이 하우징내에서 유지되는 전체 키패드가 미끄러져 나가거나 또는 뜯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이상 적절하게 유지될 수 없을 것이다.
개별 지지 프레임없이 개별 키를 가진 공지된 입력 디바이스에서, 키는 가요성 플라스틱 캐리어에 단단히 죄어진다. 가요성 플라스틱 캐리어는 부분적으로 가장 먼저 하우징내 입력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및/또는 지지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위해 기계적으로 매우 안정적이여야 하며, 다음으로 개별 키들의 동작성을 보장하기 위해 매우 높은 가요성을 가져야 한다. 이들 요구조건은 너무 대립적이여서 동작상 절충점은 매우 한정된 정도로만 가능하다. 계속 줄어드는 하우징 크기로 인해, 장기간의 기능적 신뢰성은 더이상 보장되지 않는다.
EP 1 156 643 A2로부터, 이동 전화용 키패드가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 지지 프레임에 의해 서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키패드 캡은 가요성 필름형 캐리어상에 유지되어 있다. 필름 캐리어는 예를 들면 실리콘 캐리어이다. 일 실시예에서, 필름 캐리어 그 자체는 필름 캐리어가 주변 프린지를 가진다는 점에서 지지하고 있는 하우징에 의해 형태-맞물림 방식으로 중첩 영역내에 유지되는 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다. 따라서, 그 결과 일반적으로 프린지와 예를 들어 후크(hook)들과 아이(eye)들 및/또는 핀(pin)들과 홀(hole)들의 조합으로 통해 키패드가 밀봉된 상부 하우징 셀 사이의 중첩된 프레임형 영역이 형태-맞물림 또는 가압-맞물림 방식으로 유지되고 고정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디바이스 전체의 소형화로 인해, 키 크기의 추가의 축소없이 최소한의 사용 편리와 입력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개별 키패드와 하우징 사이의 중첩 영역은 점점 더 작아진다. 해당 지지 프레임과의 리세스 또는 언더컷, 후크 및/또는 스터드의 조합에 의한 상호 맞물림의 공지된 형태로 하우징에 대해 키패드 또는 키패드 모듈의 기계적 고정은 더이상 적절하지 않다. 모는 키와 함께 키 또는 키패드 캐리어가 떨어지거나 또는 튀어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키의 최종 보호를 위해 상부 셀에 키패드 또는 키패드 모듈의 간단하고, 제조 공학적 관점에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본딩도 부적절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결과적으로, 개별 키들의 크기를 상대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친화도를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었던 이동 전화의 입력 디바이스 또는 키패드 주위 영역내에서 많은 설계 공간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키패드를 단단하게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만을 확대하도록 하는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 형태를 동시에 부합하도록 설계를 변경시키는 선택적인 대안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전체 디바이스는 실제 기술적으로 필요했던 것보다 더 큰 하우징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해법에 대한 이러한 접근법은 소형화의 방식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3차원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입력 디바이스의 섹션도.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듈, 이동 전화와 입력 디바이스 및/또는 하우징내 개선된 영구 고정 가능하도록 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진 입력 디바이스, 청구항 제16항의 특징을 가진 모듈 및 청구항 제17항에 따른 이동 전화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은 또한 청구항 제18항의 특징을 가진 방법으로 달성된다. 종속항들은 본 발명의 각각의 경우의 바람직한 및 장점을 가진 실시예를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키를 형성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가압하여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가요성 캐리어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을 포함하는 입력 디바이스 특히,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 안정 고정 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캡을 포함하는 제 1 평면과 캡에 연결된 가요성 캐리어의 제 2 평면 사이에 위치하여, 가요성 캐리어와 함께 캡이 고정 수단의 평면을 통해 실질적으로 시간에 맞추는 방식(punctual manner)으로 힘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고정 수단은 입력 디바이스 또는 하우징내에 고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단부 에지의 하나의 영역내에 구성되도록 한다. 고정 수단은 캡과 캐리어 사이에 형태-맞물림 방식으로 밀봉되고, 이에 따라 키 동작에 필요한 제한내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내 액추에이터로서 캡의 이동성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추가의 개발에서, 기계적 안정 고정 수단은 금속 시트로서 형성된다. 금속 시트는 신호를 트리거링하는데 필요한 제한내에서 동작 방향으로 개별 키가 이동할 수 있는 펀칭된 홀 형태의 리세스를 가진 격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안전하게 금속 격자 형태로 표현될 수 있는 기계적으로 충분히 한정한 고정 수단의 타겟에 기초하여, 매우 큰 리세스가 특히 개별 키 캡의 매우 우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완전한 일루미네이션이 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캡은 고정 수단이 가요성 캐리어와 조립된 이후 열가소성 몰딩 및/또는 리몰딩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특히 가요성 캐리어내로 몰딩된다. 동작 방향에 수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 캡은 고정 수단내 개구부보다 큰 크기로 적어도 하나의 공간상 방향을 가질 수 있다. 캡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하게 버섯모양 단면 형태로 동작 방향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단면 평면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키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내 고정 수단의 리세스를 통해 돌출하는 가요성 캐리어는 고정 수단과 함께 분리불가능한 모듈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 손가락과 접촉하는 캡의 확장을 통한 취급상 개선에 부가하여, 이는 또한 신호 입력시 사용된 과도한 힘이 주어지는 경우 캡이 고정 수단내 리세스를 통해 영구적으로 끼어버리거나 눌려지지 않도록 한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고정 수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캡은 말하자면 동작 방향으로의 이동에 제한적 역할을 한다.
하지만, 개선된 예에서, 하나의 재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키 및 가요성 캐리어를 구성하는 것 대신에, 다수-부품 및 특히 다수-재료 설계가 제공된다. 여기서, 캡은 특히 반투명 재료로부터 개별 부품으로 제조되어 가요성 캐리어 연결된다. 재료는 따라서 자신들의 개별 의도된 응용에 따라 최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캡은 우수한 백라이팅(backlighting)과 동시에 우수한 장기간 내마모성의 인쇄 및 가요성 캐리어는 균열 혹은 마모에 대한 경향없이 연속적으로 하중이 걸리는 상황에서 우수한 장기간 가요성 및 우수한 먼지-저항성으로 최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캡은 바람직하게는 가요성 캐리어의 돌출부에 고정되거나 및/또는 돌출부상에 위치한다. 한편, 여기서 모든 공지된 본딩, 용접 및/또는 열처리하에서 또는 열처리없이 양의 결합(positive coupling)뿐만 아니라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두 실시예에서, 입력 디바이스의 캡 또는 키가 동작 방향으로 그리고 이러한 동작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한 실시예에 따라, 동작 가능한 외장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의 캡들중 하나, 상기 캡은 개별 리세스와 중첩하며, 리세스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가요성 캐리어의 돌출부 또는 유사 부분이 안정적 고정 수단내 리세스틀 통해 돌출하고 개별 캡에 의해 커버링되어, 지지 프레임없이 키로서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키들은 각각의 키의 동작 방향에 대해 개별 하우징내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중첩하는 주변부 및/또는 프랜지 형태로 하우징내에 또는 하우징상에 입력 디바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수단의 적어도 하나의 단말 에지가 구성되고, 이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의 두 개의 개별 반대쪽 단말 에지이다. 이들 영역은 입력 디바이스에 영향을 줌 없이 자유롭게 대략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추가의 개선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수단은 정전기 방전에 대해 보호물로서 또는 ESD 보호물로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고정 수단은 접지 도체에 하우징내 내부적으로 전기적으로 도전적인 엘리먼트로서 연결되고, 예를 들면 입력 디바이스와 하우징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생성되는 클램핑 접촉부를 통해 연결된다. 이는 ESD 스파크의 누설을 보장한다.
하우징 개구부의 스팬 폭 또는 개구부 폭이 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은 개별 하우징으로 느슨하게 삽입된다. 하지만, 스팬 폭이 클 때, 고정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단단히 연결되거나 또는 시트-금속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수단 및 관련 하우징 부품은 또한 하나의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실질적으로 접합 생성 단계에서 일체형으로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로지 하나의 간단한 제조 방법이 간단히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는 입력 디바이스내 하우징에 또는 하우징내에 고정하기 위한 설비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입력 디바이스는 전체적으로 하우징내 두 개의 공간 축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추가의 본딩 또는 다른 연결 기술없이 하우징내 백킹(backing) 시트로서 고정 수단에 의해 단단히 유지된다. 실제 입력 디바이스는 필수적으로 고정 수단내 리세스에 의해 하우징에 대해 중심에 위치하는 추가의 처리없이 구성되어, 지지 프레임없이 개별 키가 형성되는 것을 통해 돌출한다. 이는 어떠한 과도정의된 시스템이 결과로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디바이스내에서 일련의 허용오차에 이점을 준다.
2차원 형태뿐만 아니라, 키패드 표면의 3차원 형태는 기계적으로 지지되거나 또는 심지어 여기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적정 안정 하우징내 고정 수단을 구부림으로써 또는 그 제조 과정 동안 고정 수단을 구부림으로써 야기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의 정전기적 방전 특성이 추가의 비용없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 디바이스 하우징이 적절하게 구비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는 폐쇄 패러데이 케이지(cage)를 구성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제안된 기술적 처리의 부수적인 효과로서, 시트-금속 격자의 가시적인 금속 반사가 설계의 목적을 위해 적어도 키 인터페이스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처리 및/또는 잉크처리를 통한 시트-금속 격자의 표면 처리로, 이러한 효과는 컬러 설계 옵션의 전체 범위에 대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간결한 예에 기초하여 도면의 도시와 관련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수단은 누락된 하우징 지지 프레임, 프랜지 또는 개별 하우징내 입력 디바이스의 키를 단단히 고정하는 유사 수단으로 대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1 및 도 2에서, 동일한 기능 및 동작 모드를 가진 엘리먼트는 각각의 경우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를 가지는 것으로 표시된다.
도 1의 3차원 분해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1)의 도시적 조립을 이동 무선전화에 대한 키패드로서 도시한다. 하우징 컴포넌트(2)내 키패드(1a)의 단단한 고정을 형성하기 위해, 이 경우 하우징 또는 하우징 개구부(3)의 상부 셀(2a)은 추가로 도시되지 않으며, 기계적으로 안정적인 고정 수단(4)은 캐리어 매트(8)의 형태로 가요성 캐리어(7)의 평면(A)과 개별 키 캡(9)을 가진 평면(B)사이에 또는 이들 내에 리세스(6)를 가진 펀칭된 금속 격자(5)의 형태로 위치한다.
지지 프레임 없이 키를 가진 입력 디바이스(1)를 구성하기 위해, 가요성 캐리어(7)의 돌출부(10)는 안정적인 고정 수단(4)내 개별 리세스를 통해 돌출하고, 개별 캡(9)에 의해 커버링된다. 따라서, 이러한 키는 각각의 키의 동작 방향(P)에 대해 개별 하우징내 고정적으로 맞물린다.
높은 기계적 하중을 견디기 위해 고정 수단(4)의 용량을 사용하는 것뿐만 아니라, 고정 수단(4)이 정전기적 방전에 대해 보호적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자신의 금속성 도전 특성의 2차적 사용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ESD 단자(11)가 고정 수단(4)상에 펀칭되고 구부려진 부품으로서 구성된다. 조립 상황에서, 이러한 ESD 단자는 이동 전화의 나머지 하우징에 맞물릴 때 하우징의 상부 부품의 접속 압력의 동작을 통해 내부 전자부품의 접지 리드에 연결된다.
더욱이, 리세스(12)는 고정 수단(4)상에 제공되고 해당 비교적 평평한 노치(13)가 가요성 캐리어(7)내에 제공된다. 금속 시트의 높은 기계적 성능으로 인해, 고정 수단(4)은 혼자서 하우징의 상부 셀(2a)의 러그(14)와 상호작용하는 리세스(12)를 통해 하우징내에 적정 고정을 보장할 수 있다. 해당 프랜지와 중첩 영역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가요성 캐리어에 대해 너무 작은 크기를 가지며, 그 결과 이러한 목적을 위해 더이상 사용될 필요가 전혀 없다. 더욱이, 오로지 평평한 노치(14)가 조립 동안 위치지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기서는 간단히 제공된다.
입력 디바이스(1)를 완전한 모듈 형태로 구성하기 위해, 전기적 N/O 접촉부의 구성을 위한 인쇄회로기판은 스위칭 접촉부(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를 가지고 가요성 캐리어 매트(7) 하부에 공지된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또한 가요성 캐리어 매트(7)에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지만, 일체형 모듈로서 완성된 입력 디바이스의 이러한 설계는 또한 입력 키패드와 자신의 미리설정된 위치에서의 고정을 위해 하우징 개구부(3) 또는 하우징 개구에 대한 위치지정의 관점에서,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정확히 동일한 방식으로 그곳에 고정된 개별 키 캡(9)으로 가요성 캐리어 매트(7)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고정 수단(4)에 의한 위치지정 및 고정 효과의 이러한 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도 2의 섹션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를 위해, 도 2의 도면은 도 1의 평면 A-A을 따른 섹션으로서 간략한 형태로 도시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 방법이 수행되는 3개의 포인트는 점선의 원으로 마크되며: M1은 캡(9)상의 프랜지가 고정을 위해 상부 셀(2a)의 하우징 개구부의 영역에서 아래로 연장된다. M2는 인접 캡(9) 사이의 M1과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 프랜지에 의해 조여지는 위치를 지시한다. M3은 가요성 캐리어(7)의 영역내 프랜지에 의한 공지된 입력 디바이스(1)의 현재 고정을 도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질적인 원리는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4)의 단자 영역(17)내 프랜지의 점선 중첩으로 영역 M3내 도 2의 도시에서와 같으며: 개별 키 이동 방향 P 또는 동작 방향으로, 가요성 캐리어(7)는 가요성 캐리어(7)의 개별 돌출부(10)상에 고정된 키 캡(9)과 함께 충분히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지만, 가요성 캐리어(7)는 안정된 고정 수단(4)내 개별 리세스(6)에 의해 동작 방향 P에 대해 수직인 평면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이동만이 허용된다.
단자 영역을 통한 입력 디바이스(1)의 튀어져 나옴을 방지하고 동시에 자신의 위치에서의 자동 고정에 영향을 주기 위해, 고정 수단(4)의 정도 하나의 단자 에지는 하우징(2)내에 또는 하우징상에 입력 디바이스(1)를 고정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4)의 단자 영역(17)내 중첩하는 주변부(18) 및/또는 프랜지(16)의 형태로서 구성된다.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고정 수단(4)의 두 개의 개별 마주하는 단자 에지(19)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동 전화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개별 하우징(2)내 깊게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키 캡과 가요성 캐리어 재료 사이의 펀칭된 시트-금속 격자(5) 형태로 고정 수단(4)을 느슨하게 삽입함으로써, 보유하는 지지 프레임의 형태가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O상의 캡 형태로 실제 키의 지지 프레임 없는 장치가 가능하다.
특히, 펀칭된 금속-시트 격자(5) 형태의 고정 수단(4)은 금속-시트 격자(5)의 표면 형상에 따라 예를 들면, 컬러링 등을 통해 전체 설계 개념에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공간 광학 효과를 자신의 금속 연마에 의해 개별 키 캡(9) 사이 또는 개별 키 캡과 하우징의 인접 상부 셀(2a) 사이의 내부공간(z)내에 생성된다. 캡(9)과 하우징 부품 사이에 생성된 내부공간은 금속 관학 또는 다른 설계 특성의 관점에서 추가의 비용을 발생시킴없이 사용된다.
이하의 참조 부호는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현재 설명의 범위내에서 사용된다.
1: 입력 디바이스 1a: 키패드 2: 하우징의 상부 셀
3: 하우징 개구부 4: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
5: 금속 격자 6: 4,5내의 리세스 7: 가요성 캐리어
8: 캐리어 매트 9: 키 캡 10: 7,8상의 돌출부
11:4,5상의 ESD 단자 12: 4내 리세스 13: 7내 노치
14: 2a내 스터드 15: 4,5의 단자 에지 16: 4,5상의 프랜지
17: 4,5의 단자 영역 18: 4,5의 중첩 주변부
A: 가요성 캐리어(7)의 평면 B: 개별 키 캡(9)을 가진 평면
M1...M4: 고정 방법의 영역 P: 키 이동 방향/동작 방향
O: 사용자 인터페이스 SMS: 단문 메시지 서비스
z: 내부공간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할당된 키를 구성하기 위해 가요성 캐리어(7)에 연결되어 입력 신호가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키를 누름으로써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캡(9)을 포함하는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로서,
    적어도 하나의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4)이 적어도 하나의 캡(9)을 포함하는 제 1 평면(B) 및 상기 캡(9)에 연결된 가요성 캐리어(7)의 제 2 평면(A)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캡(9)이 상기 가요성 캐리어(7)와 함께 상기 고정 수단(4)의 평면을 통해 실질적으로 시간에 맞추는 방식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단자 에지(15)의 영역에서 상기 고정 수단(4)은 하우징내에 또는 하우징상에 상기 입력 디바이스(1)를 고정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으로 안정된 고정 수단(4)은 금속 시트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개별 키가 동작 방향(P)으로 요구된 제한내에서 이동될 수 있는 펀칭된 홀 형태의 리세스를 가진 격자로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9)은 적어도 하나의 공간 방향에서 동작 방향(P)에 수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O)의 영역내에서 상기 고정 수단(4)내 개구보다 큰 크기를 갖는 입력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9)은 상기 개별 리세스(6)을 통해 돌출하고 상기 리세스를 통해 튀어나오도록 동작 외장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O)상에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9)은 상기 동작 방향(P)에 평행인 적어도 하나의 섹션 평편내에서 적절하게 버섯-모양 단면 형태를 갖는 입력 디바이스.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캐리어(7)의 돌출부(10)는 상기 안정적인 고정 수단(4)내 상기 리세스(6)를 통해 돌출하며 상기 각각의 돌출부(9)상에 고정된 캡(9)에 의해 커버링되도록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의 적어도 하나의 단자 에지는 하우징내에 또는 하우징상에 상기 입력 디바이스(1)를 고정하기 위해 중첩 주변부(18) 및/또는 프랜지(16)의 형태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9.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의 두 개의 개별 마주하는 단자 에지(15)는 상기 중첩 주변부 및/또는 프랜지(16)의 형태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하우징 개구(3) 또는 키보드 개구의 스팬 폭 또는 개구 폭이 작을 때 상기 개별 하우징내에 느슨하게 삽입되는 입력 디바이스.
  11. 제1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및/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수단(4)은 펀칭된 및 구부려진 금속-시트 부품으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 및 관련 하우징 부품(2, 2a)은 하나의 재료로 구성되며, 실질적으로 접합 생성 단계에서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입력 디바이스.
  13. 제1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의 사용을 통해, 상기 키패드 표면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O)의 3차원 형태가 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4)은 ESD 돌출부로서 구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은 설계 기준에 따라 형성되는 입력 디바이스.
  16.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1)를 포함하는 전기 및/또는 기계적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모듈.
  17.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 및 제1항 내지 제1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모듈을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로서 구성되는 음성과 함께 또는 음성 없이 텍스트 및/또는 이미지 데이터 - 상기 데이터는 동일한 또는 다른 표준에 부합하여 전송될 데이터 세트의 엘리먼트로서 인코딩됨 - 형태로 데이터의 전송 및/또는 표현을 위한 이동 전화 또는 다른 전송 및/또는 수신 유닛.
  18. 제1항 내지 제17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입력 디바이스의 제조를 위한 방법으로서,
    가요성 캐리어(4)가 적어도 하나의 키를 구성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캡(9)으로 돌출하며,
    상기 가요성 캐리어는 고정 수단(4)의 리세스(6)를 통해 부분적으로 인도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0) 및 열가소성 성형 및/또는 재성형 처리의 결과 상기 고정 수단(4)과 상기 가요성 캐리어가 조립된 이후 상기 가요성 캐리어(7)상에 몰딩되는 캡(9)을 포함하는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불투명 재료로 구성된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되며, 상기 가요성 캐리어에 연결되는 방법.
  20. 제1항 내지 제1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캡(9)은 상기 가용성 캐리어(7)의 돌출부(10)에 또는 돌출부상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하나 이상의 공지된 본딩, 용접 및/또는 열처리와 함께 또는 열처리 없이 형태-맞물림 연결 방법이 사용되는 방법.
KR1020057009865A 2002-12-12 2003-12-05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KR200500852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58209.2 2002-12-12
DE10258209A DE10258209A1 (de) 2002-12-12 2002-12-12 Eingab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Mobiltelefon, Modul mit einer Eingabe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5248A true KR20050085248A (ko) 2005-08-29

Family

ID=3233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9865A KR20050085248A (ko) 2002-12-12 2003-12-05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37184B2 (ko)
EP (1) EP1570631B1 (ko)
JP (1) JP2006510245A (ko)
KR (1) KR20050085248A (ko)
CN (1) CN1726692A (ko)
DE (1) DE10258209A1 (ko)
TW (1) TW200417229A (ko)
WO (1) WO20040542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0735B (zh) * 2007-12-26 2013-07-01 Htc Corp 按鍵結構
ATE534924T1 (de) * 2008-06-18 2011-12-15 Expro North Sea Ltd Erzeugung von elektrischer impedanz in einer förderleitung
JP4795459B2 (ja) * 2009-09-28 2011-10-19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ボタンキー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KR101803871B1 (ko) * 2010-11-16 2017-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EP2611119B1 (en) * 2011-12-27 2019-01-23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Terminal with transparent stripe and substrate
EP2864855B1 (en) * 2012-06-21 2016-03-09 Home Control Singapore Pte. Ltd. Two-shot injection molded housing with seats for keycaps in user-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6929A (en) 1972-08-25 1974-12-24 Du Pont PRODUCTION OF ANATASE TiO{11 {11 BY THE CHLORIDE PROCESS
US4074118A (en) * 1972-10-06 1978-02-14 Sharp Kabushiki Kaisha Calculator construction
US4033030A (en) * 1974-09-12 1977-07-05 Mohawk Data Scienc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keyswitch assemblies
US4083100A (en) * 1977-01-24 1978-04-11 Mohawk Data Science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 keyboard assembly
US4400596A (en) * 1982-01-15 1983-08-23 Amp Incorporated Membrane switch with sequentially closable contacts
FR2523365B1 (fr) * 1982-03-11 1988-05-13 Mektron France Sa Clavier tactile monolithique et plat
US4937932A (en) * 1987-04-10 1990-07-03 Ishii Hyoki Co., Ltd. Membrane panel switch
US4862499A (en) * 1987-09-04 1989-08-29 Phillips & Brooks, Inc. Deformable membrane keypad assembly for public telephones
US4916262A (en) * 1988-11-03 1990-04-10 Motorola, Inc. Low-profile, rubber keypad
US5475192A (en) * 1993-03-15 1995-12-12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Keytop sheet for push-button switches
GB2288911A (en) * 1994-04-19 1995-11-01 Silitek Corp Key switch
US5990772A (en) * 1995-06-02 1999-11-23 Duraswitch Industries, Inc. Pushbutton switch with magnetically coupled armature
US5747756A (en) * 1996-09-10 1998-05-05 Gm Nameplate, Inc. Electroluminescent backlit keypad
GB2321134A (en) * 1996-12-24 1998-07-15 Nokia Mobile Phones Ltd An assembly for a keypad
SE513069C2 (sv) * 1997-03-03 2000-07-03 Ericsson Telefon Ab L M Skydd mot elektrostatisk urladdning i en portabel kommunikationsapparat
US5917906A (en) * 1997-10-01 1999-06-29 Ericsson Inc. Touch pad with tactile feature
US5898147A (en) * 1997-10-29 1999-04-27 C & K Components, Inc. Dual tact switch assembly
TW498710B (en) * 1999-01-22 2002-08-11 Taisei Plas Co Ltd Control panel for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20010054653A (ko) * 1999-12-07 2001-07-02 오길록 쌍 스위치 방식의 버튼으로 구성된 전화기 키패드 장치
US6495784B2 (en) 2000-05-16 2002-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ep keys, step key assembly, and terminal having the step key assembly
KR100337786B1 (ko) * 2000-08-19 2002-05-24 윤종용 와이드 키패드 및 정전기 방지용 와이드 키패드 결합구조
CN2439095Y (zh) * 2000-09-12 2001-07-11 英业达集团(南京)电子技术有限公司 输入按键的固定结构
KR100384993B1 (ko) * 2001-05-22 2003-05-23 주식회사 유일전자 이엘램프 내장 일체형 키패드
JP4417588B2 (ja) * 2001-06-07 2010-02-17 株式会社フジクラ メタルドームシート
US20030044000A1 (en) * 2001-08-29 2003-03-06 Kfoury Tony N.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keypad and display
JP2003187671A (ja) * 2001-12-14 2003-07-04 Nec Saitama Ltd キー入力回路、及び、携帯端末の入力装置
AU2003237247A1 (en) * 2002-05-23 2003-12-12 Digit Wireless, Llc Keypads and key switches
US20040085360A1 (en) * 2002-10-31 2004-05-06 Hallmark Interactive, Llc Icon-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ext messag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7229A (en) 2004-09-01
US7437184B2 (en) 2008-10-14
US20060126825A1 (en) 2006-06-15
EP1570631A1 (de) 2005-09-07
CN1726692A (zh) 2006-01-25
EP1570631B1 (de) 2013-06-05
JP2006510245A (ja) 2006-03-23
WO2004054212A1 (de) 2004-06-24
DE10258209A1 (de)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5824B2 (en) Electrical switch component
JP3959916B2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装着した電子機器、ならびにその装着方法
EP1566951B1 (en) 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1928008B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US20020057792A1 (en) Radiotelephone
KR20050025329A (ko) 스위치 통합 케이싱 및 이 케이싱을 가진 전자기기
KR20050091907A (ko) 이단동작 스위치
JP2003297175A (ja)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H11134963A (ja) ボタン装置
EP3364436B1 (en) Push switch
JPWO2007037405A1 (ja) 携帯端末装置
KR20050085248A (ko) 이동 전화용 입력 디바이스,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모듈, 이동 전화 및 그 제조 방법
US8710382B2 (en) Keypad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EP2760036A1 (en) Waterproof and dust protected switch
CN110149120B (zh) 按键与卡槽组合结构及移动终端
JP4394047B2 (ja) キーフレームおよび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
JP2007036051A (ja) 携帯電子機器
JP3575247B2 (ja) ボタン電池保持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ワイヤレス送信器
KR200274032Y1 (ko) 휴대용 전화기의 메탈 돔 스위치 모듈
KR20040025747A (ko) 전자 단말기
JP3216187B2 (ja) 多接点スイッチ装置
EP1329920B1 (en) Switch unit, an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member with a grounding terminal in a switch unit
KR200264777Y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 기능키 구조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JP2002109999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およ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