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5608A -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프레임 - Google Patents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5608A
KR20040095608A KR10-2003-7017025A KR20037017025A KR20040095608A KR 20040095608 A KR20040095608 A KR 20040095608A KR 20037017025 A KR20037017025 A KR 20037017025A KR 20040095608 A KR20040095608 A KR 20040095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air
elastic
members
ma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나카마사나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5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560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랜딩의 온도 드리프트의 개선을 도모한 컬러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연결되어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구성한다. 또, 프레임(1)으로서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어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 1쌍의 지지부재가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기울어서 배치된 것, 이 양단성부여부재와 지지부재를 조합한 것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색선별기구를 갖추고 컬러음극선관을 구성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 프레임{Cathode-ray tube, its manufacturing method, color selection mechanism and frame for color selection mechanism}
도 39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이 컬러음극선관(1)은 패널(2)과 네크부(3)를 갖는 퍼늘(4)로 이루는 음극선관체(5)를 가지며, 패널(2)의 내면에 적, 녹 및 청의 각 색형광체층으로 이루는 컬러형광면(6)을 형성하는 동시에, 컬러형광면(6)에 대향하여 색선별기구(7)를 배치하고, 네크부(3)내에 전자총(8)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컬러형광면(6)은 예를들면 스트라이프형의 각 색 형광체층을 배열하여 형성된다. 관체(5)의 외측에는 편향요크(9)가 설치된다. 각 색선별기구(7)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1쌍의 지지부재(12, 13)와 지지부재(12 및 13)의 양단 사이에 접합된 ⊃자형을 이루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14 및 15)로 이루는 틀형의 금속프레임(16)을 가지며, 이 프레임의 1쌍의 지지부재(12 및 13) 사이에 박판 동판에 화면수평방향으로 배열하도록 다수의 슬릿(빔투과공)(17)을 형성하고 서로 이웃하는 슬릿(17) 사이에 미세띠형의 소위 그리드소체(18)를 형성하여 이루는 색선별용 마스크(19)가 설치되어 이룬다(특허문헌 : 특개평 10-106449호 공보참조).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자형의 탄성부여부재(14 및 15)는 예를들면 각재로 형성되고, 그 양단이 수평부 및 이것에 연속하는 수직부로 이루는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12 및 13)의 상기 수평부의 저면에 용접된다. 이 색선별기구(7)를 조립할때는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1쌍의 지지부재(12 및 13)를 외측에서 가압하고, 소위 턴버클을 걸어서 프레임(16)을 변형시킨 상태에서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지지부재(12, 13)의 단면 개략 L자형의 각 수직부의 단면상에 용접하고, 그 후 가압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색선별용 마스크(19)는 소정의 장력을 가지고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따라서 색선별기구(7)의 조립후의 상태는 프레임(16)이 도 41의 굵은 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조립전의 프레임의 상태(가는선 표시) 보다도 지지부재(12 및 13)의 색선별용 마스크용접면(12a, 13a)이 형광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색선별기구(7)는 패널(2)의 내측면에 고착된 패널핀(도시생략)에 지지되도록 예를들면 4점지지의 경우에는 프레임(16)의 4변에 대응하는 지지부재(12, 13) 및 탄성부여부재(14, 15)에 각각 스프링홀더(21)를 거쳐서 단부에 핀결합공(22)을 설치한 지지스프링(23)이 부착되어 있다.
이 음극선관(1)에서는 전자총(8)에서 출사한 적(R), 녹(G), 청(B)에 대응한 3개의 전자빔(B(BR, BG, BB))이 색선별기구(7)의 슬릿(빔투과공)(17)을 통과하여컬러형광면(6)의 각 색 형광체층에 조사되고, 형광체층이 발광하고, 상기 전자빔(BR, BG, BB)이 편향요크(9)에서 수평, 수직방향으로 주사되어서 소요의 컬러화상을 표시하도록 된다.
색선별기구로서는 상기 예 외에 예를들면 특허문헌(특개평 80273552호공보)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색선별기구도 알려져 있다. 이 색선별기구(101)는 셰도우마스크형이고, 도 51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대향하는 1쌍의 지지부재(102 및 103)와, 지지부재(102 및 103)의 양단사이에 접합된 평판형의 탄성부여부재(104 및 105)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106)이 설치되고, 지지부재(102 및 103) 사이에 도시되지 않아도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어 이룬다. 탄성부여부재(104 및 105)는 평판형의 면(104a, 105a)이 형광면측으로 향하고 또한 형광면측에 볼록(凸)으로 이루도록 탄성적으로 만곡시켜서 지지부재(102 및 103)에 접합된다.
부호 (108)는 지지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색선별기구(101)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온도드리프트의 개선을 도모하는 구성이고,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팽창한 때에 프레임(106) 자체를 형광면측으로 이동시켜서 전자빔의 미스랜딩을 보정하고 있다.
그런데 도 39 및 도 40에 나타내는 컬러음극선관(1)의 작동시, 상술한 바와같이 전자총(8)으로부터의 전자빔((B)(BR, BG, BB))은 색선별기구(7)의 슬릿(17)을 통과하여 형광면(6)상에 조사된다. 이때 색선별기구(7)를 통과할 수 없던 전자빔(B)의 에너지는 주로 열로 변한다. 이 열을 받은 색선별기구(7)는 열팽창하고, 온도상승전의 위치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전자빔이 통과하는 위치가 변하고, 색결여나 색엇갈림을 일으킨다.
또한 후술하는 종래의 프레임(16)을 구성하는 지지부재(12, 13)는 도 44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박판 동판의 색선별용 마스크(19)를 부착하는 일편의 측부분(소위 수직부)(11V)가 색선별용 마스크(19)의 4코너로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이미 수직(각도 (θ)가 약 90°)으로 이루도록 타편의 측부분(소위 수평부)(11H)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14, 15)에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들보형의 물체의 양단을 고정하고 중앙부에 힘을 가하면, 단면 2차모멘트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변형하고자 한다. 지지부재(12, 13)는 단면 개략 L자형상이기 때문에 그 수직부(11V)에 대하여 직각방향(Y방향)으로 가압하여 턴버클을 걸면, 도 4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Y방향 및 Z방향으로도 변형하게 된다. 색선별기구(7)의 조립시에는 색선별용 마스크(19)에 적당한 장력분포를 갖도록 하기 위해 도 46 및 도 47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지지부재(12, 12)의 중앙부근을 양단부분에 비해서 크게 변형시킨다(파선 위치에서 실선위치로 변형한 상태를 참조). 이 때문에 컬러 음극선관(1)의 동작에 전자빔의 충돌에너지에 의해 색선별기구(7)가 열팽창 하면, 도 41의 조립시와 역으로 동작해서 패널과 색선별기구와의 거리, 즉 형광면(6)과 색선별용 마스크(19)사이의 거리(소위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고, 빔투과공(17)의 위치가 변하고, 색엇갈림을 일으킨다.
이 온도 상승에 의한 전자빔의 엇갈림을 「빔랜딩의 온도드리프트」라 칭한다. 특히 색선별기구(7)의 색선별용 마스크(19)는 박판 동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열용량이 작고, 음극선관(1)으로의 영상입력의 전류레벨이 변하면 단시간(수분)에 대폭으로 온도상승 또는 하강한다. 열팽창에 의한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신장은 주로 미세띠형의 그리드소재(18)의 장수방향으로 크게 신장한다. 이 때문에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열팽창·수축에 반하여 온도드리프트는 단시간에 큰 양으로 발생하고, 제어가 어렵다. 덧붙여서 말하자면, 프레임(16)은 수시간에 걸쳐서 천천히 열팽창 한다.
이 온도드리프트의 현상을 상술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색선별기구(7)는 색선별용 마스크(19)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조립의 단계에서 프레임(16)을 가압하여 변형시킨 상태에서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용접한다(도 41참조). 이 때문에 음극선관(1)의 동작시에 온도가 상승하여 색선별용 마스크(12)가 열팽창 하면,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장력이 개방되고, 프레임은 조립전의 형태로 되돌아가고자 한다. 이때 도 4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색선별용 마스크(19)는 형광면(6)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위하고,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여 버린다(△GH만 형광면(6)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변화한다).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면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슬릿(17)의 위치가 변화하기 때문에 슬릿(17)을 통과한 전자빔의 도달위치도 변화하고, 형광면(6)상에 정확한 위치에 조사하지 않게 된다. 도 43은 이 상태를 나타낸다. 형광면(6)은 예를들면 적(R), 녹(G), 청(B)의 형광체 스트라이프(6R, 6G 및 6B)의 각 색사이에 카본스트라이프(6BL)가 형성되어 있다. 열팽창전의 색선별기구(71)를 통과한 전자빔(B1)은 예를들면 녹형광체 스트라이프(6G)에 조사되지만, 열팽창후에 그릴하이트(GH)가 △GH만 크게 되는 방향으로 변화(GH+△GH)하기 때문에 열팽창후의 색선별기구(72)를 통과한 전자빔(B2)은 다른 색, 예를들면 청형광체 스트라이프(6B)에 조사되어 미스랜딩이 생긴다.
다음에 색선별기구로서 도 40의 어퍼쳐그릴방식과 섀도우마스크(슬롯마스크)방식을 이용한 경우의 온도드리프트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49a∼49c는 종래의 어퍼쳐그릴 방식의 색선별기구(7)에 관한 것이다. 도 49a는 색선별용 마스크(19)가 전자빔에 의해 열팽창한 때의 신장을 나타낸다. 굵은선이 열팽창전이고, 가는선이 열팽창 후이다. (20)은 프레임(16)과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용접한 궤도를 나타낸다. 프레임(1)이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설치하고 있는 방향(a)은 자유롭게 수축할 수 있으므로 색선별용 마스크(19)에 열이 가해지면 팽창한다. 한편 프레임(16)과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용접하는 용접궤도방향(b)은 색선별용 마스크(19)가 프레임(16)에 용접되어 있으므로 색선별용 마스크(19)에 열이 가해져도 색선별용 마스크(19)는 프레임(16)에 추종하여 거시적으로는 팽창하지 않는다. 단 시각적으로는 그리드소체(18)의 한개 한개가 팽창하고 있다.
도 49b는 도 49a의 화살표 방향(B)에서 본 열팽창전후의 프레임(16)의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열팽창에 의해 프레임(16)의 탄성부여부재(14, 15)의 응력이 개방되고, 지지부재(12, 13)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결과로서 색선별용 마스크(19)가 열팽창전의 위치에서 도 49b에서 나타내는 우측(즉, 형광면에서 분리되도록) 엇갈림으로서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한다. 그러나 화살표(B)방향에서 보면 전자빔이 통과하는 부분이 슬릿이기 때문에 전자빔에는 엇갈림이 생기지 않는다. 즉 색엇갈림은 생기지 않는다.
도 49c는 도 49b와 동일하게 열팽창전후의 전자빔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관계를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그릴하이트(GH)가 △GH만 변화하였을때의 색선별용 마스크(192)를 통하는 전자빔(B2)은 열팽창전의 색선별용 마스크(191)를 통하는 전자빔(B1)의 위치에서 엇갈려져 있고, 색엇갈림이 생긴다.
도 50a∼도 50c는 섀도우마스크(슬롯마스크) 방식의 색선별기구(7')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일 도면에 있어서 도 49와 대응하는 부분에 동일 부호에 대쉬(')를 붙여서 표시한다. 도 50a는 도 49a와 동일하게 전자빔에 의해 열팽창하였을 때의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신장을 나타내고 있고, 굵은선이 열팽창 전이고, 가는선이 열팽창 후이다. 어퍼쳐그릴방식과 동일하게 색선별용 마스크(19')의 팽창은 주로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설치(架張)방향(a)이고, 용접궤도방향(b)은 프레임(16')에 추종하여 거시적으로는 팽창하지 않는다. 따라서 열팽창 후에 전자빔(B2)은 설치방향(a)만으로 엇갈림이 생기고, 용접궤도방향(b)에는 엇갈림이 생기지 않는다(도 50a 참조).
도 50b는 도 50a를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열팽창 전후의 프레임(16')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9b와 동일하게 열팽창에 의해 프레임(16')이 개방되고, 그릴하이트(GH)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색선별용마스크(19')의 빔투과공(17')이 설치방향(a)에 위치가 엇갈리는 것과, 프레임(16')이 그릴하이트(GH)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의 2개의 요인에 의해 전자빔의 형광면으로의 도달위치가 엇갈리게 된다. 이와 같이 섀도우마스크(슬롯마스크) 방식의 색선별기구(7')에서는 전자빔이 통과하는 부분이 구멍이기 때문에, 전자빔에 의해 색선별용 마스크(19')가 열팽창하면, 그릴 하이트(GH)의 변화뿐만 아니라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설치방향에 대하여도 전자빔의 엇갈림이 생기게 된다. 도 50c는 도 50a를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열팽창 전후의 전자빔(B1, B2)과 색선별용 마스크(191', 192')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릴 하이트(GH)가 변화함으로써 이 방향에서도 전자빔의 위치가 엇갈리게 된다.
상술한 예를들면 어퍼쳐그릴 방식의 색선별기구(7)에서는 그 지지부재(12, 13)의 중앙부와 양단부에서, 그릴하이트(GH)의 변화량이 다르기 때문에, 어느쪽을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면, 타편이 변화하여 버린다. 통상은 가장 색엇갈림을 일으키기 어려운 양단부를 중점적으로 컨트롤하고, 화면상의 그 외의 부분은 허용치내에 있으면 좋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스프링(23)이나 스프링홀더(21)는 지지부재(12, 13)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색선별용마스크(19)가 열팽창하였을때에 양단부분의 그릴하이트(GH)를 변화시키지 않도록 하면, 지지부재(12, 13)의 중앙부의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고, 지지스프링(23)에 여분의 스트레스가 걸린다. 즉, 도 48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지지스프링(23)은 판폭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스트레스가 발생한다. 이때문에 음극선관의 제특성이 불균일하고, 프레임(16)도 변형시키게 되고, 색엇갈림의 원인이 된다. 종래는 이들의 현상에 대하여 발본적인 대책을 취하지 않더라도 허용치내에서 있었기 때문에 제품으로서 성립하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 보다 정밀도·고정세한 음극선관을 안정하게 제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상술한 문제의 해결이 바람직하다
전술의 도 51의 선행기술은 온도드리프트 대책으로서 예를들면 열팽창 하였을때에 색선별기구를 그릴하이트(GH)의 변화분 △GH만 형광면측으로 이동시키고, 전자빔 궤도를 보정하도록 하고 있고, 그릴하이트(GH)와 구멍위치의 양편의 엇갈림을 동시에 보정하기때문에 탄성부여부재(104, 105)를 활모양으로 가공하여 열팽창시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형광면측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컬러텔레비전 수상기는 대형화, 고정세화가 진입하고, 온도드리프트량을 또한 극소로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예를들면 컬러텔레비전수상기, 컴퓨터 디스플레이, 그 외의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이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색 선별기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압 전후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2a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3c는 도2a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설명에 제공하는 확대 측면도이다.
도 5a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부를 나타내는 요부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A-A선 상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색 선별기구의 프레임의 가압 전후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프레임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9a∼도 9c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프레임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a는 도 10의 색 선별기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가압 전후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도 11c는 도 11a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a, 도 12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설계 파라미터의 설명에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음극선관에 사용되는 색 선별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조립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a는 도 15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평면도이며, 도 18b는 도 15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측면도이고, 도 18c는 도 15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조립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조립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a는 도 19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측면도이고, 도 22b는 도 19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조립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해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탄성부여부재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26은 도 5의 접합방법을 도 10의 색 선별기구의 프레임에 적용한 경우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 있어서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0은 도 27에 있어서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1은 도 27에 있어서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2는 도 27에 있어서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가압변형한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3은 통상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가압변형한 때의 지지부재와 가압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4는 도 27에 있어서의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을 가압변형한 때의 지지부재와 가압자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5는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27의 색 선별기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색 선별기구의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39는 종래의 음극선관의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0은 종래의 색 선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1은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조립 전후의 프레임 형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2는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색 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 전후의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나타내는 음극선관의 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빔 랜딩의 온도드리프트의 설명에 제공하는 설명도이다.
도 44는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지지부재의 부착각도를 나타내는 요부의 측면도이다.
도 45는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지지부재의 가압변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6은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에 가압변형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7은 색 선별기구용 프레임에 가압변형을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48은 그릴하이트의 변화에 따르는 지지 스프링의 변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9a는 어퍼쳐 그릴의 경우의 색 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 전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9b는 도 49a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어퍼쳐 그릴의 측면도이고, 도 49c는 도 49a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어퍼쳐 그릴의 측면도이다.
도 50a는 섀도우 마스크(슬롯 마스크)의 경우의 색 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 전후의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0b는 도 50a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섀도우 마스크(슬롯 마스크)의 측면도이며, 도 50c는 도 50a의 화살표 C방향에서 본 섀도우 마스크(슬롯 마스크)의 측면도이다.
도 51은 종래의 색 선별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컬러음극선관 2. 패널
3. 네크부 4. 퍼늘
5. 음극선관체 6. 컬러형광면
6R, 6G, 6B. 형광체스트라이프
7, 7'. 색선별기구 8.전자총
B (BR, BBG, BB), B1, B2…. 전자빔
9. 편향요크 12, 13. 지지부재
12a, 12b. 색선별용 마스크 용접면
14, 15. 탄성부여부재 16, 16'. 금속프레임
17. 슬릿 18. 그리드소체
19, 191, 192, 191', 192'…. 색선별용 마스크
21. 스프링홀더 22. 핀 결합구멍
23. 지지스프링 31. 색선별기구
32, 33. 지지부재 34, 35. 탄성부여부재
34a, 35a. 평판형의 면 36. 프레임
38. 지지스프링 GH. 그릴하이트
ΔGH. 변화량 31. 컬러음극선관
32. 패널 33. 네크부
34. 퍼늘 35. 관체
36. 형광면
37 (371, 372, 373)…. 색선별기구 38. 전자총
39. 편향요크 40. 색선별용 마스크
42, 43. 지지부재 44, 45. 평판형의 탄성부재
46. 프레임 47. 슬릿(빔투과구멍)
48. 그리드소체 49. 색선별용 마스크
θ…. 탄성부여부재의 판면과 색선별용 마스크 중앙의 법선의 이루는 각도
51H. 측부분, 수평부 51V. 측부분, 수직부
52. 계합구멍 54. 절결부
55 (551∼551)…. 스프링홀더 56. 핀 결합부
57 (571∼574)….지지스프링 49. 색선별용 마스크
60A. 기준 부위
60B, 60C, 60D, 60E, 94B…. 절곡부
60F…. 만곡부 61. 단차
65…. 용접영역 66, 67, 68…교차부분
71…더블네크형의 컬러음극선관 72. 패널
73. 퍼늘 74 (741, 742)…. 네크부
75. 관체 76 (761, 762)…. 전자총
77…. 형광면 78…. 색선별기구
791, 792…. 전자빔 811, 812…. 소(小)화상영역
85, 86…. 지지부재 87, 88…. 탄성부여부재
89, 136…. 프레임 90…. 색선별용 마스크
91…. 그리드소체 92…. 슬릿(빔 투과구멍)
90…. 색선별용 마스크 101. 색선별기구
102, 103…. 지지부재 104, 105…. 탄성부여부재
106…. 프레임 108…. 지지스프링
110, 122….맞댄면 111, 114, 121…. 절결부
112…. 다른 쪽 면 115, 123…. 돌출부
116, 131…. 단면 117…. 판면
본 발명은 빔랜딩의 온도드리프트량을 보다 극소로 억제하도록 한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이 음극선관에 이용되는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본 발명은 색선별기구를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고 있고,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지지부재가 주로서 관축방향으로 변위하지 않은 다양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팽창하여도 프레임의 지지부재는 관축방향으로 변위하기 어려우므로 그릴하이트의 변화량이 가급적으로 0에 가깝고, 비랜딩의 온도드리프트(drift)량을 극소로 억제할 수 있다.
제 1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지지부재가 주로서 관축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한 구성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이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는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탄성변형하는 면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지지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여부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 각도(θ)가 0°< θ< 60°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빔의 입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도(θ)가 0°< θ< 45°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릴하이트(GH)방향의 변화를 컨트롤하기 쉽기때문에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된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한다.
1쌍의 탄성부여부재는 판두께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평판재로 형성할 수 있다. 이 단차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는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 또는/및 이들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로 형성된다.
이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이 색선별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에 평행하도록 지지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는 전술과 동일하게 평판재의 평판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지지부재에 부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가 0°< θ< 60°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도(θ)가 0°< θ< 45°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부착하도록 이룬다.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부재로 형성된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된 1쌍의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은 지지부재를 색선별용 마스크에 용접되는 수직부와 이것에 연속하는 수평부로 이루는 단면 개략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단면 개략 L자 형상의 수평부에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결합홈을 결합하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수평부 및 수직부와 탄성부여부재를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이루고 판면이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교우하도록 경사되어 이루는 색선별기구에 있어서는 탄성부여부재의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의 형광면과 색선별용 마스크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0을 포함해서 가장 적게 이루는 부분, 결국 가급적으로 0에 가까운 부분에 패널에 대한 지지수단을 부착하도록 이룬다.
제 1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상술의 제 1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룬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의하면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프레임의 지지부재가 주로서 관축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구성한 색선별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동작시의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거해서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가급적으로 0에 가깝고, 온도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의하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된 색선별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동작시의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에 의거해서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가급적으로 0에 가깝고, 온도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를 그 탄성변형하는 면과 색선별용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가 소요의 각도(θ)로 이루도록 경사하여 지지부재에 부착될때는 색선별용 마스크 설치후의 프레임에 있어서 그 탄성부여부재의 변형량이 0으로 되는 위치를 만들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에 대해서, 이 변형량이 0의 위치에 패널로의 지지수단을 부착함으로써,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팽창하여도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0으로 억제할 수 있고, 온도드리프트(drift;흐름) 특성을또한 개선하는 것이 도모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의하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추고 있으므로 동작시에 색선별용마스크가 열팽창하여 탄성부여부재의 응력이 개방되어도 지지부재의 형광면측으로의 변위가 억제되고, 색선별용마스크의 열팽창에 의거해서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가급적으로 0에 가깝고, 온도드리프트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평판형의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마스크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므로 색선별용 마스크 부근에 대하여 자기차폐효과를 초래하고, 지자기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온도드리프트 특성 및 지자기드리프트 특성의 개선에 의해 빔랜딩의 전자보정회로를 생략하는 가능성이 있다.
탄성부여부재에 수평재를 사용하므로 색선별기구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에 패널로의 지지수단을 부착한때 종래의 프레임과 비교해서 용접성이 좋고, 소전류로 안정한 용접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선별기구의 제조시에 성전력이 가능하게 되고, 또 용접전극의 수명도 길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색선별기구의 제작시에 온도컨트롤을 용이하게 한다.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판두께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때는 색선별기구의 제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는 때의 탄성부여부재의 판두께방향의 변형이 쉽고, 판폭방향으로는 변형이 어렵게 되고, 프레임이 그릴하이트(GH) 방향으로 변형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보다 0에 가깝고, 보다 온도드리프트특성의 개선이 도모된다. 단차가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할때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를 균일하게 탄성변형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를 경사시켜서 지지부재에 접합하는 때에는 그릴하이트방향에 관하여, 탄성부여부재의 변형량이 0으로 되는 위치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 변형량 0의 위치에 패널로의 지지수단을 부착함으로써 동작시에 색선별용마스크가 열팽창하여도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0으로 억제할 수 있고, 온도드리프트를 보다 극소로 할 수 있고, 또한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개선이 도모된다.
지지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에 접합되는 수직부와 이것에 연속하는 수평부로 이루는 단면 개략 L자형을 이루고, 이 수평부에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결합홈이 결합되고, 지지부재의 단면 L자형상의 수평부 및 수직부와 탄성부여부재가 용접되어서 색선별기구가 구성되므로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을 강고하게 한 색선별기구가 용이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제 1색선별기구에 의하면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도 지지부재의 그릴하이트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므로 음극선관에 이용한때에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그외 상기와 동일이 색선별기구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제 2본 발명은 색선별기구를 1쌍의 단면 개략 L자형의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결국 「く」자형으로 이루도록 배치되어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같이 색선별용마스크의 설치에 따라서 프레임의 가압변형이 가압방향으로만 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색선별용마스크가 열팽창한 경우에 지지부재는 가압방향으로는 역방향으로 변위하는 것만으로 그릴하이트의 변동이 억제된다.
제 2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이루는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된 구성으로 한다.
이 색선별기구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면과의 이루는 각도()를 0°<< 90°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의 길이가 동일한 때에는를 20° 4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의 일편의 측부분의 길이를 L1, 타편의 측부분의 길이를 L2로 하고, 2개의 측부분의 길이가 L1 < L2로 설정하였을때는 각도()를 L1 = L2로 설정하였을때 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의 일편의 측부분의 길이를 L1, 타편의 측부분의 길이를 L2로 하고, 2측부분의 길이가 L1 > L2로 설정하였을때는 각도()를 L1 = L2로 설정하였을때 보다도 크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색선별기구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지 않는 측의 측부분의 단부를 면취하지 않고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용 프레임은 상술의 색선별기구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이루게 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면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는 0°<< 90°로 설정할 수 있다. 2개의 측부분의 길이에 따라서 각도()는 상술한 바와같이 바람직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제 2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상술의 제 2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룬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서는 상기 색선별기구를 갖추므로 동작시에 색선별기구의 색선병용 마스크가 열팽창하여도 그릴하이트의 변동이 억제되고, 색엇갈림이 생기기 어렵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의하면,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구성한 색선별기구를 갖추므로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적영향을 받아도 그릴하이트방향으로 변화하기 어렵고, 색엇갈림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드리프트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의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면의 접선과 측면의 접선과 이루는 각도()를 0°<< 90°로 설정할때는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의 길이가 어떤 값이라도, 그릴하이트변화가 0으로 되는 각도()가 반드시 존재한다. 따라서 그 각도()로 설정함으로써 동작시의 그릴하이트 변화가 억제되고, 온도드리프트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의 길이에 따라서 각도()를 최적한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열적 영향을 받아도 보다 확실하게 그릴하이트 방향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고, 온도드리프트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지 않은 측의 일편의 측부분의 단부를 면취하지 않아도, 이 단부에 의한 전자빔의 반사나 차폐는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이 단부를 면취하지 않으므로 절삭이나 프레스등의 공정이 삭감되고, 색선별기구의 제작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에 의하면, 단면 대략 L자형의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하게 되는 프레임을 가지므로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적영향을 받아서 열팽창하여도 그릴하이트의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에 적용하였을때에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용프레임에 의하면 단면 개략 L자형의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결국 「く」의 자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여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을 가압변형 하였을때에 지지부재가 가압방향으로만 변형하고, 그릴하이트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이 없다. 따라서 열적영향을 받아도 그릴하이트방향으로 변화하기 어려운 색선별기구를 제작할 수 있다.
지지부재에 있어서의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지 않는측의 일편의 측부분의 단부는 면취하지 않아도 전자빔의 반사나 차폐가 생기지 않으므로 프레임의 제작에 따라서 절삭이나 프레스 등의 공정이 삭감되고, 색선별기구용 프레임을 종래부터 안가로 제작할 수 있다.
제 3본 발명은 색선별기구를 전술의 제 1의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와 제 2색선별기구에 있어서의 지지부재를 조합한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제 3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색선별용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로 설정되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판두께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평판재로 형성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색선별용마스크의 열팽창시의 형광면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0을 포함해서 가장 적게 이루는 부분에 패널에 대한 지지수단이 부착된 구성으로 한다.
제 3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이용되는 색선별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체의 프레임을 가지고,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로 설정되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3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에 의하면, 색선별기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소위 「く」의 자형상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와의 조합시켜서 형성되므로 동작시의 색선별용마스크의 열팽창에 의거해서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또한 억제할 수 있고,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또 다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제 3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에 의하면, 소위 「く」의 자형상의지지부재와 평판부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와의 조합된 프레임을 이용해서 구성되므로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적영향을 받아도 열팽창하여도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또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음극선관에 적용하였을때에 색엇갈림을 억제하고, 온도드리프트특성의 또 다른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제 4본 발명은 색선별기구를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개선과 함께 프레임구조를 개선하여 양산에 적합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제 4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1쌍의 지지부재가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된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로 맞춘 각도를 가지며,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고,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1쌍의 지지부재가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된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의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지지부재와의 맞댄면이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로 맞춘 각도를 가지며, 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을 지지부재의 면에 맞추고,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음극선관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1쌍의 지지부재가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단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고,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춘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상술의 색선별기구를 갖춤으로써 빔랜딩의 온도드리프트량이 극소로 억제된다. 또한 색선별기구의 양산화가 가능하게 되므로, 이런 종류의 음극선관을 안가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 의하면, 색선별기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탄성부여부부재를 평판재로 형성하고, 도한 이 평판재가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팽창하여도 프레임의 지지부재는 관축방향으로 변위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그릴하이트의 변화량이 가급적으로 0에 가깝고, 빔랜딩의 온도드리프트량을 극소로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부분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을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로 하고, 이 돌출결합된 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대어서 접합할때에는 절삭가공하지 않고 프레스가공만으로 맞댄면을 갖는 절결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자체, 도는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을 안가로 또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부분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의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를 설치하고, 이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춘면을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로 하고 이 맞춘면을 지지부재에 돌출결합하여 접합하는 때는 절삭가공을 하지 않고 프레스가공만으로 맞댄면을 갖는 절결부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자체, 또는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을 안가로 또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부분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단면을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로 하고,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추어서 접합할때는 절삭가공하지 않고 프레스가공 만으로 지지부재측의 접합부분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자체, 또는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음극선관을 안가로 또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5본 발명은 색선별기구를 전술의 제 1 및 제 2발명의 평판재의 탄성부여부재 및 「く」의 자형의 지지부재와 제 4발명의 탄성부여부재와 지지부재와의 접합수단을 조합시킨 프레임상에 색선별용마스크를 설치하고, 또한 온도드리프트 특성의 개선과 양산성에 적합한 구성으로 한다.
제 5본 발명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은, 한 쌍의 지지부재(1)와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그리고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이 개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며,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된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며,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은,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 형상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그리고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이 개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며,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된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며,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을 지지부재의 면에 맞대어지고,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은,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그리고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이 개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며, 단면이 개략 L자형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단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며,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다.
여기에서, 색선별기구로는,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 θ를, 0°< θ< 90°로 설정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이 개략 L자형을 이루도록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된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이 이루는 각도 ()를, 0°<< 90°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에 의하면, 전술한 설명으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물론 온도 드리프트의 개선이 도모됨과 동시에, 색선별기구의 양산화가 가능하게 되며, 이 종류의 음극선관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의 각 음극선관에 이용되는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그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은,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한 개의 측 부분 및 다른 측 부분과 탄성부여부재와의 사이에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단면이 거의 L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된 부분에 절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에,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부여하는 공정과,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대어서 접합하고,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 드리프트 특성이 우수한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색선별기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부분을, 프레스 기공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스 가공만으로 지지부재의 맞댄면을 가지는 절결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선별기구를 저렴하게 그리고 양산화를 가능하도록 하며, 음극선관을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단면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의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된 부분에 절결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절결부의 지지부재와의 맞댄면에,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부여하는 공정과, 지지부재에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을 맞대어서 접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 드리프트 특성이 우수한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색선별기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부분을, 프레스 기공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스 가공만으로 탄성부여부재의 맞춘면을 가지는 절결부를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선별기구를 저렴하게 그리고 양산화를 가능하도록 하며, 음극선관을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단면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단면이 개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된 단면에,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부여하는 공정과,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추어서 접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 드리프트 특성이 우수한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색선별기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접합부분을, 프레스 기공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프레스 가공만으로 단면이 개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된 각도를 가진 단면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선별기구를 저렴하게 그리고 양산화를 가능하도록 하며, 음극선관을 저렴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은, 단면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로 하는 한 쌍의 탄성부여부재로 구성되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한 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 색선별기구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에 지지부재의 단면이 개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 측 부분을 결합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결합홈에 지지부재의 한 측 부분을 결합하여 탄성부여부재와 지지부재를 접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한다.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온도 드리프트 특성이 우수한 음극선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각 본 발명에 관한 음극선관은, 온도 드리프트 양을 극히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는 대형화, 고정세화의 음극선관에 적용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컬러 음극선관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컬러 음극선관(31)은, 패널(32)과 네크부(33)을 가진 퍼늘(34)로 이루는 음극선관체(35)를 가지며, 패널(32)의 내면에 적, 녹 및 청의 각 색형광체층으로 이루는 컬러 형광면(36)을 형성함과 동시에, 컬러 형광면(36)에 대향하여 후술하는 본 발명의 색 선별기구(37)를 배치하고, 네크부(33) 내에 전자총(38)을 배치하여 구성된다. 컬러 형광면(36)은, 예를 들면 스트라이프형의 각 색형광체층을 배열하여 형성된다. 관체(35)의 외측에는 편향 요크(39)가 배치된다.
이 음극선관(31)에서는, 전자총(38)에서 출사한 적(R), 녹(G) 및 청(B)에 대향한 3개의 전자빔((B)(BR, BG, BB))이 색 선별기구(37)의 색 선별용 마스크를 통과하여, 컬러 형광면(36)의 소요의 각 색형광체층에 조사되고, 형광체층이 발광하고, 이 전자빔(BR, BG, BB)이 편향 요크(39)에 수평, 수직방향으로 주사되고 소요의 컬러 화상을 표시하도록 된다.
도 2 ∼ 도 3은, 본 발명의 색 선별기구(37)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색 선별기구(37)는, 후술의 단면 개략 L자 형상으로 이루는 한 쌍의 지지부재(42 및 43)와, 지지부재(42 및 43)의 양단 사이에 접합된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탄성부호부재(44 및 45)로 이루는 틀형의 금속 프레임(46)을 가지며, 이 프레임(46)의 한 쌍의 지지부재(42 및 43) 사이에, 박판 강판에 양면 수평방향에 배열하도록 다수의 슬릿(빔투과공)(47)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슬릿(47) 사이에 미세띠형의 소위 그리드 소체(48)가 형성된 색 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는, 그 평판재의 판면이 색 선별용 마스크(49)의 중앙의 법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지지부재(42 및 43)에 부착된다.
지지부재(42 및 43)는, 색 선별용 마스크(49)에 용접되는 일편의 측부분, 즉 수직부(51V)와, 이들에 연속하는 다른 방향의 측부분, 즉 수평부(51H)로 이루는 단면 개략 L자 형상으로 하고 있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각각의 단부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면에 따라서 지지부재(42 및 43)의 단면 개략 L자 형상의 수평부(51H)의 결합하는 결합홈(52)이 형성된다. 또한, 본 예에서는 결합홈(52)에 지지부재(42 및 43)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의 절곡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결곡부를 피하기 위한 절결부(54)가 형성된다.
각 탄성부여부재(44 및 45)는, 각각 결합홈(52)을 지지부재(42 및 43)의 수평부(51H)에 결합한 상태에서 지지부재(42 및 43)의 수직부(51V)와 이것에 당접하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단변(端邊)과의 경계부분과 지지부재(42 및 43)의 수평부(51V)와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결합홈(52)의 가장자리와의 경계부분을 각각 용접(예를 들면 아크용접)하여 양부재(42, 43 및 44, 45)를 접합한다. 용접영역(65)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의 사선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및 43)의 수직부(51V)측에서 이것에 당접하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단변의 상부로부터 양측부에 걸쳐서 역U자형에 용접하고, 지지부재(42 및 43)의 수평부(51H)측에서는 수평부(51H)에 따르도록 또한 수평부(51H)의 색선별용 마스크측의 내면과 반대의 외면에 적어도 서로 대각위치(즉, 도 5의 실선부분 또는 파선부분)에 선상태로 용접한다. 이 수평부(51H)에 있어서 한편의 대각위치에만 용접하는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평판재에서 형성한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경사하여 지지부재(42 및 43)에 접합하는 경우에 용접작업을 하기 쉽고, 또한, 접합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색선별용 마스크(49)는, 상대향하는 지지부재(42 및 43)의 수직부(51V)상면 사이에 설치되며, 이 수직부(51V) 상단면의 용접에 의해 고착된다. 색선별기구(371)의 조립에서는, 통상과 같이 1쌍의 지지부재(42 및 43)를 외측으로부터 가압하고, 소위 프레임(46)에 턴버클을 달아 변형 시킨 형태로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지지부재(42, 43)의 L자형의 각 수직부(51V)의 상단면에 용접하고, 그 후, 가압을 해제한다. 지지부재(42, 43)에 대한 가압은, 예를 들면 2점 이퀄라이즈(편측계 4개소의 가압), 혹은 3점 이퀄라이즈(편측계 6개소의 가압)에서 행할 수 있다.
여기서, 평판형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가지는 프레임(46)은, 프레임(46)에 턴버클을 달았을 때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가 판두께(t)방향으로 변형하기 쉽고, 판폭(w)방향으로 변형하기 어려운 구조로 된다. 따라서, 조립시의 프레임(46)에 턴버클을 단 상태에서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는, 도 3a∼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 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면내에서 완곡하도록 변형한다. 이 때, 지지부재(42, 43)의 수직부(51V) 상단면은, 상기 법선방향으로 거의 변위하지 않는다. 도 3a, 도 3b에 있어서, 실선은 가압전의 프레임형상을, 파선은 가압후의 프레임형성을 각각 나타낸다.
이것에 의하여, 색선별용 마스크(49)는, 소정의 당기는 힘을 가지고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설치후의 상태를 보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여부재(44, 45)의 중심축(축방향의 중심에 있다)(O)과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중심축(O')이 어긋난 위치에 있으므로,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했을 때에 평판형의 탄성부여부재(44, 45)에는 색선별용 마스크(49)측으로 향하는 모멘트(M)가 활동하고, 판폭(w)방향으로 극미 소량의 굴곡변형이 생긴다. 그러나, 종래의 색선별구조와 비교하면 그 굴곡변형량(m)은 극히 작다.
색선별용기구(371)는, 패널(32)의 내측면에 고착된 패널핀(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복수점지지, 예를 들면 4점지지의 경우에는, 틀형의 프레임(46)을 구성하는 4변에 대응하는 지지부재(42, 43) 및 탄성부여부재(44, 45)에 각각 이들에 용접된 스프링홀더(55)(551, 552, 553, 554)와, 각 스프링홀더(55)에 용접된 단부에 핀 결합구멍(56)을 가지는 지지스프링(57)(571, 572, 573, 574)으로 이루는 지지수단이 부착된다. 3점 지지의 경우는, 예를 들면 하나의 지지부재(42)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45)에 지지수단이 부착된다. 색선별용 마스크(49)상에는, 이것에 접촉하도록 진동방지용의 댐퍼선이 설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1)를 갖춘 컬러 음극선관(31)에 의하면, 동작시에 전자빔에 의하여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팽창한 경우, 프레임(46)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응력이 개방되지만, 탄성부여부재(44 및 45)는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판면이 색선별용 마스크(49) 중앙의 법선에 평행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42 및 43) 자체의 상기 법선방향으로의 변위는 거의 없다. 따라서, 열팽창전후 그릴하이트(GH)의 변화량을 가급적으로 영에 접근할 수 있고, 온도 드리프트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가 평판재로 형성되며 또한 판면을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결국 탄성부여부재(44 및 45)가 색선별용 마스크(49)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므로, 탄성부여부재(44 및 45)가 색선별용 마스크(49) 부근에 대하여 자기차폐효과를 초래한다. 이 때문에, 지(地)자기의 변화를 수반하는 전자빔 궤도의 변화에 의한 색 엇갈림(이른바 지자기 드리프트)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효과는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재료 자기특성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으로, 보다 큰 효과가 얻어진다.
온도 드리프트, 지자기 드리프트가 개선됨으로써, 빔 랜딩의 전자(電磁)보정회로를 폐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 결과, 음극선관을 갖춘 텔레비젼 세트, 컴퓨터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를 싼 값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평판재를 이용하기 위해, 각재를 사용한 종래의 프레임과 비교하여, 재료비를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평판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각재와 비교하여 용접성에 뛰어나다. 스프링홀더(55)등을 용접할 때, 소전류로 안정한 용접을 할 수 있고, 용접전극의 소모도 억제된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이용하는 평판재는, 각재와 비교하여 체적에 대한 표면적의 비율이 크고, 방열성에 뛰어나다. 이를 위해, 음극선관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색선별구조의 온도 컨트롤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스프링홀더의 용접후, 용접부는 실온까지 냉각되지만, 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혹은 색선별기구는 흑화처리를 고온의 화로에서 행해지며, 그 후 실온까지 냉각되지만, 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6∼도 7은,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37)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2)는, 특히, 프레임을 구성하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판두께(t)방향으로 단차(61)를 가지는 평판재로 형성하여 구성된다. 기타, 구성은, 상기의 색선별기구(371)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차(61)는, 하나 또는 복수 설치할 수 있고, 탄성부여부재(44 및 45)로서는, 여러 가지 형상이 고려된다. 단차(61)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예에서는 단차(61)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평면부 중, 가장 양단에 가까운 부위(60A)를 기준으로서,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상대향하는 측에 돌출하는 중앙부의 절곡부(60B)에서 형성된다. 실선은 프레임 가압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파선은, 프레임 가압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372)를 구성하는 프레임(46), 특히 그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이 프레임(46)은, 탄성부여부재(44 및 45)가 그 평면부 중, 가장 양단에 가까운 부위(60A)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적으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상대향하는 측에 볼록상태로 돌출하는 중앙부의 절곡부(60B)와, 그 반대측에 돌출하는 양측의 골절부(60C)에서 단차(6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실선은 프레임 가압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파선은, 프레임 가압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9a∼도 9c는,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372)를 구성하는 프레임(46), 특히 그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더욱이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9a의 프레임(46)은,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그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60A)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적으로 중간 보다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갈고리형으로 절곡한 단차(6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도 9b의 프레임(46)은,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그 평면부 중, 가장 양단에 가까운 부위(60A)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적으로, 중앙부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상대향하는 측에 복수단의 볼록상태로 돌출하는 절곡부(60B)에서 단차(6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도 9c의 프레임(46)은,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그 평면부 중, 가장 양단에 가까운 부위(60A)를 기준으로 하여 각각 대칭적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서로 반대측에 돌출하는 2개의 절곡부(60D 및 60E)에서 단차(61)를 형성하여 구성된다.
또한, 각 변형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단차형상 혹은 만곡형상을, 도시(圖示)는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단차형상 혹은 만곡형상할 수 도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2)에 의하면,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판두께방향으로 단차(61)를 가지는 평판재에서 형성할 때에는, 단차(61) 혹은 만곡부(60F)에 의해 힘의 모멘트가 부여되고, 프레임(46)에 턴버클을 달았을 때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판두께방향으로의 변형을 더욱이 조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색선별기구(371)에 비하여 프레임(46)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부드럽게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 상술의 색선별기구(371)와 동일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37)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 (373)는, 특히, 프레임(46)을 구성하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판두께방향으로 단차(61)를 가지는 평판재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평판재의 판면이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소요 각도로 이루도록, 경사하여 지지부재(42 및 43)에 설치하여 구성된다.
각도(θ)로서는, 0°〈 θ〈 9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여부재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각도(θ)를 0°〈 θ〈 6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빔의 입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각도를 0°〈 θ〈 45°의 범위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릴하이트(GH)방향의 변화를 컨트롤하기 쉽기 때문에, 각도를 10°〈 θ〈45°의 범위로 한다.
기타, 예를 들면 지지부재(42, 43)의 형상, 탄성부여부재(44 및 45)와 지지부재(42 및 43)와 용접, 색선별용 마스크의 설치의 수단등의 구성은, 상술의 도 2∼도 5에서 설명한 색선별기구(371)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일예에서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상술의 도 6 및 도 7과 동일하게 평판재로 이루며, 각각 대칭적으로 중앙부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상대향하는 측에 소요의 폭에서 볼록상태로 돌출하는 절곡부(60B)에 의한 단차(61)를 가지고 형성하고, 이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각도(θ)가 30°로 되도록 경사시켜 지지부재(42 및 43)에 용접하여 프레임(46)이 구성된다. 이 프레임(46)에 턴버클을 달아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설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373)에 있어서는, 프레임(46)의 가압변형 후, 즉,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설치후의 프레임(46)의 상태를 보면, 도 11a의 파선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선은 가압전의 프레임형상), 예를 들면,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중앙은 판두께방향으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상대향하는 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굴곡변형한다. 양단부는 지지부재(42 및 43)의 변형에 따라 판두께방향으로 같은 측 또는 반대측에 볼록하게 되도록 굴곡변형한다. 이것으로 도 11a의 화살표(B)방향에서 보면,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중앙부의 절곡부(60B)는 색선별용 마스크(4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형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중심축(O)과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중심축(O')이 어긋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했을 때에,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모멘트가 활동하고,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전체가 판폭방향으로 또한 색선별용 마스크(49)와 반대측에 볼록하게 되는 굴곡변형이 생긴다. 따라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서는, 턴버클을 달았을 때의 굴곡변형량과,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했을 때의 반대방향으로의 굴곡변형량이 상쇄되어, 변형량이 영의 위치가 존재한다. 이 변형량이 영의 위치는, 중앙의 절곡한 영역(60B) 혹은 양단영역(60C)에 존재한다. 주로 중앙의 절곡한 영역(60B)에 존재한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지지부재(42 및 43)에 대하여 각도(θ) 기울어서 접합하는 구성은, 상술의 도 3, 도 9a∼도 9c의 프레임(46)을 가지는 색선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들 경우에도,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한 후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에 있어서, 변형량이 영으로 되는 위치가 존재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색선별기구(373)의 프레임에 패널에 대한 지지수단, 예를 들면 스프링홀더를 거쳐서 지지스프링을 용접하지만, 탄성부여부재에 대한 지지수단, 본예에서는 스프링홀더를, 상기의 변형량이 영의 위치에 용접하도록 이룬다. 단, 지지스프링은, 종래와 동일하게 지지스프링의 판면이 관축에 따르도록 설치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3)를 갖춘 컬러음극선관(31)에 의하면, 동작시에 전자빔에 의하여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팽창한 경우, 프레임(46)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응력이 개방되지만,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스프링홀더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변형 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팽창 전후에서 색선별용 마스크의 관축방향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그릴하이트(GH)의 변화를 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 기타, 상술의 색선별기구(37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위 예에서는, 프레임에 대한 스프링홀더를 거쳐서 지지스프링을 설치하도록 했지만, 기타 지지수단으로서, 지지스프링을 직접 프레임에 설치하도록 할 수 도 있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44 및 45)의 조건, 즉 주요 설계 파라미터는, 다음의 6개가 있다. 이 설계 파라미터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내는 탄성부여부재(44 및 45)를 형성하는 평판재의 판두께(t), 판폭(w), 단차의 절곡량(d), 단차의 절곡 위치 색선별용 마스크 중앙의 법선과 탄성부여부재의 판면과 이루는 각도(θ), 탄성부여부재의 지지부재로의 설치 높이(h)이다.
이들의 설계 파라미터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서, 프레임 가압시의 지지부재(42및 43)의 패널방향에 접근하는 변형예(m)를 컨트롤할 수 있고, 최적의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가지는 색선별기구의 설계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의 각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프레임(46)을 이용하면, 턴버클 공정의 가압시, 지지부재(42 및 43)의 패널방향에 접근하는 변형량(m)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다. 논리적으로는 이 변형예를 0으로 할 수있다. 이 때문에, 컬러 음극선관내에서 색선별용 마스크(46)가 열팽창해도,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지 않고, 변화해도 극미 소량이며, 그릴하이트(GH)의 변화에 수반하는 온도 드리프트를 가급적으로 영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는, 대형화, 정세화(精細化)의 컬러음극선관에 적용하여 호적하다.
도 1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컬러음극선관을 복수전자총형 컬러음극선관에 적용한 경우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예에서는, 2개의 전자총을 가진 컬러음극선관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컬러음극선관(71)은, 복수, 본 예에서는 2개의 네크부(74)(741, 742)를 가지고 각각 전자총(76)(761, 762)을 갖추어 이룬다. 즉, 대화면영역을 형성하는 패널(72)과, 이 패널(72)에 접합된 퍼늘(73)과, 이 퍼늘(73)에 접합된 2개의 네크부(74)(741, 742)로 이루는 관체(75)가 설치된다. 각 네크부(741 및 742)내에 각각 전자총(761 및 762)이 배치되는 동시에, 패널(72) 내면의 컬러 형광체면(77)에 대향하고 색선별기구(78), 예를 들면 어퍼쳐그릴, 섀도우마스크(슬롯마스크) 등이 배치된다. 이 음극선관(71)은, 복수, 본 예에서는2개의 소화상영역을 합성한 대화면 영역에 전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체(75)의 외측에는, 각 네크부(741, 742)로부터 퍼늘(73)에 걸쳐서 각각 편향 요크(80)(801, 802)가 배치된다.
패널(72)은, 일체 성형되어, 화면수평방향을 장축으로 하고, 화면수직방향을 단축으로 하는 가로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다. 패널(72)내면에서는, 각 전자총(76)으로부터 출사한 전자빔에 의하여 주사되는 소(小)화상영역(81)이 전자총(76) 수에 대응하여 복수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2개의 소화상영역(811, 812)이 형성되며, 이 2개의 소화상영역(811, 812)의 합성에서 대(大)화상영역(82)이 형성된다. 본 예에서는, 각 전자총(761, 762)으로부터의 전자빔(791, 792)이 서로 이웃하는 소화상영역의 근방, 즉 2개의 소화상영역(811, 812)의 경계부근에서 각각 이웃의 소화상(811, 812)에 일부중복하여 주사하도록 구성된다. 색선별기구(78)는, 패널(72)의 대화상영역(82)에 대하여 공통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형광면(77)은, 대화상영역(82)의 수평방향으로 긴 스트라이프형의 각 색형광체층을 수직방향에 따라서 배열하여 구성된다. 색선별기구(78)의 색선별용 마스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대화상영역(82)의 수평방향으로 긴 스트라이프 또는 긴 구멍(어느 것도 빔 투과구멍)을 가지고 구성된다.
이와 같은 2개의 전자총을 가진 컬러 음극선관(71)에서는, 각각 전자총(761, 762)의 각각으로부터 전자빔(791, 792)이 대강 화면의 반 화상을 표시하도록 출사된다. 전자빔(791, 792)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라인주사되면서 화면수평방향으로 각각 화면의 단부로부터 중앙으로 향하여 필드주사되며, 중앙부근에서 서로 중복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음극선관(71)에서는, 전자빔(791, 792)의 수직편향이 이른바 라인편향에 상당하고, 수평편향이 이른바 필드편향에 상당한다.
여기서, 2개의 전자총을 가진 컬러음극선관(71)에서는, 색선별기구(본 예에서는 어퍼쳐그릴)의 색선별용 마스크의 각 그리드소체의 길이가 통상의 2배이며, 게다가 동작시에는 2개의 전자총으로부터의 전자빔에 의해, 색선별용 마스크에 부여되는 열량도 통상의 2배로 되기 때문에,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은 통상의 어퍼쳐그릴에 비하여 단순하게 보고 4배로 되며, 온도 드리프트 대책은 통상보다도 상당히 엄격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는, 이 2개의 전자총을 가진 컬러음극선관(71)의 색선별기구(78)를 상술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로 구성한다. 즉, 이 색선별기구(78), 본 예에서는 어퍼쳐그릴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향하는 1쌍의 지지부재(85 및 86) 그 양단간에 접합된 평판재로 형성된 탄성부여부재(87 및 88)로 이루는 금속프레임(89)상에 색선별기구 마스크(90)가 설치되어 이룬다. 색선별용 마스크(40)는, 화면수평방향으로 긴 미세띠형의 그리드소체(91)가 화면수직방향에 따라 다수배열되며, 이 각 서로 이웃하는 그리드소체(91)간에 화면수평방향으로 긴 슬릿(빔 투과구멍)(92)이 형성된다. 본 예의 프레임(89)은, 상술의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의 구성을 가지게 된다. 즉, 단면 대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85 및 86)에 대하여, 평판재로 이루며 또한 평면부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94A)를 기준으로서 탄성부여부재(88 및 89)의 상대향하는 측에 돌출하는 굴곡부(94B)를 가지게 되며, 이른바 단차를 가지게 되는탄성부여부재(88 및 89)를, 예를 들면 각도(θ)가 30°로 되도록 경사하여 접합하고 구성된다.
이러한 색선별기구(78)를 갖춘 2개의 전자총을 가지는 컬러음극선관(71)에 의하면,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90)가 열팽창해도, 상술한 바와 같이 그릴하이트(GH)가 열팽창전과 변하지 않으므로,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기타, 지자기 드리프트의 개선 등, 상술과 동일의 효과가 있다.
상술의 색선별기구에서는,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프레임의 지지부재가 주로 하여 관축방향으로 변형하지 않도록, 탄성부여부재를 평판재로 형성했으나, 탄성부여부재로서는, 색선별용 마스크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탄성가능한 부재이면 좋고, 이와 같은 부재로 탄성부여부재를 형성하여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색선별용 마스크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에 의해 탄성부여부재를 변형한 색선별기구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를 구 탄성변형하는 면과 색선별용 마스크 중앙을 법선으로 이루는 각도가 소요의 각도(θ)로 되도록 경사하여 지지부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구성의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색선별용 마스크 설치 후의 프레임에 있어서, 그 탄성부여부재의 변형량이 영으로 되는 위치를 만들 수 있다. 탄성부여부재에 대하여, 이 변형량이 영의 위치에 패널로의 지지수단의 설치함으로써,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열팽창해도 그릴하이트의 변화를 영으로 억제할 수 있고, 온도 드리프트 특성의 더욱 개선이 도모된다.
각도(θ)로써는 상술의 예와 동일하게 0°<θ<9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θ<6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0°<θ<45°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10°<θ<4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상술의 프레임의 탄성부여부재를 평판재로 형성한 각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에 있어서는 그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에, 도 5에서 나타낸 탄성부여부재(44, 45)에 슬릿형의 접합홈(52)을 형성하여 지지부재(42, 43)의 수평부(51H)에 삽입하여, 용접하도록 접합방법을 취하면, 양산성에 적합하지 않다. 특히 상술의 도 10, 도 14등에 나타내는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를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한 기울기에 배치하는 색선별기구(373, 78)에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홈(52)을 판두께 방향으로 판면(44a)(45a)에 대하여 경사하여 형성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와 같은 경사한 결합홈(52)은 절삭하여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고,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다음으로, 도 15∼ 도 25을 이용하여 상술한 색선별기구의 프레임의 양산화을 가능하게 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도 15∼도 25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적합되는 요부의 구조만을 나타낸다.
도 15∼ 도 17(사시도, 단면도) 및 도 18(평면도, 측면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식별기구, 즉 상술한 것이, 도 10, 도 14에 대응한 색선별기구(373, 78)에 적용되는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로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44, 45)(또는 87, 88)의 접합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그 프레임(46)(또는 89)을 구성하는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평판재에,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의 탄성부여부재(44, 45)(또는 87, 88)가 설치되는 부분에 절결부(111)를 설치하는 동시에, 절결부(111)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와의 맞댄면(11)을,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설치 각도(θ)에 맞춘 각도(θ)를 가진 경사면으로 이루고, 지지부재(42, 43)(85, 86)의 절결부(11)의 맞댄면(110)에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판면(117)을 맞대고, 지지부재(42, 43)(85, 86)와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를 접합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세히 서술한다. 도 15, 도 18a, 도 18b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식별기구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요부의 분해도, 도 16, 도 17, 도 18c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를 접합하고 프레임을 형성한 요부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는, 색선별용 마스크(49)(또는 90)에 용접되는 수직부(51V)와 이것에 연속하는 수평부(51H)로 이루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수평부(51H) 양단의 탄성부여부재(44, 45)(또는 87, 88)가 설치되는 부분에 사각형상으로 절제된 절결부(111)가 형성된다. 이 절결부(111)의 한쪽 내면, 즉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와 맞댄면(110)이,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설치 각도(θ)에 맞춘 각도(θ)를 가지는 경사면에 형성된다. 다른 쪽 면(112)은 대강 직각으로 절제된다. 한편,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는, 그 양단 부분에 지지부재(42, 43)(85, 86)측 절결부(111)에 대응하여 사각형상의 절결부(114)가 형성된다.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에서는 절결부(114)에의해 형성된 돌출부(115)의 단면(116)이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직부(51V)의 내면에 당접한 상태에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절결부(114) 내면(117)과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평부(51H)의 다른 쪽면(112)과의 사이에 극간(t1)이 형성되도록 맞춘다. 또, 돌출부(115)와 수평부(51H)의 상면과의 사이에 극간(t2)이 형성되도록 이룬다.
지지부재(42, 43)(85, 86)에서는, 예를 들면, 그 절결부(111)를 수평부(51H)의 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프레스가공으로 형성한 후, 기울기방향으로부터의 프레스가공으로 각도를 잡아 맞댄면(110)이 형성된다.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절결부(114)는 판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된다.
프레임(46)(89)의 조립에 있어서는, 도 16, 도 17 및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43)(85, 86)의 절결부(111)에 깊숙히 파고 들도록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절결부(114)를 삽입하고,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돌출부(115)의 단면(116)을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직부(51V) 내면에 맞대는 동시에, 지지부재의 수평부(51H)에 형성한 절결부(111)의 각도(θ)에서 경사한 맞댄면(110)에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판면(117)을 맞대고, 그 상태에서 예를 들면 아크용접 등에 의해 용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는,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하여 각도(θ)기울인 상태로 설치되며, 목적의 프레임(46)(89)이 제작된다. 이 프레임(46)(89)에 색선별용 마스크(49)(90)를 설치함으로써, 목적의 색선별기구(373 또는 78)가 제조된다.
용접개소는, 예를 들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43)(85,86)의 맞댄면(110) 근방의 수평부(51H) 상면과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와의 교차부분(66)과, 맞댄면(110) 근방의 수평부(51H) 이면과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와의 교차부분(67)과,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돌출부(115)의 상면 및 양측면과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직부(51V) 내면과의 교차부분(68)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에 의하면, 지지부재(42, 43)(85, 86)에 소요 각도(θ)의 맞댄면(110)을 가지는 절결부(111)가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양단에 프레스가공으로 절결부(114)가 형성되며, 지지부재측의 맞댄면(110)에 탄성부여부재 측의 판면(117)이 맞대어져 접합되고 프레스(46)(8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색선별기구(37, 378)에 있어서, 평판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가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하여 소요 각도(θ)로 설치되는 접합부의 가공은, 상술한 절삭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가공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접합부를 싼 값으로 양상에 적당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구조의 경우,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할 때의 프레스에 대한 턴버클은,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부분을 가압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턴버클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온도 드리프트량을 보다 억제한 신뢰성이 높은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컬러음극선관을 싼 값으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도 21(사시도, 단면도) 및 도 22(측면도)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 즉 상술한 도 10, 도 14에 대응한 색선별기구(373, 78)에 적용되는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로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44, 45)(또는 87, 88)의 접합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그 프레임(46)(또는 89)을 구성하는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가 설치되는 부분에 절결부(121)를 설치하고, 절결부(121)의 지지부재(42, 43 (85, 86)와 122)를,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한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설치각도(θ)에 맞춘 각도(θ)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고, 이 탄성부여부재의 맞댄면(122)을 지지부재의 수평부(51H) 상면에 맞대고, 지지부재(42, 43)(85, 86)와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를 접합하여 구성된다.
더욱이 상세히 서술한다. 도 19, 도 12a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식별기구의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의 요부의 분해도, 도 20, 도 21 및 도 22b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를 접합하고 프레임을 형성한 요부의 조립도를 나타낸다. 지지부재(42, 43)(85, 86)는, 색선별용 마스크(49)(또는 90)에 용접되는 수직부(51V)와 이것에 연속하는 수평부(51H)로 이루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평판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는, 양단부에 각각 대강 직각의 계단형의 절결부(121)가 형성된다. 절결부(121)의 지지부재의 수평부(51H) 상면에 맞대어지는 맞댄면(122)은,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설치 각도(θ)에 맞춘 각도(θ)를 가진 경사면에 형성된다, 맞댄면(122) 이외의 절결면은 대강 직각인면이다.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에서는, 맞댄면(122)을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평부(51H) 상면에 맞대게 한 상태로, 절결부(121)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123)의 지지부재로의 설치 단면(123a)이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직부 내면에 당접하고, 또한 돌출부(113)의 수평단면과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평부(51H) 사이, 수평부(51H)의 단면과 이것에 대응하는 절결부(121)의 단면 사이에 각각 극간(t3, t4)이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경사진 맞댄면(122)을 가지는 절결부(121)는, 상술한 바와 같이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된다.
프레임(46)(89)의 조립에 있어서는 도 20, 도 21 및 도 2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평부(51H)에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절결부(121)를 삽입하고,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돌출부(123) 단면(123a)을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직부(51V) 내면에 맞대게 하는 동시에,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의 각도(θ)로 경사한 맞댄면(122)을 지지부재(42, 43)(85, 86)의 수평부(51H) 상면에 맞대게 하고, 그 상태에서 예를 들면 아크용접 등으로 용접한다. 이것에 의하여,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는,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하여 각도( θ)경사한 상태로 설치되며, 목적의 프레임(46)(89)이 제작된다. 이 프레임(46)(89)에 색선별용 마스크(49)(90)를 설치함으로써, 목적의 색선별기구(373 또는 78)가 제조된다.
용접개소는,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의 수평부(51H) 상면과 탄성부여부재와의 교차부분(66)과, 지지부재의 수직부(51V)와 탄성부여부재와의 교차부분(68)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에 의하면, 탄성부여부재(44, 45)(87, 88)에 소요 각도(θ)의 맞댄면(122)을 가지는 절결부(111)가 프레스가공으로 형성되어, 지지부재측의 수평부(51) 상면에 탄성부여부재 측의 맞댄면(122)이 맞대이게 되어 양자가 접합된다. 이와 같이, 평판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가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하여 소요 각도(θ)로 설치되는 접합부의 가공은, 절삭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가공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접합부를 싼 값으로 양상에 적당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구조의 경우,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할 때의 프레스에 대한 턴버클은,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와의 접합부분을 가압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 좋게 턴버클이 설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온도 드리프트량을 보다 억제한 신뢰성이 높은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컬러음극선관을 싼 값으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도 2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식별기구, 즉 상술한 도 10, 도 14에 대응한 색선별기구(373, 78)에 적용되는 지지부재(42, 43)에 적용되는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로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44, 45)(또는 87, 88)의 접합부분의 요부를 나타내는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는, 그 프레임을 구성하는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를 평판재로 형성하고,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85, 86)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가 설치되는 단면(131)을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설치각도(θ)에 맞춘 각도(θ)를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고,지지부재의 경사한 단면(131)의 전면에 탄성부여부재에 판면(117)을 맞대어 지지부재(42, 43)(또는 85, 86)와 탄성부여부재(44, 45)(87, 88)를 예를 들면 아크용접 등에 의해 접합하여 구성된다. 용접개소는, 지지부재(42, 43)(85, 86)의 L자 형상에 따르는 부분으로 할 수 있다. 이 프레임(46)(89)에 색선별용 마스크(49)(90)를 설치함으로써, 목적의 색선별기구(373 또는 78)가 제조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의 양단면(131)을 각도( θ)로 경사시키고, 이 단면(121)에 평판재에 의한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대어 프레임이 제작된다. 따라서, 상술과 동일하게, 평판의 탄성부여부재(44, 45)(87, 88)가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85, 86)에 대하여 소요 각도(θ)로 설치되는 접합부의 가공은, 절삭가공을 이용하지 않고 프레스가공만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접합부를 싼 값으로 양산에 적당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온도 드리프트량을 보다 억제한 신뢰성이 높은 색선별기구, 나아가서는 컬러음극선관을 싼 값으로 양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위 예에서는, 도 15∼도 25에 나타내는 접합부의 구조를, 평판의 탄성부여부재를 지지부재에 대하여 경사한 색선별기구(373, 78)에 적용했지만, 기타, 상술의 평판의 탄성부여부재를 기울이지 않고 수직(θ=0°)에 배치한 색선별기구(371, 372)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에서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 중, 탄성부여부재를 평판재에 의해 형성하고, 열팽창후의 그릴하이트(GH)의 변화량을 가급적으로 영에 접근하고,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했다. 한편, 프레임을 구성하는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 중, 지지부재의 구조를 바꾸는 것에 의해서도 열팽창후의 그릴하이트(GH)의 변화량을 가급적으로 영에 접근하고, 온도 드리프트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 경우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37)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4)는, 후술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부재를 「く」자 형상으로 되도록 기울인 1쌍의 지지부재(42 및 43)와, 지지부재(42 및 43)의 양단 사이에 접합된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및 45)로 이루는 틀형의 금속프레임(46)을 가지고, 이 프레임(46)의 1쌍의 지지부재(42 및 43) 사이에 박판 강판에 양면 수평방향으로 배열하도록 다수의 슬릿(빔 투과구멍)(47)이 형성되며, 서로 이웃하는 슬릿(47) 사이에 미세띠형의 소위 그리드 소체(48)가 형성된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탄성부여부재(44 및 45)는, 본 예에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각재를 U자형으로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된다.
지지부재(42, 43)는,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용접되는 한쪽 측 부분(51V)과 이것에 연결하는 다른 쪽 측 부분(51H)으로 이루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한쪽 측 부분(51V)과 다른 쪽 측 부분(51H)으로 이루는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90°∼95°온도이지만, 이 각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및 43)는, 후술하도록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기울어 탄성부여부재(44, 45)에 접합된다.
즉, 지지부재(42, 43)는,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설치되는 한쪽 측 부분(51V)의 측면(52b)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49)의 4개의 코너가 이루는 평면으로 이루는 각도()가 0°<<90°범위에서 기울여 배치된다. 프레임(46)으로서는, 측부분(51V)의 측면(52b)과, 지지부재(42, 43)의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면, 즉 측부분(51V)의 면(52a)으로 이루는 각도()가 0°<<90°범위내로 이루도록 탄성부여부재(44, 45)에 접합된다.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쪽의 측 부분(51V)의 길이(L1)와 다른 쪽 측 부분(51H)의 길이(L2)가 어떤 값이더라도, 그릴하이트(GH)변화가 0으로 되는 각도(θ)는, 0°<<90°범위에서 반듯이 존재한다.
각도()로서는, 지지부재(42, 43)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쪽 측 부분(51V)과 다른 쪽 측 부분(51H)의 길이(L1, L2)를 서로 동등하게 L1=L2로 설정할 때, 20 45°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9 참조). 이 범위를 벗어나면 밸런스가 붕괴되어 그릴하이트(GH)변동이 영으로 되지 않는다.
각도()로서는, 지지부재(42, 43)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쪽 측 부분(51V)과 다른 쪽 측 부분(51H)과의 길이(L1, L2)를 L1〈L2로 설정했을 때, L1 = L2로 설정했을 때 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0 참조). 이유는 상기와 동일하다.
각도()로서는, 지지부재(42, 43)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쪽측 부분(51V)과 다른 쪽 측 부분(51H)과의 길이(L1, L2)를 L1〉L2로 설정했을 때, L1=L2로 설정했을 때 보다도 작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1 참조). 이유는 상기와 동일하다.
여기서, 물체를 가압하면, 물체는 단면 2차 모멘트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변형하려고 한다. 상술의 종래의 프레임(16)에서는,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12, 13)의 한쪽 측 부분(이른바 수직부)(11V)이 색선별용 마스크(19)의 4코너가 이루는 평면에 대하여, 대강 수직(각도가 90°)으로 되도록 다른 쪽 측부분(이른바 수평부)(11H)에 있어서 탄성부여부재(14, 15)에 접합된다.
여기서, 물체를 가압하면, 물체는 단면 2차 모멘트가 가장 작은 방향으로 변형할려고 한다. 상술의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L자 형상의 지지부재(12, 13)를 그 색선별용 마스크(19)를 설치하는 한쪽 측 부분(11V)이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한 프레임(16)에서는, 도 4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 13)가 Y방향(양지지부재의 대향방향) 및 Z방향(그릴하이트(GH)의 방향)으로 변형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와 같이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를 적절한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여 배치한 프레임(46)의 경우는,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43)를 Y방향으로 가압했을 때, Y방향(양지지부재의 대향방향)에만 변형하고, Z방향(그릴하이트(GH)의 방향)에는 변화하지 않게 된다. 또한, 경사의 각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42, 43)의 단면형상, 즉 대략 L자 단면의 종단(한쪽 측부분(51V)과 다른 쪽 측 부분(51H))의 비율이나, 지지부재(42, 43)의 비틀어지는 강성 등에 의해 최적한 값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4)에서는, 그 조립시에, 프레임(46)을 Y방향에 대하여 프레임(46)의 변화량이 어떤 값이여도, 전체 점에서 Z방향(그릴하이트(GH)방향)에는 변화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음극선관의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팽창해도, 전체 점에서 그릴하이트(GH)가 변화하지 않는다. 결과로서,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열팽창에 의해, 색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도 없다.
색선별기구(374)는, 패널(32)의 내측면에 고착된 패널 핀(도시하지 않음)에 지지되도록, 복수점의 지지, 예를 들면 4점 지지의 경우에는 틀형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4변에 대응하는 지지부재(42, 43) 및 탄성부여부재(44, 45)에 각각 이들에 용접된 스프링홀더(55)와, 각 스프링홀더(55)에 용접되어 단부에 핀결합구멍(56)을 가지는 지지스프링(57)으로 이루는 지지수단이 설치된다. 3점 지지의 경우는, 예를 들면 하나의 지지부재(42)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45)에 지지수단이 설치된다. 색선별용 마스크(49)상에는, 이것에 접촉하도록 진동방지용의 탬퍼 센서부가 설치된다. 지지부재(42, 43)에 용접되는 스프링홀더(55)는, 일단을 「く」자 형상의 외측면에 따르도록 굴절하고, 그 굴절한 면을 지지부재(42, 43)의 외면에 따르게 하여 용접하고, 수직으로 연장하는 타단에 지지스프링(57)을 용접하도록 이루어진다(도 2 참조).
본 실시 형태의 색선별기구(374)를 이용하면,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열팽창에 의한 그릴하이트(GH)의 변화를 완전하게 억제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색선별기구와 다른, 지지스프링에 이러한 각부를 경감할 수 있고, 안정한 스프링기능을 얻을 수 있다.
통상, 프레임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기 전의 프레임에 턴버클을 달때 이용하는 장치, 즉 색선별기구를 가압변형시키는 장치는, 도 3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16)의 경우, 프레임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12, 13)의 한쪽 측 부분(수직부)(20V)의 외측면에 가압자(61)를 접촉시켜 가압한다. 이 때, 파선위치 및 실선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12, 13)는, Y방향으로 변화하면 동시에, Z방향(그릴하이트(GH)방향)에도 변화하고 가압자(61)의 지지부재(12, 13)에 대한 접촉위치가 어긋나 간다. (W1)은, 가압 시작과 끝의 접촉위치의 어긋난 량이다. 접촉부분의 마찰상태는, 여러 가지의 요인, 예를 들면 프레임의 숏블라스트의 상태, 프레임 세정의 상태, 프레임이나 가압자의 온도 등에 의해 불균일하므로, 접촉위치가 어긋나면 가압상태도 불안정하게 된다. 이것은 색선별용 마스크의 주름 발생이나, 장력분포의 불균일의 중대한 요인으로 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색선별기구(49)에서는, 도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46)을 가압 변형시키는 경우, 「く」자 형상의 지지부재(12, 13)의 외측면에 가압자(61)를 접촉시키고 Y방향으로 가압한다. 이 때, 파선위치 및 실선위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을 부가해도 Z방향(그릴하이트(GH)방향)에는 변화하지 않으므로, 평상시 같은 점을 가압하게 된다. 즉, 가압의 시작과 끝에서 접촉위치(Wo)는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안정하여 색선별기구(49)의 조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종래의 색선별기구(7)에 있어서는, 음극선관의 동작시에 지지부재(21, 13)에 닿는 전자빔의 반사(BO')나 전자빔(BO)이 차단된 그림자를, 영상화면상에 비치지 않게 하기 위해, 도 3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선별용 마스크(19)의 투과구멍(17)의 외측에 전자빔의 차폐부(26)가 설치되며, 지지부재(12, 13)의 선단, 즉 다른 쪽 측 부분(수평부)(20H)의 선단에 경사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색선별용 마스크(19)의 주름은 차폐부(26)에서 발생하므로, 이 차폐부(26)는 극력 작은 힘이 좋다. 지지부재(12, 13)의 경사부(24)에 부작용은 없지만, 제작하기 위해서는 절삭 또는 프레스 등의 가공을 필요로 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색선별기구(374)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색선별기구용 마스크(49)의 빔 투과구멍(47)의 외측에 종래와 같은 차폐부를 거의 설치하지 않고, 또 지지부재(42, 43)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다른 쪽 측 부분의 선단에 경사부등의 목귀질을 형성하지 않고 구성된다. 이 색선별기구(37)에서는,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의 기울기를 전자빔(BO)의 입사에 대하여 적절히 설정하면, 전자빔(BO)이 화상방향에 반사되지 않고, 즉 지지부재(42, 43) 반사한 전자빔(BO')은 반대측에 반사되며, 그림자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목귀질하기 위한 절삭 또는 프레스의 가공을 필요로 하지 않고, 종래의 색선별기구에 대하여, 싼 값으로 고품질의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용 프레임(46)에 의하면,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42, 43)를, 「く」자 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여 탄성부여부재(44, 45)에 접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46)을 가압변형 했을 때, 지지부재(42, 43)가 가압방향만 변형하고, 그릴하이트방향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색선별용 마스크(49)를 설치하여 색선별기구를 구성한 경우에,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적 영향을 받아도 그릴하이트(GH)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4)에 의하면, 상기 프레임(46)을 이용하여 구성되므로,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팽창해도 지지부재(42, 43)의 색선별용 마스크 부착면은 그릴하이트(GH)방향으로 변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색선별용 마스크(49)와 패널 사이의 그릴하이트(GH)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컬러음극선관(31)에 의하면, 상기 색선별기구(374)를 갖추므로, 동작시에 색선별용 마스크(39)가 열팽창해도 그릴하이트(GH)의 변화가 억제되며, 색 어긋남을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온도 드리프트를 개선할 수 있고, 보다 고휘도, 고정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컬러음극선관(31)의 색선별기구(37)는, 이와 같은 단면 대략 L자 형상에서 「く」자 형상으로 되도록 기울인 지지부재(42, 43)(도 27, 혹은 도 29∼도 31 참조)와, 상술의 도 2, 도 6, 도 8, 도 9a∼도 9c, 도 10, 혹은 도 14에 나타낸 평판재에서 형성한 탄성부여부재(44, 45)를 조합하여 이루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색선별기구는, 또한 열적 영향을 받아도 그릴하이트(GH)의 변동을 억제하고, 온도 드리프트의 개선을 도모할수 있다.
도 37 및 도 38은, 이와 같은 프레임을 이용하여 구성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의 형태는, 더욱이 고정세한 음극선관에 적용하여 호적한 색선별기구이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5)는, 프레임을 구성하는 1쌍의 단도 대략 L자형상의 지지부재(42, 43)를 상술과 동일하게 「く」자 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44, 45)를, 판두께방향으로 단차(61)를 가지는 평판재(62)에서 형성하는 동시에, 평판재(62)의 판면과 색선별용 마스크(49)의 중앙 법선으로 이루는 각도(θ)가 소요의 각도로 이루도록, 경사하고 지지부재(42, 43)에 설치하여 프레임(46)을 구성한다. 탄성부여부재(44, 45) 측의 각도(θ)로서는,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0°〈θ〈9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성부여수단의 강도를 얻기 위해 0°〈θ〈60°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빔의 입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0°〈θ〈4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그릴하이트(GH)방향의 변화를 컨트롤하기 위해서 10°〈θ〈45°의 범위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레임(46)의 「く」자 형상으로 배치한 지지부재(432, 43)와 평판재의 탄성부여부재(44, 45)의 접합은, 상술한 도 15∼도 17, 도 19∼도 21, 도 23∼도25, 또한 도 5a∼도 5b에 나타내는 각 접합법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이 색선별용 마스크(49)는, 상술과 동일하게 1쌍의 지지부재(42, 43)를 Y방향으로 가압변형한 상태에서, 지지부재(42, 43) 사이에 용접하고, 용접후의 가압을 해제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이 평판재(62)의 탄성부여부재(44, 45)를 경사하여 지지부재(42, 43)에 접합한 프레임(46)을 이용하여 이루는 색선별기구(372)에 의하면, 색선별용 마스크(49)가 열팽창했을 때, 프레임(46)의 탄성부여부재(44, 45)의 응력이 개방되지만, 탄성부여부재(44, 45)의 스프링홀더(55)는 탄성부여부재(44, 45)의 변형 영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열팽창 전후에서 색선별용 마스크(49)의 관축방향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그릴하이트(GH)변화량을 영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용기구(375)에 의하면,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く」자 형상으로 되도록 기울여 배치한 지지부재(42, 43)와, 평판재(62)에서 형성하고 또한 단차(63)를 가지고 경사하여 배치한 탄성부여부재(44, 45)를 조합하여 구성한 프레임(36)을 이용함으로써, 지지부재(42, 43)와 탄성부여부재(44, 45)의 양자의 구성에 의한 각각의 그릴하이트 변동의 억제효과가 활동하고, 또한 열팽창시의 그릴하이트(GH)의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색선별기구(372)를 갖춘 음극선관(31)에 있어서는, 온도 드리프트를 더욱이 개선할 수 있고, 보다 고휘도, 고정세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여부재(44, 45)로서는, 단차(63)를 가지지 않는 평판재(62)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평판재(62)를 지지부재(42, 43)에 대하여 상기 소요 각도 (θ)에서 설치하는 혹은 θ=0°에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각재를 U자형상으로 한 탄성부여부재를 이용하는 것에 비하여, 그릴하이트(GH)의 변화를 한정하지 않고 작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실시의 형태에 관계되는 색선별기구(374, 375)는, 상술의 도 13에 나타내는 복수전자총형 컬러음극선관(71)에 적용할 수 있다.
상술에서는, 본 발명의 색선별기구를 어퍼쳐그릴에 적용했으나, 섀도우마스크(슬롯마스크)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2)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상기 지지부재가 주로서 관축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의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그리고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항에 있어서,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판두께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평판재로 형성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 또는 이것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 또는 이것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및 이것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 및 이것과 반대측의 쌍편에 돌출하는 절곡부를 형성하여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탄성변형하는 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탄성변형하는 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θ)가 10°< θ< 45°를 만족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에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이루는 판면이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교우하도록 경사져서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추고,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의 형광면과 색선별용 마스크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0을 포함해서 가장 적게 이루는 부분에, 패널에 대한 지지수단이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고, 단면 대략 l자형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되어서 이루는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면과의 이루는 각도()를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지 않는 측의 측부분의 단부가 면취되어있지 않는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우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색선별용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로 설정되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판두께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평판재로 형성되어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색선별용마스크의 열팽창시의 형광면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사이의 거리의 변화가 0을 포함해서 가장 적게 이루는 부분에 패널에 대한 지지수단이 부착되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1쌍의 지지부재는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1쌍의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이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로 맞춘 각도를 가지며,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는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지지부재와의 맞댄면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로 맞춘 각도를 가지며, 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을 지지부재의 면에 맞대고, 상기 지지부재와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가 단면 개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는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을 대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단면 개략 L자형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단면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된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구성하는 일편의 측부분 및 타편의 측부분과 상기 탄성부여부재와의 사이에 접합되어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대어진 각도를 갖고, 상기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 이루는 각도( θ)를, 0°< θ< 90°로 설정하고, 지지부재의 단면이 개략 L자형을 이루도록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된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이 이루는 각도 ()를,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단면 개략 L자형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절결부의 지지부재와의 맞댄면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로 맞추어진 각도를 가지며,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을 지지부재의 면에 맞대어지고,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단면과 상기 색선별용마스크의 중앙의 법선과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로 설정되고, 지지부재의 단면 개략 L자형상을 이루는 2개의 측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부착되어지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면과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서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어,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며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지지부재의 탄성부여부재가 설치되는 단면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탄성부여부재의 설치각도에 맞춘 각도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이 맞대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접합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기구 마스크의 중앙 법선의 이루는 각도(θ)가, 0°〈 θ〈 90°로 설정되어, 지지부재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 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측 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과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된 색선별기구를 갖추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설치되는 부분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절결부의 탄성부여부재와의 맞댄면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설치 각도에 맞춘 각도를 취하는 공정과, 상기 지지부재의 절결부의 맞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대어서 접합하고,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단면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에 의한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상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간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이며,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상기 지지부재가 부착되는 부분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절결부의 상기 지지부재의 맞댄면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붙이는 공정과, 상기 지지부재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절결부의 상기 맞댄면을 맞대어서 접합하고,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로 하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간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이며, 단면 대략 L자형의 상기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부착되는 단면에 상기 지지부재에 대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부착각도에 맞춘 각도를 붙이는 공정과,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전면에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판면을 맞대어서 접합하고,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단면 대략 L자형상을 이루는 1쌍의 지지부재와 평판재로 하는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상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간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하여 이루는 색선별기구를 갖춘 음극선관의 제조방법이며,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한편의 측부분을 결합하는 결합홈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결합홈에 상기 지지부재의 한편의 측부분을 결합하여 상기 탄성부여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접합하여 상기 프레임을 형성하는 공정을 가지고, 색선별기구를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제조방법.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상의 프레임을 가지고,상기 1쌍의 지지부재간에 색선별용 마스크를 설치되고,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열팽창시에, 상기 지지부재가 주로서 관축방향으로 변위하지 않도록 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상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간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의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상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배간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고,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고 또한 서로 판면이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1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가 판두께 방향으로 단차를 갖는 평판재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각각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이루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측, 또는 이것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절곡부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0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에 설치된 단차가, 탄성부여부재의 평면부 중, 가장 단부에 가까운 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1쌍의 탄성부여부재의 상대향하는 측, 또는 이것과 반대측에 돌출하는 굴곡부에서 형성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며,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기울어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이루는 프레임상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가장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있어서의 지지부재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 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측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면과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가장되며,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 법선을 포함하는 면과 교차하는 면내에서 탄성변형하는 부재로 형성되며,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기울어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는 틀형의 프레임을 가지고, 상기 1쌍의 지지부재 사이에 색선별용 마스크가 가장되며, 상기 탄성부여부재가, 평판재로 형성되어 또한 서로의 판면이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지지부재가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제 5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의 평판재의 판면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중앙 법선의이루는 각도가 0°〈 θ〈 90°로 설정되며, 지지부재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 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측 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면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
1쌍의 지지부재와 1쌍의 탄성부여부재로 이루며, 단면 대략 L자 형상의 상기 지지부재를, 그릴하이트의 변화가 경감되는 방향으로 기울어서 상기 탄성부여부재에 접합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용 프레임.
제 6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단면 대략 L자 형상을 구성하는 2개의 측 부분 중, 색선별용 마스크가 설치되는 측 부분의 측면의 접선과 상기 색선별용 마스크의 이루는 각도()가, 0°〈〈 90°로 설정되어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선별기구용 프레임.
KR10-2003-7017025A 2002-04-30 2003-04-28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프레임 KR2004009560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28732 2002-04-30
JP2002128732 2002-04-30
JPJP-P-2002-00372874 2002-12-24
JP2002372874 2002-12-24
JPJP-P-2003-00101825 2003-04-04
JP2003101825 2003-04-04
PCT/JP2003/005440 WO2003094190A1 (fr) 2002-04-30 2003-04-28 Tube a rayons cathodiqu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mecanisme de selection de couleurs et cadre pour ce mecanisme de selection de couleu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5608A true KR20040095608A (ko) 2004-11-15

Family

ID=2940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7025A KR20040095608A (ko) 2002-04-30 2003-04-28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프레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40256971A1 (ko)
JP (1) JPWO2003094190A1 (ko)
KR (1) KR20040095608A (ko)
CN (1) CN1267956C (ko)
TW (1) TW200402751A (ko)
WO (1) WO2003094190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8227A (ja) * 1991-01-24 1992-09-03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陰極線管
JPH04289635A (ja) * 1991-03-06 1992-10-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ーブラウン管色選別電極用フレーム
JPH07335138A (ja) * 1994-06-03 1995-12-22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335113B1 (ko) * 2000-05-16 2002-05-04 구자홍 음극선관용 프레임구조
JP3882514B2 (ja) * 2001-03-08 2007-02-2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7956C (zh) 2006-08-02
WO2003094190A1 (fr) 2003-11-13
CN1547754A (zh) 2004-11-17
JPWO2003094190A1 (ja) 2005-09-08
US20040256971A1 (en) 2004-12-23
TW200402751A (en) 2004-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492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725422B1 (en) Cathode-ray tube wherein plural regions of phosphor screen are scann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JPH0778570A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134770A2 (en) Color cathode ray tube
EP0646943B1 (en) Color cathode-ray tube
US49637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hadow mask
KR20040095608A (ko) 음극선관과 그 제조방법, 색선별기구 및 색선별기구용프레임
JPH07249383A (ja) 電子銃とその組立て方法
US6803713B2 (en) Color cathode ray tube
JP2507466B2 (ja) カラ−受像管
EP0881659A2 (en) Color cathode-ray tube
KR0135043B1 (ko) 칼라음극선관
EP0677863B1 (en) Color cathode ray tube
US6710528B2 (en) Shadow mask and color cathode ray tube
JP2003100231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550044B2 (ja) カラ−受像管
EP088166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794108A (ja) カラー受像管
JP2003217470A (ja) カラー受像管
JP2004171956A (ja) カラー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111680A (ko) 개선되고, 적층할 수 있는 내부 자기 실드를 가진 음극선관
JP2002260548A (ja) シャドウマスク及びカラー陰極線管
JP2004200081A (ja) 陰極線管及びその色選別機構
JPH05290754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4342560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